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840A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840A
KR20090021840A KR1020070086700A KR20070086700A KR20090021840A KR 20090021840 A KR20090021840 A KR 20090021840A KR 1020070086700 A KR1020070086700 A KR 1020070086700A KR 20070086700 A KR20070086700 A KR 20070086700A KR 20090021840 A KR20090021840 A KR 2009002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uch
input
manipul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542B1 (ko
Inventor
이은목
안현준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542B1/ko
Priority to US12/200,688 priority patent/US20090061928A1/en
Priority to CN2008102149195A priority patent/CN101377711B/zh
Priority to EP08015207.7A priority patent/EP2042971B1/en
Publication of KR2009002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Abstract

본 발명은 오동작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하나의 입력장치는 기준 상태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이동방향을 가지며, 각각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제1조작부; 제1조작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 및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사이에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터치가 있는 경우 그 터치 신호를 제2조작부의 터치 신호와 비교하여 제2조작부의 잘못된 입력신호를 선별시키는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동작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상대방과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또는 방송의 수신 등의 기능들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휴대 단말기에 복합적으로 탑재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를 구현하기도 한다.
각종 기능의 구현과 부품들의 동작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충분한 뒷받침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면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휴대 단말기가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개성에 따른 선택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가 제안되기도 한다.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전통적인 키패드의 경우, 많은 양의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서는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는 몇 가지의 키를 반복적으로 누름 또는 터치 조작을 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rotation)이나 이동(shift) 등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검색 또는 접근할 수 있도록 창안된 조작 장치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작장치는 접촉상태로 손가락이 이동되므로 손가락의 이동과정중에 인접된 키가 동작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휴대 단말기가 작고 슬림화되어 가는 경향에서 두드러진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탐색이나 기능의 조절을 위한 조작장치를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조작장치를 조작시키는 과정에서 인접된 부분이 동작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준 상태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이동방향을 가지며, 각각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제1조작부; 제1조작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 및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사이에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터치가 있는 경우 그 터치 신호를 제2조작부의 터치 신호와 비교하여 제2조작부의 잘못된 입력신호를 선별시키는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휠(wheel)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제1조작부; 휠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3조작부; 및 복수의 위치에서 제3조작부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터치가 있는 경우 그 위치들에 따른 터치신호들을 비교하여 제3조작부의 잘못된 입력신호를 선별시키는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휠(wheel)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제1조작부; 휠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 휠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3조작부; 및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사이에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터치가 있는 경우 그 터치 신호를 제2조작부의 터치 신호 및 제3조작부의 터치 신호와 비교하여 제2조작부의 조작시 제3조작부에 가해지는 잘못된 입력신호 또는 제3조작부의 조작시 제2조작부에 가해지는 잘못된 입력신호를 선별시키는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어느 한 조작부를 조작시키는 과정에서 터치에 의하여 조작되는 인접된 조작부의 잘못된 터치가 있는 경우 이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입력의 정확도가 개선된다.
이는 특히, 다양한 이동방향을 갖는 스크롤키나, 다이얼, 조이스틱과 같은 조작장치에 그 활용성이 높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잘못된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서 부가된 터치감지부를 구비하므로, 외관이나 구조에 있어 큰 변화 또는 제약을 가져옴이 없이 장치를 구성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 장치 및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입력장치(1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전방은 Z방향을 말하며, 상방은 Y방향을 말한다.
단말기 바디(101)의 상부에는 시스템의 알림음이나 통화음 등의 음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모드에 따른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입력장치(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을 보여 주거나, 단말기(100)의 사용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거나,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의 상태, 또는 카메라 장치의 뷰파인더(viewfinder)가 될 수 있다.
입력장치(120)는 제1조작부(130) 및 제2조작부(140)를 구비한다. 제1조작부(130)는 기준 상태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이동방향을 가지며, 각각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조작부(13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wheel)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I), 피봇(pivot) 지지된 바(bar)의 기울임(tilting)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Ⅱ),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한 볼(ball) 또는 원통체(cylinder)의 임의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Ⅲ), 또는 손가락의 접촉점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조작되는 형태(Ⅳ) 등이 그것이다. 도 1에서는 이들 중 첫 번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제1조 작부(130)는 알려져 있는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제1조작부(130)는 '스크롤', '다이얼', '조이스틱', 또는 '마우스' 등의 명칭으로 불려질 수 있다.
