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193A -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 Google Patents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193A
KR20120020193A KR1020120014089A KR20120014089A KR20120020193A KR 20120020193 A KR20120020193 A KR 20120020193A KR 1020120014089 A KR1020120014089 A KR 1020120014089A KR 20120014089 A KR20120014089 A KR 20120014089A KR 20120020193 A KR20120020193 A KR 2012002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step bar
base
vertic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이재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지티에스
Priority to KR102012001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193A/ko
Publication of KR2012002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1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by the roof structure with interposition of a insulating layer
    • E04D3/3602The fastening means comprising elongated profiles installed in or on the insulation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 상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텝바에 관한 것으로 지붕 상판이 고정된 스텝바의 내부에는 단열재 또는 방음재를 채우고 상기 스텝바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스텝바의 수직지지부 상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부베이스를 형성시키고, 수직지지부의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하부베이스를 형성시키며, 상기 상부베이스 및 하부베이스의 끝단에는 각각 끝단경사부를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스텝바의 수직지지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리브를 형성시켜 수직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한다. 또한 수직지지부와 상부베이스 및 하부베이스가 만나는 절곡부에 절곡지지부를 형성시켜 수직지지부와 상부 및 하부 베이스가 견고하게 직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스텝바로 건축물 지붕의 상판을 고정시키고 단열재를 스텝바 사이에 채워넣는 시공방법은 단열 및 방음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를 이용함으로써 지붕 상판을 설치하는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그에 따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붕상판의 시공에 들어가는 구성품의 종류가 종래 공법에서 보다 그 수가 적어 공사에 들어가는 자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The step bar being remarkable in insulating effect}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상판을 하부의 강판으로 구성된 데크로부터 이격시키고, 지붕상판과 강판 사이의 단열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텝바(Step Bar)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소재의 지붕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지고 독특한 디자인의 지붕을 갖는 건축물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건축 관련법의 변화 및 에너지 절감형 건축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지붕의 형태와 이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건물의 지붕소재와 디자인이 다양해지고 건축법의 변화에 적합하게 건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종래 지붕 구성양식과는 다른 다양한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건축법의 변경에 따라 지붕의 상판을 적절하게 고정시키고 수직 및 수평 지지력과 단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상판을 하부의 데크로부터 이격시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지붕상판 고정장치인 스텝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텝바를 이용하여 지붕상판을 고정하는 경우 시공이 용이하고 지지력 및 단열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방수, 방습, 단열 및 방음 효과에 있어서도 종래의 지붕상판 고정장치보다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지붕을 시공할 때 지붕 상판을 데크 위에 설치할 때 지붕상판을 적절한 높이로 이격 시킬 수 있는 스텝바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건축물의 지붕은 골조의 벽체 위에 H형강 또는 C형강 등의 강재 위에 강판이 형성되고 강판 위에 방수재, 방습재, 흡음재 및 단열재 등이 시공되며, 이들 재료 위에 이격 설치되는 상판이 마감재로 시공하여 지붕의 구조가 형성된다. 종래의 지붕 구조를 보면 일정한 간격으로 건축물의 벽체인 골조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의 상면에 수평상태로 교차되도록 하는 C형강 또는 H형강 등의 강철 프레임이 체결된다.
종래 지붕을 시공할 때 보통은 C형강, H형강 또는 I빔으로 지붕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데크 형태의 강판이 설치되고, Z바를 상기 강판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Z바 위에 클립을 고정시키고 상기 클립에 지붕상판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지붕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지붕의 상판을 데크 형태의 강판 또는 하부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키는 이와 같은 종래의 Z바는 그 높이가 150mm인 것이 주로 사용되지만, 최근 개정된 건축법에서는 데크로부터 지붕상판까지의 높이를 190mm로 설치하도록 변경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Z바로는 개정된 건축법을 지킬 수 없게 되었으며, 이를 맞추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Z바 대신 수직지지력 및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폭이 넓고 높이가 190mm인 상기 스텝바를 개발하게 되었다.
종래 또 다른 지붕 시공방법으로는 C형강 또는 H형강 위에 125mm ~ 150mm 높이의 데크 위에 40mm ~ 65mm 높이의 Z바를 설치한 다음 상기 Z바 위에 클립을 고정시키고, 상기 클립에 지붕상판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데크와 Z바를 중복 시공함에 따라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공기가 길어지고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상기 C형강 등의 프레임 위에는 데크 형태의 강판이 체결되어 덮어지며, 상기 강판 위에 흡음재 및 단열재 등이 채워지고 흡음재와 단열재 상면에 돌출된 클립에 의해지붕 상판이 고정설치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건축물의 지붕에 채워지는 단열재는 C형강에 결합된 강판으로 된 데크와 지붕 마감재인 상판을 이격시켜 주는 Z바 높이 간격에 채워지게 된다. 종래의 데크를 이용한 시공에서는 데크에 방음재, 단열재가 함입되어 시공되었으나, 그 높이가 낮아 추가로 일정 높이의 Z바를 지붕 상판 하부에 끼워 시공이 복잡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008호 (2003.12.3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01114호 (2010.12.1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붕상판을 강판으로 된 데크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하고 단열재를 고정하여 지붕 상판의 시공을 간단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데크로부터 지붕상판이 일정 높이(190mm) 이상으로 높일 수 있어야 하며, 이렇게 지붕상판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스텝바를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 스텝바는 하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로 구성된 간단한 단열효과가 뛰어난 지붕상판 고정장치, 즉 스텝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텝바는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를 연결해 주는 수직지지부로 구성되며, 스텝바가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수직지지부와 상부베이스 또는 하부베이스와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시킨다. 이 때 절곡부에 일정한 각도로 홈부를 내어 상부베이스 또는 하부베이스가 절곡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스텝바는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나 건축물 지붕 내부의 하부 강판과 상부 상판 사이에 끼워져 지붕 상판을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고, 효율적인 단열을 위해 상기 스텝바 사이에 단열재재 또는 방음재 및 흡음재를 채워서 단열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건축물 지붕 상판 고정장치인 스텝바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 및 하부에 90도 각도로 각각 연결되는 상부베이스 및 하부베이스,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하부 절곡부에 홈을 내어 수직지지부의 지지강도를 높여주는 절곡지지부와 리브 및 끝단 경사부로 구성된 스텝바를 구성한다.
