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24Y1 - 급배기유닛 - Google Patents

급배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824Y1
KR200461824Y1 KR2020090005989U KR20090005989U KR200461824Y1 KR 200461824 Y1 KR200461824 Y1 KR 200461824Y1 KR 2020090005989 U KR2020090005989 U KR 2020090005989U KR 20090005989 U KR20090005989 U KR 20090005989U KR 200461824 Y1 KR200461824 Y1 KR 200461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air
pass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521U (ko
Inventor
심재인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한일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2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유닛은, 실외공기 공급용 급기관이 연통연결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를 배출용 배기관이 연통연결된 배기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급기유로와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여 강제로 공기를 급기 및 배기시키는 환풍팬; 상기 환풍팬의 동작에 의한 급기 및 배기시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및 상기 각각의 필터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양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점검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의 전?후면에 필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를 동일 위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급배기유닛의 좌?우 설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점검구의 위치변경을 위한 설계변경이 필요 없다. 이에 따라 급배기유닛의 좌?우 위치만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급배기유닛, 환풍팬, 필터, 점검구

Description

급배기유닛{air intake and exhaust unit}
본 고안은 급배기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의 양면에 필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를 동일 위치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좌?우 설치방향이 변경되더라도 필터 점검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는 급배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배기유닛이란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것으로 주로 일정 공간을 형성한 빌딩 또는 주택 등의 건물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급배기유닛은, 주로 소정의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덕트와, 덕트를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송풍팬이 마련된다. 또한, 덕트 상에는 실내와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 이물질 등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실외의 산소농도가 높은 공기가 급기 되고,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공기를 배기시킴으로 실내를 늘 쾌적하게 환기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급배기유닛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내부에 설치된 필터에 이물질이 쌓여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때문에 필터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급배기유닛은, 필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가 일 방향에 설치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급배기유닛의 좌?우 설치방향이 변경될 경우 점검구의 위치변경을 위한 설계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전?후면에 필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를 동일 위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급배기유닛의 좌?우 설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점검구의 위치변경을 위한 설계변경이 필요 없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급배기유닛의 좌?우 위치만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급배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외공기 공급용 급기관이 연통연결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를 배출용 배기관이 연통연결된 배기유로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급기유로와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여 강제로 공기를 급기 및 배기시키는 환풍팬; 상기 환풍팬의 동작에 의한 급기 및 배기시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및 상기 각각의 필터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양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점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팬은, 상기 급기관이 연결되는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공기 급기 부위와, 상기 배기유로의 실내공기 급기 부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공기 배기 부위와, 상기 배기관이 연결되는 상기 배기유로의 실내공기 배기 부위에 공간을 더 넓게 형성하여, 상기 환풍팬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급기관이 연결되는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공기 급기 부위와, 상기 배기유로의 실내공기 급기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급기유로 및 배기유로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구는, 상기 필터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양측과, 후면 양측에 각각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전?후면에 필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를 동일 위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급배기유닛의 좌?우 설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점검구의 위치변경을 위한 설계변경이 필요 없다. 이에 따라, 급배기유닛의 좌?우 위치만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유닛의 일측 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급배기유닛을 반대 방향으로 설치했을 경우에도 점검구가 동일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급배기유닛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유닛의 점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유닛(100)은, 하우징(200), 환풍팬(300), 필터(400) 및, 점검구(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에는 상기 환풍 팬(300)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600)를 포함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은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의 공간부에는 칸막이(250)를 중심으로 상하로 분할된 급기유로(210)와 배기유로(220)가 각각 형성된다. 물론 상기 급기유로(210)와 배기유로(220)는 다른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의 전?후 면에는 착?탈 가능한 전?