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798Y1 -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798Y1
KR200463798Y1 KR2020100012473U KR20100012473U KR200463798Y1 KR 200463798 Y1 KR200463798 Y1 KR 200463798Y1 KR 2020100012473 U KR2020100012473 U KR 2020100012473U KR 20100012473 U KR20100012473 U KR 20100012473U KR 200463798 Y1 KR200463798 Y1 KR 200463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ylus pen
moving
circumferential surface
electro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254U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2020100012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79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양단 관통인 몸체와, 전술한 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게 탄성을 지닌 정전팁 어셈블리와, 전술한 몸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전술한 정전팁 어셈블리를 전술한 몸체로부터 출입시키는 출입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본 고안은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팁 단부의 수명 연한을 늘리고, 충격 등에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스타일러스 펜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 방식을 채택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각종 명령을 입력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필기구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지니며 단부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팁이 형성된 구조이다.
스타일러스 펜의 팁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압력감지식)인가 정전식(정전용량식)인가에 따라서 그 형상과 재질 및 경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스타일러스 펜은 내구성을 위하여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안정층을 포함하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접촉을 감지하므로 비교적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의 팁을 사용한다.
그리고,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이 전도체 물질이 접촉하는 경우 반응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에 사용하기 위하여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부드러운 탄성 재질의 팁을 사용한다.
이때, 정전식 팁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물리, 화학적인 충격에 약하므로, 수명 연한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절실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팁 단부의 수명 연한을 늘리고, 충격 등에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양단 관통인 몸체와, 전술한 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게 탄성을 지닌 정전팁 어셈블리와, 전술한 몸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전술한 정전팁 어셈블리를 전술한 몸체로부터 출입시키는 출입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출입 어셈블리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몸체로부터 정전팁 어셈블리가 출입되는 구조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정전팁 어셈블리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게 수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분실 방지를 위하여 연결끈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의 표면을 탄성 재질로 피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휴대하고 다닐 때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몸체로 인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정전탭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찢어짐 방지부재와 에어홀과 에어수용홈에 의해서 정전팁이 눌리거나 걸렸을 경우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외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외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7 은 도 4에 도시된 정전팁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양단 관통인 몸체(100)에 장착되는 출입 어셈블리(300)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출입하는 정전팁 어셈블리(2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몸체(100)는 양단 관통인 관 형상인 것으로, 후술할 정전팁 어셈블리(200)의 출입을 위하여 출입 어셈블리(3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전팁 어셈블리(200)는 몸체(100)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미도시)에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게 탄성을 지닌 것으로, 후술할 출입 어셈블리(300)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몸체(100)로부터 출입하는 것이다.
출입 어셈블리(300)는 도 1과 같이 몸체(100)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정전팁 어셈블리(200)를 몸체(100)로부터 출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고안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도 1과 같은 외관을 지니며, 몸체(100)의 타단부에 결합된 캡(500)에 연결되는 연결끈(900)이 마련된 구조이다.
연결끈(900)은 휴대용 단말기(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할 때에는 도 2와 같이 캡(5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탈착구(800)를 캡(500)으로부터 분리하고 출입 어셈블리(300)를 정, 역회전시켜 정전팁 어셈블리(200)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몸체(100)를 파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살펴보고자 한다.
정전팁 어셈블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가 휴대용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동몸체(210)와 이동돌기(220) 및 정전팁(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동몸체(210)는 출입 어셈블리(300)에 연동하여 몸체(100)로부터 왕복하며 출입하며, 이동돌기(220)는 이동몸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후술할 출입 어셈블리(300)의 출입 제한구(330)와 결합된다.
정전팁(230)은 이동몸체(210)의 단부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게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것이다.
한편, 출입 어셈블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00)에 결합되고 정전팁 어셈블리(200)를 출입시키는 것으로 크게 커버 회동구(310)와 회전구(320) 및 출입 제한구(3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커버 회동구(310)는 몸체(1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며 정전팁 어셈블리(200), 더욱 상세히는 이동몸체(210)가 내장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 회동봉(312)과 펜 커버(314) 및 제1 연결구(316)를 포함한다.
회전구(320)는 커버 회동구(31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고 커버 회동구(310)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동몸체(2100의 일측과 결합되어 커버 회동구(310)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정전팁(230)을 커버 회동구(310)의 단부로부터 출입시키는 것으로, 회전관(322)과 회전봉(324) 및 안착보울(326)을 포함한다.
출입 제한구(330)는 커버 회동구(31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이동몸체(2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이동돌기(2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제한몸체(332)와 걸림링(334) 및 제한슬릿(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 회동구(310)의 회동봉(312)은 몸체(100)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전하는 파이프 형상의 것이며, 펜 커버(314)는 회동봉(312)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이동몸체(210)가 내장되는 공간이 마련된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이때, 제1 연결구(316)는 펜 커버(314)와 회동봉(312) 사이에 장착되고, 더욱 상세히는 단부 가장자리의 걸림턱(315)이 펜 커버(314) 내주면의 가이드 홈(313)을 따라 형성된 걸림단턱(313')에 고정되며, 회전구(320)가 안착되어 회전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동몸체(210)는 회전구(320)에 안착되는 것이다.
