KR200463880Y1 -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80Y1
KR200463880Y1 KR2020100003172U KR20100003172U KR200463880Y1 KR 200463880 Y1 KR200463880 Y1 KR 200463880Y1 KR 2020100003172 U KR2020100003172 U KR 2020100003172U KR 20100003172 U KR20100003172 U KR 20100003172U KR 200463880 Y1 KR200463880 Y1 KR 200463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ad
support
load distribu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82U (ko
Inventor
노연식
Original Assignee
(주)지승컨설턴트
노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승컨설턴트, 노연식 filed Critical (주)지승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100003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8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이 개시된다. 본 어스 앵커용 브라켓은 상,하부 측의 H빔에 각각 밀착되는 상,하부 지지부와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앵커체가 통과되기 위한 관통공을 구비한 하중 분산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앵커체가 고정되는 고정공을 구비한 지압 플레이트와, 상기 하중 분산 플레이트와 지압 플레이트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압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중 분산 플레이트로 전달하여 분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을 구비한 하중 분산부가 상기 상,하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상기 지압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를 폐합하도록 하중 분산 플레이트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고,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를 폐합하도록 지압 플레이트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 및 지압 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폐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은 일부에 원호형으로 만곡진 하중 분산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앵커체의 인장력, 즉 앵커체에 걸리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하중이 분산되므로 브라켓에 전달되는 앵커체의 인장력에 의하여 브라켓이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이 지지 플레이트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 및 지압플레이트로만 구성됨으로써 부품 수가 현저하게 줄어 제작비용은 물론,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으며, 어스 앵커용 브라켓의 지지 플레이트, 지압 플레이트 및 하중 분산 플레이트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으로써,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A BRACKET FOR EARTH ANCHOR HAVING LOAD DISPERSION PART}
본 고안은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체의 인장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브라켓에 전달되는 앵커체의 인장력에 의하여 브라켓이 변형됨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는 공사 현장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ㆍ건축 공사의 땅파기 작업에 따른 굴착공 형성시 토류벽으로 작용하는 지반 토압에 의해 토류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어스 앵커 공법(eartH ancHor metHod of construction)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어스 앵커 공법에 적용되는 어스 앵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H빔을 이용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어스 앵커 공법은 굴착공에 의해 형성된 토류벽(1)에 H빔으로 이루어진 수평보(4)에 설치한 다음, 토류벽(1)으로부터 소정 경사 각도를 가진 천공부(2)를 천공시키고, 그 천공부(2)에 앵커체(3)를 박은 후, 앵커체(3)의 정착장(LB)에 해당되는 길이 만큼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앵커체(3)를 고정시킨 다음, 수평보(4)에 지지 브라켓(10)을 용접식으로 고정 설치하고,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출된 앵커체(3)의 연선에 인장력을 가하여 그 앵커체(3)의 자유장(LA)을 지지 브라켓(10)에 지지시킴으로써, 토류벽(1)에 토압이 걸리는 것을 앵커체(3)로 지지하여 토류벽(1)이 굴착공 측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어스 앵커용 지지 브라켓(10)은,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장력을 가하기 전 수평보(4)에 용접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앵커체(3)의 인장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평보(4)를 가로질러 걸쳐지는 한 쌍의 측면판(11)과, 앵커체(3)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지탱하면서 그 인장력에 대응되는 지지 압력을 측면판(11)으로 분산시키기 위 해 앵커체(3)의 인장 각도에 수직되게 배치되도록 측면판(11)에 고정 설치되며, 앵커체(3)의 자유장(LA)이 인출 가능한 인출공(12a)을 가진 지압판(12)을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어스 앵커용 지지 브라켓은 앵커체(3)의 인장력에 대한 지지 압력의 분배를 단순히 측면판(11)과 지압판(12)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측면판(11) 및 지압판(12)이 그 지지 압력을 극복하지 못해 지압판(12)이 휘어지거나, 측면판(11)이 뒤틀려지게 되어 시방서에서 요구되는 앵커체(3)의 인장력을 적용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도출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장에서는 임시 방편으로 지압판(12)과 측면판(13)의 두께를 불필요하게 연장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재의 