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19Y1 - 샴푸용 빗 - Google Patents

샴푸용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19Y1
KR200462619Y1 KR2020110005940U KR20110005940U KR200462619Y1 KR 200462619 Y1 KR200462619 Y1 KR 200462619Y1 KR 2020110005940 U KR2020110005940 U KR 2020110005940U KR 20110005940 U KR20110005940 U KR 20110005940U KR 200462619 Y1 KR200462619 Y1 KR 200462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shampoo
hair
cleaning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원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05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0Combs specially adapted for removing dirt or grea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Cosmetic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샴푸용 빗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샴푸의 두발 도포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두발과 두피의 이물질과 때를 손쉽게 제거하면서도, 샴푸 후, 빗살 사이사이 및 빗 전체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샴푸용 빗 특히, 물 없이 사용하는 샴푸용 빗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부(11)와 빗살부(12)로 이루어진 샴푸용 빗(10)에 있어서, 일측 단에 중공부(12b)를 갖는 빗살(12a)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 마련된 빗살부(12); 상기 빗살부(12)의 중공부(12b)를 관통하여 착탈되어지되, 두발에 대한 마찰면(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13b)을 갖는 세정부(13);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빗살부(12)에 두발에 대한 마찰면(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13b)을 갖는 세정부(13)를 착탈 사용함으로써, 샴푸의 두발 도포력을 향상시켜 두발과 두피의 이물질과 때를 손쉽게 제거하면서도, 샴푸 후, 빗살 사이사이 및 빗 전체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고안은 세정부(13)에 샴푸성분을 충진시킴으로써, 빗질 과정에서 두발 및 두피에 샴푸가 도포되어지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샴푸용 빗{COMB FOR SHAMPOO}
본 고안은 샴푸용 빗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샴푸의 두발 도포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두발과 두피의 이물질과 때를 손쉽게 제거하면서도, 샴푸 후, 빗살 사이사이 및 빗 전체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샴푸용 빗 특히, 물 없이 사용하는 샴푸용 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모발은 신진대사에 의해 분비되는 땀과 각종 피지에 의하여 더럽혀진다. 특히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각종공해로 인한 먼지와 외부 자극에 의해서 더욱 모발이 불결해지게 된다. 이렇게 더럽혀진 모발은 통상 샴푸를 통하여 세정한다.
종래, 샴푸는 세척력과 기포력을 갖게 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보조세정과 가용화 효능을 갖게 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그리고 pH 조절제, 점도 조정제(점증제), 방부제, 물로 구성되는 샴푸 베이스 성분과, 여기에 선택적으로 컨디셔닝제, 보습제, 향료, 색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서 된 것이며, 특히 주성분을 구성하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전체 샴푸 조성물 중에서 40 ~ 50중량%, 물의 함량은 45 ~ 55중량%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종래의 샴푸(샴푸 조성물)는 높은 점도를 갖는 페이스트(paste) 상의 제형을 갖는다. 이에 따라, 펌프 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를 사용하여 모발을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1)먼저, 모발에 물을 적시고, 2)샴푸를 모발에 적용하여 마사지하듯이 비벼 거품을 발생시킨 후, 3)다시 다량의 물로 세척한 다음, 4)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주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샴푸는 위생상태 및 윤기상태는 호전되더라도 세정제의 구성 성분 중 피부 및 모발에 자극적인 계면활성제가 다량(40 ~ 50중량%) 함유되어 있어 특히 민감한 피부와 모발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극적이어서 피부와 모발이 손상되거나 피부에 주름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샴푸는 높은 점도를 갖는 페이스트(paste) 상의 제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반드시 모발에 물을 적셔야 하고, 모발에 샴푸를 바른 다음 거품을 발생시킨 후에는 반드시 다량의 물로 세척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은 샴푸는 병원에 장기 입원하는 환자 및 중환자, 야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군인이나 등산가, 오랜 시간 동안의 여행을 하는 여행가, 그리고 물이 적은 지역, 예를 들어 중국이나 중동과 같이 물이 적은 사막지역의 사람들에게는 모발을 세정하는 데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따르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 세정방법이 번거롭고 거품을 발생시킨 후에는 반드시 다량의 물로 세척을 해야만 한다는 단점 때문에 상기와 같은 환자, 군인, 등산가, 사막지역의 사람들에게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샴푸에는 모발과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습제, 컨디셔닝제 및 모발보호제 등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때 샴푸를 오랫동안 보관 시 보습제 및 컨디셔닝제 등의 혼합에 의해 샴푸의 성질이 변화되어 보전 안정성이 떨어지고, 특히 다량의 물 세척에 의해 기능성 성분(보습제, 컨디셔닝제 등)이 물과 함께 씻겨져 그 약효가 미미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약효가 다하게 되는 등 지속성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물 없이도 사용 가능한 샴푸가 개발되었다.
