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122Y1 - 종자 파종기 - Google Patents

종자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122Y1
KR200463122Y1 KR2020090011242U KR20090011242U KR200463122Y1 KR 200463122 Y1 KR200463122 Y1 KR 200463122Y1 KR 2020090011242 U KR2020090011242 U KR 2020090011242U KR 20090011242 U KR20090011242 U KR 20090011242U KR 200463122 Y1 KR200463122 Y1 KR 200463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plate
groove
main body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32U (ko
Inventor
구기현
Original Assignee
구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기현 filed Critical 구기현
Priority to KR2020090011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12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1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6Minimum till s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23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 A01C7/125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with bottom delivery of the se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자 파종기에 관한 것이며 폿트홈이 다수 구비된 육묘상자에 낱알 1개씩의 종자파종이 이루어지게 하고 파종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고안은 본체와, 톱니판과, 분리격판과, 가이드판과, 종자이송판과, 덮개판의 조립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육묘상자의 폿트홈 마다 낱알 1개의 종자를 파종할 수 있고 종자의 낱알 파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낱알 파종, 톱니판, 육각홈부, 종자이송판, 가이드판

Description

종자 파종기{The seeding machine seed}
본 고안은 종자 파종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폿트홈이 다수 구비된 육묘상자의 폿트홈에 배추, 무우, 파 등 구경이 작은 종자를 1개씩의 낱알 파종이 이루어지게 하고 고능률적으로 파종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파종기는 다양하게 알려지고 있다.
일예로 볍씨의 경우에는 상토를 채운 육묘상자를 산파 파종기에 통과시켜서 파종시킨 육묘상자의 볍씨를 일정규격으로 성장시켜 농지에 이앙하거나, 정지한 농지에 등간격으로 볍씨를 직파(점파)하고, 무우, 배추, 콩, 참깨, 옥수수 등은 정지하여 조성한 이랑 위에 등간격으로 직파(점파)하거나, 폿트홈이 규격으로 구비된 육묘상자에 한 알씩 낱알로 파종하여 파종한 종자가 일정규격으로 성장하면 정지된 농지의 이랑 위에 이식하여 재배하게 된다.
상기에서 파종기로 직파하는 경우에는 이랑을 주행하면서 직파(점파)되는 파종기가 다양하게 알려지고 있으나 종자의 발아가 자연환경에 의존하므로 발아가 늦고, 또 파종 된 종자가 야생 조류 등의 먹이가 되어 발아율이 낮은 결점이 있다.
상기 결점의 해소수단으로 육묘상자에 낱알씩 종자를 파종 발아시켜서 이랑 으로 이식하는 농법이 점차 확산 되고 있다.
상기에서 육묘상자의 폿트홈에 종자파종은 수작업으로 낱알을 파종하게 되므로 직업이 비능률적인 결점이 있다.
또 이랑에 직파하는 상기의 선행수단은 아래와 같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제1987-282호(공고일자 : 1987. 02. 12.)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제1993-8143호(공고일자 : 1993. 12. 10.)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제1997-15782호(공개일자 : 1997. 05. 23.)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242961호(공고일자 : 2000. 02. 0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510954호(공고일자 : 2005. 08. 30.)
