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00Y1 -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 Google Patents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00Y1
KR200461900Y1 KR2020090002319U KR20090002319U KR200461900Y1 KR 200461900 Y1 KR200461900 Y1 KR 200461900Y1 KR 2020090002319 U KR2020090002319 U KR 2020090002319U KR 20090002319 U KR20090002319 U KR 20090002319U KR 200461900 Y1 KR200461900 Y1 KR 200461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module
operation module
interlocking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887U (ko
Inventor
콴-팅 첸
Original Assignee
아레슨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레슨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레슨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090002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0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2Ergonomic shaped mouse adjustable to suit one of both 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마우스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본체는 케이스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는 투공 슬라이드 홈 및 관통 홈이 설치되고, 본 고안은 또한 측면 조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조작 모듈은 조작부품 및 연결판을 갖추고 있고, 그 중 상기 조작부품은 연결막대를 이용해 상기 투공 슬라이드 홈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판과 서로 연결되고, 본 고안은 또한 연동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품은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연동부품과 상기 연결판은 서로 고정 연결되고, 본 고안은 또한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는 상기 연동부품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 상에는 상기 조작부품과 서로 대응되는 센서유닛이 설치되고, 본 고안은 또한 조정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품은 상기 본체 내에 추축연결되어 상기 관통 홈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조정부품과 상기 연동부품은 서로 연결되고,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의 구조는 상기 조작부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마우스 사용 상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MOUSE WITH AN ADJUSTABLE SIDE CONTROL MODULE}
본 고안은 마우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면 조작 모듈을 갖춘 마우스에 관한 것이며, 또한 조정부품은 마우스 측면에 위치한 조작부품을 사용하기 적합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현재 컴퓨터는 주로 마우스를 이용해 조작을 하고 있으며, 종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우스의 구조는 케이스 형태의 마우스 상에 휠을 설치하고 상기 휠을 중심으로 좌우에 버튼을 설치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버튼을 이용해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컴퓨터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끊임없이 개발되면서 좌우 버튼만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각종 다양한 기능들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기능버튼이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이치로 종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우스는 커서를 이동시킬 때 마우스 바닥에 설치된 볼 혹은 광학적 구조로 구성된 부위를 책상에 놓인 감지 장치에 밀착시켜 이동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은 책상에 밀착되는 면이 편평하지 않거나 혹은 사용 시 진동이 발생하는 환경 하에서 정확하게 이동키실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마우스에서는 그 측면에 조작 모듈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할 때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마우스의 측면에 조작 모듈을 추가할 경우, 마우스 조작 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마우스의 체적과 사용자의 손바닥 크기, 마우스 사용 습관 등의 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러한 요소들이 사용 시의 편안함, 편리성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또한 종전의 마우스의 측면에 설치된 보조 조작 모듈의 설치는 좌우 버튼과 동일하게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리성과 편안함 등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기존의 측면 조작 모듈이 가지고 있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통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본 고안인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마우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마우스 측면의 조작 모듈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마우스 사용 시의 편안함과 편리성을 극대화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우선 본 고안은 마우스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본체는 케이스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는 투공 슬라이드 홈 및 관통 홈이 설치되고, 본 고안은 또한 측면 조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조작 모듈은 조작부품 및 연결판을 갖추고 있고, 그 중 상기 조작부품은 연결막대를 이용해 상기 투공 슬라이드 홈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판과 서로 연결되고, 본 고안은 또한 연동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품은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연동부품과 상기 연결판은 서로 고정 연결되고, 본 고안은 또한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는 상기 연동부품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 상에는 상기 조작부품과 서로 대응되는 센서유닛이 설치되고, 본 고안은 또한 조정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품은 상기 본체 내에 추축연결되어 상기 관 통 홈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조정부품과 상기 