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73Y1 -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73Y1
KR200462473Y1 KR2020090016941U KR20090016941U KR200462473Y1 KR 200462473 Y1 KR200462473 Y1 KR 200462473Y1 KR 2020090016941 U KR2020090016941 U KR 2020090016941U KR 20090016941 U KR20090016941 U KR 20090016941U KR 200462473 Y1 KR200462473 Y1 KR 200462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llecting plate
frame
light collecting
receiv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719U (ko
Inventor
강철현
김은영
서준원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6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7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으로 떨어지는 빗물(우수)을 미리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를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식물에 공급하도록 한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격자무늬틀과, 이 격자무늬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플랜트박스가 내설되는, 내부가 직접 보이도록 된 중공형의 개체바디; 태양광 집광판과, 이 태양광 집광판을 통해 축전되는 축전수단이 내설되며, 상기 개체바디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 고정되는 집광판 고정체; 상기 집광판 고정체에 내설되어 내리는 빗물을 받는 우수받이수조; 상기 우수받이수조의 저면에 연결된 우수공급배관을 통해 빗물을 공급받아 상기 플랜트박스에 식재된 식물에 지정된 시간마다 빗물을 공급하는 우수공급노즐;을 포함하는 열주개체가 복수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전수단의 전원을 빗물 공급을 위한 동력으로 사용하여 작동되도록 된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을 제공한다.
열주, 태양광, 자동관수, 빗물, 식물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Colonnade for automatic water supply using sunlight}
본 고안은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으로 떨어지는 빗물(우수)을 미리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를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식물에 공급하도록 한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고급화 및 주거 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아파트 시공시 조경공간의 환경시설물에도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 입구에 고급스럽고 섬세한 디자인의 열주를 설치하거나 아파트 단지 내 정원 공간에 벤치나 파고라, 가로등을 배치하는 등 아파트 이미지의 고급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주는 여러 개의 기둥이 아파트 단지 입구의 길가에 두 줄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줄기둥이라고도 한다.
친환경화 추세에 따라 등록실용신안 제20-0389289호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엘이디 가로등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엘이디를 광원으로 이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 철주의 최상단에는 집열판인 태양전지가 설치되고, 그 직하부로는 광고판넬이 설치되며, 상기 광고판넬의 상면에는 고정브라켓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다수의 지지바가 연결되고, 이 지지바의 단부에는 LED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램프가 설치된다.
그러나, 기존 열주 시설물은 단순히 외부에 그림이나 장식 등의 디자인을 가미한 여러 개의 열주개체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으로, 친환경적인 식물 식재 및 기능 부가 등을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등 주거 환경의 질을 더욱 높이기 위한 시각 효과의 증대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아파트 단지 입구나 옥외 공간에 설치되는 열주개체에서 친환경적으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열주 시설물로서, 내리는 빗물을 미리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를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식물에 공급하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하고 태양광 에너지를 사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없이 자생적으로 유지되도록 한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격자무늬틀과, 이 격자무늬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플랜트박스가 내설되는, 내부가 직접 보이도록 된 중공형의 개체바디; 태양광 집광판과, 이 태양광 집광판을 통해 축전되는 축전수단이 내설되며, 상기 개체바디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 고정되는 집광판 고정체; 상기 집광판 고정체에 내설되어 내리는 빗물을 받는 우수받이수조; 상기 우수받이수조의 저면에 연결된 우수공급배관을 통해 빗물을 공급받아 상기 플랜트박스에 식재된 식물에 지정된 시간마다 빗물을 공급하는 우수공급노즐;을 포함하는 열주개체가 복수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전수단의 전원을 빗물 공급을 위한 동력으로 사용하여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열주개체에 식물을 식재하여 생태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며, 식재한 식물의 원활한 생장을 위해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이를 적절한 시간에 자동으로 식물에 분사함에 있어서 태양광 에너지를 작동전원으로 활용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열주 시설물은 식물 식재를 위한 별도의 유지비용이 감소되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태양광 에너지를 전원으로 활용하여 지정된 