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591Y1 -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591Y1
KR200461591Y1 KR2020120002355U KR20120002355U KR200461591Y1 KR 200461591 Y1 KR200461591 Y1 KR 200461591Y1 KR 2020120002355 U KR2020120002355 U KR 2020120002355U KR 20120002355 U KR20120002355 U KR 20120002355U KR 200461591 Y1 KR200461591 Y1 KR 200461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fixing groove
sculpture
retaining 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35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한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9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9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가공한 조형석으로써 손쉽게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개선한 조형석 옹벽과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을 개시하며, 상기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적층을 위한 제1 조형석과 수평 방향 마감을 위한 제2 조형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및 상기 옹벽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제1 및 제2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culpted stone retaining wall and a sculpted stone used to improve the easy to form walls of the fill section or cut section as a sculpted stone processed into a concrete block,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is a soft ground A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that is poured to reinforce the; A retaining wall made of a first sculpture stone for lamination on the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and a second sculpture stone for horizontal finishing; And a finishing block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culptures forming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wherein the first sculpture includes: a landscape surface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Channel-shaped fixing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xing groove; A connection key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onnection groov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escription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본 고안은 조형석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가공한 조형석으로써 손쉽게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개선한 조형석 옹벽과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improved to form a wall of the fill section or cut section as a sculpture stone processed into a concrete block and a sculpture stone used therein.

토목 또는 건축 현장은 일반적으로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의 절개면이나,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되는 절토부에 대한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s generally need to consider reinforcement of the cut surface of the cut formed by cutting the rock or the ground, or the slope of the fill section with respect to the cut created between the different altitudes in the process of laying the ground. .

절토부는 임의적인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를 갖는 절개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차로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The cut section is a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surface having a slope formed by an arbitrary incision, and the fill section is a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n altitud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filling.

여기에서 상기 절개면 및 경사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강을 위한 시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이 중 절토부에는 특히 안전성과 경제성 뿐만 아니라 외적 미관을 고려한 조경이 고려된 보강 시공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Here, the cutting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may be presented a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ment in various ways. Among them, the reinforcement method should be applied to the cut section considering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external aesthetics as well as safety and economy.

일반적으로 절토부의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또는 발파석(자연석)을 이용한 돌벽 구조물이 제시될 수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reinfor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ut portion, a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concrete pouring or a stone wall structure using blasted stone (natural stone) may be presented.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은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유연성 및 가변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반이 필요한데 지지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공간의 확보는 뒤 채움 작업 등을 많이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차후 옹벽 구조물의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된 경우, 이의 보수가 곤란하며, 미관을 고려한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However,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concrete pouring lacks flexibility and variability corresponding to shapes of slopes and rocks to be installed. And a support base is needed to solve the flexibility and variability, but a considerable space is required to secure the support base. In addition, the securing of such space requires a lot of backfilling work, and thus, the construction period is extended, and construction cost is high.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partial breakag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ccurs in the future, repair thereof is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landscape aspect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또한, 자연석을 이용한 돌벽 구조물의 경우 조경적인 측면이 충족되고, 경사면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돌을 쌓는 경우 자연석이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다단으로 쌓는 경우 고도로 숙련된 시공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자연석은 일반적으로 암반에서 채취한 발파석 등이 이용되는데 이는 자연환경을 훼손하는 문제점과 산지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 등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one wall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 the landscape aspect is satisfied, and flexibility and variability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can be secured,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natural stone support state when stacking stones, especially when stacked in multiple stages. Construction skills are required. In particular, natural stone is generally used blasted stone, etc. collected from the rock, which is a problem that damages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duction area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can not be used enough.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블록화된 조형석을 이용하여 벽체를 설치함에 따라서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과 가변성을 확보하고, 조형석의 전면에 조형미를 가미함으로써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하며, 조형석을 조립 시공 가능하여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조형석 옹벽과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flexibility and variability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by installing the wall using the blocked sculptured stone, satisfying the landscape aspect by adding a sculpture to the front of the sculp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that can be assembl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the sculpture stone used therein.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적층을 위한 제1 조형석과 수평 방향 마감을 위한 제2 조형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및 상기 옹벽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제1 및 제2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Sculptur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concrete structure which is poured in order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cut portion; A retaining wall made of a first sculpture stone for lamination on the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and a second sculpture stone for horizontal finishing; And a finishing block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culptures forming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wherein the first sculpture includes: a landscape surface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Channel-shaped fixing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xing groove; A connection key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onnection groov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에서, 상기 제2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sculpture stone, the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A first fixing groove having a channe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A second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a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fixing groove; A pair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 조형석은,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조경면;In addition, the second sculpture stone, the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and side;

상기 측면을 이루는 블럭체; 상기 블럭체와 이격되어 다른 측면을 이루는 포크부; 상기 블럭체와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블럭에의 일정 위치에서 중지된 형상을 갖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A block body forming the side surface; A fork part spaced apart from the block body to form another side surface;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body and the fork portion; A first fix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that one end thereof has a shape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lock; A second fixing groov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ixing groove and formed in a lower portion and form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rst fixing groove; And adhesive groov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the first fixing groove.

그리고, 상기 제1 조경석 사이에 상기 옹벽의 라운딩 처리를 위한 제3 조경석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3 조경석은, 상기 제3 조경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irst landscape ston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landscape stone for the rounding process of the retaining wall, the third landscape stone, the third landscape stone, the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Channel-shaped fixing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xing groove; A pair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옹벽은 하부층과 상부층이 단차지며 상기 상부층의 최 상부에 상기 상부층과 연결을 위한 보강 조형석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상기 포크부의 상면에 상기 제1 고정홈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키의 하부에 하층을 이루는 제1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의 상부에 상층을 이루는 제2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is a step between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top of the upper layer reinforcement sculpture for connecting with the upper layer, the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the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A first fixing groove having a channe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 plurality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ix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to be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retaining wall forming a low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key and a second retaining wall forming an upper lay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Can be stacked.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블럭화된 조형석로써 옹벽의 벽체를 설치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과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어서 옹벽 공사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as a block-like sculpture stone can be secured flexibility and variability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can be improved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블럭으로 제작되는 조형석의 전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양을 구현하거나 자연석 효과를 얻도록 조형석을 제작함으로써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하는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can be treated in various way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that meets the landscape aspect by implementing the pattern or creating the sculpture stone to obtain natural stone effect. There is.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정형화된 조형석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을 단순히 반복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 of sequentially arranging the structured sculptures can be simply repeate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성토부의 지오그리드 또는 절토부의 소일네일과 적층되는 조형석이 손쉽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구조체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culpture stone laminated with the geogrid of the fill portion or the cut nail of the cut portion can be easily and firmly fastened, there is an effect of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마감 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6의 마감 블록과 도 1 및 도 4의 조형석들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 적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방법으로 적층되는 조형석들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방법으로 지오그리드가 조형석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전면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15-15 부분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16-16 부분의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정면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21는 도 20의 21-21 부분의 단면도.
도 22은 도 20의 정면도
도 23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정면도.
도 25는 수평키의 사시도.
도 26는 도 6의 마감 블록과 도 20 및 도 24의 조형석들이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 적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방법으로 적층되는 조형석들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방법으로 지오그리드가 조형석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9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0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2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3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평면도.
도 35는 도 33의 측면도.
도 36은 도 33의 정면도.
도 37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8 내지 도 40은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1은 도 40의 평면도.
도 42는 마감 블럭의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측면도.
도 44는 보조 블럭의 사시도.
도 45는 조형석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6은 조형석들을 수평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47은 도 33의 조형석과 마감 블럭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8는 도 39의 조형석과 마감 블럭 및 보조 블럭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9는 보강 조형석을 이용한 성토부의 옹벽의 측면도.
도 50은 보강 조형석을 이용한 절토부의 옹벽의 측면도.
도 51은 보강 조형석의 사시도.
도 52는 보강 조형석의 측면도.
도 53은 보강 조형석의 평면도.
도 54는 보강 조형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55는 도 33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6은 도 39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7은 도 40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8은 도 51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lpture ston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2-2 of FIG.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culpture ston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FIG.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ing block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ight side view of FIG. 6;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block of FIG. 6 and the sculptures of FIGS. 1 and 4 are stack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eogrid is coupled between sculptured stones stacked by the method of FIG. 8;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eogrid is coupled between sculptured stones by the method of FIG. 9. 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the fill.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a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a cut portion.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lpture ston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15-15 portion of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16-16 portion of FIG.
17 is a front view of FIG. 14;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culpture ston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ront view of FIG. 18;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ulpture ston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sectional view of a portion 21-21 of FIG. 20; FIG.
FIG. 22 is a front view of FIG. 20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culpture ston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front view of FIG. 23;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key;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block of FIG. 6 and the sculpture stones of FIGS. 20 and 24 are stacked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eogrid is coupled between sculptured stones stacked by the method of FIG. 26;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eogrid is coupled between sculpture stones by the method of FIG. 27. FIG.
2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the fill.
3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to the cut portion.
3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rried out in the fill.
3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a sculpture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a cut portion.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ulpture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top view of FIG. 33;
35 is a side view of FIG. 33;
36 is a front view of FIG. 33;
3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culpture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8 to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culpture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top view of FIG. 40;
4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ishing block.
FIG. 43 is a side view of FIG. 42; FIG.
4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block;
4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sculpture stones;
4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rranging sculptures horizontally;
FIG. 4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ulpture stone and the finishing block of FIG. 33;
FIG. 4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ulpture stone and the finishing block and the auxiliary block of FIG. 39; FIG.
49 is a side view of a retaining wall of a fill section using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50 is a side view of a retaining wall of a cut section using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5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ed sculpture stone.
52 is a side view of a reinforced sculpture stone.
53 is a plan view of a reinforced sculpture stone.
5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5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33.
5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39.
5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40.
5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5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doesn't happen.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조형석을 이용하며, 조형석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된다.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culpture stone, the sculpture stone is made of concrete blocks.

