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953A - 창문 부착형 정환기 - Google Patents

창문 부착형 정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953A
KR20080058953A KR1020060133216A KR20060133216A KR20080058953A KR 20080058953 A KR20080058953 A KR 20080058953A KR 1020060133216 A KR1020060133216 A KR 1020060133216A KR 20060133216 A KR20060133216 A KR 20060133216A KR 20080058953 A KR20080058953 A KR 20080058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ir
regulator
sliding window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102006013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8953A/ko
Publication of KR2008005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질 개선의 일환인 창문형 정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기와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기 그리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기와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기가 각 각 장착된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창과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창 그리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과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이
실내 공기를 정화하면서 정화된 실외 공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실내에 공급하는 특징이 있는 하이브리드식 창문형 정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창틀형 직흡 정환기, 정환(정화 및 환기), 직흡(직접 흡입), 간흡(간접 흡입)

Description

창문 부착형 정환기{ PURIFICATION AND VENTILATION EQUIPMENT OF WINDOW ADHESION TYPE }
도 1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구성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구성 사시도
도 3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조립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구성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구성 사시도
도 6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조립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정환창 창틀 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정환창 창짝 사시도
도 9 본 발명의 정환기 단면도
도 10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 다면도
도 11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다면도
도 12 본 발명의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다면도
도 13 본 발명의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다면도
도 14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
도 15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
도 16 본 발명의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
도 17 본 발명의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
도 18 본 발명의 창문형 정환창 사시도
도 19 본 발명의 직흡식 공기 조절 예시도
도 20 본 발명의 창짝 내부 공기 조절 예시도
도 21 본 발명의 창짝 외부 공기 조절 예시도
도 22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창짝 작동 모드
도 23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외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
도 24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내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
도 25 본 발명의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 작동 모드
도 26 본 발명의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작동 모드
도 27 본 발명의 브라인드 커튼 조립기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11 -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
15 -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16 -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
20 -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21 -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
22 - 미닫이 창짝 정착 철부 25 -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26 -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 27 - 여닫이 창짝 장착 철부
30 -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 35 -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
40 -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 45 -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
46 - 공기 차단봉 결합 철부 50 - 필터 모듈
51 - 보조 필터 70 -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창
71 - 미닫이 창틀 72 - 중앙 미닫이 창짝
73 - 좌측 미닫이 창짝 74 - 우측 미닫이 창짝
76 - 여닫이 창틀 77 - 좌측 여닫이 창짝
78 - 중앙 고정 창짝 79 - 우측 여닫이 창짝
80 -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81 - 이중 미닫이 창틀
82 -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 83 -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
84 -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 85 -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
86 -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 87 -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
90 -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91 - 미닫이 정환 창틀
100 -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101 - 여닫이 정환 창틀
110 -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 111 - 조절기
112 - 파이프 115 - 청짝 내부 공기 조절기
120 - 직흡식 공기 조절기 121 - 공기 차단봉
122 - 스텝모터 123 - 조절 레버
130 - 하단 부벽 140 - 상단 부벽
150 - 필터 고정 철부 160 - 실외 공기 유입구
170 - 정화 공기 배기구 180 - 실내 공기 유입구
190 - 측면 결합구 200 - 전면 결합구
210 - 본체 결합구 220 - 본체 결합 철부
230 - 정환기 결합재 240 - 공기구
250 - 브라인드 커튼 조립기 251 - 문양
252 - 브라인드 커튼 걸대 253 - 브라인드 커튼
260 - 유리 270 - 손잡이
280 - 크레센트 290 - 요철
300 - 천정 310 - 강제 정화 모드
320 - 강제 정환 모드 330 - 강제 환기 모드
340 - 자연 정화 환기 모드 350 - 자연 환기 모드
360 - 닫힘 모드
산업 발전으로 인한 대기 오염 증가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실내의 기밀성 강화 그리고 실내 생활의 증가로 인하여 실내 공기 질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실정에 있어 각국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관련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현재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위한 옥내 기기로는 공기 청정기, 열회수 환기 장치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효율성과 경제성 그리고 활용성 면에서 소비자의 기대에 미치치 못하는 실정에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실내에서 발생 되는 다양한 오염 물질은 정화 또는 환기 만으 로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포름알데히드 그리고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소정의 성과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어 선진국에서는 각국의 지형과 환경 그리고 조건에 적합한 기기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에 있고 대체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식 기기의 개발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덕트나 설비가 필요없이 창호에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와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그리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와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를 각 각 장착한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과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그리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과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을 활용하여 실내 공기 정화와 정화된 실외 공기의 유입을 동시에 실현하고 주어진 환경과 조건 그리고 계절에 적합한 다양한 방식으로 대처하여 실내 공기 질을 관리함으로써 효율성과 경제성 그리고 용이성이 향상된 창문형 정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며 종래의 결점을 보완하고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구성 사시도로서
"가" 도는 임펠라(61), 모터(62) 그리고 제어기(63)로 구성되어 조립된 전동팬 모듈(60)이고
"나" 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와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로서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에는 하단 부벽(130)과 상단 부벽(140)이 돌출되어 있고 하단 부벽(130) 바닥에는 실외 공기 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 부벽(140)의 실내 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으며 양쪽 측면에는 측면 결합구(190)가 형성되어 있고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에는 본체 결합구(210)가 형성되어 있다.