제1조작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에 따라 다양한 입력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10)를 통하여 선택가능한 리스트나 메뉴를 출력하는 경우, 제1조작부(130)를 통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서 또는 포인터가 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볼륨이나 화면의 밝기 등과 같은 오디오(audio) 또는 비디오(video) 관련 기능이나 제어판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1조작부(130)의 중심에는 선택된 항목에 대한 실행이나 기설정된 내용을 실행시킬 수 있는 제3조작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3조작부(150)는 조작가능한 푸시방식 또는 터치방식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작부(140)는 제1조작부(130)의 주변에 배치되며,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조작부(140)는 휴대 단말기(100)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리스트업(list-up)한 후 선택된 항목이 실행시키는 과정을 거침이 없이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키들로 배정되거나,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배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커버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장치(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분적인 외관을 이루며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덮는 커버(102)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102)에는 제1조작부(13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10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홀(102a)의 주변에는 제2조작부(140)의 조작될 위치를 안내하는 키표 지(141)가 형성된다. 키표지(141)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부(143)의 빛이 통과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조작부(140)는 키표지(141)에 대한 터치가 있을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1터치감지부(142)를 구비한다. 제1터치감지부(142)는 회로기판(105)상에 각 키표지(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터치감지부(142)는 터치입력방식에 따라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입력신호로 받아들이거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입력신호로 받아들이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제1조작부(130)의 조작중에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이 주변에 접촉될 때 이를 입력신호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 적용시 장점이 높다.
입력장치(120)는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조작부(130)의 조작시 제2조작부(140)에 가해지는 잘못된 터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2터치감지부(160)를 구비한다. 제2조작부(140) 및 제1터치감지부(142)는 제1조작부(130)의 주변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별적인 입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2터치감지부(160)는 각 제1터치감지부(142)마다 배치될 수 있다.
제2터치감지부(160)는 특히, 휴대 단말기(100)의 경량화·슬림화 경향에 따라 제1조작부(130)와 제2조작부(140)의 거리는 점점 가까와지게 되고, 제1조작부(130)의 조작시 제2조작부(140)가 동작될 수도 있게 됨에 따라, 제1조작부(130)를 회전시키다 보면 제2조작부(140)가 근처에 접근되는 손가락의 터치를 감지하여 실행하게 됨으로써 오동작의 가능성을 줄여 준다.
도 3은 도 2의 입력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서 도 시된 것과 같이, 제2터치감지부(160)는 제1조작부(130)와 제2조작부의 제1터치감지부(14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조작부(130)로부터 제2터치감지부(160) 사이의 거리(L2)는 제1조작부(130)와 제2터치감지부(160) 사이의 거리(L1)에 비하여 가깝다. 그 결과, 제1조작부(13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1터치감지부(142)에 가해질 수 있는 터치는 제1조작부(130)로부터 더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제2터치감지부(160)에 의하여 더 강하게 감지된다.
제1터치감지부(142)와 제2터치감지부(16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는 신호의 파형은 도 4와 같은 예시가 가능하다. 도 4에서 A는 제1터치감지부(142) 또는 제2터치감지부(160) 중 어느 한 감지부의 신호의 파형이고, B는 나머지 감지부의 신호의 파형이 된다.
만약, A가 제1터치감지부(142)의 신호의 파형으로 가정하면, 어느 순간(t)에서 A의 도약이 있고 그 강도가 기준치(C) 이상이 되면 제2조작부(140)는 해당 키의 입력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같은 순간에 B도 도약이 있게 되면, A의 도약을 만든 원인이 제2조작부(140)를 조작하기 위한 의도에서 나온 것인지를 제어부(161)가 결정하여야 한다(도 5).
이렇게 입력장치(120)는 제2조작부(140)에 가해지는 잘못된 터치를 선별하기 위한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오입력 선별부는 제2터치감지부(160) 및 제어부(161)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어부(161)는 제1터치감지부(142) 및 제2터치감지부(160)로부터 감지된 각 각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들 신호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2조작부(140)의 조작으로 평가하게 되면,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다른 장치(163)를 통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입력장치의 제어 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선, 휴대 단말기가 대기 모드나, 편집 모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등의 경우에 제1터치감지부(142) 및 제2터치감지부(160)는 터치되는 신호를 각각 감지한다(S20).