조형석은 벽체를 형성할 때 전면에 드러나는 조경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면이 문양을 구현하거나 자연석 효과를 얻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Sculptures can be surface-treated to create patterns or to achieve natural stone effects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e of landscape that appears on the walls when forming walls.

그리고 조형석(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11)이 윗면에 형성되고 고정홈(11)과 삽입 가능하게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키(12)가 아랫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조형석(10)은 장방형상의 연결홈(14)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연결홈(14)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된 연결키(13)가 연결홈(14)이 형성된 반대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조형석(10)은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드레인 홈(17)이 후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두 개 형성된다.The sculpture 10 has a fixing groove 1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xing key 12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groove 11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Is formed. In addition, the sculpture stone 10 has a rectangular connection groove 14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onnection key 13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4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connection groove 14 is formed. In addition, the sculpture stone 10 is preferably formed with at least one drain groove 17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형석(10)은 적층될 때 위층의 조형석의 아랫면의 고정키(12)와 하래층의 조형석의 고정홈(11)이 결합되어서 벽체를 이룬다. 그리고, 조형석(10)은 수평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인접한 조형석의 연결홈(14)과 연결키(13)가 결합되되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상태가 지지된다.The sculpture stone 10 having such a structure forms a wall when the fixing key 12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and the fixing groove 11 of the sculpture stone of the lower layer are combined when stacked. In addition, the sculpture 10 is supported in a horizontally arranged state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groove 14 and the connection key 13 of the adjacent sculpture stone in the horizontally arranged state.

그리고, 조형석(10)의 윗면과 아랫면에 키홈(18)이 각각 형성되며, 키홈(18)은 조형석(10)의 후면에 드레인홈(17)이 형성된 사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key grooves 18 may b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ulpture stone 10, and the key grooves 18 may be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drain grooves 17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10.

여기에서, 윗면의 키홈(18)이 아랫면의 것보다 후면에 가깝도록 서로 소정 거리(t1) 엇갈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윗면의 고정홈(11)도 아랫면의 고정키(12)보다 후면에 가깝도록 서로 소정 거리(도 10의 t2) 엇갈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하 엇갈리게 키홈(18)과 고정홈(11) 및 고정키(12)를 형성하는 것은 조형석(10)이 후면으로 일정각 경사져서 다층으로 적층하기 위한 것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grooves 18 on the upper surface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1 such that they are closer to the rear surface than those on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groove 11 of the upper surface is staggered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2 of FIG. 10) so as to be closer to the rear surface than the fixing key 12 of the lower surface. As such, forming the key groove 18, the fixing groove 11, and the fixing key 12 alternately up and down are for stacking the multilayered stone 10 by inclining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ear surface.

그리고, 상면의 고정홈(11)은 자신에 삽입되는 고정핀(12)보다 폭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들 간의 간극은 시멘트나 모르타르 또는 고착제 등으로 충진되어 접착력이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11 of the upper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wider than the fixing pin 12 is inserted into it, the gap between them is filled with cement or mortar or fix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adhesive force.

그리고, 측면의 연결홈(14)도 자신에 삽입되는 연결핀(13)보다 폭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조형석(10)은 유격에 의하여 수평으로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groove 14 of the side is also preferably formed wider than the connection pin 13 is inserted into it, so that the sculpture stone 10 can be easily assembled horizontally by the play.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도 1과 다른 조형석(10a)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조형석은 도 1의 조형석(10a)을 이등분하면서 일측면에 연결홈(14)이 구성된 것에 해당된다. 즉,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은 하나의 배수로가 형성된 것이며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을 길이 방향으로 두개 연결하여 일체화하면 도 1의 조형석(10)과 동일한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의 고정홈(11), 고정키(12), 연결홈(14), 연결키(13)의 구성은 도 1의 조형석(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a sculptured stone 10a different from FIG. 1 may be configured. 4 and 5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groove 14 is formed on one side while dividing the modeling stone 10a of FIG. That is, the figurine stone 10a of FIGS. 4 and 5 has one drainage path formed therein, and when the two pieces of the granite stone 10a of FIGS. 4 and 5 are integral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gurine stone 10 of FIG. Can be.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groove 11, the fixing key 12, the connecting groove 14, and the connecting key 13 of the modeling stone 10a of FIGS. Is omitted.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구성된 마감 블록(20)이 이용되며, 마감 블록(20)은 아랫면에 조형석(10, 10a)의 윗면에 형성된 고정홈(11)에 삽입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되며 조형석(10, 10a)을 종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장방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 블록(20)의 돌출부(22)는 조형석(10, 10a)의 고정키(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마감 블록(20)은 도 1 내지 도 5의 조형석(10, 10a)으로 벽체가 설치된 최상단에 배치되어서 마감처리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시멘트나 모르타르 또는 고착제 등으로 아래의 조형석(10, 10a)과 접착됨이 바람직하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inishing block 20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closing block 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10, 10a) Protruding portion 22 is formed and may be composed of a rectangular shape having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sculpture stone (10, 1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protrusion 22 of the closing block 20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fixing key 12 of the sculpture stones 10 and 10a. Finishing block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used for finishing the treatment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wall is installed as the sculpture stone (10, 10a) of Figs. It is preferable to adhere with (10, 10a).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조형석(10, 10a) 및 마감 블록(20)은 도 8과 같이 적층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도 8은 키(24)가 키홈에 삽입됨을 도시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sculpture stone (10, 10a) and the finishing block 20 of Figure 7 can be stacked and assembled as shown in Figure 8, Figure 8 shows that the key 24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도 8의 방법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도 9와 같은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조형석(10, 10a)가 배열되고 다층으로 조형석(10, 10a)이 적층된다. By the method of FIG. 8,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as shown in FIG. 9, and the sculpture stones 10 and 10 a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culpture stones 10 and 10 a are stacked in a multi-layer.

이때 적층되는 조형석(10, 10a) 사이에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고, 지오그리드(30)의 단부는 조형석의 고정홈(11)과 고정키(12)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geogrid 3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tacked stone (10, 10a), the end of the geogrid 30 can be suppor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xing groove 11 and the fixing key 12 of the sculpture stone. have.

또한,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10, 10a)이 서로 적층되면서 서로 이어지는 키홈(18)에 키(24)가 삽입되며, 키(24)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오그리드(3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 24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8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upper and lower sculptured stones 10 and 10a are stacked on each other, and the key 24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end of the geogrid 30 to form the geogrid 30. ) Can be fixed.

여기에서, 키(24)는 철근 또는 부식성에 강한 다양한 소재의 파이프나 빔으로 제작되어서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key 24 may be made of pipes or beams of various materials resistant to rebar or corrosion.

즉, 도 10과 같이 지오그리드의 단부가 적층되는 조형석(10, 10a) 사이에 삽입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ends of the geogrid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culptured stones 10 and 10a.

도 9 및 도 10과 같이 지오그리드를 고정하는 방법은 도 11과 같이 성토부에 대하여 조형석 옹벽이 설치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9 and 10, the geogrid fixing method may be used by installing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with respect to the fill portion as shown in FIG. 11.

즉, 터파기한 지반(100) 상에 기초 콘크리트(102)를 지반 보강을 위하여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102) 상에 조형석(10, 10a)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oundation concrete 102 is poured on the ground 100 for the reinforcement, and the foundation stones 10 and 10a ar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on the foundation concrete 102 to form a wall.

