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477B1 -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various stiffener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 Google Patents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various stiffener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8477B1 KR101088477B1 KR1020110042551A KR20110042551A KR101088477B1 KR 101088477 B1 KR101088477 B1 KR 101088477B1 KR 1020110042551 A KR1020110042551 A KR 1020110042551A KR 20110042551 A KR20110042551 A KR 20110042551A KR 101088477 B1 KR101088477 B1 KR 1010884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reinforcement
- anchor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의 시공후 편중된 하중에 의하여 후면블록이나 전면블록에서 균열(Crack)이 발생되더라도 다른쪽 블록으로 균열이 진행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균열이 발생된 블록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유지보수비용으로 옹벽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옹벽블록 자체의 무게를 후면블록과 전면블록으로 분산하여 취급 및 시공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형태의 보강재(앵커블록, 망형 그리드, 발형 그리드 등)를 공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even if a crack is generated in the rear block or the front block due to the unbalanced loa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the crack does not proceed to the other block and the crack is generated. It is easy to replace only the old blocks, so that the retaining wall repair work can be performed at the minimum maintenance cost, and the weigh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tself can be distributed to the rear block and the front block to greatly improve handling and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pplying various reinforcing materials that can share different types of reinforcing materials (anchor blocks, mesh grids, foot grids, etc.) and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은 성토지나 절개지면의 흙이 토압(土壓)으로 인하여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체(壁體)를 일컫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 보다 가파른 경사도로 하였을 경우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 구조물이다.In general, the 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made so that the soil of the land or incision surface does not collapse or flow due to soil pressure. In this case,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에 옹벽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엮어 설치한 후 이들을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고, 벽체의 배면에 토사, 쇄석, 잡석 등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하였다.Such conventional retaining wall is formed by weaving and installing reinforcing bars in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n the ground or incision surface, wrapping them with formwork, and then forming concrete in the formwork to form walls. The walls were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reinforcement soils including soil, crushed stone and rubble were fil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wall.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a lot of construction period is consumed, thus enormous construction cost.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을 따라 다수의 옹벽블록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층하여 쌓은 다음 그 배면에 잡석 등을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하는 옹벽시공기술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echnique has recently been proposed in which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a fill surface or an incision surface, and then built in such a manner as to fill rubble on the back surface thereof.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옹벽 역시 그 전체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is not beautiful because the whole is made of concrete.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최근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을 특허출원 제2008-0131833호로 제안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recently proposed a retaining wall block to which a front natural stone is attached as a patent application No. 2008-0131833.
상기 특허출원 제2008-0131833호의 선행기술은 옹벽블록 본체의 전면에 별도의 걸림편을 끼워 결합하고, 그 전면에 자연석재판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기존의 옹벽블록에 비하여 진일보된 기술이나, 옹벽블록 본체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고 시공성이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The prior art of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8-0131833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ody by combining a separate engaging piece, and attaching a natural stone plate on the front of the technology, which is an advanced step than the existing retaining wall block, Since it is made of a single body, the weight is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handling is inconvenient and poor workability.
일반적으로 성토지, 절개지 등에는 한쪽 면의 토압을 지지하거나 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을 시공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견디게 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land, incisions, etc., a retaining wall that supports earth pressure on one side or prevents the collapse of the slope is constructed to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이와 같은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를 말하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Such a 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that prevents soil from collapsing by resisting soil pressure, and is a structure made to prevent ground collapse when a stable slope of the ground surface is steeper than that.
이러한 종래 옹벽은 성토면이나 절개면에 옹벽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을 일정한 형태로 배열 설치하고, 철근을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한 후, 벽체의 배면에 토사, 쇄석, 잡석 등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is formed by arranging reinforcing bars forming the skelet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form of a retaining wall or incision surface, wrapping the reinforcing bars with formwork, and then curing by pouring concrete in the formwork to form walls. It was constructed by filling reinforcement soils including soil, crushed stone, rubble, etc.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consumed a great deal of cost.