사용자가 입력장치(120)를 이용하여 조작을 하는 경우, 제어부(161)는 제1터치감지부(142)의 신호가 기준치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한다(S30). 제1터치감지부(142)의 신호가 기준치(C)보다 적다면 제2조작부(140)의 입력은 없는 것으로 된다.
제1터치감지부(142)의 신호가 기준치(C)보다 크다면, 제어부(161)는 다음으로 제1터치감지부(142)의 제2터치감지부(160)의 신호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S40). 만약 제2터치감지부(160)의 신호보다 크지 않다면 이는 제1조작부(13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비의도적인(unintentional) 터치로 간주하고 제2조작부(140)의 입력은 차단된다(S60).
따라서, 제1터치감지부(142)의 신호가 기준치(C)보다 크고 제2터치감지부(160)의 신호보다 큰 경우 제어부(161)는 제1터치감지부(142)의 신호가 진정한 의도에 의한 조작으로 간주하여 해당 입력작용을 하도록 한다(S50).
그 결과, 제1조작부(130)의 휠(131)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제2조작부(140)에 가해지는 잘못된 입력작용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입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201)의 외측에는 제1조작부(23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20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202) 및, 커버(202)가 안착되며 커버(202)를 지지하는 프레임(203)이 구비된다.
제1조작부(230)는 단말기 바디(201)의 표면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심에 관통홀(231a)이 형성되는 휠(231)을 포함하고 있다. 휠(231)의 내부에는 휠(231)의 회전을 감지하여 입력작용을 하는 회전감지부(232) 및, 회전휠(231)의 누름에 의하여 동작되어 입력작용을 하는 푸시스위치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감지부(232)와 푸시스위치부(235)는 회로기판(205) 상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 의하면, 회전감지부(232)는 휠(231)에 고정되어 휠(231)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넷(233)과 마그넷(233)의 회전자취 상에 배치되며 마그넷(233)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234)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휠(231)이 회전되면 마그넷(233)도 함께 회전되고, 자기센서(234)는 마그넷(233)의 자기장이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와지는 것을 감지하여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자기센서(234)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을 결정하고, 마그넷(233)이 통과되는 횟수를 합하여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외에도 휠(231)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는 발광수단과 발광수단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푸시스위치부(235)는 금속돔(236)과 접점(237)으로 구성된다. 접점(237)은 회로기판(205)의 관통홀 주위에 복수 개로 배치된다. 금속돔(236)은 수지시트(plastic sheet; 238)에 부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휠(231)을 누르면, 누른 부위에 대응되는 금속돔(236)이 눌리면서 접점(237) 사이를 연결시켜 통전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휠(231)의 주변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240)가 설치된다.
제2조작부(240)는 키표지(241)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각의 제1터치감지부(242)를 포함하고 있다. 제1터치감지부(242)의 일측에는 키표지(241)를 조명시키기 위한 발광부(24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조작부(230)와 제2조작부(240) 사이에는 제1조작부(230)의 조작시 제2조작부(240)에 가해지는 잘못된 터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2터치감지부(160)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제1터치감지부(242) 및 제2터치감지부(260)로부터 감지된 각각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들 신호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2조작부(240)의 조작으로 평가하게 되면, 이를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다른 장치를 통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2조작부(240)의 조작이 있는지에 대한 알고리즘은 위의 제1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휠(231)의 중심에는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3조작부(250)가 설치된다. 제3조작부(250)는 투광성의 윈도우(251), 투광성 도전시트(252), 제3터치감지 부(253)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3조작부(2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휠(231)의 중심에는 투광성의 윈도우(251)가 배치된다. 윈도우(251)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28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251)의 하측에는 투광성 도전시트(252)는 윈도우(25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정전용량이나 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투광성 도전시트(252)는 투광성이 있는 전도성의 필름,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ndum-Tin Oxide;ITO)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등이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회로기판(205)의 관통홀 주위에는 도전시트(252)에 의하여 전달된 압력이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이를 입력신호로 받아들이는 제3터치감지부(253)가 구비된다. 제3터치감지부(253)는 윈도우(251)에 가해지는 터치를 영역별로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나뉘어진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윈도우(251)의 특정 영역에 가해진 터치는 제3터치감지부(253)들 중 그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감지부(253)만이 감지한다.
