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20Y1 -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 Google Patents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20Y1
KR200461920Y1 KR2020100007933U KR20100007933U KR200461920Y1 KR 200461920 Y1 KR200461920 Y1 KR 200461920Y1 KR 2020100007933 U KR2020100007933 U KR 2020100007933U KR 20100007933 U KR20100007933 U KR 20100007933U KR 200461920 Y1 KR200461920 Y1 KR 200461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rod
foldable
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911U (ko
Inventor
박효준
Original Assignee
박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준 filed Critical 박효준
Priority to KR2020100007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2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의 유격에 의해 흔들림을 잡아 줄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와 자동 말림과 풀림 장치가 포함된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너의 현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너봉과, 상측부와 하측부에 한쌍씩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중간부에 한쌍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너봉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고착지지하며, 기둥 형태의 시설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배너현수장치{Foldable suspending apparatus for banner}
본 고안은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의 유격에 의해 흔들림을 잡아 줄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와 자동 말림과 풀림 장치가 포함된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경일이나 기념일 등에 게양되는 기는 국기를 비롯하여 여러 단체기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크기도 기가 게양되는 장소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기의 사용형태를 보면, 먼저 일반 가정에서는 국경일이나 기념일에 집 대문 밖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끼움관을 통해 깃대를 꽂아 게양하고, 아파트 등에서는 베란다의 바깥쪽 일측에 구비된 끼움관에 꽂아 게양하며, 또한 학교와 관공서는 아침, 저녁으로 국기를 게양 또는 하강시키고 있다.
기존에 제공되는 일반화된 기는 상단부에 깃봉이 구비되고, 기를 매어 고정하는 깃대는 플라스틱 파이프로 제공되며, 이 깃대의 상하측에 끈을 묶어 기를 고정하고, 깃대를 대문이나 베란다 밖의 끼움관에 꽂아서 게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깃대를 꽂아 게양하는 끼움관은 깃대가 끼워지는 크기의 직경이 구비되고, 깃대가 경사지게 게양되도록 대문이나 베란다의 일측에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도심 또는 교량의 인도측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각종 행사의 광고 또는 선전을 목적으로 임시 또는 영구형태의 배너현수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배너현수장치는 상기 배너의 현수 시 및 비현수 시 각각에 이를 접철하여 미관상 효과를 부여하는 구성이 부재하였다. 즉, 상기 배너의 비현수 시에도 상기 배너현수장치는 상기 배너 없이 설치된 상태로 있으므로 도시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접철식으로 상기 배너의 비현수 시에는 이를 접철하여 기둥 형태의 시설물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철식으로 된 구성을 위해서는 탄성부재와 같은 부재가 더 추가되고 구성이 복잡해져 그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접철식 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너봉의 외주직경보다 작은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배너봉의 배너 현수 시의 위치 및 배너 비현수 시의 위치 각각에 배너봉을 밀착수납하도록 고정부가 형성된 접철식 배너현수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아직 배너봉의 유격에 따른 흔들림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너의 자유로운 입출입이 제공되지 않는 배너봉을 이용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격없이 배너봉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돌기부를 사용하고, 래치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물림과 해제가 자유롭도록 한 접철식 배너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너의 현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너봉과; 상측부와 하측부에 한쌍씩 대응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중간부에 한쌍이 대응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너봉이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고착지지하며, 기둥 형태의 시설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너봉 내부에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권취하기 위한 회전축과, 다수개의 걸림턱이 외주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 방향에 따라 잡아주거나 풀어주기 위해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형상인 걸림부를 포함하는 래치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유격없이 배너봉이 끼움결합되어 배너의 수직과 수평 현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장치내에 래치부재와 걸림턱 등을 형성하고 서로 물림과 해제가 자유롭도록 구성하여 승하강의 위치를 자동콘트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의 조립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의 배너봉이 실제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4a,b,c는 배너봉이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 도3의 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도5는 배너봉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도3의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배너현수장치의 배너봉 내부구조도.
도7a,b는 본 고안에 따른 배너봉의 랫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배너현수장치는 기둥(10)에 몸체부(11)가 고정홀(13-1, 13-2)과 고정볼트(15-1, 15-2, 15-3, 15-4)를 통해 지지되며, 배너의 현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너봉(50)과 가이드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너봉(50)은 내부에 스프링이 권취되고, 래치부재(74)의 걸림부 간의 서로 물림과 해제가 자유로운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 후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배너봉(50)을 수납하여 가이드하는 "ㄷ" 자 형의 판재로서, 상측부와 하측부에 한쌍씩 대응되어 형성되고, 중간부에 한쌍이 대응되어 형성되는 돌기부(31-1, 31-2, 33-1, 33-2, 35-1, 35-2)를 포함하고, 상기 배너봉(50)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장치로서, 상기 배너봉(50)의 한 끝을 일부 수납하도록 결합되며, 양측판재의 벌어짐 방지를 위해 벌어짐방지축을 추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부(31-1, 31-2, 33-1, 33-2, 35-1, 35-2)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4개가 형성되고 일정 간격이 떨어진 부위에 양측에 각각 1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너봉(50)이 수직으로 결합된 경우 상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각각 4개의 돌기부(31-1, 31-2, 33-1, 33-2)가 배너봉(50)의 외주부를 양측에서 잡아주며, 상기 배너봉(50)이 수평으로 결합된 경우 배너봉(50)의 외주부를 상기 8개의 돌기부(31-1, 31-2, 33-1, 33-2) 뿐만아니라 2개의 수평방향의 돌기부(35-1, 35-2)가 잡아준다.
또한 상기 몸체부(11)는 상기 가이드부(30)를 고착지지하며, 기둥 형태의 시설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4a,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너봉(50)이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배너봉(50)은 상기 가이드부(30)의 8개의 돌기부(31-1, 31-2, 33-1, 33-2)와 일정 간격 떨어진 2개의 돌기부(35-1, 35-2)에 양측으로 일정 유격 없이 밀착되게 끼워진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너봉(50)의 한 끝의 일부가 배너봉축홀(37)에 삽입된 회전중심축인 배너봉축(40)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여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상기 배너봉(50)은 상기 8개의 돌기부(31-1, 31-2, 33-1, 33-2)에 양측으로 일정 유격 없이 밀착되게 끼워진다.
한편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너봉(50)은 내부에 스프링(52)과, 상기 스프링을 권취하기 위한 회전축(54)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52)과 회전축(54)은 배너봉(50)의 외부 하우징(50) 내에 설치되는 내부 하우징(51)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배너봉(50) 내부는 다수개의 걸림턱이 외주부에 형성된 고정부재(78)와, 상기 회전축(54)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78)를 회전 방향에 따라 잡아주거나 풀어주기 위해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형상인 걸림부를 포함하는 반달 형상의 래치부재(74)로 구성되는 데, 상기 래치부재(74)의 걸림부와 상기 고정부재(78)의 걸림턱 등이 서로 물림과 해제가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승하강의 위치를 자동콘트롤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내부 하우징(51)이 핀(72)에 고정된 래치부재(74)와 회전하는 경우, 고정축(76)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78)의 걸림턱에 걸리지 않는 래치부재(74)의 걸림부는 자유로이 길이가 조정되도록 배너를 인출할 수 있으며, 도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핀(72)에 고정된 래치부재(74)가 회전하는 경우, 고정부재(78)의 걸림턱에 걸리는 래치부재(74)의 걸림부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A 부분과 같이 고정되어 용이하게 배너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너를 인출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과 걸림부가 맞물리도록 하며, 배너를 권치할 경우 배너를 약간 강하게 당기에 주었다가 당기었던 손을 순간적으로 해제하여 주면 배너가 상승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래치부재(74)의 걸림부가 고정부재(78)의 걸림턱에 걸리지 않고 완전 권취가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기둥 11 : 몸체부
13-1, 13-2 : 고정홀
15-1, 15-2, 15-3, 15-4 : 고정볼트
30 : 가이드부
31-1, 31-2, 33-1, 33-2, 35-1, 35-2 : 돌기부
37 : 배너봉축홀
40 : 배너봉축 50 : 배너봉, 외부하우징
51 : 내부하우징 52 : 스프링
54 : 회전축 55 : 배너
72 : 핀 74 : 래치부재
76 : 고정축 78 : 고정부재

