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01Y1 - Neckrest - Google Patents

Neck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01Y1
KR200463801Y1 KR2020100007052U KR20100007052U KR200463801Y1 KR 200463801 Y1 KR200463801 Y1 KR 200463801Y1 KR 2020100007052 U KR2020100007052 U KR 2020100007052U KR 20100007052 U KR20100007052 U KR 20100007052U KR 200463801 Y1 KR200463801 Y1 KR 200463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neck
wire
coupling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0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0286U (en
Inventor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조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철 filed Critical 조병철
Priority to KR2020100007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01Y1/en
Publication of KR20120000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8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0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자동차의 운전석에 장착하여 운전자의 목을 지지함으로써 운전으로 인한 만성적 피로를 방지하고 아울러 자동차 사고로 인한 충격시에 그 충격을 완화해주는 안전기능을 가지는 목받침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받침대(10)는 의자 또는 시트(seat)(20)의 등받이(21) 상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봉(25)에 의하여 상기 등받이(21)와 결합하는 헤드레스트(23)의 하나의 상기 지지봉(25)이 관통하는 결합홀(111)를 가지는 결합수단(110); 결합수단(110)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120), 제1 방향 연장부(120)에서 계속하여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방향 연장부(130), 후방방향 연장부(130)에 이어서 제1 방향의 연장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대방향 연장부(140), 반대방향 연장부(140)에 이어서 상기 결합수단(110)의 위치의 가상 연장선의 위치보다 더 연장되게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방향 연장부(150), 전방방향 연장부(150)에 이어서 다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방향 연장부(160)를 포함하는 나선 형상의 와이어 또는 파이프(100); 및 말단방향 연장부(160)를 둘러싸서 그것과 결합되는 쿠션부재(40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ck rest with a safety function to prevent the chronic fatigue caused by driving and to alleviate the impact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by mounting o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o support the neck of the driver. Neck 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the headrest 23 is coupled to the backrest 21 by one or more support rods 25 on the backrest 21 of the chair or seat (seat) 20 Coupling means (110) having a coupling hole 111 through which the support rod 25 of the; A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10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earward extension part 130 extending in a rear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After the rearward extension 130, the opposite extension 140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xtension 120 in the first direction, the opposite extension 140, and then the coupling A forward extension 150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so as to extend fur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in the position of the means 110, and a prolonged extension 16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ollowing the forward extension 150 again; Spiral-shaped wire or pipe 100 including; And a cushion member 400 surrounding the distal extension 160 and engaged therewith.

Description

목받침대{Neckrest}Neck Rest {Neckrest}

본 고안은 목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자동차의 운전석에 장착하여 운전자의 목을 지지함으로써 운전으로 인한 만성적 피로를 방지하고 아울러 자동차 사고로 인한 충격시에 그 충격을 완화해주는 안전기능을 가지는 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a safety function that prevents chronic fatigue due to driving and reduces the impact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by mounting the driver's neck to support the driver's neck. The branch is about the neck rest.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에는 헤드레스트에 자신의 머리를 기댄 채 운전을 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만성적 피로를 느끼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소위 거북이목이라 불리우는 목이상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운전자는 운전시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지 않기 때문에 사고와 같이 갑작스러운 충격이 가해질 경우, 헤드레스트가 어느 정도 그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는 하지만, 목에 상당한 충격이 전해져 목을 다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The driver's and passenger seats on the car are equipped with headrests that support the occupant's head. However, few drivers drive their heads against their headrests when driving. For this reason, when driving for a long time, the driver feels chronic fatigue, and in severe cases, a so-called turtle neck symptom may be shown. In addition, the driver does not lean his head on the headrest while driving, so if a sudden shock such as an accident is applied, the headrest will moderate the shock to some extent, but a considerable shock will be transmitted to the neck to hurt the neck. .

