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41Y1 - 지붕 베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지붕 베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41Y1
KR200463541Y1 KR2020100006567U KR20100006567U KR200463541Y1 KR 200463541 Y1 KR200463541 Y1 KR 200463541Y1 KR 2020100006567 U KR2020100006567 U KR 2020100006567U KR 20100006567 U KR20100006567 U KR 20100006567U KR 200463541 Y1 KR200463541 Y1 KR 200463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base angle
roof
extension por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959U (ko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Priority to KR2020100006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4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1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by the roof structure with interposition of a insulating layer
    • E04D3/3602The fastening means comprising elongated profiles installed in or on the insulation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붕 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일자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180°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클립;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I'형상의 베이스 앵글;을 포함하며,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붕 베이스 구조{Roof base structure}
본 고안은 시공이 간편한 지붕 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지붕은 아치(arch)지붕 또는 평지붕 형태를 가지며, 지붕에 곡률이 있을 경우 아치의 아랫부분이 볼록해지고, 지붕이 평으로 올라설 경우 아랫부분이 평평해진다.
종래 아치지붕 구조체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0498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을 이루는 아치판넬(100)과, 일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매립홈을 구비하고 아치판넬의 하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부착되어 열전도율을 저감시키는 단열부재(110,120)와, 단열부재(110,120)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에 따라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부(138)와, 단열부재(110,120)와 기초 골격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받침부재(70)와, 받침부재(70)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받침부재(70)와 단열부재(110,120) 사이에 다수개 장착되어 받침부재(70) 및 단열부재(110,120)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는 베이스부(16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60)는,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Z'자 형태를 갖는 제 1베이스 앵글(164)이 받침부재(70)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고정 부착되고, 'L'자 형태를 갖는 제 2베이스 앵글(166)이 받침부재(70) 상에서 제 1베이스 앵글(164)에 대향 부착되어 제 1베이스 앵글(164)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아치지붕 구조체는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며, 시공비가 상승하여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더욱 더 간편하며, 작업 효율을 놓일 수 있는 지붕 베이스 구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오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붕 베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일자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180°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클립;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I'형상의 베이스 앵글;을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베이스 앵글의 상단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지붕 베이스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인서트 클립 및 하나의 베이스 앵글만으로 판넬과 흡음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제작 비용면에서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어, 많은 이익과 함께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앵글의 상단부는 인서트 클립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더욱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치지붕 베이스 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아치지붕 구조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30)는 평판넬(50), 흡음부재(또는 단열부재,60), 받침부재(70)를 포함한 평지붕 구조에 적용된다.
평지붕 형태를 갖는 건축물의 경우 평판넬(50)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흡음부재(60)는 상면이 편평한 형태를 가진다.
'C'형강의 받침부재(70)는 베이스부(30)에 의하여 흡음부재(6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받침부재(70)의 하면은 'I'형강의 기초 골격부재(80)와 접한다.
베이스부(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클립(10)과 베이스 앵글(20)을 포함한다.
인서트 클립(10)은 몸통부(11)와 제1연장부(13)와 제2연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통부(11)는 일자형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7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평판넬(5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몸통부(11)의 상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제1연장부(13)가 연장되어 있으며, 제1연장부(13)는 평판넬(50)의 측면 상단부에 압착기계 등으로 가압되며 고정된다. 이때, 제1연장부(13)의 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a)가 형성되어 있어, 평판넬(50)의 상단부에 가압되며 고정되기 쉽다.
몸통부(11)의 하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수직하게 제2연장부(15)가 연장되어 있으며, 제1연장부(13)와 동일 평면상에서 180°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I'형상의 베이스 앵글(20)은 제2연장부(15)의 하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앵글(20)의 상단부(21)가 볼트 등의 결합수단(90)으로 제2연장부(15)에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 앵글(20)의 하단부는 셀프 드릴링 스크류 볼트 등으로 받침부재(70)에 결합된다. 베이스 앵글(20)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음부재(60)가 배치되어 흡음부재(60)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 클립(10) 및 베이스 앵글(20)만으로도 평판넬(50)과 흡음부재(6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렇게, 인서트 클립(10) 및 베이스 앵글(20)만으로 판넬(200)과 흡음부재(60)를 지지함으로써, 제작 비용면에서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어, 많은 이익과 함께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앵글(20)의 상단부(21)는 인서트 클립(10)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더욱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인서트 클립 11 : 몸통부
13 : 제1연장부 13a : 절곡부
15 : 제2연장부 20 : 베이스 앵글
30 : 베이스부 50 : 평판넬
60 : 흡음부재 70 : 받침부재
90 : 결합수단

