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92Y1 -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 Google Patents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92Y1
KR200462292Y1 KR2020110001109U KR20110001109U KR200462292Y1 KR 200462292 Y1 KR200462292 Y1 KR 200462292Y1 KR 2020110001109 U KR2020110001109 U KR 2020110001109U KR 20110001109 U KR20110001109 U KR 20110001109U KR 200462292 Y1 KR200462292 Y1 KR 200462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ut
nose
fixed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803U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2020110001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9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안경테(5)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용접으로 고정되는 반대쪽 끝 부분에 나사봉부(31)를 가지는 지지금구(30)와;
상기 지지금구(30)의 나사봉부(3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1 너트(20)가 상측으로 매립?고정되고, 코걸이 조립금구(40)의 나사봉부(4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2 너트(20')가 하방부에 매립?고정되며, 상기 제 1 너트와 제 2 너트의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실리콘 지지대(10)와;
상측으로 나사봉부(41)를 가지며 고정나사(51)를 통해 코걸이(50)를 고정시키는 코걸이 조립용 금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Description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Nose-pad Supporter for Glasses}
도1은 본 고안을 안경테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외형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제 1 너트와 제 2 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볼트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은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인의 선 등록 특허 제10-0966841호에서 비롯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상기 선 등록 특허는, 본 고안의 실리콘 지지대(1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사출금형에 의해 제작되는 실리콘 튜브가 구비되되 상기 실리콘 튜브의 상측과 하방부에는 T-형 지지다리가 인서트 고정방식으로 매립?고정되는 타입이다. 여기서 상측의 T-형 지지다리에는 안경테에 고정되는 지지금구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하방의 T-형 지지다리에는 코걸이 조립용 금구가 용접으로 고정이 된다.
그런데, 상기 선 등록 특허의 실리콘 튜브의 상측과 하방에 매립?고정된 T-형 지지다리에 지지금구와 코걸이 조립용 금구를 용접으로 고정시킬 때, 용접으로 고정되는 부분의 직경이 1.5mm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용접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불량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와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조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와 함께 실리콘 튜브의 상측과 하방에 매립?고정되는 T-형 지지다리는 실리콘 튜브 안에서 양호하게 고정이 되지 못하여 회전을 하는 문제가 있어서 결국 코걸이(50)와 코걸이(50)를 고정시키는 코걸이 조립용 금구가 회전을 하기 때문에 코걸이(50)의 위치가 쉽게 변화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선 등록 특허에서 비롯되었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 실시예]
안경테(5)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용접으로 고정되는 반대쪽 끝 부분에 나사봉부(31)를 가지는 지지금구(30)와;
상기 지지금구(30)의 나사봉부(3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1 너트(20)가 상측으로 매립?고정되고, 코걸이 조립금구(40)의 나사봉부(4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2 너트(20')가 하방부에 매립?고정되며, 상기 제 1 너트와 제 2 너트의 사이에는 공 간부(11)가 형성된 실리콘 지지대(10)와;
상측으로 나사봉부(41)를 가지며 고정나사(51)를 통해 코걸이(50)를 고정시키는 코걸이 조립용 금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
안경테(5)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용접으로 고정되는 반대쪽 끝 부분에 나사구멍(31a)을 가지는 지지금구(30a)와;
상기 지지금구(30a)의 나사구멍(31a)에 조립될 수 있는 나사 봉이 상단에 구비된 볼트(20a)가 상측으로 매립?고정되고, 코걸이 조립금구(40)의 나사봉부(4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2 너트(20')가 하방부에 매립?고정되며, 상기 볼트와 제 2 너트의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실리콘 지지대(10)와;
상측으로 나사봉부(41)를 가지며 고정나사(51)를 통해 코걸이(50)를 고정시키는 코걸이 조립용 금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너트(2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에는 나사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너트(2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에는 나사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제 2 실시예에서, 볼트(20a)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a)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a)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a)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a)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a)의 상측에는 나사 봉(2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제 2 너트(2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에는 나사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근거로 살피기로 하는 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실리콘 지지대(10)는, 본 고안에서 제시한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외형과 사이즈가 변화될 수 있으며, 색상 또한 임의로 부여할 수 있는 것임을 밝힌다.
먼저 제1 실시예를 살피면, 상기의 제 1 너트(20)와 제 2 너트(20')가 도 3과 같이 실리콘 지지대(10)의 내부에서 상하로 대칭을 이루도록 매립?고정이 된다. 따라서 사출방식을 통해 실리콘 지지대(10)를 제작하게 되면 실리콘 지지대(10)의 살 부분이 단턱부(21)의 홈(22) 안으로 충진되기 때문에 제 1 너트(20)와 제 2 너트(20')는 실리콘 지지대(10)와 고정력이 크게 상승되므로 실리콘 지지대(10) 안에서 제 1 너트(20)와 제 2 너트(20')는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어 선 등록 특허에서 비롯되었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다음, 제 2 실시예 역시 상기의 볼트(20a)가 실리콘 지지대(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 2 너트(20')는 실리콘 지지대(10)의 하방에 구비가 된다. 그러므로 볼트(20a)와 제 2 너트(2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홈(22)(22a)의 작용에 의해 실리콘 지지대(10) 안에서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면과 같이 제 2 너트(20')의 나사구멍(24) 안으로는 코걸이 조립금구(40)의 나사봉부(41)가 나사 조립이 되며, 제 1 너트(20)의 나사구멍(24) 안으로 지지금구(30)의 나사봉부(31)가 조립되도록 하거나(제 1 실시예) 또는 볼트(20a)의 나사 봉(24a)이 지지금구(30a)의 나사구멍(31a) 안으로 조립이 되도록 한다(제 2 실시예).