본 고안은 농지에 직파(점파) 방식을 배제하고 육묘상자의 폿트홈에 종자의 낱알 파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고안에서 보인 도1은 전체사시도
도2는 정면도
도3은 분해사시도
도4는 파종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5의 (가)도는 파종기의 톱니가 폿트의 턱에 걸림상태를 보인 예시도
(나)도는 파종기의 톱니가 폿트의 턱을 벗어난 파종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6은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3과 같이 본체(1)와, 톱니판(2)과, 분리격판(3)과, 가이드판(4)과, 종자이송판(5)과, 덮개판(6)의 조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는 상부에는 종자수납통(10)을, 상기 종자수납통(10)의 벽면(10a) 하방에는 종자통로(11)를, 상기 종자통로(11) 하측의 요홈(13) 중앙에는 돌출핀(12)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에서 톱니판(2)은 원주면에는 등간격으로 톱니(20)를, 중앙의 축공(22) 외곽에는 육각돌출부(21)를 형성하여서 구성하고, 상기에서 분리격판(3)은 본체(1) 요홈(13)의 돌출핀(12)에 톱니판(2)의 축공(22)을 끼워 조립할 때 톱니판(2)의 작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요홈(13)에 수납되게 외측에는 홈부(3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에서 가이드판(4)은 본체(1)의 종자통로(11)를 통하여 낙하되는 종자를 종자 유치공간(40)과 종자이송판(5)의 외측에서 종자를 가이드 하는 벽면(4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에서 종자이송판(5)은 중앙에는 톱니판(2)의 육각돌출부(21)에 끼워지는 육각홈부(50)를 구비하고, 원주면에는 종자가 끼워지는 종자홈(5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덮개판(6)은 상기 분리격판(3)의 홈부(30)에 끼워지는 돌출부(60)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 하측의 요홈(13) 중앙의 돌출핀(12)에 톱니판(2)의 축공(22)을 끼우고 분리격판(3)을 상기 본체(1)의 요홈(13)에 끼워 본체(1)에 분리격판(3)을 피스(7)로 조립하고, 상기 분리격판(3) 외측으로 가이드판(4)을 끼우고, 가이드판(4) 내측에 위치하는 톱니판(2)의 육각돌출부(21)에는 종자이송판(5)의 육각홈부(50)를 끼우고, 분리격판(3)의 홈부(30)에는 덮개판(6)의 돌출부(60)를 끼워서 조립하고, 피스(8)로 본체(1)와 조립하게 되면 도1 및 도2와 같은 종자 파종기가 구성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부호 100은 종자 수납통 마개, 101은 가이드판, 102는 종자, 103은 육묘상자, 104는 폿트홈, 105는 상토, 106은 가이드공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의 종자 수납통에 종자를 수납하고, 본체 하방으로 돌출되는 톱니판의 톱니를 육묘상자의 폿트홈 상면에서 걸리게 하여 밀게 되면 톱니판과 조립된 종자이송판의 종자홈에 끼워진 종자가 폿트홈 중앙에 낙하 되어 파종이 이루어지게 되며 고능률적인 파종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3과 같이 본체(1)는 상부에는 종자수납통(10)을, 상기 종자수납통(10)의 벽면(10a) 하방에는 종자통로(11)를, 상기 종자통로(11) 하측의 중앙에는 돌출핀(12)이 일체가 되도록 하여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고, 또 톱니판(2)은 원주면에는 등간격으로 톱니(20)를, 중앙의 축공(22) 외측으로는 육각돌출부(21)를 구비하여 일체가 되도록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톱니(20)를 갖는 원판은 금속재로 하고, 축공(22)을 갖는 육각돌출부(21)를 성형하는 금형에 원판을 인서트 시켜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고, 또 분리 격판(3)은 본체(1)의 요홈(13)에 수납되어 톱니판(2)의 작동공간을 확보하고, 외측으로 홈부(30)가 구비되게 하여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고, 또 가이드판(4)은 본체(1)의 종자통로(11)를 통하여 낙하되는 종자를 유치하는 종자 유치공간(40)과, 종자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벽면(41)이 구비되게 하여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고, 또 종자이송판(5)은 중앙에는 톱니판(2)의 육각돌출부(21) 외곽에서 결합 되는 육각홈부(50)를, 원주면에는 낱알의 종자가 끼워지는 종자홈(51)을 구비되게 하여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고, 또 덮개판(6)은 상기 분리격판(3)의 홈부(30)에 끼워지는 돌출부(60)를 구비하여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게 된다.
