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019A - 안경용 받침수단 - Google Patents

안경용 받침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019A
KR20150144019A KR1020140072581A KR20140072581A KR20150144019A KR 20150144019 A KR20150144019 A KR 20150144019A KR 1020140072581 A KR1020140072581 A KR 1020140072581A KR 20140072581 A KR20140072581 A KR 20140072581A KR 20150144019 A KR20150144019 A KR 2015014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user
spectacle lens
fastening
gr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최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문 filed Critical 최종문
Priority to KR102014007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4019A/ko
Publication of KR2015014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용 받침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되는 제1체결구;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2체결구; 상기 제2체결구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받침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을 제공한다.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하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3체결구; 상기 제3체결구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받침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을 제공한다.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일측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제4체결구; 일측에는 상기 제4체결구의 걸림구가 인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타측이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받침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안경렌즈 및 안경테에서 사용자의 안면측으로 연장되는 제1, 2, 3받침체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안경을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기존의 코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과 달리 안경의 무게가 사용자의 안면에 분산되어 비염과 같은 코에 발생되는 질병을 예방 또는 완화시키면서도 안경이 안면에서 삐뚤어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경을 착용할 때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안경용 받침수단{Supporting means for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용 받침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경렌즈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1체결구 및 상기 제1체결구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밑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제1받침체가 구비되는 제2체결구로 구성되는 안경용 받침수단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이 나쁜 눈을 잘 보이게 하기 위하여 착용되며, 최근에는 바람, 먼지, 강한 햇빛 등을 막기 위한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경의 형태는 눈의 굴절 이상을 보완해서 교정시력을 얻게 하는 안경렌즈와 상기 안경렌즈를 끼우는 테두리로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게 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에서 사용자의 코에 지지되어 안경테를 사용자에 안면에 안착하게 하는 코받침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안경은 보통 사용자의 귀와 코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으나 이는 코받침대가 콧등에 안착된 상태로 콧등에 자극을 주어 피부 손상을 유발하고 코받침대의 자국을 남기는 등의 부작용이 있고, 또한 비염이나 감기환자의 비공을 좁혀 콕막힘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또한 성장기에 있는 자녀들의 장기적인 안경착용으로 인해 코의 발육을 저해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코받침대를 연질의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는 별다른 효율성없이 안경의 생산비만 가중시켜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되는 등 여전히 단점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292호(2012.0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안경렌즈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체1결구 및 상기 제1체결구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밑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제1받침체가 구비되는 제2체결구로 구성되어 안경테에 코받침대가 없이도 안경이 사용자의 안면에 지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코에 무리가 가지않아 감기환자에게 코막힘을 완화시켜주고 성장기에 있는 미성년자들에게코의 발육을 저해하는 요인을 막아주면서도 제1받침체로 하여금 눈 밑을 당겨주어 여성들의 눈 밑 잔주름을 펴게 해주고 안경을 착용시 탁월한 균형감 및 안정감을 구비하게 하는 안경용 받침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되는 제1체결구;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2체결구; 상기 제2체결구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받침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을 제공한다.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하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3체결구; 상기 제3체결구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받침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을 제공한다.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일측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제4체결구; 일측에는 상기 제4체결구의 걸림구가 인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타측이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받침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렌즈 및 안경테에서 사용자의 안면측으로 연장되는 제1, 2, 3받침체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안경을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기존의 코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과 달리 안경의 무게가 사용자의 안면에 분산되어 기존 코받침대가 구비되는 안경을 착용할 때 발생되는 부작용들을 예방 또는 완화시키면서도 안경이 안면에서 삐뚤어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경을 착용할 때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 체결홈과 제3체결구, 제4체결구는 하향으로 10 ~ 20°의 각도로 기울어짐으로서 제1, 2, 3받침체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체결구와 제3체결구와 제4체결구의 외측에는 각각 미끄럼방지체가 구비되어 손가락이 제2체결구와 제3체결구와 제4체결구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2, 3, 4는 