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338Y1 -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338Y1
KR200463338Y1 KR2020100005500U KR20100005500U KR200463338Y1 KR 200463338 Y1 KR200463338 Y1 KR 200463338Y1 KR 2020100005500 U KR2020100005500 U KR 2020100005500U KR 20100005500 U KR20100005500 U KR 20100005500U KR 200463338 Y1 KR200463338 Y1 KR 200463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smoke
container
fuel gas
smok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571U (ko
Inventor
유쟁 치우
Original Assignee
유쟁 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쟁 치우 filed Critical 유쟁 치우
Priority to KR2020100005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3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는 용기, 물 배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베이스, 연기통로 및 연소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수도꼭지는 용기의 상방에 설치되고 용기는 베이스의 상방에 위치하고, 연소시스템은 점화기, 솔레노이드밸브, 연소부 및 연소부에 연결되는 연료가스관을 포함하고, 용기의 외벽과 단열층으로 구성되는 연기통로는 단열층을 구비하고, 연소부는 용기의 하방에서 용기 일측의 하방에 편이 배치되고, 연기통로의 연기 입구는 연소부와 마주보고 연기통로는 용기의 일측에서 용기 외벽을 따라 용기의 타측에 연장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지닌다. 본 고안의 연기통로는 용기의 외벽과 단열층을 구성되고 연소부 및 연기통로의 연기 입구는 용기 일측, 즉 '연소부 및 연기 입구'의 특정 위치에 편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연기통로가 용기 외벽을 따라 연장되어서 넓은 열교환 면적을 갖게 됨으로써 열전달 능력을 제고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GAS HEATING AND COOKING DEVICE}
본 고안은 삶기 및 끓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수 끓임용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국수 끓임 설비(도 1 및 도 2 참조)는 주로 물을 채우는 용기(1), 연기통로(2), 베이스(3), 솔레노이드밸브(4), 연료가스관(5), 연소부(6), 수동밸브(7), 교환기 박스(8), 스테인레스관(9)(또는 집열판(11)) 및 수도꼭지(1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교환기 박스(8)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용접하여 구성된다. 측면에는 몇 열의 스테인레스관(9)이 관통 삽입되고 각 스테인레스관 열이 서로 교차 배치되어 있다. 교환기 박스(8)와 스테인레스관(9)은 아르곤아크 연속용접방식으로 연결하여 열교환기를 구성한다(도 3에 자세히 나와 있음). 혹은 교환기 박스(8)의 내측에 집열판(11)을 용접하여 열교환기를 구성한다(도 4 참조).
수동밸브(7)를 열어서 물을 수도꼭지(10)를 통해 용기(1)에 주입하고, 그런 후 솔레노이드밸브(4)를 열어서 연료가스가 연료가스관(5)을 통해 연소부(6)에서 분출되어 점화된 후 연소하기 시작하고, 고온연기는 열교환기를 통해 연기통로(2)에서 배출되어 용기(1) 내부의 물을 가열시킨다.
그러나 용기(1)에 주입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연화처리를 거치지 않은 수도물이기 때문에 물의 경도가 높고 수온이 오르면 용기(1), 교환기 박스(8) 및 스테인레스관(9)에서 물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스케일이 생성되고 또한 스테인레스관(9) 내부의 스케일은 제거하기 어려워서 스케일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열교환 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스케일의 누적이 심각한 부분은 열교환 효율이 낮기 때문에 온도가 급격히 올라서 열교환기에 균열 및 누수현상을 일으키기 매우 쉽다. 균열이 교환기 박스(8)와 스테인레스관(9)의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면 보충 용접을 하기 매우 어려워서 열교환기 전체를 폐기 처분해야 한다.
열교환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교환기를 물을 담는 용기(1) 내부에 설치하고 열교환기와 용기(1) 벽 사이의 물은 삶을 때 사용하는 물이 아니고 주로 열교환기의 벽이 흡수한 열량을 전달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술한 부분의 물은 일반적으로 용기(1) 내 물의 총량의 20% 정도가 된다. 따라서 식품을 끓이기 위해 사용되는 물인 점에 감안하면 상기 부분의 물을 가열하는 것은 명백한 에너지 낭비에 속한다. 용기(1) 내에서 열전달에만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열교환기와 용기(1)의 벽 사이의 공간을 대게는 적게 설계하게 되고(통상적으로 ≤45mm), 또한 용기(1)의 바닥 및 열교환기가 용기(1) 내부의 연기배출구의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때를 세척하기 어려워 식품위생에 불리하고 열교환기의 효율도 낮춘다.
