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91Y1 -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891Y1
KR200462891Y1 KR2020110007909U KR20110007909U KR200462891Y1 KR 200462891 Y1 KR200462891 Y1 KR 200462891Y1 KR 2020110007909 U KR2020110007909 U KR 2020110007909U KR 20110007909 U KR20110007909 U KR 20110007909U KR 200462891 Y1 KR200462891 Y1 KR 200462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door lock
indoor unit
magn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배
Original Assignee
(주)혜강씨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강씨큐리티 filed Critical (주)혜강씨큐리티
Priority to KR2020110007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8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의 설치 각도나 실내기의 설치 각도에 무관하게 항상 정확하게 작동하여 작동의 신뢰성이 높으며 단 하나의 홀소자만으로 어느 각도에서나 잠금 위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 상방에 커버를 설치하고, 커버 저면에 자석을 설치하되, 자석의 중심과 디지털 도어록 실내기 전방 내부에 설치된 홀소자와, 돌출고리의 통공 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와 실내기의 결합 각도에 불문하고 스트라이커에 설치된 자석의 중심과 홀소자가 정확하게 일치되는 것이어서 문의 개폐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단 하나의 홀소자만을 사용하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컴팩트화된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Opening and Closing Sensing Structure of Digital Door Lock}
본 고안은 가정이나 각종의 업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디지털 도어록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데드볼트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이상 발생 시 이를 경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3058호(도어록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 지지구조; 이하 '인용고안1'이라 함)에서 공지 기술로 개시된 내용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는 도1로 보인 바와 같이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데드볼트(32)를 갖는 모티스(30)를 구비한다.
아울러, 이에는 데드볼트(32)를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모티스(30)는 도어(D)에 내장되는 하우징(30a)과, 하우징(30a)에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30a)으로부터 출몰 가능한 데드볼트(32)와, 데드볼트(32)를 운동시키는 작동레버(36)를 구비한다. 여기서, 데드볼트(32)는 하우징(30a)으로부터 돌출되면서 도어프레임(F)에 설치된 걸쇠(40)에 록킹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용고안1에서는 도어(D)가 개방되었는가 또는 폐쇄되었는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구비하며, 이는 걸쇠(4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자석(52)과, 자석(52)과 대응되도록 모티스(30)에 장착되는 자석센서(54)로 구성된다.
특히, 자석센서(54)는 도어(D)가 닫혀 폐쇄됨에 따라 걸쇠(40)에 장착되는 자석(52)과 정렬되도록 구성되며, 정렬된 자석(52)의 자장을 감지하여 도어(D)가 닫혀 폐쇄되었음을 감지한다.
한편, 도어(D)의 폐쇄를 감지한 자석센서(54)는, 감지된 신호를 콘트롤러 로 입력시킴으로써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데드볼트(32)를 운동시키며, 따라서 도어(D)를 자동으로 록킹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용고안1에 의하면 요입 된 걸쇠(이하 "스트라이커"라 함)를 사용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문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각도로 개방되는 문에 설치하기 위하여 도2,3 및 도4,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고리가 형성된 스트라이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는 도2,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일반문에 사용하기 위하여 스트라이커의 돌출고리 형성방향과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가 동일 평면상으로 되는 것으로, 스트라이커의 몸체에 매설된 자석과 실내기의 전방 내부에 설치한 홀소자가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아울러, 소위 양개문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도4,5로 보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와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경우에는 스트라이커의 몸체에 매설된 자석과 실내기의 전방 내부에 설치되는 홀소자가 마주 보도록 일직선 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홀소자에 추가하여 직각이 되도록 2개의 홀소자를 설치하여 한다.
이와 같이 2개 각도로 설치되는 형태는 최소 2개의 홀소자로 구성된 홀소자 어셈블리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종래의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에서는 데드볼트가 물리는 스트라이커와 실내기의 설치 가능 각도 갯수에 상응하는 수의 홀소자로 구성된 홀소자 어셈블리를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소요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고, 이로 인하여 실내기의 컴팩트화 설계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와 실내기 간의 물림 각도가 설계된 각도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자석과 홀소자 간의 간격이 부적절하게 되어 오동작을 발생시키므로 작동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트라이커의 설치 각도나 실내기의 설치 각도에 무관하게 항상 정확하게 작동하여 작동의 신뢰성이 높으며 단 하나의 홀소자만으로 어느 각도에서나 잠김 위치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를 제안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스트라이커 상방에 추가로 커버를 설치하고, 커버 저면에 자석을 설치하되, 자석의 중심과 디지털 도어록 실내기 전방 내부에 설치된 홀소자와, 돌출고리의 통공 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하여서 된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와 실내기의 결합 각도에 불문하고 스트라이커에 설치된 자석의 중심과 홀소자가 정확하게 일치되는 것이어서 문의 개폐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다양한 용도에 여러 형태로 사용되더라도 작동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단 하나의 홀소자만을 사용하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단 하나의 홀소자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실내기의 컴팩트화된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도어록의 도어 개폐 감지장치 지지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2는 종래의 일반문에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를 설치한 경우의 홀소자 어셈블리 배치를 보인 설명도.