자동차 탑승자에게 목의 안락함을 제공하고 또한 자동차 사고시에 목에 주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목받침대에 관하여 다수의 특허출원이 있었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regarding neck rests to provide car occupant comfort and to mitigate neck shock in a car accident.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40556호(2008. 6. 17. 등록)는 사람의 목부위 경추골의 굴곡형상을 감싸줄 수 있는 형상의 지지틀을 마련하는 헤드부를 전면에 마련하고, 후면으로 완충부와 지지부를 마련하여 주행중 뿐만 아니라 충돌사고시에 운전자 및 후방 탑승자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목을 비롯한 머리와 어깨를 전체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도록 설계된 목 받침대의 구조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 구조의 목받침대는 헤드레스트 앞에 목받침대를 설치하는 것이어서 헤드레스트가 머리를 받치는 기능을 할 수 없게 하여 이미 설치된 헤드레스트를 쓸모없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40556 (registered on June 17, 2008) provides a head part on the front to provide a support frame shaped to cover the curved shape of the cervical spine of the human neck, and the buffer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the rear.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ructure of a neck support designed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driver and rear occupants as well as to protect the head and shoulders, including the neck, as well as during driving. However, the neckrest of this structure is to install the neckrest in front of the headrest, so that the headrest cannot function the headrest, making the already installed headrest useless and its structure is complicated.

자동차 시트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고정시키는 목받침대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1998-066744호(1998. 12. 5.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목받침대는 그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운전자의 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목받침대는 협소한 공간인 자동차 시트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스테이(헤드레스트의 지지봉) 상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설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키가 작은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시트에 매우 가깝게 붙여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노출되는 스테이의 영역이 크지 않아 목받침대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A neck rest fixed to a support rod of a headrest installed in a car sea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66744 (published on December 5, 1998). The neck rest i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river's neck by including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therein. However, the neckrest of such a structure is required to be installed on the stay between the car seat and the headrest which is a narrow space (support bar of the headrest), and not only a precise design is required but also the headrest when the occupant is short. Should be attached very close to the sea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ck rest can not be installed because the area of the stay is not large.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95578호(2002. 11. 05. 등록)는 자동차 시트와 헤드레스트 사이에 있는 헤드레스트 지지봉에 결합되는 목받침대를 개시하는데, 이 목받침대에서 헤드레스트 지지봉에 결합되는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그리고 쿠션부재로 된 목받침부는 시트와 헤드레스트에 폭넓게 걸쳐있다. 이러한 형태는 운전자가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지 않은 상태에서는 목받침부가 운전자의 목을 받침으로써 편안함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운전자가 머리를 헤드레스트에 기댈 경우에는 목받침부와 헤드레스트의 윤곽이 운전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형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운전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목받침부를 설계하여야 한다는 부담이 있어 범용화의 어려움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95578 (registered Nov. 05, 2002) discloses a neck restraint coupled to a headrest support rod between a car seat and a headrest, which is joined by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headrest support rod. Supported and cushioned neckrests extend widely across the seat and headrest. This form provides the driver with comfort by supporting the neck of the driver while the driver does not lean his head on the headrest.However, when the driver leans his head against the headrest, the contour of the neckrest and headrest is provided. If the driver does not match the type of comfort,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driver, there is a burden of designing various types of neckrest according to the driver's body characteristics, there is a difficulty in generalization.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자동차의 운전석에 장착하여 운전자의 목을 지지함으로써 운전으로 인한 만성적 피로를 방지하고 아울러 자동차 사고로 인한 충격시에 그 충격을 완화해주는 안전기능을 가지는 목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 restraint having a safety function that prevents chronic fatigue due to driving and also alleviates the impact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by mounting the driver's seat to support the driver's neck. will b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목받침대의 상기한 기능을 달성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한 목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ck rest simple in structure while achieving the above functions of the neck re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목받침대는 의자 또는 시트(seat)의 등받이 상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봉에 의하여 상기 등받이와 결합하는 헤드레스트의 하나의 상기 지지봉이 관통하는 결합홀를 가지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 상기 제1 방향 연장부에서 계속하여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방향 연장부, 상기 후방방향 연장부에 이어서 상기 제1 방향의 연장부의 길이보다 길게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대방향 연장부, 상기 반대방향 연장부에 이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위치의 가상 연장선의 위치보다 더 연장되게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방향 연장부, 상기 전방방향 연장부에 이어서 다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방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나선 형상의 와이어 또는 파이프; 및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를 둘러싸서 그것과 결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Neck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upling having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one support rod of the headrest coupled to the backrest by one or more support rods on the back of the chair or seat (seat) Way; A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 rearward extension part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rear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and following the rearward extension part; An opposite exten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longer than a length of the extens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forward extension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such that the opposite extension extends fur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extension line 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ans; A spiral wire or pipe including a longitudinal extension extending further in the first direction, followed by the forward extension; And a cushioning member surrounding the distal extension and engaged therewith.

