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50Y1 -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50Y1
KR200463250Y1 KR2020110002172U KR20110002172U KR200463250Y1 KR 200463250 Y1 KR200463250 Y1 KR 200463250Y1 KR 2020110002172 U KR2020110002172 U KR 2020110002172U KR 20110002172 U KR20110002172 U KR 20110002172U KR 200463250 Y1 KR200463250 Y1 KR 200463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ndle
fastener
fixture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588U (ko
Inventor
권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2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5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5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2Parts for 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착탈식 손잡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는, 조립대상물을 내부에 삽입가능한 개방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일측부상에 개방슬릿의 너비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힌지축; 힌지축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회동에 의해 플레이트의 개방슬릿을 가로질러 플레이트의 타측부상에 위치되는 고정구; 고정구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힌지축을 기준으로 고정구와 함께 회동되어 플레이트의 일측부상에 개방슬릿의 너비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손잡; 및 플레이트의 타측부를 일측부측으로 가압하도록 고정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손잡이{attaching and detaching handle}
본 고안은 착탈 조립가능한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구비되는 다수의 밸브부재 중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조정은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밸브조정수단은 사용자의 양손을 통해 보다 큰 회전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원형 핸들 등의 형태를 가진다.
작업자가 이러한 원형 핸들 등을 조작함에 있어서는, 좌, 우측부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회전조작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회전가압력을 가하는 방향 핸들의 연장방향이 동일하여, 핸들의 연장방향을 따라 손이 미끄러지기 쉬워, 그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사항은 보다 큰 회전조작력이 필요할수록 가중되는데, 불편한 정도는 작업자에 따라 다르게 느끼므로, 선박에 구비되는 다수의 핸들부재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시킨 구조를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선박 수주 등 요구에 맞추어 핸들의 사양을 유동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선박 수주의 다양한 요구나, 사용 중 핸들 조작의 어려움 등 이유로, 보조손잡이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원형 핸들 등을 포함한 조정부재상에 설치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형 핸들을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경우, 이탈, 해제시킬 수 있도록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선박에서 작업자가 밸브조정수단으로 구비된 원형 핸들 등을 조작함에 있어서, 좌, 우측부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회전조작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 미끄럼 등에 의한 회전가압력의 소모를 해결하여 보다 편리하게 원형 핸들을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립대상물(10)을 내부에 삽입가능한 개방슬릿(120)이 형성된 플레이트(100);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상에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힌지축(200); 상기 힌지축(200)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개방슬릿(120)을 가로질러 상기 플레이트(100)의 타측부상에 위치되는 고정구(300); 상기 고정구(300)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힌지축(20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구(300)와 함께 회동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상에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손잡이(400); 및 상기 플레이트(100)의 타측부를 일측부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체결구(500);를 포함하는 착탈식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대상물(10)은, 원형 또는 직선형 연장부를 가지는 봉형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판형상의 제1플레이트부(111); 상기 플레이트(100)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의 이격간격에 따라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를 신축조정하는 판형상의 제2플레이트부(113);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개방슬릿(120)을 형성하는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 및 제2플레이트부(113)부는,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가 회동에 의해 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개방형성되는 체결슬릿(113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3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연속형성된 형상을 가지는 볼트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50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연속형성된 너트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500)는, 상기 고정구(300)에 체결되는 너트부(510); 및 상기 너트부(510) 둘레에 다수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회전가압력을 받아 상기 너트부(510)측으로 전달하는 회전가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는, 하나의 부재가 U자형상 또는 ㄷ자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개방슬릿을 조립대상물에 끼우고 고정구를 회전시킨 후, 체결구를 체결, 고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형 핸들 등의 외측에 원형 핸들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손잡이를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에서 작업자가 밸브조정수단으로 구비된 원형 핸들 등을 조작함에 있어서, 좌, 우측부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회전조작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이용하여, 미끄럼 등에 의한 회전가압력의 소모없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회전가압력을 원형 핸들에 전달, 회전조작할 수 있다.