최하층의 조형석(10, 10a)은 기초 콘크리트(102)와 결합되며 앞채움(104) 및 뒷채움(106)에 의하여 일부 매립될 수 있다. 조형석(10, 10a)의 후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층(108)이 성토부(120)와 더불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층(108)의 하부에는 유공관(109)이 설치될 수 있다.The lowest level sculpture stone (10, 10a) is combined with the base concrete 102 and may be partially embedded by the front filling 104 and back filling 106. A drainage layer 108 for drainage may be vertically formed along with the fill portion 120 at the rear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10 and 10a. In addition, a lower hole 109 may be installed below the drainage layer 108.

즉, 도 11의 성토부에 대하여 실시된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다수의 조형석들(10, 10a)이 수직 적층 및 수평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체, 및 벽체의 최상단을 이루는 조형석들(10, 10a)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fill portion of Figure 11, the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that is placed in order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 portion, a plurality of sculpture stones (10, 10a) on the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vertically laminated And finishing blocks covering upper surfaces of the sculptures 10 and 10a forming the top of the wall, and the wall formed by horizontal connection.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절토부의 전면에 대하여 도 12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12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ut por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을 이루는 벽체는 절토면(202)이 형성된 절토부(20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wall forming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cut portion 200 in which the cut surface 202 is formed.

즉, 터파기한 지반(100) 상에 기초 콘크리트(102)를 지반 보강을 위하여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102) 상에 조형석(10, 10a)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oundation concrete 102 is poured on the ground 100 for the reinforcement, and the foundation stones 10 and 10a ar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on the foundation concrete 102 to form a wall.

최하층의 조형석(10, 10a)은 기초 콘크리트(102)와 결합되며 앞채움(104)에 의하여 일부 매립될 수 있다. 조형석(10, 10a)의 후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층(108)이 성토부(120)와 더불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층(108)의 하부에는 유공관(109)이 설치될 수 있다.The lowest level sculpture stone (10, 10a) is combined with the base concrete 102 and may be partially embedded by the front filling (104). A drainage layer 108 for drainage may be vertically formed along with the fill portion 120 at the rear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10 and 10a. In addition, a lower hole 109 may be installed below the drainage layer 108.

또한, 조형석(10, 10a)의 후면에는 셋 앙카(204)가 삽입 설치되어서 콘픽스로 고정되고, 절토부(200)의 절토면(202)에는 소일 네일(208)이 설치된다. 그리고, 소일 네일(208)의 절토면(202) 상으로 노출되는 단부와 셋 앙카(204)의 단부는 와이어(206)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206)는 겹이음, 용접 또는 클립 등의 방법으로 양단이 셋 앙카(204)의 단부 및 소일 네일(208)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 anchors 204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sculptures 10 and 10a, and the soil nails 208 are installed on the cut surface 202 of the cut portion 200. In addition, an end exposed to the cut surface 202 of the soil nail 208 and an end of the set anchor 204 may be connected by a wire 206, and the wire 206 may be formed by a lap, welding, or a clip. Both ends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et anchor 204 and the end of the small nail 208.

그리고, 셋 앙카(204)는 턴 버클을 포함한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The set anchor 204 may be selected to include a turn buckle.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도 1의 조형석(10)과 도 4의 조형석(10a)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도 13과 같은 패턴을 이루도록 전면이 구성될 수 있다.1 to 12,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shown in Figures 1 to 12, the sculpture stone 10 of Figure 1 and the sculpture stone (10a) of Figure 4 by regular or irregularly arranged to form a pattern as shown in Figure 13 Can b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을 이룸에 있어서 조형석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ulpture stone in forming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그 일예로 도 14 내지 도 17과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조형석(10b)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고정핀(12b)이 길이 방향 양단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조형석(10b)는 도 1 내지 도 3의 조형석(10)과 고정핀(12b)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S. 14 to 17, the fixing pin 12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10b corresponding to FIGS. 1 to 3 may be separa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culpture 10b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culpture 10 and the fixing pins 12b of FIGS. 1 to 3,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도 18 및 도 19와 같이 도 4 및 도 5에 대응하는 조형석(10c)은 도 14 내지 도 17의 조형석(10b)과 동일하게 분리된 일측 고정핀(12c)만 구성될 수 있다. 조형석(10c)는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과 고정핀(12c)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18 and 19, the sculpture stone 10c corresponding to FIGS. 4 and 5 may include only one fixing pin 12c separated from the sculpture stone 10b of FIGS. 14 to 17. The sculpture 10c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culpture 10a and the fixing pins 12c of FIGS. 4 and 5,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 내지 도 19와 같이 조형석(10b, 10c)은 고정핀(12b, 12c)이 분리됨으로써 적층시 고정홈(11)과 고정핀(12b)간의 결합이 더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조형석 옹벽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 to 19, the sculptures 10b and 10c may be more fluidly coupled between the fixing grooves 11 and the fixing pins 12b when the fixing pins 12b and 12c are separated. Therefore, the workability of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can be improved.

또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을 실시하는데 이용되는 도 1 내지 도 3에 대응되는 조형석(10d)은 도 20 내지 도 22과 같이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고정홈(11, 11d)이 형성될 수 있다. 조형석(10d)는 도 1 내지 도 3의 조형석(10)과 고정홈(11d)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culpture stone 10d corresponding to FIGS. 1 to 3 used to implement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0 to 22, fixing grooves 11 and 11d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have. Since the sculpture 10d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culpture 10 and the fixing groove 11d of FIGS. 1 to 3,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도 23 및 도 24와 같이 도 4 및 도 5에 대응하는 조형석(10e)은 도 20 내지 도 22의 조형석(10d)과 동일하게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고정홈(11, 11e)이 형성될 수 있다. 조형석(10e)는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과 고정홈(11e)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shaped stones 10e corresponding to FIGS. 4 and 5 may have fixing grooves 11 and 11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thereof, respectively, similarly to the shaped stones 10d of FIGS. 20 to 22. Can be. Since the sculpture 10e has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culpture 10a and the fixing groove 11e of FIGS. 4 and 5,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0 내지 도 24의 경우 적층되는 조형석들(10d, 10e)은 도 25의 수평키(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20 to 24, the stacked stones 10d and 10e may be fixed by the horizontal key 40 of FIG. 25.

수평키(40)는 상하 적층되는 조형석들(10d, 10e)의 고정홈(11, 11d 또는 11, 11e)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장방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key 4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fixing grooves 11, 11d or 11, 11e of the sculptures 10d and 10e stacked up and down,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즉, 도 20 내지 도 24의 조형석들(10d, 10e)는 도 26과 같이 수평키(40)를 개재하여 적층되며, 수평 키(40)에 의하여 적층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6는 키(24)가 키홈에 삽입됨을 도시하고 있다.That is, the sculptures 10d and 10e of FIGS. 20 to 24 are stacked through the horizontal key 40 as shown in FIG. 26, and the stacked state by the horizontal key 40 may be fixed. 26 shows that the key 24 is inserted into the keyway.

도 26의 방법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도 27과 같은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조형석(10d, 10e)가 배열되고 다층으로 조형석(10d, 10e)이 적층된다. By the method of FIG. 26,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laminated structure as shown in FIG. 27, and the sculpture stones 10d and 10e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culpture stones 10d and 10e are stacked in a multi-layer.

이때 적층되는 조형석(10d, 10e) 사이에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고, 지오그리드(30)의 단부는 조형석의 고정홈들(11, 11d, 11e)과 수평키(40)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geogrid 3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tacked stone (10d, 10e), the end of the geogrid 30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s (11, 11d, 11e) and the horizontal key 40 of the sculpture Can be supported by.

또한,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10d, 10e)이 서로 적층되면서 서로 이어지는 키홈(18)에 키(24)가 삽입되며, 키(24)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오그리드(3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 24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8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upper and lower sculptured stones 10d and 10e are stacked on each other, and the key 24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ends of the geogrid 30. ) Can be fixed.

즉, 도 28과 같이 지오그리드의 단부가 적층되는 조형석(10, 10a) 사이에 삽입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8, the ends of the geogrid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culptured stones 10 and 10a.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지오그리드(30)를 고정하는 방법은 도 29와 같이 성토부에 대하여 조형석 옹벽이 설치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fixing the geogrid 30 as shown in Figure 27 and 28 can be used by installing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for the fill portion as shown in FIG.