Claims (3)

  1. 배너의 현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너봉과;
    상측부와 하측부에 한쌍씩 대응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중간부에 한쌍이 대응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너봉이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고착지지하며, 기둥 형태의 시설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너봉은,
    내부에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권취하기 위한 회전축과, 다수개의 걸림턱이 외주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 방향에 따라 잡아주거나 풀어주기 위해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형상인 걸림부를 포함하는 래치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7933U 2010-07-28 2010-07-28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KR200461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33U KR200461920Y1 (ko) 2010-07-28 2010-07-28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33U KR200461920Y1 (ko) 2010-07-28 2010-07-28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11U KR20120000911U (ko) 2012-02-08
KR200461920Y1 true KR200461920Y1 (ko) 2012-08-14

Family

ID=4584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933U KR200461920Y1 (ko) 2010-07-28 2010-07-28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28Y1 (ko) * 2015-09-25 2017-04-27 데코미공업 주식회사 롤업 배너 스탠드
KR200495579Y1 (ko) * 2020-12-16 2022-07-01 청산종합철강(주) 가로등용 배너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804Y1 (ko) 2003-11-25 2004-02-18 이창영 가로등용 깃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804Y1 (ko) 2003-11-25 2004-02-18 이창영 가로등용 깃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11U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3032B (zh)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US20170247943A1 (en) Pivot mount for roller shade
KR200461920Y1 (ko)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CN214550725U (zh) 一种防坠落安全装置
KR101081367B1 (ko) 통신 케이블용 조가선의 간격 조정 및 유지 지그
CN106836284B (zh) 一种城市地下综合管廊
KR101729517B1 (ko) 배너봉 절첩장치
JP6154650B2 (ja) 天井構造
CN202481915U (zh) 幕墙板块吊装装置
CN210639931U (zh) 一种提高稳定固定性的商场用吊楣安装结构
CN210263967U (zh) 一种住宅预制构件的安装装置
CN204203523U (zh) 一种改进结构的光缆固定夹紧装置
KR200359836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396834Y1 (ko) 접철식 배너현수장치
JP2016220304A (ja) 架空ケーブル免震架台
CN203262987U (zh) 百叶帘用线绳升降卷绕和帘片翻转的装置
CN204009176U (zh) 光缆连接盒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0668253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CN110748859A (zh) 一种用于建工场地的组装式灯架结构
JP5974023B2 (ja) 保安用チエン掛張装置
CN210714082U (zh) 一种装配式建筑施工护栏
KR200320134Y1 (ko) 배너 장착 장치
CN219341448U (zh) 一种建筑施工用吊运装置
CN219220002U (zh) 一种施工安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