상기에서, 상기 반대방향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고, 상기 후방방향 연장부 및 상기 전방방향 연장부과 만나는 두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영역을 최소한 하나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의 말단부분에는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받침대는 원통 형상의 밑면과 윗면에 상기 와이어 또는 파이프의 말단방향 연장부가 각각 관통하는 와이어 통과홀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결합어댑터 그리고 체결편 또는 체결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는 결합어댑터의 두 개의 와이어 통과홀을 통과하여 그것의 체결홈 또는 체결홀이 결합어댑터 바깥으로 노출되고, 상기 체결편 또는 체결핀은 상기 체결홈 또는 체결홀에 끼워져서 상기 결합어댑터가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posite extension portion has at least one protruding region protruding forward from two portions parallel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meeting the rearward extension portion and the forward extension portion. In additio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or a fastening hole, and the neck support has a cylindrical through-hole having a wire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of the wire or pipe passes, respectively, on the bottom and top of the cylindrical shape. Preferably, the coupling adapter further includes a coupling adapter and a coupling piece or a coupling pin, wherein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passes through two wire through holes of the coupling adapter and exposes the coupling groove or the coupling hol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adapter. Preferably, the fastening piece or fastening pin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or fastening hole so that the coupling adapter is not separated from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또한, 상기 목받침대는 상기 쿠션부재를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neck rest further comprises a cover surrounding the cushion member.

상기 목받침대는 와이어 통과 파이프와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로 된 두 개의 짧은 파이프가 교차하여 결합된 보조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보조고정구는 상기 와이어 통과 파이프에 상기 제1 방향 연장부가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하고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에 상기 결합수단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헤드레스트 지지봉이 관통하여 고정된다. Preferably, the neck res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fixture in which two short pipes consisting of a wire passing pipe and a headrest support rod passing pipe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the auxiliary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wire passing pipe in the first direction. The extension is coupled in a penetrating manner, and the other headrest support rod which is not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is fixed to the headrest support rod passing pipe.

상기 와이어는 그 직경이 3~7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목받침대는 주로 자동차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 시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Preferably, the wire has a diameter of 3 to 7 mm, and the neck rest is mainly used to be mounted on a driver's seat or passenger seat of an automobile.

본 고안의 목받침대를 특히 자동차의 운전석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본 고안의 목받침대는 운전자의 목을 지지함으로써 운전으로 인한 만성적 피로를 방지하고 아울러 자동차 사고로 인한 충격시에 그 충격을 완화해주는 안전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목받침대는 그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에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neck restra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especially in the driver's seat, the neck restrai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driver's neck to prevent chronic fatigue caused by driving and to alleviate the shock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Provide the function. In addition, the neck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manufacture and can be supplied at a low price.

도 1은 통상의 자동차 앞좌석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목받침대가 자동차 앞좌석 시트에 장착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받침대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목받침대에 보조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ventional vehicle front seat.
Figure 2 shows a state diagram that the neck rest of the subject innovation is mounted on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neck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ixture is installed on the neck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통상의 자동차 앞좌석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자동차 앞좌석 시트는 등받이(21) 상부에 헤드레스트(23)가 두개의 헤드레스트 지지봉(25)에 의하여 등받이(21)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자동차 앞좌석 시트는 헤드레스트에 의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에는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지 않은 채로 운전을 하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으로 인하여 목에 상당한 피로가 누적되고 사고시에 상당한 충격이 운전자의 목에 가해지게 된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ventional vehicle front seat. 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vehicle front seat sea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rest 23 is coupled to the backrest 21 by two headrest support rods 25 on the backrest 21. These front seats provide comfort to the occupants by the headrests, but when the driver drives the car without leaning his head restraint, he experiences considerable fatigue in his neck due to prolonged driving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accidents. Shock is applied to the driver's neck.