Claims (3)

  1. 일자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180°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클립;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I'형상의 베이스 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클립 및 상기 베이스 앵글로 평판넬과 흡음부재 또는 단열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통부는 상기 평판넬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평판넬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앵글 내측에는 흡음부재 또는 단열부재가 배치되어 흡음부재 또는 단열부재를 지지하는 지붕 베이스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부가 하향 절곡된 절곡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베이스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베이스 앵글의 상단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베이스 구조.
KR2020100006567U 2010-06-22 2010-06-22 지붕 베이스 구조 KR200463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67U KR200463541Y1 (ko) 2010-06-22 2010-06-22 지붕 베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67U KR200463541Y1 (ko) 2010-06-22 2010-06-22 지붕 베이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59U KR20110011959U (ko) 2011-12-28
KR200463541Y1 true KR200463541Y1 (ko) 2012-11-09

Family

ID=4556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567U KR200463541Y1 (ko) 2010-06-22 2010-06-22 지붕 베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89B1 (ko) * 2021-08-02 2022-04-04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태양광 패널 지붕 설치용 중도리 일체형 지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 지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439B1 (ko) 2000-09-27 2002-03-20 김병철 기능성 내부마감재가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구비된아치지붕 및 그 시공방법
KR100531252B1 (ko) 2005-08-23 2005-11-28 한국에이.비이.엠.건설 주식회사 보강 구조체가 구비되는 아치지붕 구조
KR100940498B1 (ko) 2009-06-16 2010-02-10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아치지붕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439B1 (ko) 2000-09-27 2002-03-20 김병철 기능성 내부마감재가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구비된아치지붕 및 그 시공방법
KR100531252B1 (ko) 2005-08-23 2005-11-28 한국에이.비이.엠.건설 주식회사 보강 구조체가 구비되는 아치지붕 구조
KR100940498B1 (ko) 2009-06-16 2010-02-10 한국아치스판 주식회사 아치지붕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59U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0413B (zh) 铝合金墙板、屋面板与转角连接料的扣连结构
CA3018483C (en) Photovoltaic module installation roof renewal method using portable roll foaming machine, and roof renewal structure obtained thereby
CN106759954B (zh) 铝合金墙板、地板与转角连接料的扣连结构
KR200463541Y1 (ko) 지붕 베이스 구조
JP6688012B2 (ja) 屋根構造
KR200390559Y1 (ko) 펄린, 펄린용 클립 및 지붕구조
JP6146857B2 (ja) 太陽電池パネル設置架台
KR100901749B1 (ko) 지붕패널 구조물
JP2009293344A (ja) 住宅の断熱構造
JP6196474B2 (ja) 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CN202627338U (zh) 带有锁合装置的屋面拼接系统
JP2016158379A (ja) パネル材支持構造
JP3159980U (ja) 金属製支持ビーム
KR100940498B1 (ko) 아치지붕 구조체
KR101493011B1 (ko) 태양광모듈 고정프레임
JP6045021B2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具を用いた屋根上設置物の取付方法
CN205444710U (zh) 一种屋面板滑动支架
JP6193049B2 (ja) 太陽光パネル支持構造及び支持部材
KR20120020193A (ko)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JP5934944B2 (ja) 屋根構造
JP2013177736A (ja) スレート屋根用固定金具
KR20150030919A (ko) 조립식 건축용 흡음단열재 지지판넬
JP6025100B2 (ja) 屋根構造
JP6044890B2 (ja) 屋根構造
KR200461805Y1 (ko) 슬라브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