상기 물 없이 사용 가능한 샴푸는 두발에 샴푸를 도포한 후, 손으로 직접 또는 수건으로 비비거나 빗으로 빗어서 두발 한올 한올과 두피에 골고루 샴푸성분이 작용하도록 한 후, 수건으로 닦아서 마무리한다. 상기에서 손이나 수건으로 비비는 것보다는 빗으로 빗는 것이 두발 및 두피에 더 고르게 작용하게 되므로, 주로 빗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 없이 사용 가능한 샴푸를 두발에 도포한 후, 빗살이 촘촘한 빗으로 빗는 경우, 두발과 두피의 이물질과 때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빗살 사이사이에 이물질과 두피의 각질이 끼워서 잘 세정되지 않는 문제점과 머리카락이 쉽게 빠지게 되므로, 탈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빗살이 넓은 빗으로 빗는 경우, 샴푸 훙 빗의 세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두발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샴푸의 두발 도포력을 향상시켜 두발과 두피의 이물질과 때를 손쉽게 제거하면서도, 샴푸 후, 빗살 사이사이 및 빗 전체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샴푸용 빗 특히, 물 없이 사용하는 샴푸용 빗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빗질을 하는 과정에서 샴푸가 도포되면서 두발 및 두피에 대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샴푸용 빗 특히, 물 없이 사용하는 샴푸용 빗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부(11)와 빗살부(12)로 이루어진 샴푸용 빗(10)에 있어서, 일측 단에 중공부(12b)를 갖는 빗살(12a)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 마련된 빗살부(12); 상기 빗살부(12)의 중공부(12b)를 관통하여 착탈되어지되, 두발에 대한 마찰면(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13b)을 갖는 세정부(13);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세정부(13)에 샴푸성분이 충진되어, 빗질 과정에서 두발 및 두피에 샴푸가 도포되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고안은 빗살부(12)에 두발에 대한 마찰면(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13b)을 갖는 세정부(13)를 착탈 사용함으로써, 샴푸의 두발 도포력을 향상시켜 두발과 두피의 이물질과 때를 손쉽게 제거하면서도, 샴푸 후, 빗살 사이사이 및 빗 전체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고안은 세정부(13)에 샴푸성분을 충진시킴으로써, 빗질 과정에서 두발 및 두피에 샴푸가 도포되어지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발췌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 중 세정부의 단면을 실시예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 단면도.
상기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1)와 빗살부(12)로 이루어진 샴푸용 빗(10)에 있어서, 일측 단에 중공부(12b)를 갖는 빗살(12a)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 마련된 빗살부(12); 상기 빗살부(12)의 중공부(12b)를 관통하여 착탈되면서 두발에 대한 세정면1(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2(13b)를 갖는 세정부(13);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 중 상기 빗살부(12)는 빗살(12a)의 일측 단이 양측으로 만곡 연장된 일부 절결형 링 타입의 빗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빗살(12a)의 만곡 연장되는 양단 각각은 손잡이부(11)로부터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지지대(12c)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빗살부(12)의 중공부(12b)는 세정부(13)가 인서트 되어 고정되는 안착 고정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살(12a)의 선단부는 두피 자극을 위해 요철이 형성된 것 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세정부(13)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재의 블럭체로서, 상기 빗살(12a)의 외주면 중 중공부(12b)와 접하는 부분은 홈이 형성되고 빗살(12a) 사이의 공간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요철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정부(13)에 형성되는 돌기는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일 수도 있고,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돌기일 수도 있고,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일 수도 있으며,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일 수도 있으며, 상기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 반원형의 돌기가 순차적으로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세정부(13)의 돌기 그 자체 또는 돌기 표면에 간격을 두고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13)의 돌기는 빗살(12a) 사이로 노출된 면이 두발에 대한 세정면1(13a)로 작용하고, 빗살(12a)과 접하는 면이 세정부(13)의 착탈 과정에서 빗살부(12) 특히, 중공부(12b) 부분과 마찰하면서 이물질과 때 등을 제거하는 빗살에 대한 세정면2(13b)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세정부(13)에 샴푸성분이 충진되어, 빗질 과정에서 두발 및 두피에 샴푸가 도포되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샴푸성분은 액상일 수도 있고 파우더일 수도 있으며, 세정부(13)의 일예인 스펀지에 액상의 샴푸가 흡수 저장(담지)된 것일 수도 있고, 부직포와 같은 미세 망사체에 파우더 형태의 샴푸가 침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샴푸성분은 약간의 물과 반응하여 세정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13)는 경질의 고정대(13c)가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에 또는 중앙에 일직선으로 고정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고정대(13c)가 세정부(13)의 외부면에 고정될 경우, 고정대(13c)는 상기 빗살부(12)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2c) 사이에 안치되면서 세정부(13)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손잡이부(11)와 빗살부(12)로 이루어진 샴푸용 빗(10)에 있어서, 일측 단에 중공부(12b)를 갖는 빗살(12a)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 마련된 빗살부(12); 상기 빗살부(12)의 중공부(12b)를 관통하여 착탈되면서 두발에 대한 세정면1(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2(13b)를 갖는 세정부(13);를 포함하여서 된다.