연동부품은 서로 연결되고,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의 구조는 상기 조작부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조작부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마우스 사용 상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관한 기술 및 특징 그리고 달성할 수 있는 효과 등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서 도 3까지 내용을 참조해보면, 본 도면들은 제1 실시 방법에 관한 예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우선 본 고안은 마우스 본체(10)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본체(10)는 측면 조작 모듈(20), 연동부품(30),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 및 조정부품(50)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마우스 본체(10)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 본체(10)는 상단 본체(11A)와 하단 본체(11B)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단 본체(11A) 상에는 조작 휠(12)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 휠(12) 양 측면에는 버튼(13A, 13B)이 설치되고(즉, 좌우버튼에 해당), 상기 하단 본체(11B)의 최소한 한 측면(본 실시예에서는 한 측면에만 설치)에는 투공 슬라이드 홈(15)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하단 본체(11B)의 내측 바닥부 상의 상기 투공 슬라이드 홈(15)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나사기둥(16) 및 슬라이드 홈(17)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하단 본체(11B)의 측면 상의 상기 투공 슬라이 드 홈(15)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하단에는 관통 홈(18)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 조작 모듈(20)은 또한 조작부품(21)과 연결판(22)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조작부품(21)은 2개의 버튼(211, 212)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품(21)은 연결막대 (23)를 통해 상기 연결판(22)과 서로 연결이 되어 있으며, 즉 상기 버튼(211, 212)은 각각 굽어진 형태의 연결막대(23A, 23B)(연결막대 23)를 통해 상기 연결판(22)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판(22)을 상기 조작부품(21)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막대(23A, 23B)의 내측에는 저촉부(25A, 25B)(저촉부 25)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22)의 내측에는 2개의 위치고정용 홀 막대(24)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측면 조작 모듈(20)을 조합할 경우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연결막대(23A, 23B)가 상기 마우스 본체(10)를 횡단 방향으로 관통하여 투공 슬라이드 홈(15) 상에 걸쳐지고, 이로 인해 상기 조작부품(21)이 상기 마우스 본체(10)의 외측 투공 슬라이드 홈(15) 상에 위치하게 되며, 또한 상기 연결판(22)은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마우스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연동부품(30)은 얇은 조각편 형태로 구성된 판체(31)을 포함하며, 상기 판체(31)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마우스 본체(10)의 슬라이드 홈(17)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판체(31)의 상단에는 상기 위치고정 홀 막대(24)와 서로 대응되는 두 개의 위치고정 천공(32) 및 하단 위치이동부품(33)(본 실시예에서는 기어형태의 판을 사용)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유닛이 설치된 전기회로판을 사용하였고, 이는 일반 마우스의 콘트롤 전기회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 명을 생략함)은 센서유닛(41)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41)에는 상기 저촉부(25A, 25B)와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누름부품(411)(본 실시예에서는 누름 스위치를 사용함)이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41) 하단의 상기 연동부품(30) 위치고정 천공(32)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두 개의 위치고정 천공(42)이 설치된다.
상기 연동부품(30) 및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을 조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우선 두 개의 고정부품(43)(나사 부품과 같은)을 각각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의 위치조정 천공(42) 및 상기 연동부품(30)의 위치고정 천공(32)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판(22)의 위치고정 홀 막대(24) 상에 고정(나사등을 이용) 연결시키며, 그 결과 상기 측면 조작 모듈(20), 연동부품(30),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이 서로 하나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조작 모듈(20)의 연결막대(23)는 상기 마우스 본체(10)의 투공 슬라이드 홈(12)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판체(31)는 상기 마우스 본체(10)의 슬라이드 홈(17)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정부품(50)은 휠체(51)를 포함하며(본 실시예에서는 기어 형태의 휠을 사용하였으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타 다른 형태의 휠을 사용해도 무방), 그 주변에는 상기 위치이동부(33)와 서로 대응되는 휠외곽(511)이 설치되며, 상기 휠체(51)의 중앙에는 축 고정 구멍(53)이 설치되고, 위치고정부품(52)(나사 등과 같은 부품 이용)을 이용해 상기 축 고정 구멍(53)을 관통하여 상기 마우스 본체(10)의 나사 기둥(16) 상에 고정 연결시킨다(나사 등을 이용). 또한 상기 휠체(51)는 상기 나사구멍 막대(16)의 상단에 축 연결시키며, 이를 통해 상기 조정부품(50)의 상기 휠외곽(511)과 상기 연동부품(30)의 위치이동부품(33)이 서로 톱니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휠체(51)는 상기 관통 홈(18)을 통과하여 그 일부가 상기 마우스 본체(10) 외부로 노출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조정부품(50)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버튼(211, 222)을 누를 경우, 상기 연결 막대(23)의 연동 작용으로 인해 상기 저촉부(25A, 25B)(저촉부 25)는 상기 위치고정 천공(42) 및 상기 고정부품(43)의 저촉부(25A, 25B)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조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적합한 실시 방법 중, 상기 조정부품(50)은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과 직접 연동되며, 상기 판체(31)과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은 하나로 결합되며(상기 판체(31)의 설치를 제거), 