상기의 각 부품요소들은 투명소재로 하게 되면 투시상태가 되어 본체(1)의 종자수납통(10)에 수납하는 종자(102)가 파종지점인 육묘상자(103)의 폿트홈(104)에 낙하되는 전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각 부품은 상기 본체(1)에 구비한 요홈(13) 중앙의 돌출핀(12)에 톱니판(2)의 축공(22)을 끼우고, 본체(1)의 요홈(13)에 분리격판(3)을 끼워 피스(7)로 본체(1)와 분리격판(3)을 조립하고, 상기 분리격판(3) 외측으로 가이드판(4)을 끼우고, 가이드판(4) 내측에 위치하는 톱니판(2)의 육각돌출부(21)에 종자이송판(5)의 육각홈부(50)를 끼우고, 분리격판(3)의 홈부(30)에 덮개판(6)의 돌출부(60)를 끼워서 피스(8)로 본체(1)에 조립하면 도1 및 도2와 같은 종자 파종기가 구성된다.
또 상기에서 본체(1)의 요홈(13) 내측에 위치하는 톱니판(2)과 종자이송판(5)은 육각돌출부(21)와 육각홈부(50)에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본체(1) 요홈(13)의 돌출핀(12)에 지지되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종자 파종기는 도4 및 도6과 같이 종자수납통(10)에 파종할 종자(102)를 수납한 후 종자수납통 마개(100)를 닫고, 도5의 (가)와 같이 종자파종기 하방으로 돌출되는 톱니(20)가 상기 육묘상자(103)에 상토(105)가 채워진 폿트홈(104)의 상부 주연에 걸림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키고 밀게 되면 톱니판(2)과 종자이송판(5)은 육각돌출부(21)와 육각홈부(50)에서 한 몸통으로 조립상태로 회전하면서 종자이송판(5)의 종자홈(51)에 끼워진 종자(102)가 톱니(20)지점에서 도5의 (나)도와 같이 육묘상자(103)의 폿트홈(104) 위에 낙하 되어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6과 같이 본체(1)의 종자수납통(10)에 수납된 종자(103)는 종자수납통(10)의 벽면(10a) 하방에 구비된 종자통로(11)를 거쳐 가이드판(4)의 종자 유치공간(40)에 유치되었다가 하방에 위치하는 종자이송판(5)의 종자홈(51)에 낱알 1개씩 수납이 이루어져 도5의 (가) 및 (나)도와 같이 톱니판(2)의 톱니(20)가 육묘상자(103)의 폿트홈(104)에 걸려 톱니(20)가 1개씩 이동되는 지점마다 폿트홈(104)의 상토(105) 위에 종자(102)를 낙하하게 된다.
상기에서 종자이송판(5)의 종자홈(51)은 파종하는 종자의 규격에 따라 크기(두께와 홈)를 다르게 하고 여러개를 구비하면 종자의 종류에 따라 종자이송판(5)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종자파종기는 본체(1)의 하부변에 가이드판(101)을 피스(7)로 조립하게 되면 가이드판(101)에 의해서 하부변이 길어지므로 육묘상자(103)의 폿트홈(104) 상면에 안착시켜 종자파종기를 밀거나 당겨서 파종할 때 종자파종기가 육묘상자에서 이탈되거나 불량 파종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조립봉에 상기 종자파종기 본체(1)의 조립공(106)을 끼워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봉에 종자파종기를 복수개를 조립하고, 육묘상자(103)의 폿트홈(104)에 위치시켜서 파종작업을 수행하면 톱니(20) 1개의 이동으로 복수개의 종자가 복수개의 폿트홈에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육묘상자의 폿트홈마다 낱알 1개씩을 파종하는 작업에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종자파종기를 레일 위에 복수개를 설치하고 폿트홈에 상토를 채운 육묘상자를 통과시키면 자동으로 파종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파종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5의 (가)도는 파종기의 톱니가 폿트의 턱에 걸림 상태를 보인 예시도
(나)도는 파종기의 톱니가 폿트의 턱을 벗어난 파종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본체 2 : 톱니판
3 : 분리격판 4 : 가이드판
5 : 종자이송판 6 : 덮개판
7, 8 : 피스 10 : 종자수납통
11 :종자통로 12 : 돌출핀
13 : 요홈 20 : 톱니
21 : 육각돌출부 22 : 축공
30 : 홈부 40 : 종자 유치공간
41 : 벽면 50 : 육각홈부
51 : 종자홈 60 : 돌출부