"다" 도는 보조 필터(51)와 필터 모듈(50)이고
"라" 도는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로 본체 접합 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와 본체 결합 철부(220) 그리고 상부에 정화 공기 배기구(170)와 하부에 실내 공기 유입구(18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구성 사시도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이고
"나"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와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로서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 실외 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고 바닥 중앙에 실외 공기 유입구(160) 그리고 양쪽에 측면 결합구(190)가 형성 되어 있다.
"라" 도는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로 본체 결합 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와 본체 결합 철부(220) 그리고 상부에 정화 공기 배기구(170)와 하부에 실 내 공기 유입구(18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조립 사시도로서
"가"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구성인 전동팬 모듈(60),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 그리고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고
"나"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본체(16) 내부의 필터 고정 철부(150)에 필터 모듈(50)이 장착된 조립 사시도 이며
"다"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황기 본체(16) 상단 중앙에 전동팬 모듈(60)을 장착하고 양측 면에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가 부착된 조립 사시도 이고
"라"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 전면에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를 부착하여 조립이 완료된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기 구성 사시도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4)이고
"나" 도는 창틀형 미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21)와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에는 하단 부벽(130)과 상단 부벽(140)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부벽(130) 바닥에는 실외 공기 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 부벽(140)의 실내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 외부에는 미닫이 창짝 정착 철부(22) 그리고 양쪽 측면에는 측면 결합구(190)와 실내측 정면 상단과 하단에는 전면 결합구(200)가 형성되어 있고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에는 본체 결합구(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결합 측에 공기 차단봉 결합 철부(46)가 돌출되어 있다.
"다" 도는 보조 필터(51)와 필터 모듈(50)이고
"라" 도는 내부에 공기 차단봉(121)이 내장되고 중앙에 스텝 모터(122)가 장착되며 외측은 공기구(240)가 형성된 직흡식 공기조절기(120)이며
"마" 도는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로 본체 결합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실내 공기 유입구(180)와 본체 결합구(2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구성 사시도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4)이고
"나" 도는 여닫이 창틀형 정환기 본체(26)와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로서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에는 하단 부벽(130)과 상단 부벽(140)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부벽(130)의 바닥에는 실외 공기 유입구(160)이 형성 되어 있고 상단 부벽(140)의 실내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으며 하단 외부에는 여닫이 창짝 장착 철부(27) 그리고 양쪽 측면에는 측면 결합구(190)와 실내측 상단과 하단 정면에는 전면 결합구(200)가 형성되어 있고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에는 본체 결합구(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결합측에 공기 차단봉 결합 철부(46)가 돌출되어 있다.
"다" 도는 보조 필터(51)와 필터 모듈(50)이고
"라" 도는 내부에 공기 차단봉(121)이 내장되고 중앙에 스텝 모터(122)가 장착되며 외측은 공기구(240)가 형성된 직흡식 공기조절기(120)이며
"마" 도는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로 본체 결합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실내 공기 유입구(180)와 본체 결합구(2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조립 사시도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 보조 전동팬(64),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 보조 필터(51), 필터 모듈(50),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 그리고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로 구성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구성도이고
"나"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내부 하단에 보조 필터(51)이 장착된 조립 사시도이며
"다"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내부 필터 고정 철부(150)에 필터 모듈(50)이 연속적으로 장착된 조립 사시도 이다.