도 1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조립대상물에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요부투시우측면도
도 3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요부투시평면도
도 4 - 플레이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5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조립대상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6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조립대상물에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조립대상물에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3은 각각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요부투시우측면도, 요부투시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는, 플레이트(100), 힌지축(200), 고정구(300), 돌출손잡이(400), 체결구(50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회전, 끌어당김, 밀어냄과 같은 조작력이 가해지는 조립대상물(10)상에 조립, 설치하여, 상기 조립대상물(10)상에 사용자의 조작력을 가함에 있어서, 손을 파지하는 방향이나 위치를 상기 조립대상물(10)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조립대상물(10)은, 선박에 설비되는 밸브에 구비되는 원형 핸들로, 사용자가 원형 핸들의 좌, 우측부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회전조작하는 경우, 핸들의 연장방향을 따라 손이 미끄러지기 쉬운데,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설치하면, 사용자가 상기 돌출손잡이(400)(이하 설명)를 이용해 보다 용이하게 원형 핸들을 회전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립대상물(10)은 상기 원형 핸들과 같이 원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회전조작되는 구조체뿐만 아니라 직선형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는 구조체를 포함하여, 상기 플레이트(100)를 결합가능한 봉형 구조체 전반에 걸쳐 적용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제1플레이트부(111), 연결부(112), 제2플레이트부(113)가 연속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 사이에 상기 조립대상물(10)을 삽입가능한 개방슬릿(12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는, 판형상을 가지고 일측부와 타측부(도 1 내지 도 3의 y축방향 기준) 각각에 상호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112)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의 일단부(도 1 내지 도 3의 x축방향 기준)를 상호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개방슬릿(120)의 일측부는 상기 연결부(112)에 의해 일정한 너비를 유지하면서, 타측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너비가 신축 조정된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금속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하나의 판부재를 U자형상 또는 ㄷ자형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 연결부(112), 제2플레이트부(113)가 일체로 연결된 형상으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200)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 중 일측에,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방향(도 1 내지 도 3의 y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도 1 내지 도 3의 z축방향)으로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힌지축(220)이 결합되는 부분을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라고 가정한다.
도 4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의 타단부상에는, 상기 고정구(300)(이하 설명)의 타단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 및 제2플레이트부(113)의 타단부 외측에서 타단부 내측으로(도 1 내지 도 3의 -x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체결슬릿(113a)이 개방형성된다. 상기 힌지축(200)을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상기 힌지축(200)의 양단부(도 1 내지 도 3의 z축방향 기준)를 각각 고정가능한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를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상에 결합한다.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슬릿(113a)을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200)의 양단부를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에 각각 결합시키면, 상기 힌지축(200) 중간의 직선형 연장부는 상기 체결슬릿(113a)의 너비방향(도4의 z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도 1 내지 도 3의 z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축(200)은 볼트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를 관통하여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결합부(114a, 114b)상에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고정구(300)는, 상기 힌지축(200)에서 제1플레이트부(111), 개방슬릿(120), 제2플레이트부(113)를 가로질러 상기 제2플레이트부(113)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 사이에서 상기 힌지축(200)에 관통, 축결합되어, 상기 힌지축(200)에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자유롭게 회동하게 된다.
상기 돌출손잡이(400)는, 상기 힌지축(220)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구(300)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힌지축(20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구(300)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돌출손잡이(400)는 상기 고정구(300)와 일직선을 이루는 직선형 막대형상을 가짐에 따라,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대상물(10)에 조립,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에서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방향(도 1 내지 도 3의 y축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돌출손잡이(400)는,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부(113)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300)의 일단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 외부로(도 1 내지 도 3의 y축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고정구(300)와 돌출손잡이(400)를 일체로 제작하고 상기 고정구(300)와 돌출손잡이(400)간의 경계부에 축관통홀(도면부호 미표기)을 형성하면, 상기 축관통홀을 이용해 상기 힌지축(200)상에 상기 고정구(300)와 돌출손잡이(40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축관통홀을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200)을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 중 일측(114a), 상기 축관통홀, 상기 한쌍의 힌지결합부(114a, 114b) 중 타측(114b)을 순차적으로 가로지르도록 조립한 후, 너트부재 체결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바람직한 일례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상기 돌출손잡이(400)는, 상기 고정구(300)와 일직선을 이루는 직선형 막대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상기 조립대상물(10) 외측에 별도의 손잡이로도 제공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출손잡이(400)는 그 형상과 구조가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체결구(500)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113)를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부(113)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상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 외주면 둘레에 나사산을 연속형성하여 볼트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체결구(5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연속형성된 너트형상을 가지도록 하면, 상기 체결구(500)를 상기 고정구(300) 둘레에 나사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구(500)가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부(113)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300)상에서의 결합위치를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측으로 보다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구(30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연결된 상기 힌지축(200)과 체결구(500)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축(200)과 체결구(50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간의 간격도 좁아지게 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가 상기 개방슬릿(120)에 끼워진 상기 조립대상물(10)의 둘레를 가압하면서 상기 조립대상물(10)상에 설치, 고정된다.
상기 체결구(5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00)에 체결되는 너트부(510)와, 상기 너트부(510) 둘레에 다수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회전가압부(520)로 구성하면, 사용자가 렌치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회전가압부(520)를 직접 파지한 상태로 회전가압력을 상기 너트부(510)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하며, 회전조작할 수 있다.