도 2는 본 고안의 목받침대가 자동차 앞좌석 시트에 장착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받침대(10)는 결합수단(110)에 의하여 헤드레스트의 지지봉(25)의 하나와 결합하고 나선형상의 와이어(100)를 헤드레스트(23)의 앞쪽으로 연장한 후 뒷쪽으로 감고 다시 그것의 앞쪽으로 감은 후 나선형상의 와이어(100)의 말단방향 연장부(160)에 쿠션부재를 결합한 후 그것에 커버(500)를 씌워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목받침대(10)는 운전자의 목을 지지하는데, 나선형상의 와이어(100)의 탄성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목을 기대는 힘에 비례적으로 뒤로 밀려서 운전자에게 완충력을 제공한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는 운전시에도 목받침대(10)에 목을 기댈 수 있으며, 운전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더욱 뒤로 머리를 기대면 운전자의 머리는 헤드레스트(25)에 맞닿게 되고 운전자의 목은 목받침대(10)에 의하여 완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는 운전자가 운전중의 사고시에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머리가 뒤로 밀려 헤드레스트(25)에 부딪혀서 목이 굴절됨으로써 발생하는 목의 부상을 방지하게 해준다. 즉, 본 고안의 목받침대(10)를 사용하게 되면, 운전시 사고로 인하여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밀릴때 목받침대(10)가 목을 지지하면서 뒤로 미는 힘을 완충하여 주기 때문에 운전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심한 충격으로 부딪히게 되지 않는다. Figure 2 shows a state diagram that the neck rest of the subject innovation is mounted on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ure 2, the neck 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of the support rods 25 of the headrest by the coupling means 110 and the spiral wire 100 in front of the headrest 23 After extending to the back and then to the front of it again after the cushion member is coupled to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160 of the spiral wire 100 is installed by covering the cover 500 on it. The neck rest 10 supports the driver's neck, and is pushed backward in proportion to the force of the driver's neck leaning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iral wire 100 to provide a buffer to the driver. Therefore, the driver can lean on the neck rest 10 while driving, and if the driver leans his head back to rest, the head of the driver touches the headrest 25 and the neck of the driver rests on the neck rest. It becomes a state buffered by (10). This state prevents neck injuries caused by neck deflection due to the driver's head being pushed back and hitting the headrest 25 due to an impact generated during an accident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at is, when using the neck 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is sharply pushed backward due to an accident during driving, the head restraints the head of the driver because the neck rest 10 supports the neck and buffers the pushing force. Do not hit the rest severely.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받침대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목받침대(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목받침대(10)는 결합홀(111)을 가지는 결합수단(110)을 포함한다. 결합수단(110)의 결합홀(111)에는 헤드레스트(23)의 지지봉(25) 중의 하나가 관통하여, 지지봉(25)과 결합수단(110)은 서로 결합한다. 결합수단(110)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높이가 10~30mm 정도 되는 파이프 형태이다. 결합홀(111) 내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오링과 같은 고무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고무부재 대신에 결합홀(11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나사구멍을 뚫고 그 나사구멍에 조임나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임나사를 조임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지지봉(25)과 밀착되어 결합이 유지된다. 이러한 결합수단(110)은 통상적으로 철재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금속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강도 및 내구성이 충분하다면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할 수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neck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neck 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Neck res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means 110 having a coupling hole 111. One of the support rods 25 of the headrest 23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111 of the coupling means 110, and the support rod 25 and the coupling means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implest form of the coupling means 110 is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height of about 10 to 30 mm. In the coupling hole 111, a rubber member such as an O-ring may be installed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Instead of the rubber member, a screw hole may be dri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hole 111, and a tightening screw may be installed in the screw hole. In this case, by tightening the tightening screw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25 of the headrest is maintained. The coupling means 110 is typically made of iron, but may be formed of other metal materials, and in some cases,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f strength and durability are sufficient.

본 고안의 목받침대(10)는 결합홀(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수단(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선형상의 와이어 또는 파이프(1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나선형상의 와이어(100)는 나선형상으로 적당한 탄성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져야 하는데, 그 직경이 대략 3~7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mm 정도인 경우에는 적당한 탄성을 가진다. 나선형상은 파이프로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나선형상으로 적당한 탄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나선형상을 이루는 파이프는 나선형상을 이루는 와이어와 균등한 것인데,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용어로서 와이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neck 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iral wire or pipe 100 extending from the coupling means 1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hole 111. Here, the spiral wire 100 should have a diameter enough to exert a moderate elasticity in a spiral shape, and when the diameter is about 3 to 7 mm, more preferably about 5 mm, it has a moderate elasticity. The spiral shape may also be formed by a pipe, in which case it should be possible to exert a moderate elasticity. The spiral-shaped pipe is equivalent to the spiral-shaped wir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using wire as a representative term.