"라: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하단 실내측에 직흡 공기 조절기(120)가 연속적으로 장착된 조립 사시도 이고
"마"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상단 실내측 중앙에 전동팬 모듈(60)과 양측에 보조 전동팬(61)을 연속적으로 장착한 조립 사시도 이며
"바"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양측면에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를 돌출된 공기 차단봉 결합 철부(46)와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공기 차단봉(121)이 결합하여 부착된 조립 사시도 이고
"사"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에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가 부착되어 조립이 완성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환창 창틀 사시도로서
"가" 도는 내부가 요철(290)면이 되도록 조립된 미닫이 창틀(71)이고
"나" 도는 내부가 요철(290)면이 되도록 조립된 이중 미닫이 창틀(81) 이며
"다" 도는 이고
"라" 도는 내부가 요철(290)면이 되도록 여닫이 창틀(76)을 좌측과 우측 그리고 하단에 조립하고 상단에 여닫이 창틀형 정환기(25)를 조립한 여닫이 정환 창틀(101)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환창 창짝 사시도로서
"가" 도는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으로 상단에 조절기(111)가 내장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가 실내 측에 장착되고 실내측 왼쪽 중앙에 손잡이(270)가 부착되며 내부면에 유리(260)가 장착되고 좌, 우, 상, 하의 측면에 요철(290)이 형성되어 있다.
"나" 도는 내부에 유리(260)가 장착되고 좌, 우측 측면 중앙에 크레센트(280)가 부착되어 있으며 좌, 우, 상, 하의 측면에 요철(290)이 형성된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 또는 중앙 미닫이 창짝(72) 이다.
"다" 도는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으로 상단에 공기구(240)가 형성되는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가 장착되고 실내측 오른쪽 중앙에 손잡이(270)가 부착 되어 있으며 내부면에 유리(260)가 창착되고 좌, 우, 상, 하의 측면에는 요철(290)이 형성되어 있다.
"라" 도는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으로 실내측 왼쪽 중앙에 손잡이(270)가 오른쪽 측면 중앙에 크레센트(280)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면에 유리(260)가 창착되고 좌, 우, 상, 하의 측면에는 요철(290)이 형성되어 있다.
"마" 도는 내부에 유리(260)가 장착되고 좌, 우, 상, 하의 측면에 요철(290)이 형성된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4) 이고
"바" 도는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6)으로 실내측 왼쪽 측면 중앙에 크레센트(280)가 오른쪽 중앙에 손잡이(270)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면에 유리(260)가 창착되고 좌, 우, 상, 하의 측면에는 요철(290)이 형성되어 있다.
"사" 도는 내부에 유리(260)가 장착되고 왼쪽 중앙에 손잡이(270)과 오른쪽 측면 중앙에 크레센트(280)가 부착되어 있으며 좌, 우, 상, 하의 측면에 요철(290)이 형성된 좌측 미닫이 창짝(73) 이다
"아" 도는 우측 미닫이 창짝(74)으로 왼쪽 측면 중앙에 크레센트(280)과 오른쪽 중앙에 손잡이(270)가 부착되어 있고 좌, 우, 상, 하의 측면에 요철(290)이 형성되어 있다.
"자" 도는 내부에 유리(260)가 장착되고 오른쪽 중앙에 크레센트(280)가 부착되어 있으며 좌, 우, 상, 하의 측면에 요철(290)이 형성된 좌측 여닫이 창짝(77) 이다
"차" 도는 우측 여닫이 창짝(78)으로 내부에 유리(260)가 장착되고 오른쪽 중앙에 크레센트(280)가 부착되어 있으며 좌, 우, 상, 하의 측면에 요철(290)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환기 단면도로서 도 10, 도 11, 도 12, 도 13에 각 각 표식된 "가", "나", "다", "라", "마"의 상세도이다.
"가" 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의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 정환 흐름도로서
중앙 미닫이 창짝(72) 내부 상단에 형성된 요철(290)에 정환기 결합재(230)를 삽입하여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를 결합하고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면 실외 공기가 하단 부벽(130)의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유입되어 상단 부벽(140) 하부에 장착된 보조필터(51)를 통하여 1차 정화된 실외 공기가 유입되며 실내 공기는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흡입되어 1차 정화된 실외 공기와 합류되고 필터 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전동팬 모듈(60)로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 된다.
"나"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정환 흐름도로서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 내측 상단에 형성된 요철(290)에 정환기 결합재(230)를 삽입하여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를 결합하고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면 좌측 외부 창짝(82)과 우측 외부 창짝(83) 상단에 장착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조절기(111) 조작으로 파이프(112)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흡입되어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중앙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유입되며 실내 공기는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합류되어 필터 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전동팬 모듈(60)로 흡입되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 된다.
"다"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정환 흐름도로서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 내측 상단에 형성된 요철(290)에 정환기 결합재(230)를 삽입하여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를 결합하고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면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과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내부 양측에 장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 조작으로 실외공기가 유입되어 전동팬 모듈(60)로 흡입된다.