Claims (1)

  1. 본체(1)와, 톱니판(2)과, 분리격판(3)과, 가이드판(4)과, 종자이송판(5)과, 덮개판(6)의 조립으로 종자파종기를 구성하되 상기 본체(1)는 상부에는 종자수납통(10)을, 상기 종자수납통(10)의 벽면(10a) 하방에는 종자통로(11)를, 상기 종자통로(11) 하측의 요홈(13) 중앙에는 돌출핀(12)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에서 톱니판(2)은 원주면에는 등간격으로 톱니(20)를, 중앙의 축공(22) 외곽에는 육각돌출부(21)를 형성하여서 구성하고, 상기에서 분리격판(3)은 본체(1) 요홈(13)의 돌출핀(12)에 톱니판(2)의 축공(22)을 끼워 조립할 때 톱니판(2)의 작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요홈(13)에 수납되게 외측에는 홈부(3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에서 가이드판(4)은 본체(1)의 종자통로(11)를 통하여 낙하되는 종자를 종자 유치공간(40)과 종자이송판(5)의 외측에서 종자를 가이드 하는 벽면(4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에서 종자이송판(5)은 중앙에는 톱니판(2)의 육각돌출부(21)에 끼워지는 육각홈부(50)를 구비하고, 원주면에는 종자가 끼워지는 종자홈(51)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덮개판(6)은 상기 분리격판(3)의 홈부(30)에 끼워지는 돌출부(60)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에 구비한 요홈(13) 중앙의 돌출핀(12)에 톱니판(2)의 축공(22)을 끼우고 본체(1)의 요홈(13)에 분리격판(3)을 끼워 피스(7)로 본체(1)와 분리격판(3)을 조립하고, 상기 분리격판(3) 외측으로 가이드판(4)을 끼우고, 가이드판(4) 내측에 위치하는 톱니판(2)의 육각돌출부(21)에는 종자이송판(5)의 육각홈부(50)를 끼우고, 분리격판(3)의 홈부(30)에는 덮개판(6)의 돌출부(60)를 끼우고 피스(8)로 본체(1)에 조립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종자 파종기
KR2020090011242U 2009-08-28 2009-08-28 종자 파종기 KR200463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42U KR200463122Y1 (ko) 2009-08-28 2009-08-28 종자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42U KR200463122Y1 (ko) 2009-08-28 2009-08-28 종자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32U KR20110002232U (ko) 2011-03-08
KR200463122Y1 true KR200463122Y1 (ko) 2012-10-18

Family

ID=4420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42U KR200463122Y1 (ko) 2009-08-28 2009-08-28 종자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1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78A (ko) 2021-12-13 202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예용 펀칭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988A (ja) 1997-12-16 1999-06-29 Iseki & Co Ltd 培地装填装置と培地装填方法
KR200273047Y1 (ko) 2002-01-15 2002-04-20 주식회사 명성 옥수수 씨앗 배출장치
KR100395726B1 (ko) 2001-06-16 2003-08-27 용 무 김 종자 봉입기의 종자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988A (ja) 1997-12-16 1999-06-29 Iseki & Co Ltd 培地装填装置と培地装填方法
KR100395726B1 (ko) 2001-06-16 2003-08-27 용 무 김 종자 봉입기의 종자 공급장치
KR200273047Y1 (ko) 2002-01-15 2002-04-20 주식회사 명성 옥수수 씨앗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78A (ko) 2021-12-13 202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예용 펀칭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32U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143B1 (ko) 육묘용기
Grewal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actor operated inclined plate metering device for onion seed planting
JP5319449B2 (ja) 種蒔き装置
KR20130003824A (ko) 식물재배용기
KR100724810B1 (ko) 반자동 육묘 파종기
KR200463122Y1 (ko) 종자 파종기
CN101617583A (zh) 超级水稻毯状苗盘育秧精密播种机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CN201029341Y (zh) 水稻秧苗育秧盘
KR20140142482A (ko) 육묘용 파종기
KR20140045633A (ko) 점직파에 3cm 배토기
JP5525666B1 (ja) 栽培用土充填済みソイルブロックと、植物栽培方法と、ソイルブロック栽培植物
JP2007166973A (ja) 接木苗用の育苗トレイとそれを用いた栽培方法
CN219068899U (zh) 一种棉花放苗器
CN219046694U (zh) 一种用于播种机的排种机构
KR20120129403A (ko) 마늘 파종기의 파종장치
RU2009149476A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овощных культур
KR101851156B1 (ko) 씨감자 재배 장치
KR200389538Y1 (ko) 새싹채소재배용기
CN205213371U (zh) 用于马铃薯微型薯播种的扣碗式播种机
MX2014000654A (es) Proceso para la siembra de mini esquejes de caña y/u otras especies similares.
JP6720782B2 (ja) 混植苗の作成方法
JP6285886B2 (ja) 育苗ポット及び育苗方法並びにユニット型土付き苗
Vișan et al. Current stage of development of nutritive cubes seedling equipments.
WO2014182151A1 (en) Single seedling nursery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