나선형상의 와이어(100)는 결합수단(110)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120), 제1 방향 연장부(120)에서 계속하여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방향 연장부(130), 후방방향 연장부(130)에 이어서 제1 방향의 연장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대방향 연장부(140), 반대방향 연장부(140)에 이어서 결합수단(110)의 위치의 가상 연장선의 위치보다 더 연장되게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방향 연장부(150), 전방방향 연장부(150)에 이어서 다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방향 연장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칭하는 방향은 자동차 앞좌석 시트에 목받침대(10)를 설치하는 것을 가정할 때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것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받침대(10)의 나선형상 와이어(100)에서, 전방방향 연장부(150)의 길이는 후방방향 연장부(130)의 길이보다 길어서 말단방향 연장부(160)는 결합수단(110) 및 제1 방향 연장부(12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나선형상 와이어는 철재 또는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적 미감 및 사용감을 위하여 와이어는 쿠션부재로 덮이는 말단방향 연장부(160)를 제외하고 또는 그것을 포함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iral wire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10, the first direction extending portion 12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ar end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ortion 120 Direction extending portion 130, the rear direction extending portion 130, the opposite direction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extending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ortion 120 in the first direction 140, the opposite direction extending Next to 140, the forward extension 150 which extend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extend fur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ans 110, and the forward extension 150 which is then extended in the first direction again And distal extensions 160. The direction referred to here means the direction when assuming that the neck rest 10 is installed on the front seat of the vehicle, which is shown in FIG. 2. In the spiral wire 100 of the neck 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ront extension portion 15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ear extension portion 130 so that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160 is the coupling means 110. ) And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This spiral wire is preferably made of iron or another metal. In addition, for external aesthetics and usability, the wire is preferably covered with a plastic material except or including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160 covered by the cushioning member.

나선형상 와이어(100)의 말단방향 연장부(160)는 쿠션부재(400)에 둘러싸여 그것과 결합된다. 이 때, 말단방향 연장부(160)와 쿠션부재(4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어댑터(30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결합어댑터(300)는 밑면과 윗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어댑터(300)의 밑면과 윗면에는 와이어 통과홀(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어댑터(300)는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할 수 있고, 철재를 비롯한 금속재질로도 형성할 수 있으나, 가격 및 무게 등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어댑터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 대신에 속이 꽉찬 원기둥형 막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와이어 통과홀(310)은 원기둥의 윗면 및 밑면뿐만 아니라 원기둥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결합어댑터는 윗면과 밑면이 없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양쪽 관통면, 즉 윗면과 밑면을 덮고 그 본체와 결합하는 덮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덮개에는 와이어 통과홀(310)이 형성되어야 한다. The distal extension 160 of the helical wire 100 is surrounded by and coupled to the cushion member 4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coupling adapter 300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160 and the cushion member 400. Coupling adapter 300 may be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Wire through holes 310 are formed on the bottom and top of the coupling adapter 300. The coupling adapter 3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iron,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price and weight. The coupling adapter may consist of a full cylindrical rod instead of a hollow cylinder. In this case, the wire through hole 310 should be formed not only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ylinder, but also on the entire length of the cylinder. In addition, the coupling adapter may be composed of a pipe-shaped main body having no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cover covering both through surfaces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engaging with the main body. At this time, the wire through hole 310 should be formed in the cover.

결합어댑터(3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선형상 와이어(100)의 말단방향 연장부(160)의 말단부분에는 체결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상 와이어(100)의 말단방향 연장부(160)는 결합어댑터(300)의 두 개의 와이어 통과홀(310)을 통과하여 그것의 체결홈(161)이 결합어댑터(300) 바깥으로 노출된 후 체결편(200)이 체결홈(161)에 끼워져서 결합어댑터(300)가 말단방향 연장부(16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 때, 체결홈(161) 대신에 체결홀이 와이어(100)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체결편(200) 대신에 체결핀이 사용될 수 있다. In order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coupling adapter 300, a coupling groove 161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xtension 160 of the spiral wire 100. The distal extension 160 of the helical wire 100 passes through the two wire through holes 310 of the coupling adapter 300 so that its fastening groove 161 is exposed out of the coupling adapter 300. The fastening piece 2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61 so that the coupling adapter 300 is not separated from the distal extension 160. At this time, instead of the fastening groove 161,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ire 100, in this case, a fastening pin may be used instead of the fastening piece 200.

쿠션부재(400)에는 결합어댑터가 통과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장홀(410)이 형성된다. 쿠션부재(400)는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운전자의 목에 닿는 것이기 때문에 피부 접촉의 느낌이 더욱 좋은 소재로 된 커버(500)를 쿠션부재(400)에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500)의 입구의 테두리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고무를 결합시켜서 형성되는 고무테두리(5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ushion member 400 has a long hole 410 through which the coupling adapter can be inserted or inserted. Although the cushion member 400 may be used as it is,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cushion member 400 with a cover 500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etter feel of skin contact because it touches the driver's neck. The edge of the inlet of the cover 500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rim 510 formed by bonding rubber, for ease of use.