"라"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정환 흐름도로서
미닫이 정환 창틀(91) 상단에 조립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의 내부에 장착된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면 미닫이 창틀형 정환기(20)의 하단 부벽(130) 바닥에 형성된 외부 공기 유입구(160)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공기 차단봉(121) 조작으로 유입되어 상단 부벽(140) 하부에 장착된 보조필터(51)를 통하여 1차 정화된 실외 공기가 흡입되며 실내 공기는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흡입되어 1차 정화 된 실외 공기와 합류되고 필터 모듈(50)로 통과 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로 흡입되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 된다
"마" 도는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5)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정환 흐름도로서
여닫이 정환 창틀(101) 상단에 조립된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5) 내부에 장착된 전동팬 모듈(60)이 작동하면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의 하단 부벽(130)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어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공기 차단봉(121) 조작으로 상단 부벽(140) 하부에 장착된 보조필터(51)를 통하여 1차 정화된 실외 공기가 유입되며 실내 공기는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흡입되어 1차 정화된 실외 공기와 합류되어 필터모듈(5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로 흡입되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하는 것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 정면도로서 미닫이 창틀(71) 내부 실외측 요철(290) 중앙에 중앙 미닫이 창짝(72)을 장착하고 창짝 상단에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를 장착하며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장착하면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70) 조립이 완료 된다.
하부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전환창(70)의 하단측 평면도이고 우측도는 정면도의 중앙측 단면도 그리고 상부도는 상단측 평면도로서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내부에 창착된 전동팬 모듈(60)이 작동되면 정화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동시에 실내에 공급되는 것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정면도로서 이중 미닫이 창틀(81) 내부 실외 측으로 부터 제이열 요철(290) 왼쪽에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오른쪽에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그리고 제사열 요철(290) 중앙에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을 정착하고 제오열 요철(290) 중앙에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제칠열 왼쪽에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장착하고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상부에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를 장착하면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70) 조립 완료 된다.
하부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전환창(70) 하단부 평면도로서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과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의 양측에 장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의 조작으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이고 우측도는 정면도의 중앙측 단면도이며 상부도는 상단측 평면도로서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의 상단 실외측에 파이프(112)가 부착되고 조절기(111)이 내장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가 실내측에 부착되며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상단에 장착된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내부에 창착된 전동팬 모듈(60)이 작동되면 정화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동시에 실내에 공급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정면도로서 미닫이 정환 창틀(91)의 상단에 조립된 창틀형 미닫이 직흡 정환기(20) 하부 외측에 형성된 미닫이 창짝 정착 철부(22) 실외측 요철(290) 중앙에 중앙 미닫이 창짝(72)을 장착 하고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장착하면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90) 조립이 완료 된다.
하부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전환창(70)의 하부측 평면도이고 우측도는 정면도의 중앙측 단면도 그리고 상부도는 상단측 평면도로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내부에 창착된 전동팬 모듈(60)이 작동되면 정화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동시에 실내에 공급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정면도로서 여닫이 정환 창틀(101)의 상단에 조립된 창틀형 여닫이 직흡 정환기(25) 하단에 형성된 여닫이 창짝 장착 철부(27) 중앙에 중앙 고정 창짝(78)을 장착하고 왼쪽에 좌측 여닫이 창짝(77)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여닫이 창짝(79)을 장착하면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100) 조립을 완료 한다.
하부도는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전환창(100)의 하부측 평면도이고 좌측도는 좌측 여닫이 창짝(77)과 우측 여닫이 창짝(79) 단면도이고 우측도는 정면도의 중앙측 중앙 고정 창짝(79)의 단면도 그리고 상부도는 상단측 평면도로서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5) 내부에 창착된 보조 전동팬(61)과 전동팬 모듈(60)이 작동되면 정화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동시에 실내에 공급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로서
"가" 도는 조립된 미닫이 창틀(71) 실외측 요철(290)에 중앙 미닫이 창짝(72)을 장착하고 내측 상부 좌, 우, 상, 하단 측면 요철(290)에 정환기 결합재(230)를 삽입을 예시한 사시도 이고
"나" 도는 장착된 중앙 미닫이 창짝(72) 상부에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가 부착된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를 장착한 사시도이며
"다" 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 상단 부벽(140) 하부에 보조 필터(51)를 장착하고 상단 부벽 실내측에 돌출된 필터 고정 철부(150)에 필터 모듈(50)을 부착하고 상단에 전동팬 모듈(60)을 조립한 사시도이고
"라" 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 정면에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을 부착하고 미닫이 창틀(71)의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장착하여 완성된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70) 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로서
"가" 도는 조립된 이중 미닫이 창틀(81)의 실외 측으로부터 제2열 요철(290) 왼쪽에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83)을 장착한 사시도이고
"나" 도는 실외 측으로부터 제4열 요철(290)에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을 장착한 사시도 이며
"다" 도는 실외 측으로부터 제5열 요철(290)에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을 장착한 사시도 이며
"라" 도는 중앙 내부 미닫이 창작(85) 상부에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가 부착된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를 장착한 사시도 이다.