고중량 및 대형화로 인한 시공성의 저하와, 비경제적인 제작 시공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앵커체의 인장력, 즉 앵커체에 걸리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 분산부를 구비함으로써 브라켓에 전달되는 앵커체의 인장력에 의하여 브라켓이 변형됨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는 공사 현장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스 앵커용 브라켓의 부품 수를 현저하게 줄여서 제작시 제작비용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어스 앵커용 브라켓의 부품을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하중지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토류벽이 지반 토압에 의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류벽의 천공부에 고정된 앵커체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각각의 지지용 H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하부 측의 H빔에 각각 밀착되는 상,하부 지지부와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앵커체가 통과되기 위한 관통공을 구비한 하중 분산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앵커체가 고정되는 고정공을 구비한 지압 플레이트와, 상기 하중 분산 플레이트와 지압 플레이트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압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중 분산 플레이트로 전달하여 분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을 구비한 하중 분산부가 상기 상,하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상기 지압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를 폐합하도록 하중 분산 플레이트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고,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를 폐합하도록 지압 플레이트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 및 지압 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폐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하중 분산부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지압 플레이트의 일부분에는 앵커체 지지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체 지지부와 대향되는 방향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 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연결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압 플레이트는 상기 각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 전체를 감싸도록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앵커체 지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 및
상기 연결 지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만곡부와 연결된 직선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공과 관통공 주변영역의 하중분산 플레이트와 지압 플레이트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에 의하면, 브라켓의 일부에 원호형으로 만곡진 하중 분산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앵커체의 인장력, 즉 앵커체에 걸리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하중이 분산되므로 브라켓에 전달되는 앵커체의 인장력에 의하여 브라켓이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공사 현장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이 지지 플레이트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 및 지압플레이트로만 구성됨으로써 부품 수가 현저하게 줄어 제작비용은 물론,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의 지지 플레이트, 지압 플레이트 및 하중 분산 플레이트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으로써,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스 앵커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스 앵커 브라켓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스 앵커용 브라켓을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벽이 지반 토압에 의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류벽의 천공부에 고정된 앵커체(10)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각각의 지지용 H빔(H)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부의 H빔(H)에 지지되고, 하중 분산부(26)를 갖는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와, 앵커체(10)가 지지되는 지압 플레이트(30)와, 상기 지압 플레이트(30)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2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H빔(H)은 토류벽에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H빔에 지지 고정된다. 이러한 H빔(H)은 상,하부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하중 분산 플레이트(20)는 전술한 상,하부의 H빔(H)에 직접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부측의 H빔(H)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22)와, 하부측의 H빔(H)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24) 그리고, 상부 지지부(22)와 하부 지지부(24)를 연결하는 하중 분산부(26)로 이루어진다. 