그리고 상업용 설비는 에너지 절약 외에도 가열 시 물의 온도상승속도를 고려해야 한다. 스테인레스강의 열전달율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약 15.2 W/(m?K)) 열교환기는 연소부(6)에 의해 생성된 고온연기의 열량을 용기(1) 내의 물에 제때에 전달할 수 없게 되어 연기통로(2)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온도가 높다(통상적으로 ≥130℃). 따라서 설비의 열효율이 낮다.
본 고안은 열전달을 보강하고 세척이 편리하며 에너지 소모를 낮추면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201), 물 배관(206)에 연결되는 수도꼭지(202), 베이스(208), 연기통로 및 연소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수도꼭지(202)는 용기(201)의 상방에 설치되고 용기(201)는 베이스(208)의 상방에 위치하고 연소시스템은 점화기(213), 솔레노이드밸브(210), 연소부(212) 및 연소부(212)에 연결되는 연료가스관(211)을 포함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에 있어서, 용기(201)의 외벽과 단열층(209)으로 구성되는 연기통로는 단열층(209)을 구비하고, 연소부(212)는 용기(201)의 하방에서 용기(201) 일측 하방에 편중되어 배치되고, 연기통로의 연기 입구는 연소부(212)에 마주보고 연기통로는 용기(201)의 일측에서 용기(201) 외벽을 따라 용기(201)의 타측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연기통로를 구성하는 용기(201)의 외벽은 표면에 집열기(204)가 설치된 벽이고 연기통로 안쪽에는 연기 가이더(205)가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가이더(205)는 단열층(209)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기 가이더(205)는 연기 흐름 가이드판으로써, 연기 흐름 가이드판은 단열층(209) 위에 위치하고 연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기통로는 용기(201)의 바닥 일측에서 용기(201) 바닥을 따라 용기(201) 바닥의 타측에 연장된 후 계속 용기(201)의 측벽을 따라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기통로에 물탱크(203)를 설치하고 수도꼭지(202)는 물탱크(203)를 통해 물 배관(20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탱크(203)는 링형 용기이고 링형 용기의 내부 링의 표면에 집열기(20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열기(204)는 다수 개의 직렬로 배열되고 교차 분포되는 자동(紫銅) 집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서의 연기통로는 용기의 외벽과 단열층으로 구성되고 연소부 및 연기통로의 연기 입구는 용기 일측, 즉 '연소부 및 연기 입구'의 특정 위치에 편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연기통로가 용기 외벽을 따라 연장되어서 넓은 열교환 면적을 갖게 됨으로써 열전달 능력을 제고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연기통로 위에 물탱크를 설치하고 수도꼭지는 물탱크를 통해 물 배관에 연결된다'는 기술 수단을 사용하였다. 특히 '물탱크가 링형 용기이고 링형 용기의 내부 링 표면에는 집열기를 설치한다'는 기술 수단을 사용한 후에는 연기의 잔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절감과 에너지 소모 낮추기에 유리하고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도 1은 종래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 열교환기의 구조도로, (a)는 종래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종래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열교환기의 다른 구조도로, (a)는 종래 열교환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종래 열교환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구조설명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1 실시예의 구조설명도로, (a)는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2 실시예의 구조설명도로, (a)는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3 실시예의 구조설명도로, (a)는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3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열기의 제3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는 용기(201), 물 배관(206)에 연결되는 수도꼭지(202), 베이스(208), 연기통로 및 연소기로 이루어진다. 수도꼭지(202)는 용기(201)의 상방에 설치되고 용기(201)는 베이스(208)의 상방에 위치하고 연소기는 솔레노이드밸브(210), 연소부(212), 점화기(213) 및 연소부(212)에 연결되는 연료가스관(211)을 포함하고, 용기(201)의 외벽과 단열층(209)으로 구성되는 연기통로는 단열층(209)을 구비하고, 연소부(212)는 용기(201)의 하방에서 용기(201) 일측 하방에 편중되어 배치되고, 연기통로의 연기 입구는 연소부(212)와 마주보고 연기통로는 용기(201)의 일측에서 용기(201)의 외벽을 따라 용기(201)의 타측에 연장되고, 용기(201)의 외벽은 용기(201)의 바닥을 포함하고 또한 용기(201)의 측벽도 포함한다. 연기통로가 용기(201)의 일측에서 용기(201)의 외벽을 따라 용기(201)의 타측에 연장된다'는 것은 용기(201)의 바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용기(201)의 바닥을 따라 연장된 후 계속 측벽을 따라 위로 연장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본 실시예의 연기통로는 용기(201)의 바닥 일측에서 용기(201) 바닥을 따라 용기(201) 바닥의 타측에 연장된 후 계속 용기(201)의 측벽을 따라 위로 연장된다.