도 29의 조형석 옹벽은 도 11의 성토부와 대비하여 조형석(10d, 10e) 및 수평키(40)의 구성만 달라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molding stone retaining wall of FIG. 29 has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molding stones 10d and 10e and the horizontal key 40 in contrast to the fill portion of FIG.

또한, 조형석 옹벽은 절토부의 전면에 대하여 도 30과 같이 실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도 도 12의 절토부와 대비하여 조형석(10d, 10e) 및 수평키의 구성만 달라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may be implemen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ut portion as shown in FIG. 30, and in this case,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sculpture stone 10d and 10e and the horizontal ke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ut portion of FIG. .

한편, 본 고안은 도 31 및 도 32와 같이 실시될 수 있으며, 도 31은 성토부 옹벽이고, 도 32는 절토부 옹벽이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31 and 32, wherein FIG. 31 is a fill portion retaining wall, and FIG. 32 is a cut portion retaining wall.

도 31의 성토부 옹벽과 도 32의 절토부 옹벽은 도 33 내지 도 44의 조형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ll portion retaining wall of FIG. 31 and the cut portion retaining wall of FIG. 32 may be configured using the sculpture stone of FIGS. 33 to 44.

도 31과 도 32는 단차를 갖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옹벽을 구성하며 단차를 갖는 옹벽은 연결 콘크리트(103)에 의하여 옹벽의 각 층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31 and 32 form a retaining wall of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a step, and the retaining wall having a step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layer of the retaining wall is connected by connecting concrete 103.

먼저, 도 31의 성토부 옹벽은 지반(100) 상에 기초콘크리트(102)가 타설되고 기초 콘크리트(102) 상에 최하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기초콘크리트(102)는 연약 지반을 위한 보강구조로 역할을 하며, 통상적으로 앞채움(104)과 뒷채움에 의하여 매립될 수 있다.First, in the fill portion retaining wall of FIG. 31, the foundation concrete 102 is poured on the ground 100, and the sculpture stone 300 forming the lowest layer on the foundation concrete 102 is installed. Here, the foundation concrete 102 serves as a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soft ground, it can be typically buried by the front filling 104 and back filling.

기초콘크리트(102)의 상부에는 다층으로 조형석(300)이 적층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다층으로 적층된 조형석(300) 사이에는 지오그리드(30)의 일단이 삽입된다. 여기에서, 지오그리드(30)는 상하로 맞물리는 조형석(300)에 의하여 고정됨과 동시에 석재용 접착제(400)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The top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2 is formed of a retaining wall by stacking the sculpture stone 300 in a multi-layer, one end of the geogrid 30 is inserted between the sculpture stone 300 stacked in a multi-layer. Here, the geogrid 30 may be fixed by the sculpture stone 300 that is engaged up and down, and may be bonded by the stone adhesive 400.

여기에서, 석재용 접착제(400)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과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수지 재질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석재용 접착제(400)는 경화제와 혼합하여 접착을 원하는 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adhesive for stone 400 may be an adhesive made of epoxy resin and polyimide resin. The stone adhesive 400 may be mixed with a curing agent and applied to a desired surface for adhesion.

조형석(300)이 다층으로 적층된 최상부에는 마감블록(500)이 배치되며, 마감블록(500)도 조형석(300)과 석재용 접착제(400)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The finishing block 50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00 stacked in multiple layers, the finishing block 500 may also be bonded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and the stone adhesive 400.

그리고, 조형석(300)이 다층으로 적층된 후면에는 성토부(120)가 구성되며, 조형석(300)에 의한 옹벽과 성토부(120) 사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층(108)이 형성될 수 있고, 배수층(108)의 하부에는 배수를 안내하기 위한 유공관(109)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ll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300 stacked in multiple layers, and a drainage layer 108 for drain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fill portion 120 formed by the sculpture stone 300.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age layer 108 may be provided with a hole tube 109 for guiding the drainage.

이와 같이 복수의 층을 갖는 조형석(300)으로 구성되는 옹벽은 도 31과 같이 단차를 갖는 다단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 간에 단차를 갖는 옹벽은 연결 콘크리트(103)에 의하여 옹벽의 각 층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As such, the retaining wall composed of the sculpted stone 300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may have a multi-stage configuration having a step as shown in FIG. 31, and the retaining wall having a step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concrete 103.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ayers are connected.

이때, 하부 층을 이루는 옹벽과 상부 층을 이루는 옹벽 사이에는 단차를 갖는 평편한 면이 존재하게 되며, 이 영역에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식생되는 수목은 조형석(300)의 뒷 면에 형성되는 후술되는 드레인홈과 식생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뿌리내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레인홈은 배수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각 구성의 설명에서 후술한다.In this case, a flat surface having a step may exist between the retaining wall forming the lower layer and the retaining wall forming the upper layer, and vegetation may be formed in this region. At this time, the vegetated tree can be easily rooted along the space formed by the drain groove and the vegetation groov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300, and the drain groove can be used for drainag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그리고, 하부 층을 이루는 옹벽의 최 상부에 위치한 조형석(300)의 내부에는 연결 콘크리트(103)가 일정 영역 타설되며, 연결 콘크리트(103)의 상부에 상부 층을 이루는 옹벽이 설치될 수 있다.And, the interior of the sculpture stone 30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constituting the lower layer, the connection concrete 103 is placed in a certain area, the retaining wall constituting the upper lay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concrete 103 may be installed.

여기에서, 연결 콘크리트(103)는 하부에 성토된 성토부(120)를 보강하여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옹벽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물이다.Here, the connecting concrete 103 is a reinforc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formed to be stepped on the upper portion by reinforcing the fill portion 120 deposited in the lower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1과 같이 성토부의 전면에 조형석(300)을 이용한 옹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32와 같이 절토부의 전면에 조형석(300)을 이용한 옹벽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 portion as shown in FIG. 31, and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ut portion in the same manner.

즉, 도 32의 옹벽은 도 31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32의 옹벽은 절토부(200)의 절토면(202)과 옹벽을 이루는 조형석(300)을 연결하기 위하여 조형석(300)에 셋 앙카(204)가 설치되고 절토면(202)에 소일 네일(208)이 설치되며 셋 앙카(204)와 소일 네일(208)은 와이어(206)에 의하여 연결된다.That is, since the retaining wall of FIG. 32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FIG. 31,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of FIG. 32 has three anchors 204 installed on the sculpture stone 300 to connect the cut surface 202 of the cut portion 200 and the sculpture stone 300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and the soil nail (on the cut surface 202). 208 is installed and the set anchor 204 and the soy nail 208 are connected by a wire 206.

상술한 바와 같은 도 31의 성토부 옹벽과 도 32의 절토부 옹벽을 이루는 조형석(300)은 도 33 및 도 44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culpture stone 300 that forms the fill portion retaining wall of FIG. 31 and the cut portion retaining wall of FIG. 32 may be used as thos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33 and 44.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조형석(3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culpture ston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3 and 34.

도 33 내지 도 36은 도 31 및 도 32의 성토부를 이루는 조형석(300)이며, 도 33은 조형석(300)의 배면을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4는 조형석(300)의 평면도이며, 도 35는 조형석(300)의 측면도이고, 도 36은 조형석(300)의 정면도이다.33 to 36 are the sculpture stone 300 forming the fill portion of Figure 31 and 32, Figure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sculpture stone 300, Figure 34 is a plan view of the sculpture stone 300, Figure 35 is a sculpture stone It is a side view of 300, and FIG. 36 is a front view of the sculpture stone 300. As shown in FIG.

조형석(300)은 전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312)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312)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culpture stone 300 may have a landscape surface 312 to form a retaining wall in front of the retaining wall, the landscape surface 31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urface treatment for obtaining the same effect as natural stone.

그리고, 조형석(300)의 상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314)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고정키(314)가 형성되며, 고정홈(316)과 고정키(314)는 서로 교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And,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stone 300 is formed with a channel-shaped fixing groove 31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key 31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groove 316 and the fixing key 314 ) Has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여기에서, 조형석(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키(314)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옹벽이 뒷 쪽의 성토부 또는 절토부 쪽으로 일정각 경사져서 기울어지도록 조형석(300)을 적층하여 구조적 안정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Here, the fixing groove 316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culpture stone 300 may be form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key 31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is is to achieve structural stability by stacking the sculpture stone 300 so that the retaining wall is inclined at an angle inclined toward the back fill section or cut section.

조형석(310)의 적층에 의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조형석들(300)의 하부의 고정키(314)와 상부의 고정홈(316)이 교합된다. 조형석(300)의 고정키(314)와 고정홈(316)은 상하로 교합되어서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적층되는 조형석들(300)의 적층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fixing key 314 and the fixing groove 316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culpture stones 300 stacked up and down by the stacking of the sculpture stone 310 is combined. Fixing key 314 and the fixing groove 316 of the sculpture stone 300 is to support the stacked state of the sculpture stones 300 are laminated to form a retaining wall by engaging up and down.