시간마다 식물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한 열주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저장된 빗물을 식재한 식물에 적절한 시간에 분사하여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주 시설물을 구성하는 열주개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A-A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주개체의 개체바디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B-B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주 시설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열주개체(100)가 복수 개로 마련되고 두 개의 열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열주개체(100)는 태양광 에너지를 사용하는 친환경 조형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직접 보이도록 된 중공형의 개체바디(110)와, 이 개체바디(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집광판 고정체와, 상기 개체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명 구조틀(160) 및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에 설치되는 태양광 집광판(123)과 축전수단(125) 그리고 상기 조명 구조틀(1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체바디(110)는 직육면체 형상의 기본틀(111)과, 이 기본틀(111)의 네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전개되며 복수 행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가로직선틀(112) 및 세로방향으로 전개되며 복수 열로 연결되는 복수의 세로직선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직선틀(112)과 세로직선틀(113)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혹은 임의적인 간격으로 배열되며 기본틀(111)에 연결되고, 이 가로직선틀(112)과 세로직선틀(113)이 교차됨으로 인해 격자무늬 패턴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에 상기 가로직선틀(112)과 세로직선틀(113) 사이 공간으로 열주개체(100)의 내부가 직접 보이도록 된다.
그리고, 격자 패턴으로 형성된 격자무늬틀(115)이 상기 개체바디(110)의 내 측으로 수평하게 연결 설치되고, 이 격자무늬틀(115)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식물 식재를 위한 플랜트박스(117)가 설치된다.
상기 격자무늬틀(115)은 개체바디(110)의 둘레 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게 복수개로 연결 설치되고, 그 아래에 위치되는 플랜트박스(117)는 개체바디(110)의 내측으로 연결 고정된다.
상기 개체바디(110) 및 격자무늬틀(115)은 철재로 제작하여 용접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고, 반광(50%) 실버도장으로 표면처리하여 심미감을 높이도록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를 개체바디(110)의 상부에 조립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개체바디(110)의 상부에 계단형의 측단면을 가지는 조립부(119)가 구비되고,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의 하부에는 상기 조립부(119)에 상응하는 조립홈(121)이 구비된다.
이에 단순히 상기 조립부(119)를 조립홈(121)의 내측에 접하도록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에 삽입되게 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를 개체바디(110)의 상부에 조립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는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상단면과 하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 표면(네 개의 측면)에 태양광 에너지를 모을 수 있는 태양광 집광판(123)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태양광 집광판(123)을 통해 모은 태양광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축전수단(125), 예를 들어 축전지가 하나 이상 설치되며, 지면으로 내리는 빗물(우수)을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의 개구된 상단부를 통해 받아 저장하는 우수받이수조(127)가 설치된다.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의 저면에는 받아둔 빗물을 식물에게 공급하는 우수공급배관(130)과 받아둔 빗물이 부족할 시 외부로부터 보충받기 위한 우수보급배관(140)이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빗물이 우수받이수조(127)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받아지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우수배출배관(미도시)이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우수공급배관(130)은 우수받이수조(127)의 저면에서부터 지면으로 수직하게 전개되는 센터파이프(131)와, 이 센터파이프(131)와 연결되어 격자무늬틀(115) 위로 전개되는 사이드파이프(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파이프(133)는 개체바디(11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된 격자무늬틀(115)에 의재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이 사이드파이프(133)와 연결된 우수공급노즐(137)을 통해 빗물을 식물에 분사하게 된다.
상기 우수공급노즐(137)은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지정된 시간마다 구동되어 저장해둔 빗물을 상기 플랜트박스(117) 내 식재된 식물에 공급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센터파이프(131)를 통해 흐르는 빗물이 사이드파이프(133)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파이프(133)를 센터파이프(13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강되며 기울어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터파이프(131)의 하단에 연결된 우수저장탱크(150)로 흘러들어가는 우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센터파이프(131)의 하부에 유량조절밸 브(135)를 구비한다.