이에 따라, 윈도우(251)에 가해지는 터치는 윈도우(25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3터치감지부(253)에 의하여 감지되어 입력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휠(231)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윈도우(251)의 터치가 수반될 가능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비의도적인 터치는 오입력 선별부에 의하여 제3조작부(250)의 입력실행이 차단 된다.
제3조작부(250)의 내부에는 가변적인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8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80)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LCD) 또는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 일군(一群)의 발광다이오드(LED)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0)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휠(231)의 관통홀(231a)에 의하여 제한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그에 따라 제3터치감지부(253)에 의하여 인식되는 제어명령은 시각정보에 의하여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0)에 의하여 조절되는 양이 오디오 또는 비디오에 관한 것이면 터치신호는 그 양에 대한 'OK'로 작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입력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오입력 선별부는 휠(231)의 중심에 형성된 복수 개로 분할된 터치영역(R1,R2,R3)을 포함한다. 터치영역(R1,R2,R3)들은 휠(231)의 중심원이 부채꼴 모양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터치영역은 다른 형태의 기하학적인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각형 또는 원이 조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오입력 선별부는 위에서 설명한 제3터치감지부(253)들 중 일부만이 감지되었을 때 제3조작부(250)의 입력을 차단시키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제어부는 앞에서 설명한 제어부(161)와는 제3조작부(250)의 입력작용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휠(231)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R2영역에 대한 부분적인 터치가 있더라도 제3조작부(250)의 입력작용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를 도 9와 도 10을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각 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제3터치감지부들이 감지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도표이고, 도 10은 도 7과 관련된 입력장치의 제어 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 터치영역에서 감지된 신호의 파형이 어느 순간(t)에 R1, R2 영역에서 기준치(C)보다 높게 나오고 R3 영역에서는 기준치(C)보다 낮게 나왔다면, 손가락은 휠(231)을 회전시키면서 R1 및 R2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접촉이 일어났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R3 영역에서 접촉이 없으므로 제3조작부(250)의 입력은 실행되지 않는다.
즉, 도 10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3조작부(250)는 모든 터치영역(R1,R2,R3)에 대한 신호가 기준치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만이 의도적인 경우로 판단하여 입력이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S130). 따라서 제1조작부(23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제3조작부(250)에 대한 잘못된 터치에 의한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입력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220)에 있어서 제2터치감지부(260)를 이용하여 제2조작부(240)의 입력을 실행시킬 것인지 또는 제3조작부(250)의 입력을 실행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보인 것이다. 이 경우 제3제어부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입력작용을 수행한다.
즉, 우선 임의의 시간에 제1~3터치감지부(242,260,253)의 신호를 감지한 다(S220).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부가된 제2터치감지부(260)는 제1터치감지부(242) 또는 제3터치감지부(253)의 신호인지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제1터치감지부(242)의 신호와 제2터치감지부(260)의 신호의 합이 제3터치감지부(253)의 신호보다 큰 지를 파악하고(S230), 전자가 큰 경우 이는 제3조작부(250)에 대한 입력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제2조작부(240)의 입력이 있었는지를 제1터치감지부(242)의 신호가 기준치(C) 이상인지 결정하여(S250), '예'인 경우만 제2조작부의 입력을 실행시킨다(S260).
만약, 제1터치감지부(242)의 신호와 제2터치감지부(260)의 신호의 합이 제3터치감지부(253)의 신호보다 작고, 제2터치감지부(260)의 신호와 제3터치감지부(253)의 신호의 합이 제1터치감지부(242)의 신호보다 크다면, 이는 제2조작부(240)에 대한 입력은 차단된다(S260).
그리고, 제3조작부(250)의 신호가 기준치(C)보다 큰 지를 파악하고(S270), '예'인 경우에만 제3조작부(250)의 입력을 실행시킨다.
이와 같이, 제2조작부(240) 또는 제3조작부(250)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는 제2터치감지부(260)의 신호를 이용하여 어느 조작부의 신호가 우세한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함으로써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커버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입력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2과 관련된 입력장치의 제1터치감지부 및 제2터치감지부가 감지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도표,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장치의 제어 흐름을 보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입력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9는 도 7과 관련된 입력장치의 각 터치영역에 대응되는 제3터치감지부들이 감지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도표,
도 10은 도 7과 관련된 입력장치의 제어 흐름을 보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입력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인 순서도이다.