그리고, 고정홈(316)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318)이 형성되며, 접착홈들(318)은 석재용 접착제(400)를 도포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도포되는 석재용 접착제(400)를 일정 용량 내부에 수용하는 역할도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s 316 are formed with adhesive grooves 31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adhesive grooves 318 serve to indicate the position of applying the stone adhesive 400 for the stone to be applied. It also serves to accommodate the adhesive 400 in a predetermined volume.

즉, 하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의 상부의 고정홈(316) 내의 접착홈들(318)이 형성된 위치에 일정 용량의 석재용 접착제(400)가 도포된다. 석재용 접착제(400)는 접착홈(318)을 기준으로 도포되며 접착홈(318)을 충전하는 이상의 양으로 접착홈(318)보다 넓은 면적에 분포되도록 도포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a stone adhesive 400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is applied to a position where adhesive grooves 318 are formed in the fixing groove 316 of the upper part of the sculpture stone 300. The stone adhesive 400 is applied based on the adhesive groove 318 and is preferably applied to be distributed in a larger area than the adhesive groove 318 in an amount more than filling the adhesive groove 318.

즉, 옹벽은 석재용 접착제(400)를 도포한 후 지오그리드(30)의 단부를 하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의 상부에 배치하고 지오그리드(30)의 상부에 상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석재용 접착제(400)는 경화되어서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30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접착하고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300)들의 배치는 고정홈(316)과 고정키(314)의 교합으로 지지되고,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300)들 사이에 배치되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는 석재용 접착제(400)의 접착력과 고정홈(316)과 고정키(314) 간의 맞물림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retaining wall is applied to the stone adhesive 400, the end of the geogrid 3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00 to form a lower layer and the top of the geogrid 30 to form a sculpture stone 300 to form an upper layer It can be configured in a wa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tone adhesive 400 is cured to bond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culpture stones 300 and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and lower sculpture stones 300 is fixed groove 316 and the fixing key The end of the geogrid 30, which is supported by the occlusal 314 and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culpture stones 300, has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stone adhesive 400 and the fixing groove 316 and the fixing key 314. Can be fixed by engagement.

또한, 조형석(300)에는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포크부(324)가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포크부(324) 사이에는 드레임홈(326)이 형성되고, 각 포크부(324)의 중앙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는 식생홈(328)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culpture stone 3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rks 324 protruding in the rear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ain groove 326 is formed between the forks 32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fork ( In the center of the 324 is a vegetation groove 328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드레인홈(326)은 상하로 적층되는 조형석(300)들 간에 서로 연결되며 빗물이나 지하수를 드레인하는 경로를 제공하면서 상부에 심어진 식생들의 뿌리가 하부로 뻣어나갈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drain groove 326 i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sculptured stone 300 stacked up and down to provide a path for draining rainwater or groundwater while providing a path for the roots of vegetation planted on the top to stiffen to the bottom.

그리고, 식생홈(328)은 드레인홈(326)에 의하여 하부로 뻗어나가는 식생들의 뿌리가 좌우로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groove 328 is formed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roots of the vegetation extending downward by the drain groove 326 may naturally grow left and right.

여기에서, 조형석(300)의 드레인 홈(326)에는 고리(329)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식생홈(328)의 특정 위치에 돌기바(330)가 설치될 수 있다. 고리(329)와 돌기바(330)는 조형석(300)에 일정 깊이 형성된 홈에 설치한 후 홈에 고착제 등을 충진하여서 설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ring 329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groove 326 of the sculpture stone 300, and the protrusion bar 330 may be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vegetation groove 328. The ring 329 and the protrusion bar 330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sculpture stone 300 and then fixed by filling a groove with a fixing agent.

여기에서 고리(329)는 체인이나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와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고리는(329)는 조형석(300)을 들어올리는 장치와 체결되는 체인이나 와이어에 체결됨으로써 조형석(300)을 들어올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ring 329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wit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chain or wire, the ring 329 is lifted to the chain or wire to be fastened with the device for lifting the sculpture stone 300 to lift the sculpture stone 300 Can be used to raise.

그리고, 돌기바(330)에는 무게추(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bar 330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not shown).

따라서, 조형석(300)을 도 31 및 도 32와 적층하기 위하여 들어올릴 때, 체인이나 와이어가 고리(329)에 체결되어서 조형석(300)을 들어올려서 이동할 수 있고, 돌기바(330)에 설치되는 무게추에 의하여 조형석(300)의 무게중심이 안정되어서 안전하게 조형석(3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lifting the sculpture stone 300 to stack with Figs. 31 and 32, the chain or wire is fastened to the ring 329 to lift the sculpture stone 300 to move, which is installed on the protrusion bar 330 The weight center of the sculpture 300 is stabilized by the weight, so that the sculpture 300 can be safely moved to a desired position.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고리(329)와 돌기바(330)의 구성에 의하여 조형석(300)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을 단순히 반복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improved by simply repeating the work of sequentially arranging the sculpture stone 300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ing 329 and the protrusion bar 330 by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조형석은 옹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3 내지 도 36의 구성과 다른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조형석은 도 37 내지 도 43과 같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sculpture stone may be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S. 33 to 36 to form the retaining wall, and the sculpture stone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먼저, 도 37의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같이,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16)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키(314)가 구성되며 뒷면에 포크부(324)와 이들 사이의 드레인홈(32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조형석(340)은 고정홈(316)의 내부에는 다수의 접착홈(3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형석(340)은 조형석(300)과 동일하게 정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sculpture stone 340 of Figure 37, like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ures 33 to 36, the fixing groove 31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op is formed and the fixing key 31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 Has a structure in which a fork portion 324 and a drain groove 326 therebetween are formed on the back side. The sculpture 340 has a plurality of adhesive grooves 318 formed inside the fixing groove 316. In addition, the sculpture stone 340 may be formed to have a landscape surface to form a retaining wall in the same manner as the sculpture stone 300 to have a landscape beauty, the landscape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urface treatment for obtaining the same effect as natural stone. have.

그리고, 조형석(34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같이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키(314)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culpture stone 340 is preferably form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key 31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xing groove 316 formed on the upper side like the sculpture stone 300 for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도 37의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비교하여 높이가 낮도록 설계되고 길이가 짧으며 포크부(324)에 식생홈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sculpture 340 of FIG. 37 is designed to have a lower height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getation groove is not formed in the fork part 324. have.

따라서, 조형석(340)은 조형석(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될 수 있으며 상하 적층되는 구조는 고정홈(316)과 고정키(31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culpture stone 340 may be stack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culpture stone 300 and the structure stacked up and down may be supported by the fixing groove 316 and the fixing key 314.

조형석(340)은 성토부에 구성되는 경우 상부와 하부에 도 31과 같이 지오그리드가 설치될 수 있고 절토부에 구성되는 경우 뒷면에 셋앙카가 고정되어서 절토면과 연결될 수 있다.The sculpture stone 340 may be installed in the top and bottom geogrid as shown in FIG. 31, when configured in the fill por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ut surface by fixing the set anchor on the back side when configured in the cut portion.

그리고,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조절할 필요성이 크지 않으므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돌기바가 조형석(300)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ulpture 340 is smaller in volume than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since the necessity of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large, only the ring 329 may be installed and the protrusion bar may not be formed. However, if necessary, the protrusion bar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sculpture stone 300.

상술한 도 37의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높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을 때 중간에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어 이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culpture stone 340 of FIG. 37 may be stacked and used to form a layer in the middle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도 37의 조형석(340)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method of stacking the sculpture stone 340 of FIG. 3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ing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38과 같은 구조의 조형석(350)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culpture stone 350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38 may be used.

도 38의 조형석(350)은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16, 316a)이 형성되고 뒷면에 포크부(324)와 이들 사이의 드레인홈(326)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38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ing grooves 316 and 316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fork portion 324 and the drain grooves 326 therebetween are formed on the rear side.