이에 본 고안은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와 같이 내리는 빗물의 양이 과다한 경우 상기 유량조절밸브(135)를 열림 상태로 하여 상기 우수저장탱크(150)에 빗물을 저장하고, 가뭄이나 건기와 같이 빗물이 부족한 경우 유량조절밸브(135)를 잠금 상태로 하여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에 빗물을 보관되도록 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135)가 열림 상태인 경우 빗물은 우수받이수조(127)에서 흘러 일부는 사이드파이프(133)를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는 센터파이프(131)를 통해 우수저장탱크(150)에 저장되며, 유량조절밸브(135)가 잠금 상태인 경우 빗물은 사이드파이프(133)를 통해서만 배출된다.
상기 우수저장탱크(150)는 심미감을 위해 지면에 매설되고, 가뭄이나 건기와 같이 빗물의 양이 부족한 경우 아파트 단지 내에서 사용하는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파트 단지 내 용수배관(15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에는 우수저장탱크(150)에 저장된 빗물이나 용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129)가 내설되고, 이 펌프(129)는 상기 우수받이수조(127) 내에 설치된 수위계측센서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수위계측센서부가 감지한 우수받이수조(127)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일 경우 상기 펌프(129)가 구동되어 우수저장탱크(15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펌핑하여 우수받이수조(127)에 공급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펌프(129)와 수위계측센서부 및 우수공급노즐(137)과 같이 구동전원이 필요한 장치는 모두 상기 축전수단(125)에서 공급하는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지면에 수직하게 직립된 상기 개체바디(11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는 조명 구조틀(160)은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우수저장탱크(15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조명 구조틀(160)의 내측에는 위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163)가 구비되는데, 이 조명부(163)를 고정하기 위하여 슬레이트석 재질의 조명 지지체(161)가 상기 조명 구조틀(160)의 내부에 장착되고, 이 조명 지지체(161)에 상기 조명부(163)가 삽입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조명부(163)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 내에 설치된 축전수단(125)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고, 식물의 성장을 위해 공급되는 수분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 기능을 가지는 수중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부(163)가 상방으로 조명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조사된 빛이 식재된 식물 및 열주개체(100)를 전체적으로 비추게 되어 고급스럽고 우아한 분위기가 고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열주 시설물은 상기와 같은 열주개체(100)가 복수로 나열되며 구성되는 것으로, 아파트 단지 입구 혹은 정원 공간에 친환경적으로 설치되어 고급스럽고 섬세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일 조형물로서 아파트 단지 내 기둥과 같은 조형물을 친환경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식물 식재를 위한 물을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자동관수시스템이 구비되고, 이러한 자동관수시스템을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작동시켜 식물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추가적인 에너지원의 공급없이 자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조형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에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주 시설물을 구성하는 열주개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A-A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주개체의 개체바디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B-B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열주개체
110 : 개체바디
111 : 기본틀
112 : 가로직선틀
113 : 세로직선틀
115 : 격자무늬틀
117 : 플랜트박스
119 : 조립부
120 : 집광판 고정체
121 : 조립홈
123 : 태양광 집광판
125 : 축전수단
127 : 우수받이수조
129 : 펌프
130 : 우수공급배관
131 : 센터파이프
133 : 사이드파이프
135 : 유량조절밸브
137 : 우수공급노즐
140 : 우수보급배관
150 : 우수저장탱크
160 : 조명 구조틀
161 : 조명 지지체
163 : 조명부

Claims (5)

  1. 직육면체 형상의 기본틀(111)과 상기 기본틀(111)의 네 측면에 각각 복수 행으로 연결 구성되는 가로직선틀(112) 및 이 가로직선틀(112)과 교차하도록 상기 기본틀(111)의 네 측면에 복수 열로 연결 구성되는 세로직선틀(113)로 형성되어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중곡형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는 격자 패턴으로 형성된 격자무늬틀(115)이 수평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자무늬틀(115)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식물 식재를 위한 플랜트박스(117)가 설치되어 있는 개체바디(110);