하중 분산부(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지압 플레이트 측으로)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중 분산부(26)는 상,하부 지지부(22,24)를 연결하는 브릿지와 같은 형상과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 분산부(26)의 곡률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만곡진 하중 분산부(26)는 지압 플레이트(30)로 전달된 하중이 양측의 지지 플레이트(40)를 통하여 전달될 때 이를 상,하부 지지부(22,24) 측으로 전달하여 H빔(H)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하중의 집중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브라켓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중 분산 플레이트(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22)의 일측에서 상부측으로 만곡지게 절곡 형성된 하중 분산부(26), 그리고, 하중 분산부(26)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평편하게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중 분산부(26)는 그 전체가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28)이 형성된 만곡부(26A)와, 이 만곡부(26A)의 일측에서 하부 지지부(24)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부(26B)로 이루진다. 이러한 하중 분산부(26)는 만곡부(26A)에서 분산되는 하중이 상부 지지부(22)와 직선부 (26B) 측으로 분산되고, 이어서 직선부(26B)를 통하여 하부 지지부(24)로 전달되는 것이다. 한편, 이 만곡부(26A)는 앵커체(10)가 그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앵커체(10)가 후술할 앵커체 지지부(34)와 직각으로 교차되고, 만곡부(26A)의 중심을 지나도록 할 경우 하중의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직선부(26B)와 하부 지지부(24)의 경계 영역에는 H빔(H)에 걸리기 위한 걸림고리(29)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걸림고리(29)는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의 하부 지지부(24) 일부가 절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걸림고리(29)에 의해 브라켓 자체가 H빔(H)에 걸려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40)는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와 지압 플레이트(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압 플레이트(30)로 전달된 하중이 하중 분산 플레이트(20)로 전달되도록 지압 플레이트(30)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측(하중 분산 플레이트와 접하는 영역)은 상부 지지부(22)와 접하는 직선영역, 하중 분산부(26)와 접하는 곡선영역, 하부 지지부(24)와 접하는 직선영역으로 형성된다. 즉,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측(지압 플레이트와 접하는 영역)은 상기 곡선부(26A)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직선영역과 직선부(26B)에 대응되도록 상부 지지부(22)의 끝부분 측으로 급경사를 이루는 경사영역과, 하부 지지부(24)의 끝부분 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각 지지 플레이트(40)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지압 플레이트(30)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측에 결합되고, 또한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지압 플레이트(30)는 앵커체(10)가 설치되는 고정공(32)이 형성되어 앵커체(10)를 지지하면서 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플레이트(40)를 통하여 하중 분산 플레이트(20)로 전달하는 것으로, 전술한 지지 플레이트(40) 중에서 급 경사를 이루는 각 경사영역에 접하여 결합되는 경사진 영역과, 완만하게 경사진 영사영역에 접하여 결합된 경사진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 경사를 이루는 영역에는 앵커체 지지부(34)가 형성되고, 이 앵커체 지지부(34)와 대향되는 영역에는 연결 지지부(36)가 형성된다. 즉, 급경사를 이루는 경사영역에는 고정공(32)이 형성되는 앵커체 지지부(34)가 형성되는 것이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영역에는 하중을 하부 지지부(24) 측으로 전달하는 연결 지지부(36)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앵커체 지지부(34)는 하중 분산부(26)와 대응되고, 관통공(28)과 고정공(32)은 일치되며, 연결 지지부(36)는 직선부(26B)와 대응되는 위치(직선부와 평행하게 형성)에 형성된다.
이러한 지압 플레이트(30)는 지지 플레이트(40)의 상부측 단부 전체를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40)의 하부를 폐합하도록 하중 분산 플레이트(20)가 용접 접합되고,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40)의 상부를 폐합하도록 지압 플레이트(30)가 용접 접합되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40)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20) 및 지압 플레이트(30)에 의해 둘러싸인 폐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이처럼 어스 앵커 브라켓은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와 각 지지 플레이트(40) 및 지압 플레이트(30) 만을 용접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조립성 및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어스 앵커 브라켓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29)를 하부측 H빔(H)의 단부에 걸어 브라켓 자체를 설치한다. 이 과정으로 상부 지지부(22)는 상부측 H빔(H)에 지지되고, 하부 지지부(24)는 하부측 H빔(H)에 지지된다.
이어서 토류벽의 천공부에 일단이 고정된 앵커체(10)의 타단을 관통공(28)과 고정공(32)으로 통과시킨 후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지압 플레이트(30)의 고정공(32)에 고정한 후 이 앵커체(10)를 당기거나 조여 앵크체(10)에 인장력(하중)이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앵커체(10)에 인장력이 발생되면, 이 인장력은 지압 플레이트(30)의 앵커체 지지부(34)로 전달된다. 이때, 앵커체(10)와 앵커체 지지부(34)는 직각을 이루게 되므로 고, 이 앵커체 지지부(34)로 전달된 하중은 양측의 각 지지 플레이트(40)를 통하여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의 만곡부(26A)로 전달되나, 만곡부(26A)에서는 전달되는 하중을 그 원호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이렇게 분산된 하중은 상부 지지부(22)를 통하여 상부측 H빔(H)에 전달되고, 직선부(26B)를 통하여 하부 지지부(24)로 달된 후 하부측 H빔(H)에 전달된다.