도3은 종래의 일반문에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를 설치한 경우의 디지털 도어록 실내기 물림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는 종래의 양개문에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를 설치한 경우의 홀소자 어셈블리 배치를 보인 설명도.
도5은 종래의 양개문에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를 설치한 경우의 디지털 도어록 실내기 물림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스트라이커를 일반문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스트라이커를 양개문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8은 본 고안의 개념을 도시한 것으로 스트라이커의 자석 및 홀소자, 스트라이커의 통공 중심이 일치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9는 본 고안을 일반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을 일반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1은 본 고안을 일반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12는 본 고안을 양개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3은 본 고안을 양개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4는 본 고안을 양개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15는 본 고안을 경사각으로 시공된 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6은 본 고안을 경사각으로 시공된 문에 적용한 잠금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일반문에 사용할 수 있는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10)와 도7로 보인 바와 같은 양개문에 사용할 수 있는 돌출고리형 스트라이커(10)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스트라이커(1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8의 종단면도로 보인 바와 같이 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1)을 몸체에 복수개 형성하고, 몸체와 직각으로 통공(12)을 구비한 돌출고리(13)를 복수개 형성하여서 된 공지의 스트라이커(10)와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20) 전방 내측에 홀소자(21)를 설치하여서 된 공지의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10) 상방에 커버(14)를 설치하고, 커버(14) 저면에 자석(15)을 설치하되, 도8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고리(13)의 커버(14)에 설치된 자석(15)의 중심과, 실내기(2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단 하나의 홀소자(21) 위치와, 돌출고리(13)의 통공(12) 중심이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을 일반문에 적용한 실제의 장착 상태를 도9,10,11로 보였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 형성방향과 실내기(20)의 설치방향이 동일 평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문이 열린 상태에서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와 디지털 도어록 실내기(20)의 데드볼트(22)가 분리되어 있다가 문을 닫으면 실내기(20)와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 돌출 방향이 같은 평면상으로 물리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닫힘 상태에서 도10에 이점쇄선으로 보인 자석(15)이 커버(14)에 매설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며, 자석(15)의 중심 직하방에 실내기(2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홀소자(21)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홀소자(21)의 고정상태를 절개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홀소자(21)가 스트라이커(10) 커버(14)에 설치된 자석(15)의 중심 위치 직 하방에 있게 되면 홀소자(21)에서 자력 검출에 의한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구동 모터(도면에는 미도시함)를 작동시켜 데드볼트(22)를 하강시킴으로써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은 잠김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일반문인 경우에 스트라이커(10)의 자석(15) 위치 중심 직 하방에 실내기(2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홀소자(21)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정확한 잠김 위치임을 감지하여 잠금 동작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을 양개문에 적용한 상태를 도12,13,14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와 디지털 도어록 실내기(20)의 데드볼트(22)가 분리되어 있다가 문을 닫으면 실내기(20)의 전방 부분과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가 세워진 방향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닫힘 상태에서 도13에 점선으로 보인 자석(15)이 커버(14)에 매설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도 자석(15)의 중심 직하방에 실내기(2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홀소자(21)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홀소자(21)의 고정상태를 절개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도 본 고안은 홀소자(21)가 스트라이커(10)의 커버(14)에 설치된 자석(15)의 중심 위치 직하방에 있게 되어 홀소자(21)에서 자력 검출에 의한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도면에는 미도시함)를 작동시켜 데드볼트(22)를 하강시킴으로써 도13로 보인 바와 같은 잠김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14로 보인 바와 같이 양개문인 경우에 스트라이커(10)의 자석(15) 위치 중심 직 하방에 실내기(2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홀소자(21)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정확한 잠김 위치임을 감지하여 잠금 동작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10)가 일반문이거나 양개문이어서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 돌출각도가 실내기(20)가 같은 평면으로 배치되거나 직각으로 배치되는 모든 경우에 스트라이커(10)의 커버(14)에 설치된 자석(15) 위치 중심 위치와 실내기(2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홀소자(21)의 