Claims (15)

  1. 기준 상태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이동방향을 가지며, 각각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제1조작부;
    상기 제1조작부의 주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 및
    상기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사이에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터치가 있는 경우 그 터치 신호를 상기 제2조작부의 터치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제2조작부의 잘못된 입력신호를 선별시키는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는,
    휠(wheel)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I), 피봇(pivot) 지지된 바(bar)의 기울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Ⅱ),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한 볼(ball) 또는 원통체(cylinder)의 임의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Ⅲ), 또는 손가락의 접촉점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조작되는 형태(Ⅳ)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작부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1터치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입력 선별부는,
    상기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부; 및
    상기 제1터치감지부의 신호와 상기 제2터치감지부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터치감지부의 신호가 상기 제2터치감지부의 신호보다 클 경우 상기 제2조작부의 입력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작부 및 제1터치감지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터치감지부는 상기 각 제1터치감지부마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휠(wheel)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제1조작부;
    상기 휠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3조작부; 및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제3조작부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터치가 있는 경우 상기 위치들에 따른 터치신호들을 비교하여 상기 제3조작부의 잘못된 입력신호를 선별시키는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입력 선별부는,
    상기 제3조작부의 내부에 복수 개로 분할된 터치영역;
    상기 각 터치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각 터치영역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3터치감지부들; 및
    상기 터치감지부들 중 일부만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3조작부의 입력을 차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터치감지부들은 압력(pressure)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들은 상기 휠의 중심원이 부채꼴 모양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작부의 내부에는 가변적인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휠(wheel)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조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이동방 향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제1조작부;
    상기 휠의 주변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2조작부;
    상기 휠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제3조작부; 및
    상기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사이에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터치가 있는 경우 그 터치 신호를 상기 제2조작부의 터치 신호 및 상기 제3조작부의 터치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제2조작부의 조작시 상기 제3조작부에 가해지는 잘못된 입력신호 또는 상기 제3조작부의 조작시 상기 제2조작부에 가해지는 잘못된 입력신호를 선별시키는 오입력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작부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1터치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입력 선별부는,
    상기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감지부; 및
    상기 제1터치감지부의 신호와 상기 제2터치감지부의 신호의 합이 상기 제3조작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제2조작부가 동작되게 하고, 상기 제3조작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와 상기 제2터치감지부의 신호의 합이 상기 제1터치감지부의 신호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3조작부가 동작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 함하는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중심부에는 푸시방식으로 동작되는 푸시스위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86700A 2007-08-28 2007-08-28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4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00A KR101442542B1 (ko) 2007-08-28 2007-08-28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12/200,688 US20090061928A1 (en) 2007-08-28 2008-08-28 Mobile terminal
CN2008102149195A CN101377711B (zh) 2007-08-28 2008-08-28 移动终端
EP08015207.7A EP2042971B1 (en) 2007-08-28 2008-08-2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00A KR101442542B1 (ko) 2007-08-28 2007-08-28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40A true KR20090021840A (ko) 2009-03-04
KR101442542B1 KR101442542B1 (ko) 2014-09-19

Family

ID=403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700A KR101442542B1 (ko) 2007-08-28 2007-08-28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61928A1 (ko)
EP (1) EP2042971B1 (ko)
KR (1) KR101442542B1 (ko)
CN (1) CN1013777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1663B2 (en) 2008-03-27 2014-02-04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Robotic catheter system input device
US8317744B2 (en) 2008-03-27 2012-11-27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Robotic catheter manipulator assembly
US8684962B2 (en) 2008-03-27 2014-04-0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Robotic catheter device cartridge