상기 스텝바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나며, 상부베이스 및 하부베이스는 수직지지부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90° 각도로 절곡되어 있고, 상부베이스 및 하부베이스의 끝단에는 끝단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부에는 세로로 리브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수직지지부의 지지력을 증강시켜 준다.
또한 상부베이스와 수직지지부의 절곡 내면 및 하부베이스와 수직지지부의 절곡 내면에 절곡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절곡면의 지지력을 증강시켜 준다.
상기 스텝바는 C형강에 결착된 하부 강판에 하부베이스가 결합되며, 용접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부베이스는 단열재를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상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속에 채워 넣는 방수재, 방습재, 흡음재 또는 단열재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공방법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며, 또한 단열 및 방음효과가 뛰어난 스텝바에 관한 것이다.
스텝바의 하부베이스는 강판으로된 데크에 고정되어며, 수직지지부로 이격된 상부베이스의 절곡면 높이까지 단열재 등이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개정된 건축법에 맞춰 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부베이스 또는 하부베이스의 끝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있어 단열재 또는 흡음재를 보다 더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으며, 수직지지부에 형성된 리브는 수직지지부의 지지력을 견고하게 해 준다. 또한 스텝바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견고한 지붕상판 시공이 가능하고 스텝바의 상부베이스 및 하부베이스의 접는 공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공비 및 시공비가 저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텝바는 지지력은 뛰어나면서도 스텝바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무게가 가볍고, 따라서 운송이 용이하며 지붕 상판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텝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텝바를 설치한 체결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등의 고정장치인 스텝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가 뛰어난 고정장치인 스텝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발명에 따른 스텝바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상판 고정장치인 스텝바(10)는 기본적으로 수직지지부(11), 상부베이스(14) 및 하부베이스(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지지부에 형성된 리브(16), 상부 끝단경사부(15) 및 하부 끝단경사부(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텝바(10)의 상부베이스(14)와 하부베이스(12) 사이의 수직지지부 높이는 20mm~300mm의 높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90mm 높이의 수직지지부(11)를 형성한다. 수직지지부의 높이를 190mm로 스텝바를 구성하는 것은 최근 하부 강판으로부터 지붕 상판까지의 높이를 법에서 190mm로 규정했기 때문에 스텝바의 바람직한 높이를 190mm로 한 것이지만, 스텝바를 성형하는 점에서 이보다 높이가 높거나 낮더라도 제작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스텝바의 길이는 지붕의 데크 길이에 맞춰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는 특별히 제한할 필요 없으나 통상 1m에서 수십m까지 제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m ~20m이다.
상기 수직지지부에는 20~100mm 간격으로 5~30mm 폭의 리브(16)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수직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시켜 준다. 상기 리브(16)는 수직지지부 면을 한쪽에서 홈을 형성하여 반대쪽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보조재료를 덧대어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리브는 D값은 10 내지 17의 범위로 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D값은 13이 바람직하다. D값이 10일 때 리브의 돌출 길이는 5mm이고, 13인 경우는 2.35mm, 17인 경우는 1.63mm의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11)의 양 끝단 즉, 위쪽에는 수직지지부와 직각으로 상부베이스(14)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부베이스의 말단은 하부로 5~15°, 바람직하게는 7°의 경사각을 갖는 상부 끝단경사부(15)가 형성되어 흡음재 및 단열재를 밀착하여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수직지지부(11)의 하부에는 수직지지부와 직각으로 하부베이스(12)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부베이스의 끝단에도 상부로 5~15°, 바람직하게는 7°의 경사각을 갖는 하부 끝단경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양쪽 끝단 경사부는 경사부 폭이 10~20mm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지지부(11)와 상부베이스(14) 및 하부베이스(12)가 만나는 절곡면 안쪽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절곡지지부(17)를 형성시켜 준다. 상기 절곡지지부(17)는 절곡부를 함입시켜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절곡부를 바깥쪽에서 절곡면 안쪽으로 일부 절개한 다음 절개된 면을 직각으로 세워서 수직지지부와 상부베이스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절곡면 내부에 보조재료를 일정간격으로 부착하여 지지력을 보강할 수도 있으며, 이 중 어느 방식을 이용할 것인지는 시공하는 지붕의 종류 및 비용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기 절곡지지부(17)는 10~60mm 간격으로 설치하며, 바람직하게는 25m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절곡지지부의 R값은 R3~R7 범주의 값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R4가 적당하다.
상기 스텝바는 통상은 강판으로 제조하며, 그 외에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강철 및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다. 상기 스텝바의 하부베이스(12)를 강판 재질의 데크(21)에 결합할 경우에는 볼트 및 피스결합 또는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며, 하부베이스(12)가 데크(21)에 결합되면 상부베이스(14)는 방수재, 방습재, 흡음재 또는 단열재(22)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2는 강판으로 형성된 데크(21)에 고정된 스텝바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도이다.
상기 스텝바를 이용한 지붕이 시공되는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건축물의 수직의 벽체 위에 C형강, H형강 또는 I빔을 이용하여 격자형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강판으로 데크를 구성한다. 상기 데크의 상면에 상기 스텝바를 고정시키며, 스텝바 위에는 피스 등으로 지붕 상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을 결합한다. 상기 클립에는 지붕의 상판을 결합시켜 건축물의 지붕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스텝바의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 즉, 수직지지부 길이만큼의 간격에는 방수재, 방습재, 방음재 또는 단열재 등이 채워져 건물의 방수, 방습, 방음 및 단열 효과를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효과가 뛰어난 지붕상판 고정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스텝바 11 : 수직지지부
12 : 하부베이스 13 : 하부 끝단 경사부
14 : 상부베이스 15 : 상부 끝단 경사부
16 : 리브 17 : 절곡지지부
21 : 데크 22 : 단열재