한편, 나선형상 와이어(100)는 일반적인 곡선의 나선형상을 하더라도 무방하지만, 더욱 적합한 탄성과 동시에 지지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방향 연장부(120), 반대방향 연장부(140) 및 말단방향 연장부(160)은 대체로 가로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대방향 연장부(140)는 대체로 제1 방향 연장부(120)와 평행하고, 후방방향 연장부(130) 및 전방방향 연장부(150)과 만나는 두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영역(141 및 143) 중 최소한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영역(141 및 143)은 적당한 크기의 지지력과 탄성을 제공한다. 만약 돌출영역(141 및 143)이 없다면 더욱 적은 힘이 말단방향 연장부(160)에 작용하더라도 쉽게 뒤로 밀리게 된다. 후방방향 연장부(130)는 제1 방향 연장부(120)와 반대방향 연장부(14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그 길이가 대체로 짧기 때문에 그 형상은 대체로 라운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전방방향 연장부(150)는 반대방향 연장부(140)와 말단방향 연장부(16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그 길이가 후방방향 연장부(130)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직선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말단방향 연장부(16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게 된다. Meanwhile, the spiral wire 100 may have a general curved spiral shape, but in order to have more suitable elasticity and support force at the same time,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the opposite direction extension part 140, and the terminal direction extension part are provided. Part 160 is preferably made of a straight li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ddition, the opposite extension portion 140 is generally parallel wit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0 and protrudes forward 141 at two portions that meet the rearward extension portion 130 and the forward extension portion 150. And 143). These protruding regions 141 and 143 provide a moderate amount of support and elasticity. If the protruding areas 141 and 143 are absent, less force is easily pushed back even when acting on the distal extension 160. The rearward extension portion 130 is a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0 and the opposite extension portion 140, and since the length thereof is generally short, the shape has a generally round shape. On the other hand, the forward extension 150 is a portion connecting the opposite extension 140 and the distal extension 160 and may have a straight region because its length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rearward extension 130. And,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distal end portion 160 has a round shape.

도 4는 본 고안의 목받침대에 보조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받침대는 결합수단(110)의 한 곳에서 헤드레스트(23)의 지지봉(25)과 결합하기 때문에 회전될 수 있다. 나선형상 와이어(100)의 제1 방향 연장부(120)가 헤드레스트(23)의 나머지 지지봉의 앞쪽에 배치된 후 후방방향 연장부(130) 및 반대방향 연장부(140)에 의하여 헤드레스트(23)의 뒤쪽으로 감긴 후 전방방향 연장부(150) 및 말단방향 연장부(160)에 의하여 헤드레스트(23)의 앞쪽으로 다시 감겨서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후방으로 가하는 힘은 제1 방향 연장부(120)가 헤드레스트의 나머지 지지봉과 밀착함에 의하여 지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결합수단(110)이 하나만 있더라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완전히 고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따르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보조고정구(18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고정구(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통과 파이프(181)와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185)로 된 두 개의 짧은 파이프가 교차하여 결합된다. 이 때, 보조고정구(180)는 와이어 통과 파이프(181)에 제1 방향 연장부(120)가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하고 또한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185)에 결합수단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헤드레스트 지지봉(25)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보조고정구(180)의 와이어 통과 파이프(181)는 제1 방향 연장부(12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기 때문에 제1 방향 연장부(120)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앞좌석 시트의 크기가 다르고 그에 따라 헤드레스트(23)의 두 지지봉(25) 간의 길이도 다른데, 와이어 통과 파이프(181)의 유동성은 다양한 종류의 헤드레스트(23)에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 보조고정구(180)는 통상적으로 철재와 같은 금속재질로 만들 수 있으나, 강도와 내구성이 충분하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 수도 있다.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185)의 길이는 결합수단의 길이와 대체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ixture is installed on the neck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k 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because it engages the support rod 25 of the headrest 23 at one place of the coupling means (110).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of the spiral wire 1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maining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23, and then the headrest part is extended by the rearward extension part 130 and the opposite extension part 140. Since it is wound after the rearward of 23) and then rewinded to the front of the headrest 23 by the forward extension 150 and the distal extension 160, the force applied to the rear in use is extend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unit 120 is support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emaining support rods of the headrest. Therefore, even if there is only one coupling means 110 can be used sufficiently. However,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not completely fixed, the auxiliary fixture 180 can be further installed. 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fixture 180 is alternately coupled with two short pipes consisting of a wire passing pipe 181 and a headrest support rod passing pipe 185. At this time, the auxiliary fixture 180 is coupled in the form of the first direction extending portion 120 penetrates the wire passing pipe 181, and the other headrest not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to the headrest support rod passing pipe 185. The support bar 25 is to be fixed through. Since the wire passing pipe 181 of the auxiliary fixture 180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the wire passing pipe 181 may freely move on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The size of the front sea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and accordingly, the length between the two support rods 25 of the headrest 23 is also different. The fluidity of the wire passing pipe 181 may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headrests 23. To make it possible. The auxiliary fixture 180 may be gener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but may be made of plastic if strength and durability are sufficient. The length of the headrest support rod through pipe 185 will preferably b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length of the coupling means.