WO2009120982A2 (en) 2008-03-27 2009-10-0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Robotic catheter system with dynamic response
US9161817B2 (en) 2008-03-27 2015-10-20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Robotic catheter system
US8343096B2 (en) 2008-03-27 2013-01-01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Robotic catheter system
AU2009255947B2 (en) 2008-06-06 2014-12-18 Aurora Algae, Inc. Vcp-based vectors for algal cell transformation
US20100022393A1 (en) * 2008-07-24 2010-01-28 Bertrand Vick Glyphosate applications in aquaculture
JPWO2010038296A1 (ja) * 2008-10-01 2012-02-2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起動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8940340B2 (en) * 2009-01-22 2015-01-27 Aurora Alga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the dominance of Nannochloropsis in an algae cultivation system
US8314228B2 (en) 2009-02-13 2012-11-20 Aurora Algae, Inc. Bidirectional promoters in Nannochloropsis
US9187778B2 (en) 2009-05-04 2015-11-17 Aurora Algae, Inc. Efficient light harvesting
JP2010262557A (ja) * 2009-05-11 2010-11-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8865468B2 (en) 2009-10-19 2014-10-21 Aurora Algae, Inc. Homologous recombination in an algal nuclear genome
US8809046B2 (en) 2011-04-28 2014-08-19 Aurora Algae, Inc. Algal elongases
US8769867B2 (en) * 2009-06-16 2014-07-08 Aurora Algae,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irculating fluid in an algae cultivation pond
CN101930309B (zh) * 2009-06-25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触摸按键误触发发生的方法和装置
US20100325948A1 (en) * 2009-06-29 2010-12-30 Mehran Parsheh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irculating and carbonating fluid in an algae cultivation pond
WO2011011463A2 (en) * 2009-07-20 2011-01-27 Aurora Biofuels, Inc. Manipulation of an alternative respiratory pathway in photo-autotrophs
US9439736B2 (en) 2009-07-22 2016-09-13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mote medical device guidance system in three-dimensions using gestures
US9330497B2 (en) 2011-08-12 2016-05-03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User interface devices for electrophysiology lab diagnostic and therapeutic equipment
CN101968692B (zh) * 2009-07-28 2015-04-01 茂丞科技股份有限公司 三维微型输入装置
US8385060B2 (en) * 2009-08-31 2013-02-26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JP5182260B2 (ja) * 2009-09-02 2013-04-17 ソニー株式会社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41719B2 (ja) * 2009-11-12 2013-11-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5325747B2 (ja) * 2009-11-12 2013-10-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WO2011058735A1 (ja) 2009-11-12 2011-05-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入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入力制御方法
US8748160B2 (en) * 2009-12-04 2014-06-10 Aurora Alage, Inc. Backward-facing step
US20120299856A1 (en) * 2010-02-19 2012-11-29 Ne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88973B2 (en) * 2010-03-31 2018-02-13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Intuitive user interface control for remote catheter navigation and 3D mapping and visualization systems
CN101794197B (zh) * 2010-04-06 2012-11-07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屏触发方法、触摸装置及手持设备
JP5618665B2 (ja) * 2010-07-16 2014-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329070A (zh) * 2010-11-24 2013-09-25 日本电气株式会社 输入装置以及输入装置的控制方法
US8866735B2 (en) * 2010-12-16 2014-10-21 Motor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8730188B2 (en) * 2010-12-23 2014-05-20 Blackberry Limited Gesture inpu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722359B2 (en) 2011-01-21 2014-05-13 Aurora Algae, Inc. Genes for enhanced lipid metabolism for accumulation of lipids
CN103974966A (zh) 2011-04-28 2014-08-06 奥罗拉藻类股份有限公司 藻类去饱和酶
US8752329B2 (en) 2011-04-29 2014-06-17 Aurora Algae, Inc. Optimization of circulation of fluid in an algae cultivation pond
US8754872B2 (en) * 2011-09-15 2014-06-17 Microsoft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controls lockout
WO2013048461A1 (en) * 2011-09-30 2013-04-04 Intel Corporation Mobile device rejection of unintentional touch sensor contact
DE102012102749A1 (de) * 2012-03-29 2013-10-02 Reis Group Holding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Industrieroboters
WO2013166065A1 (en) 2012-04-30 2013-11-07 Aurora Algae, Inc. ACP Promoter
KR101978956B1 (ko) * 2012-07-27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I489337B (zh) * 2012-11-23 2015-06-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具虛擬功能鍵之觸控面板的製造方法、干涉判斷方法及觸控裝置
TWI494810B (zh) * 2013-02-08 2015-08-01 Elan Microelectronics Corp 觸控裝置及應用在觸控裝置的物件判斷方法
JP6123590B2 (ja) * 2013-09-05 2017-05-10 株式会社デンソー タッチ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804707B2 (en) * 2014-09-12 2017-10-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active region for touch surface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CN105518588B (zh) * 2014-12-30 2019-09-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操作方法、触控操作组件及电子设备