위치 그리고 스트라이커(10)의 통공(12) 중심 위치가 모두 일치하게 되어 정확한 잠김 감지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어서 실내기(20) 작동의 신뢰성이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15 및 도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 각도와 실내기(20)가 같은 평면이거나 직각이 아닌 사선상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실내기(20)의 전방 내측의 홀소자(21)와 커버(14)의 자석(15) 중심 그리고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 통공(12) 중심이 일정하므로 각도가 다양한 각종의 설치 환경에서도 홀소자(21)는 잠김 위치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신뢰성 높은 데드볼트(22) 잠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트라이커(10)의 돌출고리(13) 설치 각도와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20) 설치 각도가 상이한 많은 경우에 단 하나의 홀소자(21)만으로 잠김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신뢰성 높은 동작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8의 부분확대도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14)의 내측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에 자석(15)을 매설하며 그 하방에 시트지(16)를 접착시켜 자석(15)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도10의 확대도로 보인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20)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홀소자(21)가 수평으로 되고, 그 양측을 가이드(23)가 고정시켜 줌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공지된 여러 요소들을 다양하게 결합시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스트라이커 11:고정공
12:통공 13:돌출고리
14:커버 15:자석
16:시트지 20:실내기
21:홀소자 22:데드볼트
23:가이드

Claims (3)

  1. 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을 몸체에 복수개 형성하고, 몸체와 직각으로 통공을 구비한 돌출고리를 복수개 형성하여서 된 스트라이커와,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 전방에 홀소자를 설치하여서 된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상방에 커버를 설치하고, 커버 저면에 자석을 설치하되, 상기 돌출고리의 커버에 설치된 자석의 중심과, 실내기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단 하나의 홀소자 위치와, 돌출고리의 통공 중심이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에 자석을 매설하며, 상기 요입홈의 하방에 시트지를 접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홀소자가 수평으로 되고, 상기 홀소자의 양측을 가이드로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KR2020110007909U 2011-08-31 2011-08-31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KR200462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909U KR200462891Y1 (ko) 2011-08-31 2011-08-31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909U KR200462891Y1 (ko) 2011-08-31 2011-08-31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891Y1 true KR200462891Y1 (ko) 2012-10-09

Family

ID=4756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909U KR200462891Y1 (ko) 2011-08-31 2011-08-31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8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009B1 (ko) 2013-02-14 2013-06-04 (주)혜강씨큐리티 출입 알림 차임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5Y1 (ko) 2002-10-21 2003-01-14 (주)아거스 개폐감지용 도어록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5Y1 (ko) 2002-10-21 2003-01-14 (주)아거스 개폐감지용 도어록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009B1 (ko) 2013-02-14 2013-06-04 (주)혜강씨큐리티 출입 알림 차임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2969B (zh) 用於門之鎖總成及其感測器總成
CN104126047B (zh) 具有集成式门位置传感器的门锁
US20140159383A1 (en) Alignment-related operation and position sensing of electronic and other locks and other objects
AU2012225189B2 (en) A lock assembly
KR102229582B1 (ko) 도어의 개폐상태 감지장치
US20150191948A1 (en) Digital door lock device
WO2011041830A1 (en) Improved electric strike and combination with improved lock assembly
WO2019106184A1 (en) Hatch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KR200462891Y1 (ko) 디지털 도어록의 개폐 감지 구조
US20150159411A1 (en) Fastening bolt and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fastening bolt
KR20130134773A (ko) 차량의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 조립체
ITPD20050079A1 (it) Serratura
CN105380541B (zh) 具有闭锁装置的厨用设备
KR101367639B1 (ko) 디지털 도어락장치
JP2020021624A (ja) ロック機構付き安全スイッチ
US20200071966A1 (en) Lock
RU26467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зиции задвижки замка
JP2008255650A (ja) クレセントセンサーユニット
WO2017008104A1 (en) A magnetic field generator for use in a locking arrangement
KR200465216Y1 (ko) 디지털 도어락을 위한 도어틀 장착기구
JP2015125918A (ja) 建具用開閉検知装置
WO2019001395A1 (zh) 一种锁开关机构、锁总成及自行车
KR101369400B1 (ko) 도어락의 손잡이 축 연결을 위한 구동조립체
KR101965692B1 (ko)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KR102318848B1 (ko) 도어락의 클러치 모듈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