따라서 선 등록 특허에 비하여 생산성과 작업성이 크게 상승이 되고 불량의 발생 가능성이 거의 제로화가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너트(20)와 제 2 너트(20') 그리고 볼트(20a)는 그 외면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한 후 금형에 고정을 시키고 사출작업을 통해 실리콘 지지대(10)에 매립?고정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선 등록 특허에서 비롯되었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안경테(5)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용접으로 고정되는 반대쪽 끝 부분에 나사봉부(31)를 가지는 지지금구(30)와;
    상기 지지금구(30)의 나사봉부(3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1 너트(20)가 상측으로 매립?고정되고, 코걸이 조립금구(40)의 나사봉부(4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2 너트(20')가 하방부에 매립?고정되며, 상기 제 1 너트와 제 2 너트의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실리콘 지지대(10)와;
    상측으로 나사봉부(41)를 가지며 고정나사(51)를 통해 코걸이(50)를 고정시키는 코걸이 조립용 금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너트(2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에는 나사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너트(2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에는 나사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4. 안경테(5)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용접으로 고정되는 반대쪽 끝 부분에 나사구멍(31a)을 가지는 지지금구(30a)와;
    상기 지지금구(30a)의 나사구멍(31a)에 조립될 수 있는 나사 봉이 상단에 구비된 볼트(20a)가 상측으로 매립?고정되고, 코걸이 조립금구(40)의 나사봉부(41)가 조립될 수 있는 제 2 너트(20')가 하방부에 매립?고정되며, 상기 볼트와 제 2 너트의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된 실리콘 지지대(10)와;
    상측으로 나사봉부(41)를 가지며 고정나사(51)를 통해 코걸이(50)를 고정시키는 코걸이 조립용 금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5. 제 4 항에 있어서, 볼트(20a)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a)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a)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a)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a)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a)의 상측에는 나사 봉(2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너트(20')는,
    하방에 형성된 단턱부(21)에는 실리콘 지지대(10)와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홈(22)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21)의 상면 중앙으로는 봉체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부(23)에는 나사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KR2020110001109U 2011-02-08 2011-02-08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KR200462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09U KR200462292Y1 (ko) 2011-02-08 2011-02-08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109U KR200462292Y1 (ko) 2011-02-08 2011-02-08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03U KR20120005803U (ko) 2012-08-17
KR200462292Y1 true KR200462292Y1 (ko) 2012-09-04

Family

ID=4707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109U KR200462292Y1 (ko) 2011-02-08 2011-02-08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019A (ko) 2014-06-16 2015-12-24 최종문 안경용 받침수단
KR20160022025A (ko) 2014-08-19 2016-02-29 최종문 안경용 받침수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50B1 (ko) 2006-04-17 2006-12-01 정기정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팬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66841B1 (ko) 2009-12-28 2010-06-29 김정민 안경테용 코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50B1 (ko) 2006-04-17 2006-12-01 정기정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팬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66841B1 (ko) 2009-12-28 2010-06-29 김정민 안경테용 코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019A (ko) 2014-06-16 2015-12-24 최종문 안경용 받침수단
KR20160022025A (ko) 2014-08-19 2016-02-29 최종문 안경용 받침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03U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292Y1 (ko)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KR101378769B1 (ko) 안경 코받침
KR200416684Y1 (ko) 안경의 코받침 결합구조
WO2020019733A1 (zh) 一种眼镜
CN203397027U (zh) 一种无框眼镜
KR200425038Y1 (ko) 일체형 코 받침(통 코)을 결합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안경테.
CN205229579U (zh) 一种无框眼镜
CN206224077U (zh) 一种快速更换眼镜腿或镜框结构
JP2015069044A (ja) 眼鏡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眼鏡
CN202256900U (zh) 一种眼镜
CN102692726B (zh) 一种眼镜组装结构及其组装方法
KR101311610B1 (ko)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ITBO20110108A1 (it) Asta per occhiali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sta per occhiali
KR20110117849A (ko) 금속안경의 힌지 제조방법 및 그 힌지
KR200467517Y1 (ko) 무테안경용 연결부재
KR101636375B1 (ko) 큐빅 또는 보석이 장식된 안경
CN201765388U (zh) 半框眼镜架的镜片固定装置
JP2013228605A (ja) 木製・竹製メガネフレームにおけるレンズの固定構造
CN203275768U (zh) 引线放大镜
CN105242409A (zh) 眼镜支架
CN105700191A (zh) 一种卡接式层状防紫外线眼镜
CN203311106U (zh) 耳塞眼镜
KR101609722B1 (ko) 안경
US7731355B2 (en) Eyeglass assembly
CN203519944U (zh) 易换眼镜架的复式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