KR102295819B1 (ko) 2015-02-10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출력장치
WO2017059232A1 (en) * 2015-09-30 2017-04-06 Fossil Group,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detection of user input
KR102563311B1 (ko) * 2018-11-16 2023-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0107066A (ja) * 2018-12-27 2020-07-09 ソニー株式会社 操作制御装置、撮像装置、操作制御方法
CN114980602A (zh) 2019-07-31 2022-08-30 尖峰设计公司 移动设备安装系统
US11548451B2 (en) 2019-07-31 2023-01-10 Peak Design Mobile device mounting system
KR20220005740A (ko) * 2020-07-07 2022-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전자 기기
KR20220019996A (ko) 2020-08-11 2022-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US11722166B2 (en) 2020-10-15 2023-08-08 Peak Design Mobile device case system
US11211963B1 (en) 2020-10-15 2021-12-28 Peak Design Mobile device cas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639A (ja) * 1992-09-14 1994-04-08 Smk Corp ジョグ機能を備えたメンブレンスイッチ
US7834855B2 (en) * 2004-08-25 2010-11-16 Apple Inc. Wide touchpad on a portable computer
US6593914B1 (en) * 2000-10-31 2003-07-15 Nokia Mobile Phones Ltd. Keypads for electrical devices
US6985137B2 (en) * 2001-08-13 2006-01-1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touch pad input due to accidental touching
US7692667B2 (en) * 2001-08-17 2010-04-06 Palm, Inc. Handheld computer having moveable segments that are interactive with an integrated display
US7254775B2 (en) * 2001-10-03 2007-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panel system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multiple touch inputs
CN102609088B (zh) * 2001-11-01 2015-12-16 意美森公司 用于提供触感的方法和系统
US7746325B2 (en) * 2002-05-06 2010-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positioned accuracy for a determined touch input
US7821425B2 (en) * 2002-07-12 2010-10-26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keyboard with non-locking reduced keying ambiguity
DE10257070B4 (de) * 2002-12-06 2004-09-16 Schott Glas Verfahren zur automatischen Bestimmung einer gültigen oder ungültigen Tasteneingabe
KR100754687B1 (ko) * 2003-12-1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입력부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60077182A1 (en) * 2004-10-08 2006-04-13 Studt Peter 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user selectable touch screen functionality
US7847789B2 (en) * 2004-11-23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accidental touch-sensitive device activation
KR100606803B1 (ko) * 2005-05-1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휠 장치를 이용한 기능 수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KR100672539B1 (ko) * 2005-08-1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터치 입력인식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CN1956335B (zh) * 2005-10-27 2010-06-23 盛群半导体股份有限公司 邻近感应装置及其感应方法
US9395905B2 (en) * 2006-04-05 2016-07-19 Synaptics Incorporated Graphical scroll wheel
WO2007084078A1 (en) * 2006-04-22 2007-07-26 Simlab Inventions & Consultancy Private Limited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U2007279515B2 (en) * 2006-08-04 2012-01-19 Eui-Jin Oh Data input device
KR100746876B1 (ko) * 2006-09-01 2007-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7642933B2 (en) * 2006-11-30 2010-01-05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keypress validation in a slider form factor device
US7786901B2 (en) * 2007-04-03 2010-08-31 Motorola, Inc. Key press regist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housings
US8866640B2 (en) * 2008-12-22 2014-10-21 Lenovo (Singapore) Pte. Ltd. Prioritizing user inpu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1928A1 (en) 2009-03-05
EP2042971A2 (en) 2009-04-01
KR101442542B1 (ko) 2014-09-19
CN101377711B (zh) 2011-07-06
CN101377711A (zh) 2009-03-04
EP2042971B1 (en) 2013-12-25
EP2042971A3 (en)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1840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9367151B2 (en)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EP1691263B2 (en) Display actuator
KR101962079B1 (ko) 측벽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US11656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US8032185B2 (en) Operation mode convers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operation mode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operation mode using the same
US20070263015A1 (en) Multi-function key with scrolling
US8039779B2 (en) Electronic device
US2007028540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JP2008517363A5 (ko)
JP4922227B2 (ja) 電子機器
JP2011503756A (ja) ディスプレイを組み合わせ、近接および接触検知能力を有するタッチパッド
US8610668B2 (en) Computer keyboard with input device
US8164580B2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masking
WO2008098946A2 (en) Touchpad
CN107066105B (zh) 具有视觉反馈的输入设备、处理系统和电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