"마" 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에 돌출된 필터 고정 철부(150) 에 필터 모듈(50)을 부착하고 상부에 전동팬 모듈(60)을 조립한 사시도이고
"바"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5) 정면에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를 부착하고 이중 미닫이 창틀(81)의 실외 측으로부터 제7열 요철(290) 왼쪽에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장착하여 완성된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80) 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로서
"가" 도는 미닫이 정환 창틀(91)의 상단에 조립된 창틀형 미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16) 상단 부벽(140) 하부에 보조 필터(51)가 장착되고 필터 고정 철부(150)에 필터 모듈(50)이 부착되며 창틀형 미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16) 내부 상부 중앙에 전동팬 모듈(60)과 좌, 우측에 보조 전동팬(61)이 부착된 사시도이고
"나" 도는 창틀형 미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16) 내부 실내측 하단에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가 장착된 사시도 이며
"다" 도는 창틀형 미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16) 정면에 창틀형 본체 전면커버(35)가 부착되고 미닫이 정환 창틀(91) 실외측 요철(290) 중앙에 중앙 미닫이 창짝(72)이 장착된 사시도 이고
"라" 도는 미닫이 정환 창틀(91)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장착하여 완성된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90) 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조립 사시도로서
"가" 도는 여닫이 정환 창틀(101)의 상단에 조립된 창틀형 여닫이 직흡 정환 기 본체(26) 상단 부벽(140) 하부에 보조 필터(51)가 장착되고 필터 고정 철부(150)에 필터 모듈(50)이 부착되며 창틀형 여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26) 상부 중앙에 전동팬 모듈(60)과 좌, 우측에 보조 전동팬(61)이 부착된 사시도이고
"나" 도는 창틀형 여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26) 내부 실내측 하단에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가 장착된 사시도 이며
"다" 도는 창틀형 여닫이 직흡 정환기 본체(26) 정면에 창틀형 본체 전면커버(35)가 부착되고 여닫이 정환 창틀(101) 요철(290) 중앙에 중앙 고정 창짝(78)이 장착된 사시도 이고
"라" 도는 여닫이 정환 창틀(101)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여닫이 창짝(77)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여닫이 창짝(79)을 장착하여 완성된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100) 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정환창 사시도로서
"가" 도는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70) 외관 사시도 이고
"나" 도는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80) 외관 사시도 이며
"다" 도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90) 외관 사시도 이고
"라" 도는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100) 외관 사시도 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직흡식 공기 조절 예시도로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 하단에 장착된 직접식 공기 조절기(120)이며 좌, 우, 상부에 공기구(240)가 형성되어 있고 상, 하에 돌출된 요철(290)과 공기 차단봉(121)이 스템 모터(122) 또는 조절 레버(123)의 조작으로 교차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선 택하여 유입 또는 차단하고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0도에 위치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전동팬 모듈(60)로 흡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나"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시계 방향으로 315도에 위치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3 : 7의 비율이 되며
"다"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시계 방향으로 270도에 위치하여 실외 공기가 차단되고 실내 공기만 유입되고
"라"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시계 방향으로 180도에 위치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5 : 5의 비율이 되며
"마"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시계 방향으로 135도에 위치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7 : 3의 비율이 되고
"바"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시계 방향으로 90도에 위치하여 실내 공기가 차단되고 실내 공기만 유입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내부 공기 조절 예시도로서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과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이 창짝 내부 공기조절기(115) 구조로 되어 창짝 실외 측과 실내 측에 공기구(240)가 형성하고 내부에 공기 차단봉(121)을 장착한다.
