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37Y1 -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 Google Patents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37Y1
KR200462037Y1 KR2020100010830U KR20100010830U KR200462037Y1 KR 200462037 Y1 KR200462037 Y1 KR 200462037Y1 KR 2020100010830 U KR2020100010830 U KR 2020100010830U KR 20100010830 U KR20100010830 U KR 20100010830U KR 200462037 Y1 KR200462037 Y1 KR 200462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micro coaxial
connector structure
prese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980U (ko
Inventor
송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디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디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디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3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동축케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FPCB)에 비해 전자파 차폐능력과, 굴곡성과, 비틀림 유연성과, 시그널 전송속도 및 신호 왜곡을 방지한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는 복수 개의 미세동축케이블과, 상면 일단에 미세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커넥터 판과, 상기 커넥터 판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미세동축케이블의 실드체를 그라운딩(grounding)하는 그라운드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a connector structure of micro coaxial cable}
본 고안은 커넥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동축케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FPCB)에 비해 전자파 차폐능력과, 굴곡성과, 비틀림 유연성과, 시그널 전송속도가 우수한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 정보 입출력 장치(단말)를 사용하는 기회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정보 입출력 장치는 각 장치 사이에서의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데이타를 기억하거나 가공 처리할 수 있으며, 화상 표시부가 구비되어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화상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출력 장치로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FPD(Full-PageDisplay) 혹은 프로젝터나 노트북,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이러한 정보 입출력 장치는 비디오 출력 표시 장치의 박형화나 대형화에 동반하여, 이들 표시 장치의 용도도 단순한 텔레비전과 같은 수상기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정보 입출력 장치는 키 패널과 같은 조작 수단으로부터의 각종 데이터를 화상 표시부에 표시하기 위하여, 조작 수단과 화상 표시부를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연결 케이블로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FPCB)은 전자제품이 소형화 및 경량화되면서 개발된 전자부품으로 작업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내곡성, 내약품성이 강하며, 열에 강하므로, 모든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으로서 카메라, 컴퓨터 및 주변기기, 핸드폰, 비디오, 오디오기기, 캠코더, 프린터, 디브이디, 엘씨디, 위성장비, 군사장비, 의료장비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재질의 판체(1)와, 이 판체(1)의 상면에 형성되는 신호선(2)과, 상기 신호선(2) 일단에 설치되는 접속부(3)로 이루어짐으로써, 굴곡성은 우수하나 비틀림 방향으로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 능력이 탁월하지 못하며, 전자파에 의하여 시그널 고속전송 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미세동축케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에 비해 굴곡성과, 비틀림 유연성과, 시그널 고속전송과, 전자파 차폐 능력이 탁월한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는 복수 개의 미세동축케이블과, 상면 일단에 미세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가 형성된 커넥터 판과, 상기 커넥터 판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미세동축케이블의 실드체를 그라운딩(grounding)하는 그라운드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바는 일측면 양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판에 상기 돌기와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고정단의 면적보다 자유단의 면적이 넓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는 미세동축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에 비해 굴곡성과, 시그널 고속전송 및 전자파 차폐 능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그라운드 바를 이용하여 미세동축케이블의 실드체를 커넥터 판에 그라운딩함으로써, 시그널 고속전송 시 발생하는 신호 왜곡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라운드 바가 돌기와 홈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커넥터 판 또는 접속단자의 고장 또는 불량 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가 자유단의 면적이 넓도록 형성됨으로써, 그라운드 바가 커넥터 판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연성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고주파 신호 왜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미세동축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의 고주파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그라운드 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고안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의 일부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미세동축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의 고주파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그라운드 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미세동축케이블(10)과, 커넥터 판(20)과, 그라운드 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세동축케이블(1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며,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세동축케이블(10)은 도선(11)과, 이 도선(11)을 감싸는 절연체(12)와, 상기 절연체(12)를 보호하는 쉴드(13)와, 상기 쉴드(13)를 감싸도록 형성된 재킷(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판(20)은 소정 크기의 판체(21)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복수 개의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미세동축케이블(10)이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 판(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미세동축케이블(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메인기판과,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접속구에 삽입설치된다.(미도시함)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기판과,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접속구와 접촉되는 제1접속단자(22)와, 미세동축케이블(10)과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23)으로 이루어지며, 이 제1접속단자(22)와 제2접속단자(23)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그라운드 바(3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세동축케이블(10)의 쉴드(13)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 판(20)에 설치되어 쉴드(13)를 하나로 묶어줌과 동시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0과 1로 이루어진 신호의 기준이 되는 0을 맞추는 역할과, 다른 신호들의 간섭으로부터 보호 즉, 신호 왜곡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그라운드 바(3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돌기(31)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판(20)에 상기 돌기(31)와 대응되도록 홈(24)이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바(3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돌기(31)는 고정단의 면적보다 자유단의 면적이 넓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미세동축케이블, 11 : 도선, 12 : 절연체, 13 : 쉴드, 14 : 재킷, 20 : 커넥터 판, 21 : 판체, 22 : 제1접속단자, 23 : 제2접속단자, 24 : 홈, 30 : 그라운드 바, 31 : 돌기

Claims (3)

  1. 복수 개의 미세동축케이블과,
    상면 일단에 미세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가 형성되며, 후술할 돌기와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된 커넥터 판과,
    상기 커넥터 판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미세동축케이블의 실드체를 그라운딩(grounding)하며, 상기 홈과 대응되도록 일측면 양단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커넥터 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라운드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고정단의 면적보다 자유단의 면적이 넓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KR2020100010830U 2010-10-22 2010-10-22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KR200462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30U KR200462037Y1 (ko) 2010-10-22 2010-10-22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30U KR200462037Y1 (ko) 2010-10-22 2010-10-22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80U KR20120002980U (ko) 2012-05-03
KR200462037Y1 true KR200462037Y1 (ko) 2012-08-22

Family

ID=4660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830U KR200462037Y1 (ko) 2010-10-22 2010-10-22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80U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3873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large capacity signal transmission medium
US8202111B2 (en)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WO2021024941A1 (ja) コネクタ及び配線構造
US20100188826A1 (en) Connector device
US20060098984A1 (en) Optical sign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signal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optical signal communication apparatus
EP3125656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unit
JP2011501819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電磁波の低減方法
US862834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CN103515816B (zh) 可挠式传输装置及通信装置
KR200462037Y1 (ko) 미세동축케이블 커넥터 구조체
US72599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D protection of balanced circuit board lines
US792252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definition (HD) digital images
JP2007311082A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搭載の携帯端末
US8144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display to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9426880B2 (en) Noise suppressi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51553B1 (ko) 크랙 방지 효과가 우수한 fpcb 커넥터
JP2006156079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5093226A (ja) ケーブル接続部
JP2005044769A (ja) 広帯域フラットケーブル結合器の構造と製造法
KR100761423B1 (ko) 선형 패턴의 그라운드층을 구비하는 연성회로기판
CN112885287B (zh) 显示面板
US9356397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system using the same
US2022022550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20110139015A (ko) Hdmi 인터페이스
JP2005310527A (ja) 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極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