후 커버(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 면에는, 실외(B) 측 공기가 상기 급기유로(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외부로 연통 된 제1급기구(211a)가 형성된다. 반면, 상기 배기유로(220)를 통해 실내(A) 측 공기가 실외(B)로 배기 될 수 있도록 외부로 연통 된 제2배기구(21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 면에는, 상기 급기유로(210)로 공급된 공기를 실내(A) 측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제1배기구(211b)가 형성된다. 반면, 실내(A) 측 공기를 상기 배기유로(220)로 공급시키기 위한 제2급기구(212a)가 외부로 연통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 2급기구(211a, 212a)와 제1, 2배기구(211b, 212b)는 다른 위치에 연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급기구(211a)에는, 실외(B)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관(230)의 일단이 급기유로(210)와 연통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급기관(230)의 타단이 건물의 외벽(700) 등을 통해 실외(B)로 연통 위치된다. 즉, 상기 급기관(230)은 실외(B)의 공기를 실내(A)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배기구(212b)에는, 실내(A)공기 배기용 배기관(240)의 일단이 배기유로(220)와 연통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240)의 타단이 건물을 외벽(700) 등을 통해 실외(B)로 연통 위치된다. 즉, 상기 배기관(240)은 실내(A)의 공기를 실외(B)로 배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00)의 전?후 면에는 각각 후술 될 필터(400)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내부로 통공된 필터통과홀(260)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통과홀(260)은 필터(4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통과홀(260)은 후술 될 점검구(500)가 그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터(400) 교체시 상기 점검구(500)를 분리시킨 후 필터통과홀(260)을 통해 필터(400)를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환풍팬(300)은, 전술된 하우징(200)의 급기유로(210)와 배기유로(220)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600)에 의해 온/오프 동작한다. 즉 상기 환풍팬(300)은 상기 급기유로(210)와 배기유로(220)를 통해 공급되는 실외(B)와 실내(A) 측 공기를 각각의 배기 방향으로 강제순환 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환풍팬(300)은 제1급기구(211a)를 통해 급기유로(210)로 공급된 실외(B) 측 공기를 실내(A) 측으로 배기하기 위해 제1배기구(211b) 부위와, 배기유로(220)의 제2급기구(212a)를 통해 배기유로(220)로 공급된 실내(A) 측 공기를 실외(B) 측으로 배기하기 위해 제2배기구(212b)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풍팬(3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급기유로(210)의 실외(B)공기 배기부위에 해당하는 제1배기구(211b) 부위와, 상기 배기 관(240)이 연결되는 상기 배기유로(220)의 실내(A)공기 배기부위에 해당하는 제2배기구(212b) 부근의 공간을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우징(200)의 칸막이(250) 양측을 각각 대향 하는 방향으로 상?하 절 곡 시킴으로써, 상기 환풍팬(300)의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칸막이(250)의 구조는, 환풍팬(300)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급배기유닛(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터(400)는, 전술된 급기관(230)이 연결되는 급기유로(210)의 실외(B)공기 공급 부위에 해당하는 제1급기구(211a) 부위와, 상기 배기유로(220)의 실내(A)공기 공급 부위에 해당하는 제2급기구(212a) 부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400)를 공급되는 제1, 2급기구(211a, 212a)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먼지 등)이 상기 급기유로(210) 및 배기유로(220)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상기 점검구(500)는, 상기 필터(400)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200)의 전면 양측과, 후면 양측에 각각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급배기유닛(100)을 외벽(700)에 설치할 때 좌?우 설치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점검구(500)가 항상 전면에 오게 된다. 즉, 급배기유닛(100)의 좌?우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점검자가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일 방향으로 점검구(500)가 위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점검구(500)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하우징(200)의 양측 면에 각각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51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체결공(510)을 통해 하우징(200)의 전후 면에 대응하게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점검구(5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520)는 볼트, 너트 등 다양한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점검구(500)의 크기,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유닛(100)의 공기 급기와 배기과정과, 필터(400)를 점검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600)의 조작에 의해 급기유로(210)와 배기유로(220)에 각각 설치된 환풍팬(300)이 동시에 동작하면, 상기 급기관(230)을 통해 실외(B) 측 공기가 제1급기구(211a)를 통해 급기유로(21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기유로(210)로 공급되는 실외(B) 측 공기는 필터(400)에 의해 정화되면서 제1배기구(211b)를 통해 실내(A) 측으로 배기 된다.
이와 동시에, 실내(A) 측 공기가 반대편에 형성된 제2급기구(212a)를 통해 배기유로(22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배기유로(220)로 공급되는 실내(A) 측 공기는 필터(400)에 의해 정화되면서 제2배기구(212b)를 통해 실외(B)로 배기 된다.
따라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기유로(220)를 통해 실외로 배기 됨과 동시에, 실외의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므로 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급배기유닛(100)의 전?후 면에 필터(400)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구(50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좌?우 설치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점검구(500)의 위치 변경이 없이 급배기유닛(100)의 방향만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급배기유닛(10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유닛의 일측 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급배기유닛을 반대 방향으로 설치했을 경우에도 점검구가 동일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급배기유닛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배기유닛의 점검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급배기유닛 200: 하우징
210: 급기유로 211a: 제1급기구
211b: 제1배기구 212a: 제2급기구
212b: 제2배기구 220: 배기유로
230: 급기관 240: 배기관
250: 칸막이 260: 필터통과홀
300: 환풍팬 400: 필터
500: 점검구 510: 체결홀
520: 체결부재 600: 제어부
700: 외벽 A: 실내
B: 실외