여기에서, 조형석(35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유사하게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a)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ulpture stone 350 is form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316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similar to the sculpture stone 300 for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도 38의 조형석(35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비교하여 하부에 고정키(314) 대신 고정홈(316a)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즉 폭이 좁게 설계되고 포크부(324)에 식생홈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8의 조형석(350)은 두 개의 포크부(324)와 이들 사이의 하나의 드레인홈(326)을 갖는다. 그리고, 조형석(350)은 조형석(300)과 동일하게 정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38 compared to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the fixing groove 316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nstead of the fixing key 314 and is designed to be narrow in the length direction, that is, the fork part 324.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vegetation groove is not formed in the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sculpture stone 350 of FIG. 38 has two fork portions 324 and one drain groove 326 therebetween. And, the sculpture stone 350 may be formed to hav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the effect of the natural stone by forming a retaining wall in the same manner as the sculpture stone 300, to have a landscape beauty. have.

도 38의 조형석(350)은 도 33 내지 도 36 또는 도 37의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의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형석(350)은 측면에 연결되는 조형석(300, 34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조형석(300, 340)과 결합되어서 옹벽의 모서리를 마감한다. The sculpture stone 350 of FIG. 38 may be used for finishing the horizontal end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or 37. To this end, the sculpture 35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culptures 300 and 340 connected to the side, and is combined with the sculptures 300 and 340 disposed on one side to close the edge of the retaining wall.

여기에서, 조형석(350)은 상하로 적층될 때 서로 마주하는 고정홈(316, 316a) 사이에 바형키(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고 석재용 접착제(400) 또는 모르타르 등을 개재하여서 접착력을 제공받으며 적층 상태를 지지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Here, the sculpture 350 is inserted between the fixing grooves (316, 316a) facing each other when stacked up and down, and provides an adhesive force through the stone adhesive 400 or mortar, etc. And can be assembled to support the stacked state.

그리고, 도 38의 조형석(35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하중을 조절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돌기바가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ulpture stone 350 of FIG. 38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load, and thus only the ring 329 may be installed and the protrusion bar may not be formed. Of course, the protrusion bar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choice.

또한, 도 39와 같은 구조의 조형석(360)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culpture stone 360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39 may be used.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8의 조형석(350)과 같이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의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조형석(300)과 결합되어서 옹벽의 모서리를 마감한다.39 and the sculpture stone 360 can be used for the finishing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such as the sculpture stone 350 of FIG. Join to close the edge of the retaining wall.

이를 위하여 도 39의 조형석(360)은 뒷면에는 포크부(324)와 블럭체(362)가 드레인홈(326)을 형성하도록 이격된 공간을 이루며 형성되고, 포크부(324)에는 식생홈(328)이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modeling stone 360 of FIG. 39 is formed in a spaced space such that the fork portion 324 and the block body 362 form a drain groove 326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the vegetation groove 328 in the fork portion 324. ) Is formed.

이와 같은 조형석(360)의 전면과 블럭체가 형성된 측면은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360 and the side surface formed with a block body may be formed to hav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urface treatment to achieve the effect of the natural stone by forming a retaining wall, the landscape surface.

*또한,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8의 조형석(350)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고정홈(316, 316a)이 형성되며, 고정홈(316, 316a)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가 블럭체(362)의 일정 위치에서 중지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의 고정홈(316)에는 다수의 접착홈(318)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olding stone 360 of FIG. 39 has fixing grooves 316 and 316a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s in the molding stone 350 of FIG. 38, and the fixing grooves 316 and 316a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has a shape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lock body 362, a plurality of adhesive grooves 318 are formed in the upper fixing groove 316.

여기에서, 조형석(36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유사하게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a)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ulpture stone 360 is form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316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similar to the sculpture stone 300 for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상술한 조형석(360)의 상하 구조에 의하여 조형석(360)은 수직으로 적층될 때 상하로 마주하는 조형석(360)의 고정홈(316, 316a) 사이에 바형 키(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함으로써 적층 상태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바형 키가 삽입되는 조형석(360)의 고정홈(316, 316a)에는 석재용 접착제(400) 또는 모르타르 등이 개재되어서 적층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By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sculpture stone 360, the sculpture stone 360 is stacked by inserting a bar key (not shown) between the fixing grooves 316 and 316a of the sculpture stone 360 facing up and down when stacked vertically. You can support the state. Of course, the fixing grooves 316 and 316a of the sculpture stone 360 into which the bar-shaped key is inserted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stacked state by interposing a stone adhesive 400 or mortar.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8의 조형석(350)과 같이 옹벽의 수평 방향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The sculpture stone 360 of FIG. 39 is used for finishing the horizontal end of the retaining wall like the sculpture stone 350 of FIG.

즉,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3 내지 도 36 또는 도 37의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의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형석(360)은 측면에 연결되는 조형석(300, 34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조형석(300, 340)과 결합되어서 옹벽의 모서리를 마감한다. That is, the sculpture stone 360 of FIG. 39 may be used for finishing the horizontal end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or 37. To this end, the sculpture stone 36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culpture stone (300, 340) connected to the side, it is combined with the sculpture stone (300, 340) disposed on one side to close the edge of the retaining wall.

그리고,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하중을 조절할 필요성이 많지 않아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서 돌기바가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ulpture stone 360 of FIG. 39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there is not much need to adjust the load, and thus only the ring 329 may be installed and the protrusion bar may not be configured. Of course, the protrusion bar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manufacturer.

한편, 옹벽은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필요한 경우에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즉, 옹벽이 라운드진 형상을 갖도록 조립될 수 있는 조형석의 구성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needs to be configured to form a curved surface if necessary while continu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configuration of sculpture stone that can be assembled so that the retaining wall has a rounded shape.

이를 위한 조형석이 도 40 및 도 41과 같이 도시될 수 있으며,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은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으로 굴곡진 면을 형성하거나 라운드진 면을 처리하기 위하여 앞면의 길이가 뒷면의 길이보다 짧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결국 조형석(379)의 앞면의 양단은 뒷면과 각각 D 만큼 더 길고 각 측면은 테이핑지게 형성된다.40 and 41 may be illustrated as shown in FIG. 40. The sculpture stone 370 of FIGS. 40 and 41 forms a curved surface horizontally or a rounded surface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sculpture stone 300. In order to process the length of the front side is configur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ack side. As a resul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379 are formed as long as the rear side and D, respectively, and each side is formed to be taped.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도 조립을 위하여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16)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키(31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조형석(37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유사하게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a)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40 and 41, the assembling stone 370 is also formed in the fixing groove 31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and the fixing key 31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bottom. Here, the sculpture stone 370 is also preferably form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316a formed in the upper portion similar to the sculpture stone 300 for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300).

그리고, 조형석(370)의 뒷면에는 외측으로 테이핑 면을 갖는 포크부(324)가 형성되고 한 쌍의 포크부(324) 사이에 드레인홈(326)이 형성되고, 그리고, 각 포크부(324)에는 식생홈(328)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ork portion 324 having a taping surfa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370, a drain groove 326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ork portions 324, and each fork portion 324. The vegetation groove 328 is formed.

그리고, 조형석(370)의 앞면에는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andscape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culpture stone 370 to form a retaining wall to have a landscape beauty, and the landscape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shapes such as surface treatment for obtaining an effect such as natural stone.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은 상부의 고정홈(316)과 하부의 고정키(318)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고정된다.40 and 41 is a stacking state is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xing groove 316 and the lower fixing key 318 of the upper.

그리고,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도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하중을 조절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40 and 41 also have a small volume, so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load, so only the ring 329 may be installed and the protrusion bar may not be configured.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조형석(370)은 테이핑진 면을 양측에 구비하기 때문에 다수의 조형석(370)을 수평 방향으로 접하여 배치하면 단차(D)에 의하여 앞면이 라운드지도록 옹벽이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culptured stone 370 is provided with tapered surfaces on both sides, the retaining wall may be 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rounded by the step D when the plurality of sculptured stones 370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다수의 조형석(370)을 이어서 원하는 반경을 갖는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차 D를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면 조형석(370)을 이용하여 다양한 반경의 굴곡을 갖는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sculptured stones 370 may be formed to form a retaining wall having a desired radius. At this time, if the step D is formed to have various lengths, it is possible to form the retaining wall having the bending of various radii using the sculpture stone 370.

상술한 도 33 내지 도 41의 조형석은 적층된 후 최 상측에 도 42 및 도 43과 같이 장방체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고정키(314)가 형성된 마감 블럭(500)이 배치되어 마감될 수 있다.33 to 41 may be finished after the stacking block 50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42 and 43 and a fixing key 314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is stacked on the top thereof.

그리고, 도 39과 같이 수평방향 단부를 마감하는 조형석(360)의 상부에는 도 42 및 도 43의 마감블럭(500)과 더불어 도 44와 같이 장방형상을 갖는 보조블럭(502)이 배치되어 마감될 수 있다.Further, the auxiliary block 502 having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44 and the finishing block 500 of FIGS. 42 and 43 are disposed on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60 closing the horizontal end as shown in FIG. 39. Can be.