이러한, 종래 옹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된 기술로 최근에는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이 개시된바 있다. 이와 같은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은 성토면이나 절개면을 따라 다수의 옹벽블록을 횡방향으로 적층하여 쌓은 다음 그 배면에 잡석등을 채워 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a retaining wall block has recently been disclose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such a retaining wall block is construc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fill surface or incision surface and then fill the rubble with the back surfa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옹벽은 그 전체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상막한 도시미관을 조장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using such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has a problem in that the whole is made of concrete to promote the upper urban aesthetics.
이에, 옹벽블록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도록 옹벽블록의 전면에 석재용본드 또는 몰탈을 이용하여 자연석판재를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Thus, a technique of attaching natural stone material using a stone bond or morta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has been disclose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옹벽블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has the following problems.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은 시공후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산발적으로 옹벽블록에 크랙이 발생하여 자연석판재가 쉽게 탈거되며, 이로 인한 도시미관의 손상 및 인근 주민들에게 옹벽붕괴에 대한 위압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Retaining wall using retaining wall block sporadically cracks the retaining wall block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construction, and natural stone slabs are easily removed, resulting in damage to the city's aesthetics and creating a sense of pressure on the retaining wall collapse for nearby residents. .
또한, 크랙이 발생한 옹벽블록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크랙이 발생한 옹벽블록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유지보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pair the retaining wall block in which the crack has occur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igh maintenance cost is required because the entire retaining wall block in which the crack has occurred is replaced.
한편, 옹벽은 옹벽 블록, 상기 옹벽 블록의 후방(옹벽 블록과 사면의 사이)에 채워지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에 다단으로 매설되어 선단부가 상기 옹벽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채움재와의 마찰력 등에 상기 옹벽 블록을 지지하는 보강재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재는 콘크리트 등의 앵커블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망형 그리드, 발형 그리드 등 다양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 옹벽 블록은 다수의 보강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보강재만을 사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옹벽 블록을 사용하지 못하고 옹벽 블록과 보강재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is embedded in the retaining wall block, the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slope) and the filling material in multiple stages,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s connect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It is composed of supporting reinforcement, and the reinforcement is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anchor block, concrete gri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ot grid is used,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s configured to use only one of the reinforcement of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retaining wall blocks cannot be used and restrictions on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reinforcement materials are provid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옹벽의 시공후 편중된 하중에 의하여 후면블록이나 전면블록에서 균열(Crack)이 발생되더라도 다른쪽 블록으로 균열이 진행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균열이 발생된 블록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유지보수비용으로 옹벽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옹벽블록 자체의 무게를 후면블록과 전면블록으로 분산하여 취급 및 시공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형태의 보강재(앵커블록, 망형 그리드, 발형 그리드 등)를 공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rack occurs in the rear block or the front block due to the unbalanced loa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so that the crack does not proceed to the other block and at the same time By simply replacing the generated blocks, the retaining wall repair work can be carried out with minimal maintenance cost, and the weight of the retaining wall block itself is distributed to the rear block and the front block to greatly improve handling and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 retaining wall block and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reinforcement materials that can share different types of reinforcement materials (anchor blocks, mesh grids, foot grids, etc.).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은, 후면블록과; 상기 후면블록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블록으로 이루어져, 앵커 연결봉이 연결된 앵커블록과 망형 그리드 및 발형 그리드를 포함하는 보강재가 공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면블록은, 상면 전방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1보강재 연결부, 상기 제1보강재 연결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보강재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2보강재 연결부에 걸쳐 상기 앵커 연결봉이 결합되거나 상기 제1보강재 연결부에 상기 망형 그리드와 발형 그리드에 결합되는 키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보강재가 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ulti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ar block; Consists of a front block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block, the anchor block is connected to the anchor block and the reinforcement including the mesh grid and the foot grid is configured to be shared, the rear block, the upper side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A first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n open groove shape, a second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groove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anchor over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aterial connecting portions A connecting rod is coupled or a key block coupled to the mesh grid and the foot grid is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reinforcement is shared.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에 의하면, 옹벽의 시공 후 편중된 하중에 의하여 후면블록이나 전면블록에서 부분적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후면블록과 전면블록 및 장식판재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블록에서 발생된 균열이 다른 블록으로 진행되지 않는 것은 물론, 균열이 발생된 해당 블록만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어 최소한의 유지보수비용으로 옹벽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형태의 보강재(앵커블록, 망형 그리드, 발형 그리드 등)를 제1 내지 제3보강재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다양한 보강재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옹벽의 시공시 옹벽블록과 보강재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rack is generated in the rear block or the front block due to the unbalanced loa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the rear block and the front block and Since the decorative plate is composed separately, the crack generated in one block does not proceed to the other block, and only the corresponding block in which the crack is generated can be easily replaced, thus maintaining the retaining wall with minimum maintenance cost. It is possible to install different types of reinforcement materials (anchor blocks, mesh grids, foot grids, etc.) selectively to the first to third reinforcement joints, so that various reinforcements can be shared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reinforcement can be selected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Has the effect of widening.