본 발명의 제1, 2, 3형태에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 7, 8은 본 발명의 제1, 2, 3형태의 기울어진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 11, 12는 본 발명의 제1, 2, 3형태에 미끄럼방지체가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형태에 나사구가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 3, 4는 본 발명의 제1, 2, 3형태에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받침수단은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눈 밑에 연질의 받침체가 구비되어 안경테에 구비된 코받침대 없이도 안정적인 안경의 착용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코에 무리가 가지않아 비염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면서도 안경을 착용시 탁월한 균형감 및 안정감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제1형태, 제2형태, 제3형태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을 이루는 안경렌즈(1)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되는 제1체결구(10)와 상기 제1체결구(10)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2체결구(20)와 상기 제2체결구(2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받쳐주는 제1받침체(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을 이루는 안경테(2)의 하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홈(40)과 상기 체결홈(40)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3체결구(50)와 상기 제3체결구(5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받침체(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형태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을 이루는 안경렌즈(1)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일측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림구(71)가 형성되는 제4체결구(70)와 일측에는 상기 제4체결구(70)의 걸림구(71)가 인입되는 절개부(81)가 형성되며 타측이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받침체(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3받침체(30, 60, 8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 밑 부위의 형상에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또한 밀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1) 및 안경테(2)에서 사용자의 안면 측으로 연장되는 제1, 2, 3받침체(30, 60, 80)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안경을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기존의 코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과 달리 안경의 무게가 사용자의 안면에 분산되어 장기적인 안경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코뼈의 변형과 감기나 비염에 의해 코막힘을 예방 또는 완화시키고 눈 밑 주름을 펴주어서 미용에 관심이 있는 여성들의 소비를 촉진시키면서도 안경이 안면에서 삐뚤어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경을 착용할 때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형태의 제1체결구(10)와 제2체결구(20), 제2형태의 체결홈(40)과 제3체결구(50), 제3형태의 제4체결구(70)는 하향으로 10 ~ 20°의 각도로 기울어져 체결되거나 구성된다.
즉, 제1체결구(10)와 제2체결구(20), 체결홈(40)과 제3체결구(50), 제4체결구(70)가 하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안경렌즈(1) 및 안경테(2)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면서도 제1, 2, 3받침체(30, 60, 80)에 의해 보다 사용자의 안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며, 기울어지는 각도가 10 ~ 20°로 유지되는 것은 기울어진 각도가 10°미만이면 지지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기울어진 각도가 20°를 초과하게 되면 안면에서 제1, 2, 3받침체(30, 60, 80)가 흘러내려 안경의 받침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안경렌즈(1)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상기 제1형태의 제1체결구(10)의 수나사는 5 ~ 7㎜, 제2체결구(20)의 암나사는 10 ~ 15㎜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범위에서 제1체결구(10)의 수나사와 제2체결구(20)의 암나사가 형성되어질 때 제1, 2체결구(10, 20)의 체결력이 유지되어 제1, 2체결구(10, 20)의 체결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제1받침체(30)로 하여금 사용자의 안면에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 10, 11, 12에 도시된 봐 같이 상기 제1형태의 제2체결구(20)와 제2형태의 제3체결구(50)와 제3형태의 제4체결구(70)의 외측에는 각각 미끄럼방지체(90)가 구비되어 제2체결구(20)와 제3체결구(30)를 각각 제1체결구(10)와 체결홈(40)에 체결할 때 다소 직경이 작은 제2체결구(20)와 제3체결구(50)가 손에서 이탈되거나 미끌어져 가압하지 못함으로서 체결이 어려워지는 단점을 해소하도록 구성되며, 제4체결구(70) 또한 제3받침체(80)에 형성된 절개부(81)에 걸림구(71)를 용이하게 인입시켜 제4체결구(70)에 제3받침체(8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미끄럼방지체(90)는 제2체결구(20)와 제3체결구(30)와 제4체결구(70)의 외측을 수용하도록 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표면으로는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돌기가 다수 형성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테(2)의 체결홈(40)이 형성되는 부위에 제3체결구(50)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홈(40)과 동일한 형태의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공(42)이 구비되는 나사구(41)가 구성되어 제2받침체(60)가 고정되는 제3체결구(50)와 안경테(2)에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공(42)이 형성되는 나사구(41)는 안경테(2)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제2받침체(60)를 지지하고자 하는 부위에 제3체결구(50)를 체결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나사구(41)에 체결공(42)을 대신하여 장공을 형성함으로서 제3체결구(50)는 안경테(2)에 형성된 체결홈(40)에 고정시켜 제3체결구(50)의 체결위치에 구애받지 않고도 제3체결구(50)를 통해 안경테(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나사구(41)는 안경테(2)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안경테(2)에 융착작업 및 접착작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나사구(41)는 안경테(2)의 재질에 맞춰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형태의 제1체결구(10)와 제2체결구(20), 제2형태의 체결홈(40)과 제3체결구(50), 제3형태의 제4체결구(70)는 사용자가 안경렌즈에 의한 투시 또는 초점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안경용 받침수단이 적용되는 안경테(2)에는 코받침대가 구성되어 본 발명의 안경용 받침수단과 같이 사용자의 안면을 고정하여 안경의 착용감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10 : 제1체결구 20 : 제2체결구
30 : 제1받침체 40 : 체결홈
41 : 나사구 42 : 체결공
50 : 제3체결구 60 : 제1받침체
70 : 제4체결구 70 : 걸림구
80 : 제3받침체 81 : 절개부
90 : 미끄럼방지체