또한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과 상기 연결판(22)은 서로 고정되어 연결되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은 또한 상기 조정부품(50)과 서로 톱니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위치이동부(33, 휠외곽(511)을 갖추고 있음), 이로 인해 더욱 간단하고 정확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7의 내용을 함께 본 고안인 측면 조절 모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휠체(51)를 회전 조작하면,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판체(31) (연동부품 30)가 상기 슬라이드 홈(17)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측면 조작 모듈(20), 상기 연동부품(30),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버튼(211, 212)도 역시 회전 조작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여 그 사용 위치가 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조작 모듈(20)의 저촉부(25A, 25B)(저촉부 25)와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의 센서유닛(41)도 역시 상대적으로 서로 대응하여 접촉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마우스 조작 상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휠체(51)의 회전 조정을 통해 상기 조작부품(21)의 사용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두 번째 실시예와 상기 첫 번째 실시예의 차이점은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의 센서유닛(41)으로 광학 모듈(그 내용은 일반 광학 마우스와 동일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함)을 사용하였고, 상기 센서유닛(41)에서 발사하는 광선은 상기 투광 슬라이드 홈(151) 혹은 상기 조작부품(21)의 투광구멍(213)을 관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상에 비춰지게 되며, 이어서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이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을 감지하여 마우스 커서를 손가락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시키거나 혹은 실행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세 번째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세 번째 실시예와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의 차이점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의 센서유닛(41)으로 손가락 터치형 전기회로를 사용하였고(예를 들면 터치패드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손가락 터치형 전기회로를 사용하였음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함), 상기 센서유닛(41)에는 전기회로(도면에는 미표시)가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품(21)과 서로 전기적 연결을 하며(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콘트롤형 패널),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조작부품(21)을 표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마우스 커서를 손가락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시키거나 혹은 실행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의 센서유닛(41)은 터보 링 전기회로 혹은 롤러 전기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센서유닛(41)과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되는 조작부품(21)으로는 터보 링 혹은 롤러 등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을 감지하여 마우스 커서를 손가락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시키거나 혹은 실행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네 번째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네 번째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조정부품(60)으로 막대(스틱)형 부품을 사용하였고, 또한 상기 조정부품(60)은 상기 판체(31) 혹은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과 고정 연결되고(상기 판체(31)와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40)은 일체형으로 결함되어짐), 상기 조정부품(60)의 일부는 상기 마우스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기 조정부품(60) 사용 상의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이상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마우스를 위에서 내려다 본 입체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마우스를 분해하여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조정창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조정창치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낸 조합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조정장치를 조합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조합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조정장치를 조합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조작 상황을 타나낸 조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우스 본체 20 측면 조작 모듈
  30 연동부품 40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
  50 조정부품 11A 상단 본체
  11B 하단 본체 12 조작 휠
  13A, 13B 버튼 15 투공 슬라이드 홈
  16 나사기둥 17 슬라이드 홈
  18 관통홈 21 조작부품
  22 연결판 211, 212 버튼
  23 연결막대 23A, 23B 연결막대
  25 저촉부 25A, 25B 저촉부
  24 위치고정용 홀 막대 30 연동부품
  31 판체 32 위치고정 천공
  33 위치이동 부품 41 센서유닛
  411 누름부품 42 위치고정 천공
  43 고정부품 51 휠체
  511 휠 외곽 53 고정 구멍
  213 투광 구멍 60 조정부품

Claims (18)

  1.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로서,
    마우스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본체는 케이스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는 투공 슬라이드 홈 및 관통 홈이 설치되고,
    측면 조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조작 모듈은 조작부품 및 연결판을 갖추고 있고, 그 중 상기 조작부품은 연결막대를 이용해 상기 투공 슬라이드 홈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판과 서로 연결되고,