    태양광 집광판(123)과, 이 태양광 집광판(123)을 통해 축전되는 축전수단(125)이 내설되며, 상기 개체바디(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 고정되는 집광판 고정체(120);
    상기 집광판 고정체(120)에 내설되어 내리는 빗물을 받는 우수받이수조(127);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의 저면에 연결된 우수공급배관(130)을 통해 빗물을 공급받아 상기 플랜트박스(117)에 식재된 식물에 지정된 시간마다 빗물을 공급하는 우수공급노즐(137);
    을 포함하는 열주개체(100)가 복수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전수단(125)의 전원을 빗물 공급을 위한 동력으로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수공급배관(130)을 통해 유동된 빗물이 저장되는 우수저장탱크(150)와, 이 우수저장탱크(150)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여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에 보급하는 펌프(129) 및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에 담긴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펌프(129)를 작동되게 하는 수위계측센서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우수저장탱크(150)로 유동되는 빗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135)가 상기 우수공급배관(130)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에 빗물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받아지면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우수배출배관이 상기 우수받이수조(127)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KR2020090016941U 2009-12-29 2009-12-29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KR200462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41U KR200462473Y1 (ko) 2009-12-29 2009-12-29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41U KR200462473Y1 (ko) 2009-12-29 2009-12-29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19U KR20110006719U (ko) 2011-07-06
KR200462473Y1 true KR200462473Y1 (ko) 2012-09-13

Family

ID=4556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941U KR200462473Y1 (ko) 2009-12-29 2009-12-29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286B1 (ko) * 2010-03-11 2012-06-19 노순옥 자연 순환식 조경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422A (ja) 2001-12-28 2003-07-15 Space Creation:Kk 屋上緑化及び自動灌水システム
WO2009078032A1 (en) 2007-12-18 2009-06-25 Uttamrao Hanumantrao Jadhav An architectural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422A (ja) 2001-12-28 2003-07-15 Space Creation:Kk 屋上緑化及び自動灌水システム
WO2009078032A1 (en) 2007-12-18 2009-06-25 Uttamrao Hanumantrao Jadhav An architectural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19U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9686B2 (ja) 組み立て式造景システム
KR101110374B1 (ko) 친환경 파고라
US20110093122A1 (en) Green Wall Lighting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128470B1 (ko)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1282231B1 (ko)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CN105299577A (zh) 用于盐碱地的多功能绿化灯柱
KR101165704B1 (ko)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가로등장치
WO2015090167A1 (zh) 可移动自给式温室
KR20190037756A (ko) 친환경 파고라
CN205884123U (zh) 移动式室内绿植墙
KR20110117379A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KR101709680B1 (ko) 태양광 발전식 창문 융합형 식물공장 시스템
KR200462473Y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관수용 열주 시설물
KR101225187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옥상 녹화장 구조체
KR20130005255A (ko)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건축구조물
CN108901469A (zh) 一种供蔬菜栽培的社区道路棚架系统
CN212753648U (zh) 一种自动无土栽培绿化一体墙
JPH1142151A (ja) ソーラー式フラワーポールおよびソーラー式植栽壁
WO2009127762A1 (es) Sistema de formación de zonas ajardinadas en paredes
KR20090004025U (ko) 화초재배가 가능한 다리난간 및 그 다리난간의 급수설비시스템
CN208768553U (zh) 一种供蔬菜栽培的社区道路棚架系统
KR101157611B1 (ko) 화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화분 벽돌 시공 조립체
CN205663017U (zh) 一种适用于干旱地区雨水收集的生态景观水池
KR101752603B1 (ko) 능동형 급수 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
CN112040764A (zh) 花卉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