10: 본 고안의 목받침대 20: 자동차 시트
21: 등받이 23: 헤드레스트
25: 헤드레스트 지지봉 100: 나사 형상 와이어
110: 결합수단 111: 결합홀
120: 제1 방향 연장부 130: 후방방향 연장부
140: 반대방향 연장부 141, 143: 돌출영역
150: 전방방향 연장부 160: 말단방향 연장부
161: 체결홈 180: 보조고정구
181: 와이어 통과 파이프 183: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
200: 체결편 300: 결합어댑터
310: 와이어 통과홀 400: 쿠션부재
410: 결합어댑터 통과장홀 500: 커버
510: 고무테두리
10: ne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car seat
21: Back 23: Headrest
25: headrest support rod 100: threaded wire
110: coupling means 111: coupling hole
120: first direction extension 130: rearward extension
140: opposite directions 141, 143: protruding region
150: forward extension 160: distal extension
161: fastening groove 180: auxiliary fixture
181: wire through pipe 183: headrest support rod through pipe
200: fastening piece 300: coupling adapter
310: wire through hole 400: cushion member
410: coupling adapter passage hole 500: cover
510: rubber border

Claims (7)

의자 또는 시트(seat)(20)의 등받이(21) 상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봉(25)에 의하여 상기 등받이(21)와 결합하는 헤드레스트(23)의 하나의 상기 지지봉(25)이 관통하는 결합홀(111)를 가지는 결합수단(110),
상기 결합수단(110)에 결합되어 가로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향 연장부(120), 상기 제1 방향 연장부(120)에서 계속하여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방향 연장부(130), 상기 후방방향 연장부(130)에 이어서 상기 제1 방향의 연장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대방향 연장부(140), 상기 반대방향 연장부(140)에 이어서 상기 결합수단(110)의 위치의 가상 연장선의 위치보다 더 연장되게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방향 연장부(150), 상기 전방방향 연장부(150)에 이어서 다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말단방향 연장부(160)를 포함하는 나선 형상의 와이어 또는 파이프(100), 및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160)를 둘러싸서 그것과 결합되는 쿠션부재(400)를 포함하는 목받침대.
One support rod 25 of the headrest 23 coupled with the backrest 21 by one or more support rods 25 penetrates the backrest 21 of the chair or seat 20. Coupling means 110 having a coupling hole 111,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10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extension part 130 extending in the rear direction continuously from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 The reverse direction extension part 140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120 in the first direction following the rearward extension part 130, and the opposite direction extension part 140. Next, the forward extension part 150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to extend more tha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ans 110, and extends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following the forward extension part 150. Spiral wire or pipe 100 including a distal extension 160, and
A neck rest comprising a cushion member (400) surrounding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160) and engaged there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대방향 연장부(140)는 상기 제1 방향 연장부(120)와 평행하고, 상기 후방방향 연장부(130) 및 상기 전방방향 연장부(150)과 만나는 두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영역(141 또는 143)을 최소한 하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opposite extension portion 140 is parallel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0 and protrudes forward from two portions that meet the rearward extension portion 130 and the forward extension portion 150. Neck 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t least one (141 or 14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160)의 말단부분에는 체결홈(161) 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받침대는 원통 형상의 밑면과 윗면에 상기 와이어 또는 파이프(100)의 말단방향 연장부(160)가 각각 관통하는 와이어 통과홀(310)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결합어댑터(300) 그리고 체결편(200) 또는 체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160)는 결합어댑터(300)의 두 개의 와이어 통과홀(310)을 통과하여 그것의 체결홈(161) 또는 체결홀이 결합어댑터(300) 바깥으로 노출되고, 상기 체결편(200) 또는 체결핀은 상기 체결홈(161) 또는 체결홀에 끼워져서 상기 결합어댑터(300)가 상기 말단방향 연장부(1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xtension 160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161 or a fastening hole, and the neck rest has a distal extension 160 of the wire or pipe 100 on the bottom and top of the cylindrical shape. ) Further includes a cylindrical coupling adapter 300 and a fastening piece 200 or a fastening pin each having a wire through hole 310 through which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160 passes through two wire through holes 310 of the coupling adapter 300 so that its fastening groove 161 or fastening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adapter 300, and the fastening piece (200) or fasten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61) or fastening hole so that the coupling adapter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escape from the distal extension portion (16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받침대는 상기 쿠션부재(400)를 둘러싸는 커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neck rest further comprises a cover 500 surrounding the cushion member 400.
제1항에서 제4항까지의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받침대는 와이어 통과 파이프(181)와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185)로 된 두 개의 짧은 파이프가 교차하여 결합된 보조고정구(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고정구(180)는 상기 와이어 통과 파이프(181)에 상기 제1 방향 연장부(120)가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하고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 지지봉 통과 파이프(185)에 상기 결합수단(110)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헤드레스트 지지봉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neck res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fastener 180 coupled by crossing two short pipes formed of a wire passing pipe 181 and a headrest support rod passing pipe 185, and the auxiliary fixing device 180 passes through the wire. The first direction extension part 120 is coupled to the pipe 181 in a penetrating manner, and the other headrest support rod that is not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10 is fixed to the headrest support rod through pipe 185. Neck res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0)는 그 직경이 3~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100 is a neck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3 ~ 7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받침대는 자동차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 시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neck res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 rest is used to be mounted on the driver's seat or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KR2020100007052U 2010-07-02 2010-07-02 Neckrest KR2004638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052U KR200463801Y1 (en) 2010-07-02 2010-07-02 Neck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052U KR200463801Y1 (en) 2010-07-02 2010-07-02 Neckr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86U KR20120000286U (en) 2012-01-10
KR200463801Y1 true KR200463801Y1 (en) 2012-11-26