    연동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품은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연동부품과 상기 연결판은 서로 고정 연결되고,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는 상기 연동부품과 고정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 상에는 상기 조작부품과 서로 대응되는 센서유닛이 설치되고,
    조정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품은 상기 본체 내에 추축연결되어 상기 관통 홈 밖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조정부품과 상기 연동부품은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품은 상기 본체 외측의 투공 슬라이드 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품은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막대의 내측에는 저촉부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유닛 상의 상기 저촉부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부품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부에 나사 기둥을 설치하고, 상기 조정부품은 추축 위치고정 구멍을 갖춘 휠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추축 위치고정 구멍은 위치고정 부품을 통해 상기 나사기둥 상에 추축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품에는 위치이동부를 설치하고, 그 주변에는 상기 위치이동부와 서로 대응되는 휠외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품으로 막대(스틱)형 부품을 사용하고, 또한 그 한 끝은 상기 연동부품과 서로 고정 연결되며, 또 다른 한 끝은 상기 관통 홈을 통과해 그 일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조정부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품으로 막대(스틱)형 부품을 사용하고, 그 한 끝은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과 고정 연결되며, 또 다른 한 끝은 상기 관통 홈을 통과해 그 일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조정부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연동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슬라이드 홈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연동부품 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위치고정 홀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연동부품과 상기 콘트롤 전기회로 모듈에는 상기 위치고정 홀 막대와 대응되는 위치고정 천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으로 광학 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품 상에 투광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센서유닛의 광선이 상기 투광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손가락 터치형 전기회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품으로 상기 손가락 터치형 전기회로와 서로 대응되는 터치 콘트롤 패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으로 터보 링 전기회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품으로 상기 터보 링 전기회로와 서로 대응되는 터보 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으로 롤러 전기회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품은 상기 롤러 전기회로와 서로 대응되는 롤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KR2020090002319U 2009-03-02 2009-03-02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KR200461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319U KR200461900Y1 (ko) 2009-03-02 2009-03-02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319U KR200461900Y1 (ko) 2009-03-02 2009-03-02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87U KR20100008887U (ko) 2010-09-10
KR200461900Y1 true KR200461900Y1 (ko) 2012-08-14

Family

ID=4419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319U KR200461900Y1 (ko) 2009-03-02 2009-03-02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0416B1 (en) 2015-07-09 2020-04-15 Razer (Asia-Pacific) Pte. Ltd. Input devices
KR102568363B1 (ko) * 2021-11-15 2023-08-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환키 인터페이스를 갖는 컴퓨터 입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834A (ja) 1999-02-08 2000-08-15 Nec Corp マウス
JP2002366299A (ja) 2001-06-12 2002-12-20 Hosiden Corp マウス
JP2005202559A (ja) 2004-01-14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834A (ja) 1999-02-08 2000-08-15 Nec Corp マウス
JP2002366299A (ja) 2001-06-12 2002-12-20 Hosiden Corp マウス
JP2005202559A (ja) 2004-01-14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87U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6899B2 (en) Computer input device having movable light pervious plate
KR20090021840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GB2540879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0153139A (ja) 電子機器
US9411475B2 (en) Keyboard
JP4831024B2 (ja) 複合操作装置
JP4309377B2 (ja) ポインタ表示制御装置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CN103677283A (zh) 具有触控板按键的键盘
EP2889734B1 (en) Coordinate input device
KR200461900Y1 (ko) 측면 조작 모듈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마우스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US9329707B2 (en) Input device
US20120044145A1 (en) Scroll mouse with a screen scroll function
JP4374049B2 (ja) 電子機器
CN103543850A (zh) 可改变操作模式的计算机输入装置及其操作模式调整方法
JP3149617U (ja) 側面操作モジュール位置調節可能なマウス
JP4411996B2 (ja) 携帯機器およびジョグダイヤル入力装置
US10599237B1 (en) Input device
CN201352335Y (zh) 鼠标
KR20120070769A (ko) 전자기기용 폴더형 휴대용 무선 입력 장치
CN210428383U (zh) 一种带有触摸板的鼠标
CN201044085Y (zh) 一种计算机输入装置
JP2003256132A (ja) スクロール機能付きマウス
CN117093079A (zh) 便携触控交互型键盘
KR20090006726A (ko) 터치 제어 클릭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