도 42 내지 도 44의 마감블럭(500)과 보조블럭(502)은 앞면과 윗면 및 측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42 to 44 of the finishing block 500 and the auxiliary block 50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to form a retaining wall to have a landscaped surface, the landscape surface is a surface treatment for obtaining the same effect as natural stone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shapes.

도 33 내지 도 44의 조형석들 간의 결합에 대하여 도 45 내지 도 4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coupling between the sculptures of FIGS. 33 to 4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5 to 48.

도 45는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이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도 31 및 도 32와 같은 구조로 옹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도 37의 조형석(340)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FIG. 45 illustrates the sculpture stone 340 of FIG. 37 in order to match the heigh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taining wall in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31 and 32 by vertically stacking the sculpture stone 300 of FIGS. 33 to 36. It is an example of using.

도 45와 같이 옹벽은 조형석(300)을 길이 방향으로 이어서 배치하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높이를 완충하는 구조가 필요한 경우 조형석(340)을 이용하여 중간의 완충층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5, the retaining wall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arranging the sculpture ston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acking the lamin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tructure for buffering the height is needed, the retaining wall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termediate buffer layer using the sculpture stone 340. Can be.

성토부에 대응하여 도 45와 같이 조형석(300)의 길이 방향 층과 조형석(340)의 길이 방향 층이 적층되는 경우 이들 조형석(300, 340)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설치될 수 있다. When the longitudinal layers of the sculpture stone 300 and the longitudinal layers of the sculpture stone 340 are stacked as shown in FIG. 45, geogrid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culpture stones 300 and 340.

그리고, 절토부에 대응하여 도 45와 같이 조형석(300)의 길이 방향 층과 조형석(340)의 길이 방향 층이 적층되는 경우 이들 조형석(300, 340)의 뒷면에 셋앙카가 설치되어 절토면과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ngitudinal layer of the sculpture stone 300 and the longitudinal layer of the sculpture stone 340 are stacked as shown in FIG. Can be.

한편, 도 46은 조형석(30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경우에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도 38의 조형석(350)과 도 39의 조형석(360)이 양단을 이루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46 illustrates that the sculpture stone 350 of FIG. 38 and the sculpture stone 360 of FIG. 39 form both ends in order to finish the end when the sculpture stone 30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the retaining wall.

도 46과 같이 마감을 위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조형석(300)의 양단에 조형석(350) 또는 조형석(360)이 배치될 수 있고, 조형석(350, 360)에 의하여 옹벽의 수평 방향 단부의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A sculpture stone 350 or a sculpture stone 360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culpture stone 300 which is horizontally disposed for finishing as shown in FIG. 46, and the sculpture ends of the horizontal end of the retaining wall are formed by the sculpture stones 350 and 360. Can be.

이 경우에도 조형석(300, 350, 360)에는 도 31 또는 도 32와 같이 지오그리드 또는 셋앙카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Even in this case, fastening using the geogrid or the set anchor may be made to the sculptures 300, 350, and 360 as shown in FIG. 31 or 32.

그리고, 도 47은 조형석(300)의 상부에 마감 블럭(500)을 배치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조형석(300)의 상부의 고정홈(316)과 마감블럭(50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키(314)가 교합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마감블럭(500)은 조형석(300) 상부의 길이 방향을 커버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And, Figure 47 illustrates a method of arranging the finishing block 500 on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00, a fixing ke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xing groove 316 and the finishing block 500 of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00) 314 illustrates an arrangement to occlusion. Here, a plurality of finishing blocks 50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00).

그리고, 도 48은 조형석(360)의 상부에 마감 블럭(500)과 보조 블럭(502)을 배치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조형석(360)의 상부의 고정홈(316)과 마감블럭(50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키(314)가 교합되도록 마감 블럭(500)을 조형석(360) 상부에 배치하고, 조형석(360)의 나머지 공간 상에 보조 블럭(502)을 배치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And, FIG. 48 illustrates a method of arranging the finishing block 500 and the auxiliary block 502 on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60, and the fixing groove 316 and the finishing block 500 at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60. The finishing block 50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sculpture stone 360 so that the fixing key 3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is combined, and the auxiliary block 502 is disposed on the remaining space of the sculpture stone 360.

여기에서, 보조 블럭(502)은 적어도 윗면과 전면 및 측면에 자연석 효과를 갖도록 표면 처리된 조경면을 가질 수 있으며, 마감 블럭(500)도 전면과 상면에 자연석 효과를 갖도록 표면 처리된 조경면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block 502 may have a landscape surface surface-treated to have a natural stone effect on at least the top and front and side, and the finish block 500 also has a landscape surface surface-treated to have a natural stone effect on the front and top surfaces. Can have

또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옹벽은 도 49 및 도 50과 같이 단차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 조형석(380)을 이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using a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380 to form a stepped surface as shown in FIGS. 49 and 50.

도 49는 도 31과 같은 성토부에 옹벽이 구성된 것이며 단차진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1의 연결 콘크리트 대신 보강 조형석(380)으로 단차면을 형성하고 있다.FIG. 49 is a retaining wall formed in the fill portion as shown in FIG. 31, and a stepped surface is formed of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380 instead of the connecting concrete of FIG. 31 to form a stepped surface.

그리고, 도 50은 도 32와 같은 절토부에 옹벽이 구성된 것이며 단차진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2의 연결 콘크리트 대신 보강 조형석(380)으로 단차면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50, the retaining wall is formed in the cut portion as shown in FIG. 32, and the stepped surface is formed by the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380 instead of the connecting concrete of FIG. 32 to form the stepped surface.

보강 조형석(380)은 도 51 내지 도 53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380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1 to 53.

보강 조형석(380)은 조형석(300)과 비교하여 포크부(324)가 더 길게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즉, 포크부(324)는 고정홈(316)과 일정거리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홈(316b)이 더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고정홈(316b)에는 접착홈(318a)이 형성된다. 그리고, 포크부(324) 사이에는 드레인홈(326)이 형성된다. The reinforced sculpture stone 380 has a feature that the fork portion 324 is longer than the sculpture stone 300. That is, the fork part 324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xing groove 316b is further formed at a position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fixing groove 316, and an adhesive groove 318a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316b. The drain groove 326 is formed between the fork portions 324.

도 51 내지 도 53과 같이 구성되는 보강 조형석(380)은 도 54와 같이 조립됨으로써 도 49 또는 도 50과 같이 옹벽의 단차진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51 to 53, the reinforced sculpture stone 380 configured as shown in FIG. 54 may form a stepped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as illustrated in FIG. 49 or 50.

도 54를 참조하면, 보강 조형석(380)은 앞쪽의 단차가 형성되는 영역의 고정홈(316) 상에는 마감 블럭(500)이 배치되고, 마감 블럭(500)이 배치된 뒷 쪽 영역의 고정홈(316b) 상에는 상부의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조형석(300)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4, the reinforcement shaped stone 380 has a finishing block 500 disposed on the fixing groove 316 in the area where the front step is formed, and the fixing groove of the rear area in which the finishing block 500 is disposed ( The sculpture stone 300 for forming the retaining wall of the upper portion may be disposed on 316b.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서 보강 조형석(380)은 도 49 또는 도 50과 같이 단차진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As such, the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380 may form a stepped retaining wall as illustrated in FIG. 49 or 50.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조형석들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And, the sculp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일예로, 조형석들에 도 33, 도 39, 도 40 및 도 51의 조형석들에 형성된 식생홈(328)은 도 55 내지 도 58의 실시예와 같이 포크부(324)에 식생홀(331)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5는 도 33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6은 도 39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7은 도 40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8은 도 51의 조형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5 내지 도 58의 구성은 도 33, 도 39, 도 40 및 도 51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요소는 동일 부호로 기재한다.For example, the vegetation grooves 328 formed in the sculptures of FIGS. 33, 39, 40, and 51 in the sculptured stones are formed in the fork portion 324 as the vegetation hole 331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55 to 58. It may be modified. Here, FIG. 55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33, FIG. 56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39, FIG. 57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sculpture stone of FIG. 55 to 58 are not repeat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e configuration of FIGS. 33, 39, 40 and 51,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상술한 도 55 내지 도 58로 조형석들이 변형 실시됨으로써 각 조형석은 드레인홈(326)에 의하여 하부로 뻗어나가는 식생들의 뿌리가 좌우로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식생홀(33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55 to 58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culptures may be implemented by the vegetation hole 331 in which each of the sculptures can naturally grow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roots of the vegetation extending downward by the drain groove 326. .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된 본 고안은 블럭화된 다양한 조형석로써 옹벽의 벽체를 설치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과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어서 옹벽 공사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secured flexibility and variability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by installing the wall of the retaining wall as a block of various sculptured stone can be improved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또한 콘크리트 블럭으로 가공할 수 있는 조형석은 전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양을 구현하거나 자연석 효과를 얻도록 형성할 수 있어서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하는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ecause the stone can be processed into concrete blocks, the front surface can be surface treated in various ways, so that it can be formed to realize a pattern or to obtain a natural stone effect, so that a retaining wall that meets the landscape aspect can be constructed.