Claims (5)

  1. 실외공기 공급용 급기관이 연통연결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를 배출용 배기관이 연통 연결된 배기유로가 각각 칸막이에 의해 상하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급기유로와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여 강제로 공기를 급기 및 배기시키는 환풍팬과, 상기 환풍팬의 동작에 의한 급기 및 배기시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및, 상기 각각의 필터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양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점검구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팬은 상기 급기관이 연결되는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공기 급기부위와, 상기 배기유로의 실내공기 급기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실외공기 급기부위는 상기 하우징에서 양측이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하 절곡되는 칸막이에 의해 제 1 급기구측의 공간보다 제 1 배기구측의 공간을 더 넓게 형성하고, 상기 실내공기 급기부위는 상기 하우징에서 양측이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하 절곡되는 칸막이에 의해 제 2 배기구측의 공간보다 제 2 급기구측의 공간을 더 넓게 형성하여, 상기 환풍팬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급기관이 연결되는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공기 급기 부위와, 상기 배기유로의 실내공기 급기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급기유로 및 배기유로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는,
    상기 필터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양측과, 후면 양측에 각각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유닛.
KR2020090005989U 2009-05-18 2009-05-18 급배기유닛 KR200461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89U KR200461824Y1 (ko) 2009-05-18 2009-05-18 급배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89U KR200461824Y1 (ko) 2009-05-18 2009-05-18 급배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21U KR20100011521U (ko) 2010-11-26
KR200461824Y1 true KR200461824Y1 (ko) 2012-08-08

Family

ID=4420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989U KR200461824Y1 (ko) 2009-05-18 2009-05-18 급배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684B1 (ko) * 2011-07-01 2013-02-26 (주) 에너지 2000 덕트 기밀 및 환기 성능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덕트 성능 시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098A (en) 1989-08-17 1993-02-02 Stirling Technology, Inc. Air to air heat recovery ventilator
US5285842A (en) 1989-08-17 1994-02-15 Stirling Technology, Inc. Heat recovery venti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098A (en) 1989-08-17 1993-02-02 Stirling Technology, Inc. Air to air heat recovery ventilator
US5285842A (en) 1989-08-17 1994-02-15 Stirling Technology, Inc. Heat recovery venti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21U (ko)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206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장치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101819046B1 (ko)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2175153B1 (ko) 환기겸용 실내공기정화시스템
KR101074229B1 (ko) 복합형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1931723B1 (ko) 필터장치를 이용한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JP2006349246A (ja) 換気機能を備えるブース
KR200461824Y1 (ko) 급배기유닛
KR100852765B1 (ko) 환기 캡 및 이를 적용한 환기장치
KR101981240B1 (ko) 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KR20100109666A (ko) 일체형 급배기 후드
JP2005106443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CN105465942B (zh) 热交换式换气装置
KR100902154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WO2021014491A1 (ja) 熱交換型換気装置
KR100582458B1 (ko) 환기장치
WO201214086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JP2007183079A (ja) 空気調節装置並びにその排気管の開閉弁取付方法
KR102485951B1 (ko) 창호용 환기 시스템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KR102289920B1 (ko) 공기조화용 어댑터
KR102381515B1 (ko) 천정형 공기청정기
KR20080058953A (ko) 창문 부착형 정환기
JP3173962U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