Claims (4)

  1. 건축물 지붕 상판을 고정시키는 스텝바(10)에 있어서,
    상기 스텝바(10)는 수직지지부(11)의 위쪽 및 아래쪽을 각각 상기 수직지지부에 대하여 절곡시키되, 수직지지부(11)의 위쪽과 아래쪽을 각각 90°의 각도로 절곡시켜 상부베이스(14) 및 하부베이스(12)를 형성시켜 상부베이스(14) 및 하부베이스(12)가 각각 수직지지부(11)와 직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11)는 20~100mm 간격으로 5~30mm 폭의 리브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와 만나는 상부베이스(14) 및 하부베이스(12)의 각 절곡부에 상부베이스(14) 및 하부베이스(12)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지지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부베이스(14) 및 하부베이스(12)의 끝단에 각각 상부끝단경사부 및 하부끝단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KR1020120014089A 2012-02-13 2012-02-13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KR20120020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89A KR20120020193A (ko) 2012-02-13 2012-02-13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89A KR20120020193A (ko) 2012-02-13 2012-02-13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193A true KR20120020193A (ko) 2012-03-07

Family

ID=4612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089A KR20120020193A (ko) 2012-02-13 2012-02-13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1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53A (ko) * 2018-08-27 2020-03-06 강준호 개선된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KR102105621B1 (ko) * 2018-12-27 2020-05-12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단열재 고정장치
KR102560181B1 (ko) * 2022-11-29 2023-07-27 주식회사 스틸콘 내화 성능을 향상시킨 시스템패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53A (ko) * 2018-08-27 2020-03-06 강준호 개선된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KR102105621B1 (ko) * 2018-12-27 2020-05-12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단열재 고정장치
KR102560181B1 (ko) * 2022-11-29 2023-07-27 주식회사 스틸콘 내화 성능을 향상시킨 시스템패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727B1 (ko)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KR20080109958A (ko)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1106699B1 (ko) 인장력이 강화된 지붕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101526239B1 (ko) 지붕 구조를 위한 새들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KR101214279B1 (ko) 건축물 지붕판 고정브라켓
KR20120020193A (ko) 수직지지력과 수평지지력이 뛰어난 스텝바
KR100870070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JP2022153669A (ja) 断熱構造及び建物
KR20150060107A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KR20180076270A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7321532A (ja) 床断熱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732562B1 (ko) 지붕패널 구조물
KR200390559Y1 (ko) 펄린, 펄린용 클립 및 지붕구조
JP5411037B2 (ja) 鉄骨併用鉄筋コンクリート壁式構造建築物の断熱構造
KR101065183B1 (ko) 요철구조를 가진 방음패널을 이용한 무지주형 방음벽 및 시공방법
KR100533354B1 (ko) 라이너 패널을 이용한 지붕 천정구조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KR20110054499A (ko) 일정 간격으로 개구부를 갖는 모자형 빔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모자형 빔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KR200345484Y1 (ko) 라이너 패널을 이용한 지붕 천정구조
CN218405982U (zh) 一种组合屋面系统
JP6433718B2 (ja) 建物の基礎気密構造及び建物
CN215106284U (zh) 一种拼装式景观墙模块
JP2015048580A (ja) 腰壁・土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21

Effective date: 201310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