여기서, 본 고안 중 상기 빗살부(12)는 빗살(12a)의 일측 단이 양측으로 만곡 연장된 일부 절결형 링 타입의 빗살이며, 상기 빗살(12a)의 만곡 연장되는 양단 각각은 손잡이부(11)로부터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지지대(12c)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빗살부(12)의 중공부(12b)는 세정부(13)가 인서트 되어 고정되는 안착 고정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중공부(12b)가 형성하는 세정부 안착 고정 경로로 세정부(13)를 인서트 시킨다.
그리하면, 세정부(13)의 홈 부분은 빗살부(12)의 중공부(12b) 면에 접하여 끼워지고, 상기 세정부(13)의 돌기 부분은 빗살부(12)의 빗살 사이로 노출되면서 강제로 밀거나 당겨서 착탈하지 않는 한, 빗살부(12)에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세정부(13)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재의 블럭체로서, 상기 빗살(12a)의 외주면 중 중공부(12b)와 접하는 부분은 홈이 형성되고 빗살(12a) 사이의 공간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요철형이다.
이때, 상기 세정부(13)에 형성되는 돌기는 사다리꼴 형상이거나 사각 형상이거나, 삼각 형상이거나, 반원 형상이거나, 사다리꼴/사각형/삼각형/반원형의 돌기가 순차적으로 혼용된 것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된 세정부(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빗살부(12)의 중공부(12b)에 끼워지면서 안착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발에 샴푸를 도포 후,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질을 하게 되면, 빗살(12a)이 두발을 파헤치면서 샴푸를 고르게 분포시킴과 동시에 두피에도 샴푸를 도포한다.
이때, 본 고안의 세정부(13) 중 세정면1(13a) 빗살(12a)에 의해 파헤쳐지는 두발과 마찰 즉, 비비면서 샴푸를 펴 발라주면서 두발의 때를 제거하게 되므로, 샴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세정부(13)의 돌기는 빗살(12a) 사이로 노출된 면이 두발에 대한 세정면(13a)으로 작용함은 물론, 빗살(12a)과 접하는 면이 세정부(13)의 착탈 과정에서 빗살부(12) 특히 중공부(12b) 부분과 마찰하면서 이물질과 때 등을 제거하는 빗살 세정면(13b)으로 작용한다.
즉, 샴푸를 완료한 후, 세정부(13)를 빗살부(12)의 중공부(12b)로 부터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세정부(13)의 돌기 중 세정면2(13b)가 빗살부(12)의 중공부(12b) 부분에 존재하는 샴푸에 의해 발생된 머리카락 및 머리카락에 묻어 있던 먼지나 보풀과 같은 이물질과 두피의 각질 등을 밀어서 때어낸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정부(13)에 샴푸성분이 충진되어, 빗질 과정에서 두발 및 두피에 샴푸가 도포되어지기도 한다.
상기, 샴푸성분은 액상 또는 파우더일 수 있으며, 상기 세정부(13)의 일 예인 스펀지에 액상의 샴푸가 흡수 저장(담지)되거나, 부직포와 같은 미세 망사체에 파우더 형태의 샴푸가 침투 저장된 것이다.
