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28Y1 -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28Y1
KR200462228Y1 KR2020120003482U KR20120003482U KR200462228Y1 KR 200462228 Y1 KR200462228 Y1 KR 200462228Y1 KR 2020120003482 U KR2020120003482 U KR 2020120003482U KR 20120003482 U KR20120003482 U KR 20120003482U KR 200462228 Y1 KR200462228 Y1 KR 200462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vortex
piece
discharge pipe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식
Original Assignee
전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원식 filed Critical 전원식
Priority to KR2020120003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spirally or helically shaped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having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mproving exhaust evacuation or circulation, or reducing back-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와류를 발생시키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100); 및 상기 연결유닛(100)에 결합 지지 되어 상기 배출관(10) 내부의 배기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류발생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배출관(10)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연결관(105)과, 상기 연결관(105)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10)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플랜지(110)와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10)과,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는 와류발생편(230)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AUXILIARY EQUIMENT FOR MAKING VORTEX OF EXHAUST GAS}
본 고안은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와류를 발생시키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배기장치는 엔진의 실린더 내에서 연소한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일련의 장치이다.
그리고, 다 기통 엔진의 각 실린더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모으는 배기 다기관과, 배기다기관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내보내는 강제의 파이프인 배기파이프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음압과 음파를 감쇠시키는 소음기(머플러), 배기가스의 정화를 위한 촉매기 및 산소감지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기장치는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강한 충격음을 약화시키고 완화시켜 일정 이상의 소음수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데 큰 저항을 주지 않아야하며, 배기가스가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배기장치의 전반부는 고온 열부하와 심한 온도차에 노출된다. 오토기관에서 혼합기의 연소는 약 2000-2500℃ 정도이고, 전부하시에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역 950℃ 정도가 된다.
기후의 영향과 겨울철에는 도로에 뿌려지는 염분의 영향으로 배기장치의 전길이에 걸쳐서 외부부식이 발생하게 되고, 연소가스의 응축(수분, 황산염 등)에 의해 특히 배기가스의 후반부에서는 내부부식이 발생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배출관 내에서 유동 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관에서 잔류 분을 남길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배기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출관에서 배기가스가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 되면서 배출관의 내부부식 진행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822450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배출관 내부에서 잔류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출관의 사용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배기가스 배출관에 구비되는 와류발생장치가 배출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100); 및 상기 연결유닛(100)에 결합 지지 되어 상기 배출관(10) 내부의 배기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류발생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배출관(10)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연결관(105)과, 상기 연결관(105)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10)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플랜지(110)와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10)과,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는 와류발생편(2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배치된다.
상기 와류발생편(230)의 경사각은, 상기 연장편(220)이 형성되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110)에는,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볼트(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홈(1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210)에는, 상기 볼트홈(120)과 대응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볼트(30)가 동시에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12)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판(210)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연결관(105) 내부로 진입되도록 배치된다.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100); 및 상기 연결유닛(100)에 결합 지지 되어 상기 배출관(10) 내부의 배기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류발생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연결유닛(100)과 연결되는 면과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10)과,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는 와류발생편(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배출관(10)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연결관(105)과, 상기 연결관(105)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10)와, 상기 연결관(105) 내경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와류발생편(230)과 결합 되는 슬릿편(1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슬릿편(115)은, 상기 와류발생편(23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편(230)이 진입체결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릿홈(117)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상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배출관 내부에서 잔류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출관의 사용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배기가스 배출관에 구비되는 와류발생장치가 배출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와류를 발생시키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특히, 와류발생유닛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100)과, 상기 연결유닛(100)에 결합 지지 되어 상기 배출관(10) 내부의 배기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류발생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10)은 자동차의 내연기관(미도시)에서 연소과정에서 발생 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이동 및 배출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배출관(10)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1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출관(1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배기가스에 와류가 발생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이 상기 배출관(10)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이 배기가스에 와류가 발생 되도록 하는 것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닛(100)과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내연기관과 상기 배출관(10)이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연기관을 통해 발생 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을 통과함으로써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배출관(10)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연결관(105)과, 상기 연결관(105)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11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05)은, 상기 배출관(10)의 내면에 상기 연결관(105)의 외면이 감싸지면서 상기 배출관(10)과 결합 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관(105)의 