본 고안에서 연기통로를 구성하는 용기(201)의 외벽은 표면에 집열기(204)를 설치한 벽으로써, 연기통로 내에는 연기 가이더(205)가 설치되고 연기 가이더(205)는 단열층(209) 위에 설치된다. 연기 가이더(205)는 연기 흐름 가이드판을 사용하고 연기 흐름 가이드판은 단열층(209) 위에 위치하여 연기의 흐름 방향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물 배관(206)에 연결되는 상기 수도꼭지(202)는, 수도꼭지(202)를 물 배관(206)에 직접 연결하거나 수도꼭지(202)를 물탱크(203)를 통해 물 배관(206)에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접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연기통로에 물탱크(203)를 설치하고 수도꼭지(202)는 물탱크(203)를 통해 물 배관(206)에 연결된다.
물탱크(203)도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물탱크(203)는 링형 용기이고 링형 용기의 내부 링의 표면에 집열기(204)를 설치한다.
집열기(204)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 실시 형태에서 임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1) 도 5 내지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집열기(204)는 다수 개의 직렬로 배열되고 교차 분포되는 자동(紫銅) 집열판으로 구성된다.
(2) 도 8 내지 도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집열기(204)는 다수 개의 직렬로 배열되고 교차 분포되는 금속 형재로 구성된다.
(3) 도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집열기(204)는 파도 무늬형 용기 외벽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파도 무늬형 용기 외벽은 용기 외벽의 내부가 오목하고 외부가 오목하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열기(204)의 상술한 실시형태들은 용기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넓은 의미에서의 돌기부로 구성된다고 간주할 수 있고, 넓은 의미에서의 돌기부는 관(管) 모양, 시트 모양 또는 기타 불규칙 모양을 갖출 수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이 가지는 특징을 설명한다.
첫째, 본 고안에서의 연기통로는 용기의 외벽과 단열층으로 구성되고 연소부 및 연기통로의 연기 입구는 용기 일측, 즉 '연소부 및 연기 입구'의 특정 위치에 편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연기통로가 용기 외벽을 따라 연장되어서 넓은 열교환 면적을 갖게 됨으로써 열전달 능력을 제고하고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집열기를 사용하여 열교환 면적을 넓일 수 있지만 연기가 흐를 때의 저항력도 높아지게 되고 연기 가이더는 더 많은 연기를 집열기를 설치한 용기의 외벽 구역으로 안내하거나 몰아가기 때문에 열전달 효과를 높이고 열교환 효율을 높이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연기 가이더는 연기 흐름 가이드판을 사용하고 있는데, 단열층 위에 위치한 연기 흐름 가이드판은 연기의 흐름 방향에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열전달 효과를 높이고 열교환 효율을 높이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기가 집열기을 뒤로 하고 연기통로의 교차 지점으로 집결하는 것을 저지하여 연기 흐름 가이드판 및 집열기의 상호 지지와 상호 작용을 통해 열겨환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다수 개의 직렬로 배열되고 교차 분포되는 자동(紫銅) 집열판으로 구성되는 집열기를 사용함으로써 연기 흐름 가이드판 및 특정된 '연소부 및 연기 입구' 위치(즉, 연소부가 용기 일측의 하방에 편중되어 배치됨)와 상호 지지하는 작용을 하여 열전달 및 열교환 효과를 높이고 열교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둘째, 본 고안은 '연기통로 위에 물탱크를 설치하고 수도꼭지는 물탱크를 통해 물 배관에 연결된다.'는 기술 수단을 사용하였다. 특히 '물탱크가 링형 용기이고 링형 용기의 내부 링 표면에는 집열기를 설치한다.'는 기술 수단을 사용한 후에는 연기의 잔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절감과 에너지 소모 낮추기에 유리하고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표 1은 종래 설비(도 4의 집열기 사용)와 본 고안의 에너지 소모를 비교한 결과다.