"가"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시계 방향으로 270도에 위치하여 실외 공기가 차단되고
"나" 도는 공기 차단봉(121)이 시계 방향으로 180도에 위치하여 실외 공기가 유입 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외부 공기 조절 예시도로서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의 상단 실외 측에 부착된 파이프(112)와 실내 측에 조절기(111)가 내장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이 부착 결합되는 구조이다
"가" 도는 조절기(111)의 조작으로 조절기(111)와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에 형성된 공기구(240)의 불일치로 외부 공기가 차단되고
"나" 도는 조절기(111)의 조작으로 조절기(111)와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에 형성된 공기구(240)의 일치로 외부 공기가 파이프(112)를 통하여 유입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된 각 창문형 정환창은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되어 환경이나 조건 그리고 계절에 적합한 작동 모드를 선택하여 실내 공기 징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는데 이를 예시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창짝 작동 모드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과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어 보조 필터(51)에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 실외 공기와 혼합되고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화 모드(310)가 된다.
"나"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을 열면 실외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어 보조 필터(51)에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바닥에 형성된 실외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실내 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 실외 공기와 혼합되어 필터모듈(50)을 통과 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환기 모드(330)가 된다.
"다"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어 보조 필터(51)에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바닥에 형성된 실외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고 필터모듈(50)를 통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면서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가 된다.
"라"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고 보조 필터(51)를 통과하여 정화되면서 상호 교류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가 된다.
"마"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가 된다
"바"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닫으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차단되는 닫힘 모드(360)가 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외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상부에 부착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닫으면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와 조절기(111)에 형성된 공기구(240) 불일치로 외부 공기가 차단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필터모듈(50)를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고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강제 정화 모드(310)가 된다.
"나"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상단에 부착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열면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와 조절기(111)에 형성된 공기구(240) 일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 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읍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가 된다.
"다"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상단에 부착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조절기(111)를 열면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와 조절기(111)에 형성된 공기구(240) 일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유입되어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맑은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공기구(24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가 된다.
"라"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가 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 내부에 부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닫으면 실외측 공기 구(240)가 닫혀 외부 공기가 차단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하여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화 모드(310)가 된다.
"나"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과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내부에 부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열면 실외측 공기구(24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 실외 공기와 혼합되고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가 된다.
"다"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과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내부 부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열면 공기구(24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공기구(24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가 된다.
"라"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가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 공기 조절 작동 모드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켜면 실외 공기가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내부의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실내측 하단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 필터 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가 된다
"나"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면 실외 공기가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내부의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유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실내측 하단에 형성된 실내공기 유입구(18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고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내부의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가 된다.
"다" 도는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가 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 공기 조절 작동 모드로서
"가"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켜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270도에 위치하면 실외 공기가 차단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필터 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화 모드(310)가 된다.
"나"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켜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180도에 위치하면 실외 공기가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어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가 된다.
"다"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켜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90도에 위치하면 실내공기가 차단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 입구(160)로 실외 공기가 흡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재차 정화되면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환기 모드(330)가 된다.
"라"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끄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0도에 위치하면 실외 공기가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실외 공기가 흡입되고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어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를 통하여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ㄱ공기 유입구(16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가 된다.
"마"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끄고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가 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드 커튼 조립기로서 천정(300)의 돌출 부분으로 인하여 창호의 상단이 차단되는 경우 전동팬 모듈(60)에서 배출되는 정화 공기의 효과적인 실내 유입을 위하여 조치되는 장치로