내면에 상기 배출관(10)의 외면이 감싸지면서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0)는 상기 와류발생유닛(200) 및 상기 내연기관과의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110)의 형태는 상기 와류발생유닛(200) 및 상기 내연기관과 견고하게 결합가능하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110)의 형태가 변형되면 이에 따라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의 상기 플랜지(110)와 결합 되는 부위 또한 상기 플랜지(11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플랜지(110)와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10)과,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는 와류발생편(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210)은, 상기 플랜지(110)의 형태에 대응된 형태로 상기 플랜지(110)의 형태 변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210)은, 상기 플랜지(110)와 견고하게 결합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110)와 상기 연결판(210)의 상호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플랜지(110)에는,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볼트(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홈(1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210)에는, 상기 볼트홈(120)과 대응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볼트(30)가 동시에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12)이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볼트홈(120)은, 상기 플랜지(110)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12)은 상기 볼트홈(120)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판(210)에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110)에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상기 볼트홈(120)과 상기 연결판(210)에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상기 결합홈(212)은 각각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플랜지(110) 일측의 볼트홈(120)은 상기 연결판(210) 일측의 결합홈(212)의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볼트(30)에 의해 동시에 관통 결합 되고, 상기 플랜지(110) 타측의 볼트홈(120)은 상기 연결판(210) 타측의 결합홈(212)의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볼트(30)에 의해 동시에 관통 결합 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유닛(100)과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호 견고하게 고정결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은, 상기 와류발생편(230)이 상기 연결판(2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내연기관에서 상기 배출관(10)으로 유동 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와류발생편(230)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와류발생편(230)의 형태에 의해 배기가스에 와류가 발생 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플랜지(110)와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10)과,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는 와류발생편(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타원형의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는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 방향으로 다수 개의 연장편(220)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연장편(220)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와류발생편(230)이 연장형성된다.
도 4를 살펴보면, 이러한 상기 연장편(220)과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각각 제1접힘선(222)과 제2접힘선(232)을 따라 접히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접힘선(222)을 따라 상기 연장편(220)이 상기 연결판(210)을 기준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힘선(232)을 따라 상기 와류발생편(230)이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부위 및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접히면서 돌출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유닛(100)의 일면이 상기 배출관(1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유닛(100)의 타면이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에 연결시,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배치된다.
상기 와류발생편(230)의 경사각은, 상기 연장편(220)이 형성되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편(220)과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이 상기 연결유닛(100)과 결합시, 상기 연결관(105) 내부로 진입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기와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105)의 다양한 위치까지 진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연기관에서 상기 배출관(10)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상기 와류발생편(230)을 통과하면서 와류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가 상기 배출관(1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기가스가 상기 와류발생편(230)을 통과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10) 내부에 잔류 되는 배기가스의 양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100)과, 상기 연결유닛(100)에 결합 지지 되어 상기 배출관(10) 내부의 배기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류발생유닛(20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연결유닛(100)과 연결되는 면과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10)과,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는 와류발생편(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배출관(10)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연결관(105)과, 상기 연결관(105)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10)와, 상기 연결관(105) 내경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와류발생편(230)과 결합 되는 슬릿편(1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11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100)과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내연기관(미도시)과 상기 배출관(10)이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연기관을 통해 발생 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을 통과함으로써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110)는 상기 와류발생유닛(200) 및 상기 내연기관과의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슬릿편(115)은, 상기 와류발생편(23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편(230)이 진입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릿홈(117)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편(220)과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이 상기 연결유닛(100)과 결합시, 상기 연결관(105) 내부로 진입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상기 연결관(105) 내경에서 상기 연결관(105)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슬릿편(115)에는 상기 슬릿홈(11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와류발생편(230)이 상기 연결관(105)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슬릿홈(117)에 끼움 결합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와류발생편(230)이 상기 슬릿홈(117)에 끼움 결합 되므로 인해, 상기 연결유닛(100)과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더욱 견고하게 상호 고정결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릿편(230)은 상기 와류발생편(230)과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슬릿편(23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릿편(23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배기가스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부식 또는 훼손이 최소화되어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110)와 상기 연결판(210)의 상호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플랜지(110)에는,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볼트(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홈(1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210)에는, 상기 볼트홈(120)과 대응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볼트(30)가 동시에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12)이 구비된다.