회전구(320)의 회전관(322)은 외주면이 제1 연결구(31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산(321)이 형성되며, 회전봉(324)은 외주면을 따라 암나사산(321)과 대응하는 수나사산(323)이 형성되는 것으로, 암, 수 나사산(312, 323) 상호간의 결합에 따른 정, 역회전에 따라 이동몸체(210)가 펜 커버(314) 내에서 왕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안착보울(326)은 회전봉(324)의 단부에 이동몸체(21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홈(325)이 마련된 것으로, 이동몸체(210)가 안착보울(326)에 안착되는 부분은 고정되지 않고 회전 가능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출입 제한구(330)의 제한몸체(332)는 제1 연결구(316)와 결합되는 펜 커버(314)의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이며, 걸림링(334)은 제한몸체(332)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펜 커버(314)의 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제한몸체(332)는 이동몸체(210)가 이동하는 안내 통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한슬릿(336)은 제한몸체(332)의 타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돌기(220)에 대응되게 절개되는 것으로, 이동돌기(220)는 제한슬릿(336)이 형성된 길이(ℓ)만큼 왕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구의 암, 수 나사산(312, 323)이 정, 역회전하면서 안착보울(326)이 왕복하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이동몸체(210) 또한 제한몸체(332)의 내부를 따라 왕복하면서 정전팁(230)은 펜 커버(314)로부터 출입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타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구(800)를 내장하며 몸체(100)를 마감하는 캡(500)이 마련되고, 몸체(100)와 캡(500)은 제2 연결구(600)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캡(500)의 내주면에는 탈착구(800)의 탈착 수납을 위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턱(510)이 형성된다.
안착턱(510)에는 체결구(700)가 장착되며, 체결구(700)는 안착턱(510)에 고정되는 머리(710)와, 머리(710)의 단부로부터 캡(500)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내주면을 따라 링돌기(722)가 돌출된 관(72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탈착구(800)는 체결구(700)의 링돌기(722)에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링돌기(722)에 대응하는 링홈(812)이 마련되는 분리머리(810)와, 분리머리(810)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끈(900)이 고정되는 본체(820)를 포함한다.
따라서, 탈착구(800)는 분리머리(810) 및 본체(820)가 캡(500)에 분리 가능하게 내장되어 캡(500)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5와 같이 회동봉(312)의 타단부에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몸체(100)의 내주면에 걸림 고정되는 이탈방지몸체를 마련하여 회동봉(312)이 몸체(100)로부터 신축 가능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100)의 길이를 전체적으로 신축하여 캡(500)으로부터 탈착구(800)를 분리시키고 회동봉(312)이 신장된 상태로 파지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몸체(100)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요홈(112)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피복층(110)을 더 마련하여 휴대용 단말기(400, 도 2 참고)와 연결하여 휴대하고 다닐 때 몸체(100)가 휴대용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딪히더라도 파손 또는 흠집이 날 정도의 충격을 주지 않음은 물론, 사용자가 파지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된 파지감을 부여할 수도 있다.
도 7 은 도 4에 도시된 정전팁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팁 어셈블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팁(230)이 눌리거나 걸려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찢어짐 방지부재(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찢어짐 방지부재(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210)와 정전팁(23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이거나 채워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정전팁(230)의 내측 외주면에 접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전팁(230)에는 눌려졌을 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홀(230a)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홀(230a)은 일반 상태에서는 공기가 방출되지 않고 눌려졌을 경우에 공기가 방출되도록 미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몸체(2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팁(230)의 에어홀(230a)을 통해서 유입된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에어수용홈(210a)이 형성되며, 찢어짐 방지부재에(240)는 에어수용홈(210a)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230a)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수용홈(210a)에는 공기가 수용되므로 공기의 수용 체적이 증가 되어 탄성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 되어 정전팁(230)이 쉽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몸체(210)의 하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210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10a)에는 정전팁(230)의 고정돌기(230b)가 바람직하게는 끼워 맞춤 결합 된다. 상기 고정돌기(230b)에 의해서 정전팁(230)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돌기(230b)와 고정홈(210a)의 형상과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된 다른 끼워 맞춤 결합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팁 단부의 수명 연한을 늘리고, 충격 등에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몸체 110...완충 피복층
112...요홈 200...정전팁 어셈블리
210...이동몸체 210a...에어수용홈
220...이동돌기 230...정전팁
230a...에어홀 240...찢어짐 방지부재
300...출입 어셈블리 310...커버 회동구
312...회동봉 314...펜 커버
316...제1 연결구 320...회전구
321...암나사산 322...회전관
323...수나사산 324...회전봉
325...홈 326...안착보울
330...출입 제한구 332...제한몸체
334...걸림링 336...제한슬릿
400...휴대용 단말기 500...캡
600...제2 연결구 700...체결구
800...탈착구 900...연결끈

Claims (13)

  1. 양단 관통인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는 면적이 가변되게 탄성을 지닌 정전팁 어셈블리; 및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상기 정전팁을 상기 몸체로부터 출입시키는 출입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정전팁 어셈블리는,
    상기 출입 어셈블리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왕복하며 출입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돌기와,