"가" 도는 브라인드 커튼 조립기(250)의 상단부 사시도로 전면에 문양(251)이 내장되고 문양 후면에 브라인드 커튼 걸대(252)가 부착되어 브라인드 커튼이 장 착된 사시도이고
"나" 도는 브라인드 커튼 조립기(250)가 창문형 정환기에 장착된 정면도와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 한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며 작동하는 창문형 정환기는
첫째, 정화와 환기의 동시 실현으로 실내 오염 물질의 제거 효율이 높고
둘째, 별도의 설비가 필요 없어 설치와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세째, 강제식과 자연식의 다양한 작동 모드로 환경, 계절, 기후, 지역 그리고 조건 및 개인 취향에 적합하게 운전되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내부가 요철(290)면이 되도록 조립한 미닫이 창틀(71)의 내부 실외측 요철(290) 중앙에 중앙 미닫이 창짝(72)을 정착하고 창짝 상부에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를 장착하며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74)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70)
  2. 청구항 1에서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가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 필터모듈(50), 보조 필터(51), 전동팬 모듈(60)로 구성되어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 양측에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이 부착되고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1) 내부 하부에 필터 모듈(50)과 중단에 보조 필터(51) 그리고 상부에 전동팬 모듈(60)이 장착 및 부착되며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의 정면에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3. 청구항 2에서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 내부 실외 측에 하단 부벽(130)과 상단 부벽(140)이 돌출되어있고 하단 부벽(130) 바닥에는 실외 공기 유입구(160)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단 부벽(140)의 실내 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고 양쪽 측면에는 측면 결합구(190)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
  4. 청구항 1에서
    창짝 부착형 직흡식 정환창(70)이 전동팬 모듈(60)을 켜면 실외 공기가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내부의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실내측 하단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 필터 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면 실외 공기가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내부의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유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실내측 하단에 형성된 실내공기 유입구(18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고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10) 내부의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 드(350)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정환창(70)의 작동 모드
  5. 내부가 요철(290)면이 되도록 조립한 이중 미닫이 창틀(81)의 내부 실외 측으로부터 제2열 요철(290) 왼쪽에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83)을 정착하고 제4열 요철(290)에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을 정착하며 제5열 요철(290)에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을 정착하고 중앙 내부 미닫이 창작(85) 상부에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가 장착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83) 상부에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와 파이프(112)가 부착되며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 내부에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80)
  6. 청구항 5에서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가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 필터모듈(50), 전동팬 모듈(60)로 구성되어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 양측에 창짝 부착형 본체 측면 커버(40)이 부착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내부 중단에 보조 필터(51) 그리고 상부에 전동팬 모듈(60)이 장착 및 부착되며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의 정면에 창짝 부착형 본체 전면 커버(3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7. 청구항 6에서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 본체(16) 내부 실외 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고 양쪽 측면에는 측면 결합구(190)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직흡 정환기 본체(11)
  8. 청구항 5에서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창짝 작동 모드로서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과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어 보조 필터(51)에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 실외 공기와 혼합되고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화 모드(310)와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을 열면 실외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어 보조 필터(51)에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바닥에 형성된 실외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실내 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 실외 공기와 혼합되어 필터모듈(50)을 통과 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환기 모드(330)와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어 보조 필터(51)에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 바닥에 형성된 실외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고 필터모듈(50)를 통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면서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유입되고 보조 필터(51)를 통과하여 정화되면서 상호 교류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닫으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차단되는 닫힘 모드(360)로 작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창(80)의 창짝 작동 모드
  9. 청구항 5에서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외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로서 전동팬 모 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상부에 부착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닫으면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와 조절기(111)에 형성된 공기구(240) 불일치로 외부 공기가 차단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필터모듈(50)를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고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강제 정화 모드(310)와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상단에 부착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열면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와 조절기(111)에 형성된 공기구(240) 일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읍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과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상단에 부착된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조절기(111)를 열면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와 조절기(111)에 형성된 공기구(240) 일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바닥 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유입되어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맑은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외부 공기 조절기(110)의 공기구(24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외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
  10. 청구항 5에서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외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로서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 내부에 부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닫으면 실외측 공기구(240)가 닫혀 외부 공기가 차단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하여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화 모드(310)와
    전동팬 모듈(60)을 작동하고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과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내부에 부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열 면 실외측 공기구(24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 실외 공기와 혼합되고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중앙 외부 미닫이 창짝(84)과 중앙 내부 미닫이 창짝(85) 내부 부착된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조절기(111)를 조작하여 열면 공기구(24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고 창짝 부착형 간흡 정환기(15)의 실내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창짝 내부 공기 조절기(115)의 공기구(24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와