즉, 상기 플랜지(110) 일측의 볼트홈(120)은 상기 연결판(210) 일측의 결합홈(212)의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볼트(30)가 관통 결합 되고, 상기 플랜지(110) 타측의 볼트홈(120)은 상기 연결판(210) 타측의 결합홈(212)의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볼트(30)가 관통 결합 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유닛(100)과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호 견고하게 고정결합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 배기가스가 배출관 내부에서 잔류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출관의 사용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기가스 배출관에 구비되는 와류발생장치가 배출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배출관 30 : 볼트
100 : 연결유닛 105 : 연결관
110 : 플랜지 115 : 슬릿편
117 : 슬릿홈 120 : 볼트홈
200 : 와류발생유닛 210 : 연결판
212 : 결합홈
220 : 연장편 222 : 제1접힘선
230 : 와류발생편 232 : 제2접힘선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10)에 연결되는 연결유닛(100); 및
    상기 연결유닛(100)에 결합 지지 되어 상기 배출관(10) 내부의 배기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류발생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와류발생유닛(200)은, 상기 연결유닛(100)과 연결되는 면과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10)과, 상기 연결판(210) 내경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 개의 연장편(220)과,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연결판(210)의 중심과 상기 연장편(220)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형성되는 와류발생편(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배출관(10)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연결관(105)과, 상기 연결관(105)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10)와, 상기 연결관(105) 내경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와류발생편(230)과 결합 되는 슬릿편(115)을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편(115)은,
    상기 와류발생편(23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편(230)이 진입체결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릿홈(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연장편(220)에서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편(230)의 경사각은,
    상기 연장편(220)이 형성되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5 내지 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0)에는,
    상기 배출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볼트(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볼트홈(1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210)에는,
    상기 볼트홈(120)과 대응된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볼트(30)가 동시에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210)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편(230)은,
    상기 연결관(105) 내부로 진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KR2020120003482U 2012-04-27 2012-04-27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KR200462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2U KR200462228Y1 (ko) 2012-04-27 2012-04-27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2U KR200462228Y1 (ko) 2012-04-27 2012-04-27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228Y1 true KR200462228Y1 (ko) 2012-08-31

Family

ID=4707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482U KR200462228Y1 (ko) 2012-04-27 2012-04-27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74B1 (ko) * 2012-09-25 2013-02-19 김찬길 와류발생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479034Y1 (ko) * 2015-04-15 2015-12-10 전명희 와류형 배기강관
KR102587231B1 (ko) 2023-05-09 2023-10-11 주식회사 모비우스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촉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211A (ja) * 1997-05-13 1998-11-24 Shoji Wada マフラー
KR200346657Y1 (ko) * 2003-11-14 2004-04-03 주식회사 준비엘 차량의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211A (ja) * 1997-05-13 1998-11-24 Shoji Wada マフラー
KR200346657Y1 (ko) * 2003-11-14 2004-04-03 주식회사 준비엘 차량의 배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074B1 (ko) * 2012-09-25 2013-02-19 김찬길 와류발생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479034Y1 (ko) * 2015-04-15 2015-12-10 전명희 와류형 배기강관
KR102587231B1 (ko) 2023-05-09 2023-10-11 주식회사 모비우스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촉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579B2 (en) Flexible vibration absorbing tube
KR20120032369A (ko) 차량 배기 파이프용 테일 트림 어셈블리
KR200462228Y1 (ko) 배기가스 와류형성 보조장치
JP2015523490A (ja) 自動車エンジンルーム内の衝突耐性システム配置
JP2020073801A (ja) 消音器
JP4459218B2 (ja) 車両の排気消音装置
US8443933B2 (en) Tubular acoustic insulating element
US20170276349A1 (en) Heating device exhaust pipe arrangement with integrated muffl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939254B2 (en) Muffler unit
US9644510B2 (en) Exhaust pipe
JP2006307667A (ja) 排気管構造
CN203335189U (zh) 一种增压发动机三元催化器总成
RU135726U1 (ru) Каталитический коллектор системы выпуска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105422232A (zh) 一种催化消声器结构
US20170138246A1 (en) Exhaust system for engine
JP2008095527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CN106460629B (zh) 内燃机
JP3344968B2 (ja) 自動車の排気管装置
JPH06336921A (ja) 内燃機関の排気管
US9828898B2 (en) Optimized structure for integrated catalytic muffler
JP2002021554A (ja) インシュレータ付き排気系構造体
US20020116819A1 (en) Method of making an exhaust gas collector
JP2005307988A (ja) インシュレータ付き排気系構造体
US20220186642A1 (en) Exhaust pipe
RU89627U1 (ru) Модуль системы выпуска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