    상기 이동몸체의 단부에 장착되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정전팁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 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정, 역회전하며, 상기 정전팁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커버 회동구와,
    상기 커버 회동구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 회동구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커버 회동구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정전팁을 상기 커버 회동구의 단부로부터 출입시키는 회전구와,
    상기 커버 회동구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출입 제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회동구는,
    상기 몸체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동봉과,
    상기 회동봉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몸체가 내장되는 공간이 마련된 양단 관통의 펜 커버와,
    상기 펜 커버와 상기 회동봉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구가 안착되어 회전하는 제1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회전구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펜 커버의 내주면에 장착된 상기 출입 제한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는,
    외주면이 상기 제1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 회전관과,
    외주면을 따라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상기 이동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홈이 마련된 안착보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제한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결합되는 상기 펜 커버의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양단 관통의 제한몸체와,
    상기 제한몸체의 일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펜 커버의 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걸림링과,
    상기 제한몸체의 타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상기 이동돌기에 대응되게 절개되는 제한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제한슬릿이 형성된 길이만큼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봉의 타단부에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걸림 고정되는 이탈방지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봉은 상기 몸체로부터 신축 가능하게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몸체를 마감하는 캡과,
    상기 몸체와 상기 캡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구와,
    상기 캡의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턱에 고정되는 머리와, 상기 머리의 단부로부터 상기 캡의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내주면을 따라 링돌기가 돌출된 관을 포함하는 체결구와,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링돌기에 대응하는 링홈이 마련되는 분리머리와, 상기 분리머리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끈이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탈착구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구는 상기 분리머리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캡에 분리 가능하게 내장되어 상기 캡과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요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피복층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팁의 일측에는 찢어짐 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에는 에어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찢어짐 방지부재에는 상기 에어수용홈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팁의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몸체에는 상기 정전팁의 고정돌기에 상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KR2020100012473U 2010-09-17 2010-12-02 스타일러스 펜 KR200463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73U KR200463798Y1 (ko) 2010-09-17 2010-12-02 스타일러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18 2010-09-17
KR2020100012473U KR200463798Y1 (ko) 2010-09-17 2010-12-02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54U KR20120002254U (ko) 2012-03-27
KR200463798Y1 true KR200463798Y1 (ko) 2012-11-26

Family

ID=4617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473U KR200463798Y1 (ko) 2010-09-17 2010-12-02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79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795A (ja) 1996-12-03 1998-06-19 Mitsubishi Pencil Co Ltd 静電容量型座標入力パッド用入力ペン
KR200409179Y1 (ko) 2005-11-22 2006-02-20 함미덕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795A (ja) 1996-12-03 1998-06-19 Mitsubishi Pencil Co Ltd 静電容量型座標入力パッド用入力ペン
KR200409179Y1 (ko) 2005-11-22 2006-02-20 함미덕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54U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0334B1 (en) Adapter for writing instruments
US9587753B2 (en) Air valve connecting device having automatic gripping structure
WO2015180404A1 (zh) 便于握持的异轴笔
US20120207533A1 (en) Marker pen with a bending assembly
CA2571613C (en) Cover structure for enclosing a removable fluid-dispensing reservoir between the cover and an exterior surface of a toothbrush
US8197152B2 (en) Liquid dispenser
KR200463798Y1 (ko) 스타일러스 펜
US7172355B2 (en) Cartridge type feeding container
US20070154253A1 (en) Writing instrument
JP5006110B2 (ja) 筆記具の軸構造
US20040076461A1 (en) Offset pen structure
US8905666B2 (en) Liquid applicator
US20110174116A1 (en) Hammer assembly having means for holding nail
US20100247225A1 (en) Cosmetic applying device
KR102631703B1 (ko) 펜 타입 컴퍼스
US9522562B2 (en) Pen holder
US7917987B2 (en) Air-injection type tool for scrubbing off the dirt on a body
JP4397815B2 (ja) 髪止め具
US20100064467A1 (en) Retractable golf club groove cleaning tool
WO2019007413A1 (zh) 自动出芯的异轴笔
US20180188833A1 (en) Protective sleeve for touchscreen stylus
KR200288240Y1 (ko) 필기구
WO2009063888A1 (ja) 筆記具
KR101393046B1 (ko) 줄넘기 운동구
CN108652520A (zh) 吸尘器的尘杯锁合结构以及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