    전동팬 모듈(60)을 끄고 좌측 외부 미닫이 창짝(82), 우측 외부 미닫이 창짝(83), 좌측 내부 미닫이 창짝(86) 그리고 우측 내부 미닫이 창짝(87)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부착형 간흡식 정환창 외부 공기 조절기 작동 모드
  11. 내부가 요철(290)면이 되도록 미닫이 창틀(71)을 좌측과 우측 그리고 하단에 조립하고 상단에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를 조립한 미닫이 정환 창틀(91) 내부의 실외측 요철(290) 중앙에 중앙 미닫이 창짝(72)을 정착하고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74)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90)
  12. 청구항 11에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가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 필터모듈(50), 보조 필터(51), 전동팬 모듈(60) 그리고 보조 전동팬(61)로 구성되어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양측에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가 부착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내부 하부에 필터 모듈(50)과 중단에 보조 필터(51) 그리고 상부 중앙에 전동팬 모듈(60) 그리고 양측에 보조 전동팬(61)이 장착 및 부착되며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정면에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13. 청구항 12에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내부 실외 측에 하단 부벽(130)과 상단 부벽(140)이 돌출되어 있고 하단 부벽(130) 바닥에는 실외 공기 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부벽(140)의 실내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고 하단 외부에는 미닫이 창짝 정착 철부(22) 그리고 양쪽 측면에는 측면 결합구(190)와 실내측 정면 상단과 하단에는 전면 결합구(200)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1)
  14. 청구항 11에서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창 작동 모드로서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켜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270도에 위치하면 실외 공기가 차단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필터 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화 모드(310)와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켜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180도에 위치하면 실외 공기가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흡입되어 보조 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실외 공기와 혼합되어 필터모듈(5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정환 모드(320)와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켜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90도에 위치하면 실내공기가 차단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실외 공기가 흡입되어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고 필터모듈(50)을 통과 하면서 재차 정화되면 전동팬 모듈(60)에 흡입되어 정화 공기 배기구(170)로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는 강제 환기 모드(330)와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끄고 직흡식 공기 조절기(120)의 조절 레버(123)를 조작하여 공기 차단봉(121)이 0도에 위치하면 실외 공기가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공기 유입구(160)로 실외 공기가 흡입되고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1차 정화되어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를 통하여 맑은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고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내측에 형성된 실내 공기 유입구(180)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보조필터(51)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0) 실외측 바닥에 형성된 실외 ㄱ공기 유입구(16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자연 정화 환기 모드(340)와
    "마" 도는 전동팬 모듈(60)과 보조 전동팬(61)을 끄고 좌측 미닫이 창짝(73) 그리고 우측 미닫이 창짝(74)을 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열린 공간으로 상호 교환되는 자연 환기 모드(350)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창(90)의 작동 모드
  15. 내부가 요철(290)면이 되도록 여닫이 창틀(76)을 좌측과 우측 그리고 하단에 조립하고 상단에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5)를 조립한 여닫이 정환 창틀(101) 내부의 실외측 요철(290) 중앙에 중앙 고정 창짝(78)을 장착하고 실내측 요철(290) 왼쪽에 좌측 여닫이 창짝(77) 그리고 오른쪽에 우측 미닫이 창짝(79)을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틀형 직흡식 정환창(100)
  16. 청구항 15에서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5)가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6),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 필터모듈(50), 보조 필터(51), 전동팬 모듈(60) 그리고 보조 전동팬(61)로 구성되어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6) 양측에 창틀형 본체 측면 커버(45)가 부착되고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6) 내부 하부에 필터 모듈(50)과 중단에 보조 필터(51) 그리고 상부 중앙에 전동팬 모듈(60) 그리고 양측에 보조 전동팬(61)이 장착 및 부착되며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6) 정면에 창틀형 본체 전면 커버(35)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26)
  17. 청구항 16 에서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6) 내부 실외 측에 하단 부벽(130)과 상단 부벽(140)이 돌출되어 있고 하단 부벽(130) 바닥에는 실외 공기 유입구(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부벽(140)의 실내측에 필터 고정 철부(150)가 돌출되어 있고 하단 외부에는 미닫이 창짝 정착 철부(22) 그리고 양쪽 측면에는 측면 결합구(190)와 실내측 정면 상단과 하단에는 전면 결합구(200)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창틀형 직흡 정환기 본체(26)
KR1020060133216A 2006-12-23 2006-12-23 창문 부착형 정환기 KR20080058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216A KR20080058953A (ko) 2006-12-23 2006-12-23 창문 부착형 정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216A KR20080058953A (ko) 2006-12-23 2006-12-23 창문 부착형 정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53A true KR20080058953A (ko) 2008-06-26

Family

ID=3980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216A KR20080058953A (ko) 2006-12-23 2006-12-23 창문 부착형 정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89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60B1 (ko) 2017-06-14 2018-06-04 안성국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20190014857A (ko) * 2017-08-04 2019-02-13 코웨이 주식회사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60B1 (ko) 2017-06-14 2018-06-04 안성국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20190014857A (ko) * 2017-08-04 2019-02-13 코웨이 주식회사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78B1 (ko) 환기시스템
KR101569475B1 (ko)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의 고정장치
KR20040075686A (ko)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KR20190012094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2052638B1 (ko)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1931723B1 (ko) 필터장치를 이용한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1819046B1 (ko)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US20190101298A1 (en) Fresh air hood system for mini splits
KR20080058953A (ko) 창문 부착형 정환기
JP2005221218A (ja) 空気清浄機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KR20110118347A (ko) 창틀프레임의 레일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102304226B1 (ko) 전열교환기
KR101010472B1 (ko) 환기장치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KR200468966Y1 (ko) 시공과 관리가 용이한 환기장치
KR20040097613A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KR100996626B1 (ko) 실내공기 환기장치
KR200461824Y1 (ko) 급배기유닛
KR102630811B1 (ko) 외기의 선택적 필터링이 가능한 창문형 복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