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21Y1 - 볼록 수채통 - Google Patents

볼록 수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21Y1
KR200462721Y1 KR2020100010071U KR20100010071U KR200462721Y1 KR 200462721 Y1 KR200462721 Y1 KR 200462721Y1 KR 2020100010071 U KR2020100010071 U KR 2020100010071U KR 20100010071 U KR20100010071 U KR 20100010071U KR 200462721 Y1 KR200462721 Y1 KR 200462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water
convex
drain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447U (ko
Inventor
이가연
Original Assignee
이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가연 filed Critical 이가연
Priority to KR2020100010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2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록 수채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는 상부거름망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이물질은 걸러지되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물통과틈새가 형성된 볼록부가 구비됨으로써 물이 통과되고 난 후 남아 있는 이물질만 제거하면 되므로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이 배수구에 들어가지 않아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볼록 수채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은,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도록 배수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채통에 있어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상부거름망과, 상기 상부거름망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배수구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플랜지가 형성되며, 이물질은 걸러지되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물통과틈새가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기 배수구에 지지되도록 상기 볼록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길게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연장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록 수채통{CONVEX FILTERING APPARATUS}
본 고안은 볼록 수채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는 상부거름망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이물질은 걸러지되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물통과틈새가 형성된 볼록부가 구비됨으로써 물이 통과되고 난 후 남아 있는 이물질만 제거하면 되므로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이 배수구에 들어가지 않아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볼록 수채통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물질 거름망은 그 소재와 구성이 원통형의 경질의 플라스틱재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거름망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거름망을 들어올려 뒤집어서 이물질을 털어내야 하기 때문에 하수구나 배수구를 청소해야 하는 경우에는 젖은 이물질이 손에 닿기 때문에 아주 불편하였다.
또한, 이물질 거름망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물질 거름망의 입구 부분을 아래로 향하게 해서 바닥에 타격을 가해야 했는데 그때 이물질 등이 사방으로 튀고, 그 이물질 거름망 내부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또다시 불결한 상태로 방치해 사용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함으로써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는 상부거름망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이물질은 걸러지되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물통과틈새가 형성된 볼록부가 구비됨으로써 물이 통과되고 난 후 남아 있는 이물질만 제거하면 되므로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이 배수구에 들어가지 않아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볼록 수채통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은,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도록 배수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채통에 있어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상부거름망과, 상기 상부거름망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배수구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플랜지가 형성되며, 이물질은 걸러지되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물통과틈새가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기 배수구에 지지되도록 상기 볼록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길게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연장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은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는 상부거름망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이물질은 걸러지되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물통과틈새가 형성된 볼록부가 구비됨으로써 물이 통과되고 난 후 남아 있는 이물질만 제거하면 되므로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이 배수구에 들어가지 않아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시시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록 수채통은 물(W)에 포함된 이물질(G)을 거르도록 배수구(D)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채통에 관한 것으로 상부거름망(10)과, 볼록부(20)와, 지지연장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거름망(10)은 이물질(G)을 걸러낼 수 있는 것으로 물(W)은 통과시키고 이물질(G)은 걸러내어 이물질(G)이 상기 배수구(D)로 통과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거름망(10)은 이물질(G)은 걸러내고 물(W)은 통과될 수 있는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거름망(10) 위로 이물질(G)이 놓여지는 경우 이물질(G)은 상기 배수구(D)로 통과되지는 못하지만 이물질(G)에서 나오는 물(W)은 상기 배수구(D)로 통과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록부(20)는 상기 상부거름망(10)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플랜지(21)와, 물통과틈새(22)가 구비된다.
종래의 거름망의 구조는 상기 배수구(D)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구비되어 물(W)은 통과되고 이물질(D)은 거름망에 걸러지는 구조인 반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부거름망(10)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볼록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물(W)은 통과되지만 이물질(G)은 상기 배수구(D)로 통과되지 못하고 이물질(G)만 내부에 남아 있게 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거름망 내부의 이물질(G)을 제거하기 위해서 거름망을 들어올려 뒤집어서 이물질(G)을 털어내야 했기 때문에 물(W)이 사방으로 튐은 물론 물(W)에 젖은 이물질(G)이 손에 닿게 되어 아주 불편했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부거름망(10)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볼록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수구(D)로 물(W)은 통과되지만 이물질(G)은 통과되지 못하고 내부에 남아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D)로 통과되지 못하고 내부에 남아있는 이물질(G)만 제거하면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G)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플랜지(21)는 상기 배수구(D)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볼록부(20) 하단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거름망(10)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상기 볼록부(20) 하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수구(D)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걸림되어 물(W)은 통과시키고 이물질(G)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듯, 상기 배수구(D)의 가장자리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D)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걸림플랜지(21)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G)이 상기 배수구(D)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이물질(G)만을 제거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이물질(G)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통과틈새(22)는 이물질(G)은 걸러지되 물(W)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물(W)의 수위가 상기 상부거름망(10)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상부거름망(10)을 통해 물(W)은 통과하게 되지만, 물(W)의 수위가 상기 상부거름망(10)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상부거름망(10)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볼록한 형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거름망(10)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한 물(W)은 내부에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즉, 상기 물통과틈새(22)는 내부에 남아 있는 물(W)을 상기 배수구(D)로 통과시키기 위해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물질(G)은 걸러지고 물(W)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이물질(G)에 의해 상기 상부거름망(10)을 통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남아있는 물(W)은 상기 물통과틈새(22)를 통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통과틈새(22)는 상기 배수구(D) 내부로 이물질(G)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이물질(G)은 걸러내고 물(W)은 통과될 수 있는 틈새로 구비될 수도 있겠지만 전술한 상기 상부그물망(10)에서와 같이 그물망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지지연장구(30)는 상기 배수구(D)에 지지되도록 상기 볼록부(20) 하부방향으로 길게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D)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말한다. 즉, 상기 지지연장구(30)는 상기 상부거름망(10)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볼록부(2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길게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D)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배수구(D)에 지지 및 고정됨으로써 움직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물(W)에 포함된 이물질(G)은 걸러낼 수 있는 상기 상부거름망(10)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이물질(G)은 걸러지되 물(W)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물통과틈새(22)가 형성된 볼록부(20)가 구비됨으로써 물(W)이 통과되고 난 후 남아 있는 이물질(G)만 제거하면 되므로 효과적으로 이물질(G)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G)이 상기 배수구(D)에 들어가지 않아 위생적이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볼록 수채통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거름망
20 볼록부
21 걸림플랜지
22 물통과틈새
30 지지연장구