따라서, 앵커체(10)로부터 발생된 인장력은 지압 플레이트(30), 지지 플레이트(40) 및 하중 분산 플레이트(20)를 통하여 H빔(H)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브라켓 자체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의 중앙에 원호형의 곡면부(26A)가 형성되므로 지압 플레이트(30)에 전달된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각 H빔(H)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어스 앵커 브라켓의 중앙부에 원호형의 곡면부(26A)가 형성되므로 아치형의 교량과 같이 중앙부에 집중되는 하중이 양측의 지지부(22,24)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압 플레이트(30), 지지 플레이트(40) 및 하중 분산 플레이트(20) 등이 모두 각각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서로 용접되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40)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20) 및 지압 플레이트(30)에 의해 둘러싸인 폐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므로, 각 플레이트 사이에는 이음 부분이 생기지 않아 자체 강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어서 보다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스 앵커용 브라켓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스 앵커용 브라켓은 지압 플레이트(30)의 고정공(32)과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의 관통공(28)의 주변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50),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보강판(50)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즉, 고정공(32)과 관통공(28) 사이의 주변에 두 개의 보강판(50)이 배치된 후 지압 플레이트(30)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20)의 만곡부(26A) 및 양측의 지지 플레이트(40)에 각각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판(50)이 고정공(32)과 관통공(28) 주변에 구비됨으로써 앵커체(10)로부터 지압 플레이트(30)에 전달되는 하중은 균일하게 각가 지지 플레이트(40)는 물론 하중 분산 플레이트(20)를 통하여 분산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은 부품수가 적고 각각의 부품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앵커체 20 : 하중 분산 플레이트
22 : 상부 지지부 24 : 하부 지지부
26A : 만곡부 26B : 직선부
28 : 관통공 29 : 걸림고리
30 : 지압 플레이트 32 : 고정공
34 : 앵커체 지지부 36 : 연결 지지부
40 : 지지 플레이트

Claims (5)

  1. 토류벽이 지반 토압에 의하여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류벽의 천공부에 고정된 앵커체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각각의 지지용 H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하부 측의 H빔에 각각 밀착되는 상,하부 지지부와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앵커체가 통과되기 위한 관통공을 구비한 하중 분산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앵커체가 고정되는 고정공을 구비한 지압 플레이트와, 상기 하중 분산 플레이트와 지압 플레이트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압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하중 분산 플레이트로 전달하여 분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을 구비한 하중 분산부가 상기 상,하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상기 지압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를 폐합하도록 하중 분산 플레이트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고,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를 폐합하도록 지압 플레이트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하중 분산 플레이트 및 지압 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폐합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분산부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지압 플레이트의 일부분에는 앵커체 지지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체 지지부와 대향되는 방향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 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연결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 플레이트는 상기 각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 전체를 감싸도록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분산부는,
    상기 앵커체 지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 및
    상기 연결 지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만곡부와 연결된 직선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과 관통공 주변영역의 하중분산 플레이트와 지압 플레이트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KR2020100003172U 2010-03-26 2010-03-26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KR200463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72U KR200463880Y1 (ko) 2010-03-26 2010-03-26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172U KR200463880Y1 (ko) 2010-03-26 2010-03-26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82U KR20110009382U (ko) 2011-10-05
KR200463880Y1 true KR200463880Y1 (ko) 2012-11-29

Family

ID=4756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172U KR200463880Y1 (ko) 2010-03-26 2010-03-26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8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30B1 (ko) 2006-03-31 2006-12-04 손일준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927279B1 (ko) 2009-04-28 2009-11-18 윤상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어스앵커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30B1 (ko) 2006-03-31 2006-12-04 손일준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927279B1 (ko) 2009-04-28 2009-11-18 윤상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어스앵커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82U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213B1 (ko)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JP5461210B2 (ja) アーチ鉄筋の組立方法およびアーチ鉄筋構造
KR101518565B1 (ko)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133732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내화공법
KR101500144B1 (ko) 아치형 광폭띠장 및 아치형 광폭띠장 구조체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101926160B1 (ko)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KR101546434B1 (ko) 편심조절이 가능한 겹띠장,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1510158B1 (ko) 곡선형 연장구조를 갖는 비계시스템
KR200463880Y1 (ko) 하중 분산부를 갖는 어스앵커용 브라켓
JP2011032725A (ja) 柱脚構造
JP6975680B2 (ja) 鋼製法枠部材を用いた法枠工法
KR20150010421A (ko) 캡빔 구조체
KR101528248B1 (ko) 사각 격자지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보강 공법
KR200449592Y1 (ko)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1498343B1 (ko) 그라운드 앵커 두부 정착 시스템
JP7270213B2 (ja) アーチ鉄筋の組立方法
KR101911731B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830180B1 (ko)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프리스트레스 장치
KR101042130B1 (ko) H빔을 이용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101775583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KR101992177B1 (ko) 흙막이 가시설용 강선띠장
KR20180092499A (ko) 복수 띠장을 이용한 버팀보 지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