도 5의 (a), (b), (c), (d)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조립대상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슬릿(120)의 개방단부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00)를 상기 조립대상물(10) 둘레에 끼운 후, 도 5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300)를 회동시킨 후,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0)를 가압하도록 상기 체결구(500)를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상기 조립대상물(10)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조립대상물에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대상물(10)상에 다른 조립대상물(10a)이 다른 각도로 연결형성된 경우, 상기 다른 조립대상물(10a)상에 상기 체결슬릿(113b)이 형성된 플레이트(100a)를 추가로 결합하고, 하나의 상기 고정구(300)를 다수의 상기 플레이트(100, 100a)를 연속하여 관통,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상기 플레이트(100, 100a)를 이용하여 다수의 개소에서 다방향으로 상기 조립대상물(10, 10a)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10, 10a : 조립대상물 100, 100a : 플레이트
111 : 제1플레이트부 112 : 연결부
113 : 제2플레이트부 113a, 113b : 체결슬릿
114a, 114b : 힌지결합부 120 : 개방슬릿
200 : 힌지축 300 : 고정구
400 : 돌출손잡이 500 : 체결구
510 : 너트부 520 : 회전가압부

Claims (7)

  1. 조립대상물(10)을 내부에 삽입가능한 개방슬릿(120)이 형성된 플레이트(100);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상에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힌지축(200);
    상기 힌지축(200)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개방슬릿(120)을 가로질러 상기 플레이트(100)의 타측부상에 위치되는 고정구(300);
    상기 고정구(300)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힌지축(200)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구(300)와 함께 회동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상에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손잡이(400); 및
    상기 플레이트(100)의 타측부를 일측부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체결구(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대상물(10)은,
    원형 또는 직선형 연장부를 가지는 봉형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판형상의 제1플레이트부(111);
    상기 플레이트(100)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의 이격간격에 따라 상기 개방슬릿(120)의 너비를 신축조정하는 판형상의 제2플레이트부(113);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와 제2플레이트부(113)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개방슬릿(120)을 형성하는 연결부(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부(111) 및 제2플레이트부(113)부는,
    상기 고정구(300)의 타단부가 회동에 의해 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개방형성되는 체결슬릿(113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연속형성된 형상을 가지는 볼트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50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연속형성된 너트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500)는,
    상기 고정구(300)에 체결되는 너트부(510); 및
    상기 너트부(510) 둘레에 다수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회전가압력을 받아 상기 너트부(510)측으로 전달하는 회전가압부(5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는,
    하나의 부재가 U자형상 또는 ㄷ자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
KR2020110002172U 2011-03-16 2011-03-16 착탈식 손잡이 KR200463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72U KR200463250Y1 (ko) 2011-03-16 2011-03-16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72U KR200463250Y1 (ko) 2011-03-16 2011-03-16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88U KR20120006588U (ko) 2012-09-26
KR200463250Y1 true KR200463250Y1 (ko) 2012-10-25

Family

ID=4750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172U KR200463250Y1 (ko) 2011-03-16 2011-03-16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5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2878A2 (en) 1988-05-17 1989-11-23 Tai-Her Yang Clamping set having double-coordinate clamping function and being extensible for adjusting clamp depth
JP2002028875A (ja) 2000-07-14 2002-01-29 Kurimoto Ltd 固定リング取付用治具
JP2005219137A (ja) 2004-02-03 2005-08-18 Kurimoto Ltd 固定リング取付用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2878A2 (en) 1988-05-17 1989-11-23 Tai-Her Yang Clamping set having double-coordinate clamping function and being extensible for adjusting clamp depth
JP2002028875A (ja) 2000-07-14 2002-01-29 Kurimoto Ltd 固定リング取付用治具
JP2005219137A (ja) 2004-02-03 2005-08-18 Kurimoto Ltd 固定リング取付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88U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5378A1 (en) Ratchet wrench
US6317930B1 (en) Pivotal device of a handle
US8424421B1 (en) Jog-shuttle type ratchet wrench
KR101535220B1 (ko)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
US20150314425A1 (en) Ratchet wrench with handgrip ratchet control
AU2011274390A1 (en) Insertion tool for tangless spiral coil insert
US20060144194A1 (en) Nut and bolt holder and starter
KR200461856Y1 (ko) 의료용 수동 드라이버
KR200463250Y1 (ko) 착탈식 손잡이
US8702364B2 (en) Screw fastener
US20140020519A1 (en) Ratchet wrench
KR101955954B1 (ko) 일체형 통합 드라이버
US8485011B2 (en) Tool for installing rivet nuts
US8250714B2 (en) Handgrip for handlebar
KR100632299B1 (ko) 무선주파수 여파기용 너트렌치 및 스크류조정부 일체형튜닝 도구
CN104858827B (zh) 扳手卡掣装置
WO2012144942A1 (en) A clamping assembly for a chainsaw
US20150104249A1 (en) Device for securing a detachable cycle component to a cycle, and use of such a device
TWM522810U (zh) 拆裝工具
JP6696284B2 (ja) 特殊ねじ着脱工具および特殊ねじ着脱工具ユニット
CN214923859U (zh) 一种螺栓安装固定工具
KR101570079B1 (ko) 휴대용 파이프 렌치
JP4352436B2 (ja) 回転アシスト付ドライバー
US11135705B2 (en) Adapter for turning a knob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adapter
JP7334387B2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