Family

ID=4756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052U KR200463801Y1 (en) 2010-07-02 2010-07-02 Neck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0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61B1 (en) 2016-02-05 2016-09-23 주식회사 체어로 A headrest for 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594Y1 (en) * 2015-12-30 2016-06-13 문보영 Correction complex chair
KR102305308B1 (en) * 2019-06-12 2021-09-27 서정옥 Neck supporting pillow of headrest for chai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78Y1 (en) 2002-08-14 2002-11-18 박경진 Neckrest for car se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78Y1 (en) 2002-08-14 2002-11-18 박경진 Neckrest for car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61B1 (en) 2016-02-05 2016-09-23 주식회사 체어로 A headrest for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86U (en)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400B1 (en) Vehicle seat with a lumbar support
JP4776895B2 (en) Sheet structure
US8651570B2 (en) Protective headrest
KR200463801Y1 (en) Neckrest
RU72663U1 (en) VEHICLE SEAT HEADREST (OPTIONS)
CN204586562U (en) A kind of safety comfortable type automotive seat
KR20190089354A (en) The Headrest for Neck Rest
KR100811005B1 (en) Sliding type head rest for an automobile
KR101096739B1 (en) Table for automobile
KR101878633B1 (en) Neck Supportfor Car having a Location and Angle Adjustable
JP6053657B2 (en) Neck support device for vehicle seat
CN204547857U (en) A kind of safety comfortable type automotive seat based on polyurethane buffering material
KR200326836Y1 (en) Neck-headrest attached to a vehicle seat.
JP2010018214A (en) Head rest used for automobile seat
KR102170934B1 (en) head rest for vehicle
KR101051608B1 (en) Auxiliary headrest of the car seat
KR20100051939A (en) A head rest for car seat
KR20060097783A (en) Neck rest for a chair
KR100454124B1 (en) Headrest for vehicle
KR0134235Y1 (en) Headrest of a car
KR200361166Y1 (en) Cervical vertebral kneader
KR200324056Y1 (en) Car headrest
KR200295577Y1 (en) Headrests for cars with neckrest
KR100570068B1 (en) A side headrest for rear seats of vehicles
KR940006741Y1 (en) Headrest for ca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