Claims (1)

  1.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도록 배수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채통에 있어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상부거름망과;
    상기 상부거름망에서 하부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배수구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플랜지가 형성되며, 이물질은 걸러지되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테이퍼진 하단부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물통과틈새가 형성되는 볼록부와;
    상기 배수구에 지지되도록 상기 볼록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길게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연장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록 수채통.
KR2020100010071U 2010-09-30 2010-09-30 볼록 수채통 KR200462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71U KR200462721Y1 (ko) 2010-09-30 2010-09-30 볼록 수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71U KR200462721Y1 (ko) 2010-09-30 2010-09-30 볼록 수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47U KR20120002447U (ko) 2012-04-09
KR200462721Y1 true KR200462721Y1 (ko) 2012-09-28

Family

ID=4660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71U KR200462721Y1 (ko) 2010-09-30 2010-09-30 볼록 수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47U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2433B2 (ja) シンク台用排水装置
JP2008025105A (ja)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のヘアキャッチャー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KR101470259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0490309Y1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KR200462721Y1 (ko) 볼록 수채통
US7553425B2 (en) Screen for swimming pool skimm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65457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101225447B1 (ko) 걸름망
KR20120111553A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CN103479252A (zh) 一种新型淘米器
CN210238204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的过滤装置
KR102264471B1 (ko) 욕실 바닥 배수구용 거름망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190065526A (ko) 오물홈 볼록 돌기 배수구
KR100752292B1 (ko) 마개가 달린 폽업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CN202893060U (zh) 一种过滤系统的过滤器和通透手柄
JP6691282B2 (ja) 排水口用ヘアキャッチャー
TWI591237B (zh) Deodorant cut device
CN215777821U (zh) 洗地机的污水箱结构以及洗地机
JP6338236B2 (ja) 内部式濾過装置
CN215962405U (zh) 组合式过滤组件及洗菜盆
CN208726843U (zh) 一种伞状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