상기, 샴푸성분은 실시예적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에탄올, pH 조절제, 방부제, 그리고 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샴푸(샴푸 조성물) 전체(100중량% 기준) 중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0.5 ~ 12.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0.5 ~ 8.0중량%,에탄올(95wt%의 수용액의 경우)은 1.0 ~ 3.0중량%, pH 조절제는 0.05 ~ 0.1중량%, 방부제는 0.01 ~ 0.05중량%가 함유되고, 나머지는 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샴푸성분은 상기한 함량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성에 따라서도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빗살부(12)에 두발에 대한 마찰면(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13b)을 갖는 세정부(13)를 착탈 사용함으로써, 샴푸의 두발 도포력을 향상시켜 두발과 두피의 이물질과 때를 손쉽게 제거하면서도, 샴푸 후, 빗살 사이사이 및 빗 전체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세정부(13)에 샴푸성분을 충진시킴으로써, 빗질 과정에서 두발 및 두피에 샴푸가 도포되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샴푸성분이 충진된 세정부(13)는 일회용으로 파우치에 수용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샴푸용 빗 11 : 손잡이부
12 : 빗살부 12a : 빗살
12b : 중공부 12c : 지지대
13 : 세정부 13a : 세정면1
13b : 세정면2 13c : 고정대

Claims (3)

  1. 손잡이부(11)와 빗살부(12)로 이루어진 샴푸용 빗(10)에 있어서, 일측 단에 중공부(12b)를 갖는 빗살(12a)이 간격을 두고 다수개 마련된 빗살부(12); 상기 빗살부(12)의 중공부(12b)를 관통하여 착탈되면서 두발에 대한 세정면1(13a)과 빗살부(12)에 대한 세정면2(13b)를 갖는 세정부(13);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용 빗.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부(12)는 빗살(12a)의 일측 단이 양측으로 만곡 연장된 일부 절결형 링 타입의 빗이며, 상기 빗살(12a)의 만곡 연장되는 양단 각각은 손잡이부(11)로부터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지지대(12c)에 일체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용 빗.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13)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재의 블럭체로서, 상기 빗살(12a)의 외주면 중 중공부(12b)와 접하는 부분은 홈이 형성되고 빗살(12a) 사이의 공간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요철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정부(13)에 형성되는 돌기는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 또는 사각형상의 돌기 또는 삼각형상의 돌기 반원형상의 돌기 또는 상기 사다리꼴/사각형/삼각형/반원형의 돌기가 순차적으로 혼용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용 빗.
KR2020110005940U 2011-06-30 2011-06-30 샴푸용 빗 KR200462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40U KR200462619Y1 (ko) 2011-06-30 2011-06-30 샴푸용 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40U KR200462619Y1 (ko) 2011-06-30 2011-06-30 샴푸용 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619Y1 true KR200462619Y1 (ko) 2012-09-20

Family

ID=4755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40U KR200462619Y1 (ko) 2011-06-30 2011-06-30 샴푸용 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162B1 (ko) 2017-11-06 2019-04-24 양인경 헤어제품을 분무 가능한 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578A (ja) 2003-12-25 2005-07-14 Kao Corp 塗布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578A (ja) 2003-12-25 2005-07-14 Kao Corp 塗布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162B1 (ko) 2017-11-06 2019-04-24 양인경 헤어제품을 분무 가능한 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3020B2 (ja) 毛髪洗浄剤
TW201404408A (zh) 裝入無氣體起泡容器之液體洗淨劑
JP5222844B2 (ja) 頭皮毛穴洗浄用ブラシ及び頭皮毛穴洗浄用具
JP4054939B2 (ja) メイクアップ又は皮脂汚れ除去用顔洗浄用シート
CN113766905A (zh) 免冲洗洗发剂组合物
JP6448377B2 (ja) クレンジングローション
KR200466319Y1 (ko) 샴푸용 빗
KR200462619Y1 (ko) 샴푸용 빗
JP6647852B2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KR200467884Y1 (ko) 물 없이 사용되는 샴푸 도포용 빗
JP3793028B2 (ja) 皮膚洗浄用シート
JP4225673B2 (ja) 毛髪化粧料
JP3521217B2 (ja) 洗顔用泡立てネット
JP7309190B2 (ja) 毛髪洗浄剤
JP2017029286A (ja) 頭皮清拭具
US20150289744A1 (en) Sponge equipped with liquid receptacle
JP2016132627A (ja) クレンジングローション
KR20130134112A (ko) 거품형 모발 세정제 조성물
US20180168405A1 (en) Vanity Pillow
JP2020529985A (ja) 清浄化製品
JP3179225U (ja) 石けん水含有タオルセット
JP2002363039A (ja) 頭髪及び頭皮用清拭剤組成物
KR20100104257A (ko) 물없이 헹구는 샴푸 조성물
KR200342807Y1 (ko) 목욕용 세척기
JP3055872U (ja) ブラシの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