Claims (10)

  1.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1)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되는 제1체결구(10);
    상기 제1체결구(10)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2체결구(20);
    상기 제2체결구(2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받침체(30);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
  2.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2)의 하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홈(40);
    상기 체결홈(40)에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눈 밑 부위로 연장되는 제3체결구(50);
    상기 제3체결구(5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받침체(60);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
  3. 안경렌즈와 안경테가 포함되는 안경의 받침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1)에 관통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용되는 일측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림구(71)가 형성되는 제4체결구(70);
    일측에는 상기 제4체결구(70)의 걸림구(71)가 인입되는 절개부(81)가 형성되며 타측이 사용자의 눈 밑 부위에 접지하며, 접지되는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받침체(80);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안경의 받침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구(10)와 제2체결구(20)는 하향으로 10 ~ 20°의 각도로 기울어져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받침수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40)과 제3체결구(50)는 하향으로 10 ~ 20°의 각도로 기울어져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받침수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체결구(70)는 하향으로 10 ~ 20°의 각도로 기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받침수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구(10)의 수나사는 5 ~ 7㎜이며, 제2체결구(20)의 암나사는 10 ~ 15㎜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받침수단.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구(20)와 제3체결구(50)와 제4체결구(70)의 외측에는 각각 미끄럼방지체(90)가 구비되고,
    상기 미끄럼방지체(90)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표면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돌기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받침수단.
  9.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2)의 체결홈(40)이 형성되는 부위에 제3체결구(50)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체결홈(40)과 동일한 형태의 암나사가 형성되는 체결공(42)이 구비되는 나사구(41)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받침수단.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2)에는 코받침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받침수단.
KR1020140072581A 2014-06-16 2014-06-16 안경용 받침수단 KR20150144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581A KR20150144019A (ko) 2014-06-16 2014-06-16 안경용 받침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581A KR20150144019A (ko) 2014-06-16 2014-06-16 안경용 받침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019A true KR20150144019A (ko) 2015-12-24

Family

ID=5508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581A KR20150144019A (ko) 2014-06-16 2014-06-16 안경용 받침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0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68B1 (ko) * 2020-04-06 2020-08-05 박강인 코 자극을 최소화하는 안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92Y1 (ko) 2011-02-08 2012-09-04 김정민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92Y1 (ko) 2011-02-08 2012-09-04 김정민 안경테용 코 받침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68B1 (ko) * 2020-04-06 2020-08-05 박강인 코 자극을 최소화하는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2075B2 (en) Eyeglasses with alternative wearing means
CN203502683U (zh) 头戴式通用眼镜架
KR20180063726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US10018852B2 (en) Eyeglass positioning device
US20180239165A1 (en) Custom fit nose pads for spectacle frames
CN104142580B (zh) 多功能眼镜架
US8876282B2 (en) Eyewear system
KR102069703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KR20080070211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20150144019A (ko) 안경용 받침수단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US20150085243A1 (en) Arm of spectacles
CN202916521U (zh) 一种适合儿童佩戴的眼镜
KR2004816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120035349A (ko) 안경
KR101288086B1 (ko) 안경다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테
CN206270607U (zh) 可调式鼻垫结构
CN202563186U (zh) 一种屈光矫正装置
KR20160003557U (ko) 안경테
CN202916522U (zh) 一种儿童用眼镜
US8556415B2 (en) Adjustable nose pad for eyewear
CN205942131U (zh) 可换鼻托的眼镜
CN204203563U (zh) 一种新型眼镜架
KR2004850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1025626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