Figure 112010033777316-utm00001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양자의 가열 시 온도상승속도는 같지만 단위당 에너지 평균 소모비는 0.000132/0.000124=1.064다. 즉, 종래 설비의 단위당 에너지 평균 소모는 본 고안보다 6% 정도 높다. 본 고안을 사용하면 열전달에만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제거하게 되어 에너지 소모비는 0.6/0.46=1.304가 되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30% 이상이 된다. 그리고 연기통로의 출구에서 물탱크의 잔열을 이용하게 되어 본 고안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1 : 용기
202 : 수도꼭지
203 : 물탱크
204 : 집열기
205 : 연기 가이더
206 : 물 배관
207 : 솔레노이드밸브
208 : 베이스
209 : 단열층
210 : 솔레노이드밸브
211 : 연료가스관
212 : 연소부
213 : 점화기

Claims (7)

  1. 삭제
  2. 용기(201), 물 배관(206)에 연결되는 수도꼭지(202), 베이스(208), 연기통로 및 연소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수도꼭지(202)는 용기(201)의 상방에 설치되고 용기(201)는 베이스(208)의 상방에 위치하고 연소시스템은 점화기(213), 솔레노이드밸브(210), 연소부(212) 및 연소부(212)에 연결되는 연료가스관(211)을 포함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에 있어서,
    용기(201)의 외벽과 단열층(209)으로 구성되는 연기통로는 단열층(209)을 구비하고, 연소부(212)는 용기(201)의 하방에서 용기(201) 일측 하방에 편중되어 배치되고, 연기통로의 연기 입구는 연소부(212)에 마주보고 연기통로는 용기(201)의 일측에서 용기(201) 외벽을 따라 용기(201)의 타측에 연장되되,
    연기통로를 구성하는 용기(201)의 외벽은 표면에 집열기(204)가 설치된 벽이고 연기통로 안쪽에는 연기 가이더(205)가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가이더(205)는 단열층(209)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연기 가이더(205)는 연기 흐름 가이드판으로써, 연기 흐름 가이드판은 단열층(209) 위에 위치하고 연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기통로는 용기(201)의 바닥 일측에서 용기(201) 바닥을 따라 용기(201) 바닥의 타측에 연장된 후 계속 용기(201)의 측벽을 따라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연기통로에 물탱크(203)를 설치하고 수도꼭지(202)는 물탱크(203)를 통해 물 배관(20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물탱크(203)는 링형 용기이고 링형 용기의 내부 링의 표면에 집열기(20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집열기(204)는 다수 개의 직렬로 배열되고 교차 분포되는 자동(紫銅) 집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KR2020100005500U 2009-09-07 2010-05-26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KR200463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00U KR200463338Y1 (ko) 2009-09-07 2010-05-26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20231850.7 2009-09-07
KR2020100005500U KR200463338Y1 (ko) 2009-09-07 2010-05-26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1U KR20110002571U (ko) 2011-03-15
KR200463338Y1 true KR200463338Y1 (ko) 2012-10-30

Family

ID=4420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00U KR200463338Y1 (ko) 2009-09-07 2010-05-26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3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77535U (zh) * 2011-05-18 2011-12-21 邱于正 一种自动消除泡沫的食品煮制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212A (ja) 2002-09-13 2004-04-08 Paloma Ind Ltd 液体加熱調理器
JP2005034625A (ja) 2003-06-25 2005-02-10 Kobayashi Nekki Kogyo Kk めん類の茹で装置
JP2005185745A (ja) 2003-12-26 2005-07-14 Osaka Goko:Kk 麺茹で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212A (ja) 2002-09-13 2004-04-08 Paloma Ind Ltd 液体加熱調理器
JP2005034625A (ja) 2003-06-25 2005-02-10 Kobayashi Nekki Kogyo Kk めん類の茹で装置
JP2005185745A (ja) 2003-12-26 2005-07-14 Osaka Goko:Kk 麺茹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1U (ko)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54587U (zh) 民用节能炉
CN201954596U (zh) 油气两用全自动民用灶
CN201081395Y (zh) 一种节能立式锅炉
KR200463338Y1 (ko) 연료가스 가열형 끓임 장치
CN201163017Y (zh) 高效节能立式蒸汽发生器
CN103948307A (zh) 一种燃气蒸箱的水胆及排烟系统
CN201510157U (zh) 燃气加热煮制装置
CN210512147U (zh) 节能燃气热水器
CN203240621U (zh) 一种热集成燃气炉装置
KR101174604B1 (ko) 적층판형 노통방식 보일러
CN203928402U (zh) 高效常压冷凝式水套加热炉
CN201575446U (zh) 一种节能环保蒸汽发生器
CN101647672B (zh) 燃气加热煮制装置
CN201003798Y (zh) 炉灶热水器
CN202660728U (zh) 环保热水加热炉
CN214841730U (zh) 一种容积式商用燃气热水器
CN103383142B (zh) 一种常压热水炉
CN202955860U (zh) 贮水式热水炉
CN219160620U (zh) 一种燃油热水器换热管
CN211146883U (zh) 逆燃式半气化常压热水机房锅炉
CN207279594U (zh) 一种海洋石油开发用注汽锅炉
CN210241674U (zh) 一种用于小炒炉的燃烧余热循环利用排烟系统
CN2591441Y (zh) 外循环分体式家用热水炉
CN204943881U (zh) 一种高效节能开水炉
CN201772496U (zh) 余热利用热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