또한, 정형화된 조형석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을 단순히 반복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옹벽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improved since the work of sequentially arranging the shaped sculptures can be repeatedly repeated.

또한, 조형석이 성토부의 지오그리드 또는 절토부의 소일네일과 적층되는 조형석이 손쉽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구조체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ulpture stone can be easily and firmly fastened with the geogrid or the nail nail of the cut portion of the fill ston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can be secured.

10- 10e, 300, 340, 350, 360, 370 : 조형석
11, 11d, 11e, 316, 316a, 316b : 고정홈
12, 12b, 12c, 314 : 고정키 17, 326 : 드레인홈
18 : 키홈 20, 500 : 마감 블록
24 : 키 30 : 지오그리드
40 : 수평키 100 : 지반
102 : 기초콘크리트 104 : 앞채움
106 : 뒷채움 108 : 배수층
109 : 유공관 120 : 성토부
200 : 절토부 202 : 절토면
204 : 셋앙카 206 : 와이어
208 : 소일네일 318 : 접착홈
324 : 포크부 328 : 식생홈
329 : 고리 331 : 식생홀
330 : 돌기바
10-10e, 300, 340, 350, 360, 370
11, 11d, 11e, 316, 316a, 316b: fixing groove
12, 12b, 12c, 314: fixed key 17, 326: drain groove
18: keyway 20, 500: closing block
24: key 30: geogrid
40: horizontal key 100: ground
102: basic concrete 104: front fill
106: backfill 108: drainage layer
109: Merit Hall 120: Filling Department
200: cut portion 202: cut surface
204: set anchor 206: wire
208: Soil nail 318: Adhesive groove
324: fork 328: vegetation groove
329 ring 331: vegetation hole
330: protrusion bar

Claims (9)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적층을 위한 제1 조형석과 수평 방향 마감을 위한 제2 조형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및
상기 옹벽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제1 및 제2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조형석은,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기 측면을 이루는 블럭체;
상기 블럭체와 이격되어 다른 측면을 이루는 포크부;
상기 블럭체와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블럭에의 일정 위치에서 중지된 형상을 갖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을 포함하는 조형석 옹벽.
A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which is poured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in the front of the fill portion o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ut portion;
A retaining wall made of a first sculpture stone for lamination on the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and a second sculpture stone for horizontal finishing; And
A finishing block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culptures forming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The first sculpture stone,
A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Channel-shaped fixing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xing groove;
A connection key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onnection groov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sculpture stone,
Landscaping surfaces formed on the front and side surfaces;
A block body forming the side surface;
A fork part spaced apart from the block body to form another side surface;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block body and the fork portion;
A first fix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so that one end thereof has a shape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lock;
A second fixing groov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ixing groove and formed in a lower portion and forme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rst fixing groove; And
Sculpted stone retaining wall comprising a; adhesive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fixing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 또는 식생홀이 더 형성되는 조형석 옹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culpture retaining wall is further formed in the fork portion is a vegetation groove or vegetation hole communi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는 돌기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석 옹벽.
The method of claim 2,
A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ing installed in the drain groove and a protrusion bar installed in the vegetation groove.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적층을 위한 제1 조형석과 수평 방향 마감을 위한 제2 조형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및
상기 옹벽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제1 및 제2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옹벽은 하부층과 상부층이 단차지며 상기 상부층의 최 상부에 상기 상부층과 연결을 위한 보강 조형석이 더 배치되며,
상기 보강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상기 포크부의 상면에 상기 제1 고정홈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키의 하부에 하층을 이루는 제1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의 상부에 상층을 이루는 제2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는 조형석 옹벽.
A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which is poured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in the front of the fill portion o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ut portion;
A retaining wall made of a first sculpture stone for lamination on the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and a second sculpture stone for horizontal finishing; And
A finishing block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culptures forming the top of the retaining wall;
The first sculpture stone,
A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Channel-shaped fixing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ixing groove;
A connection key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onnection groov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taining wall has a lower layer and an upper layer stepped, and a reinforced reinforcement stone for connecting with the upper layer is further disposed at the top of the upper layer.
The reinforcement sculpture stone,
A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first fixing groove having a channe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 plurality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ix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to be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RTI >
A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having a first retaining wall forming a low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key and a second retaining wall forming an upp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groov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 또는 식생홀이 더 형성되는 조형석 옹벽.
5. The method of claim 4,
Sculpture retaining wall is further formed in the fork portion is a vegetation groove or vegetation hole communi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고리가 더 설치되는 조형석 옹벽.
5. The method of claim 4,
Sculpture retaining wall is further installed in the drain groove.
조형석 옹벽으로 조립되는 조형석에 있어서,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In the sculpture stone assembled with the sculpture stone retaining wall,
A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first fixing groove having a channe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A second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a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fixing groove;
A pair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상기 포크부의 상면에 상기 제1 고정홈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A landsca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first fixing groove having a channe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A fixing ke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closer to the front surface than the fixing groove and mating with the fixing groove touching the fixing groove;
A plurality of forks protruding to the rear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ix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ork portion to be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Adhesive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And
And a drain groove formed between the fork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 또는 식생홀이 더 형성되는 조형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Sculpture stone is further formed in the fork portion is a vegetation groove or vegetation hole communi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R2020120002355U 2011-07-20 2012-03-23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KR2004615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355U KR200461591Y1 (en) 2011-07-20 2012-03-23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39 2011-07-20
KR2020110008124 2011-09-06
KR2020120002355U KR200461591Y1 (en) 2011-07-20 2012-03-23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821U Division KR200461055Y1 (en) 2011-07-20 2011-09-30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591Y1 true KR200461591Y1 (en) 2012-07-24

Family

ID=4713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355U KR200461591Y1 (en) 2011-07-20 2012-03-23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59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72B1 (en) * 2014-01-02 2014-04-14 세원산업개발 주식회사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planting device
KR101544756B1 (en) * 2015-01-12 2015-08-28 주식회사 대창엔지니어링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st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50Y1 (en) 2001-06-21 2001-10-31 오부영 Embankment block
KR100383460B1 (en) 1999-05-28 2003-05-1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construction method of anchoring reinforcement soil of blocks and a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of reinforcement soil with constructed blocks and anchors
KR200345937Y1 (en) 2003-12-17 2004-03-24 이용희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0821946B1 (en) 2007-05-08 2008-04-15 주식회사 오륙개발 Reinforcement b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460B1 (en) 1999-05-28 2003-05-1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construction method of anchoring reinforcement soil of blocks and a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of reinforcement soil with constructed blocks and anchors
KR200247050Y1 (en) 2001-06-21 2001-10-31 오부영 Embankment block
KR200345937Y1 (en) 2003-12-17 2004-03-24 이용희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0821946B1 (en) 2007-05-08 2008-04-15 주식회사 오륙개발 Reinforcement b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72B1 (en) * 2014-01-02 2014-04-14 세원산업개발 주식회사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planting device
KR101544756B1 (en) * 2015-01-12 2015-08-28 주식회사 대창엔지니어링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st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7695B (en) Mutually-embedded ecological building block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660379B1 (en)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KR101278326B1 (en) Formative stone and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U1738699A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0654625B1 (en) Concrete block for wall
KR20160050226A (en) Cut slope reinforcement
KR200461591Y1 (en)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KR200461055Y1 (en)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KR101168859B1 (en)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using the same
KR101609249B1 (en) 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CN201891130U (en) Flexible precast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US1088998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multi-stage block wall
KR101088477B1 (en)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various stiffener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KR102263958B1 (en)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Pre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Bulwark
KR200440047Y1 (en) Block for reinforcing wall
JP4812135B2 (en) Tools for laminating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KR101146757B1 (en) Stackable retaining wal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97766B1 (en) Revetment-block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s
KR20060026098A (en)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KR20150107437A (en) Block unit for vertical retaining wall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065726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1009823B1 (en) Big ston black with semi sprit notch and that bulding mathod
KR200448481Y1 (en) Structure of retaining wall having a possible planting for cutting slope
CN111188357A (en) Ecological gravity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