그리고, 제1보강재 연결부를 통해 보강재가 전면블록과 후면블록에 함께 고정되는 경우 보강재의 연결과 함께 전면블록과 후면블록의 결속력을 증대함으로써 외력(토압 등)에 의한 전면블록과 후면블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when the reinforcement is fixed together to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through the first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the separation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by the external force (earth pressure, etc.) 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of the reinforc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의 분리 상태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의 분리 상태 배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에 앵커 블록이 연결된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에 망형 그리드가 연결된 도면.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에 발형 그리드가 연결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에 적용된 전면블록의 결합돌기의 다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을 이용한 앵커블록의 다른 설치 상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ulti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multi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to the various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view that the anchor block is connected to the multi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nd Figure 7 is a mesh grid connected to the multi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in which a foot grid is connected to a multi retaining wall block to which various reinforcement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ure 10 is another illustra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front block applied to the multi retaining wall block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anchor block using a multi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100)은, 전면 블록(110)과 후면 블록(120)으로 구분된다. 전면 블록(110)과 후면 블록(120)으로 구분된 것은 옹벽 배면에서 토압 등이 가해질 때 후면 블록(120)만 균열되고 전면 블록(110)에 균열이 전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ulti
전면 블록(110)과 후면 블록(120)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예를 들어, 전면 블록(110)은 육면체 형태의 전면블록 몸체(111), 전면블록 몸체(111)의 배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하나로 도시됨)의 결합돌기(112)로 이루어지며, 후면 블록(120)은 육면체 형태의 후면블록 몸체(121), 후면블록 몸체(121)의 전면에 형성되며 결합돌기(112)가 끼워지는 결합홈(122)으로 구성된다.The
전면블록(110)과 후면블록(120)은 결합돌기(112)와 결합홈(122)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돌기(112)와 결합홈(122)은 예컨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112)가 결합홈(122)에서 종방향의 슬라이드식으로 끼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면블록(110)이 후면블록(120)에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돌기(112)와 결합홈(122)은 더브테일(dove-tail) 형태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전면블록(110)과 후면블록(120)의 결속력 증대를 위하여 별도의 결합핀(130)이 사용된다.Then, a
결합핀(130)은 전면블록(110)과 후면블록(120)의 전후방 및 좌우 움직임과 이탈을 막는 것으로, 전면블록(110)의 결합돌기(112)의 상면과 후면블록 몸체(121)의 결합홈(122) 양측에는 각각 제1,2핀홈(113,123)이 형성되고, 결합핀(130)은 결합돌기(112)의 제1핀홈(113)에 안착되면서 좌우 양측이 후면블록(120)의 제2핀홈(123)에 끼워짐으로써 전면블록(110)과 후면블록(120)을 결속한다.
결합핀(130) 및 이를 위한 제1,2핀홈(113,123)은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The
결합돌기(112)는 전면블록 몸체(111)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이는 후술하는 보강재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전면 블록(110)과 후면 블록(120)은 크기로 비교할 때 후면 블록(120)이 전면 블록(110)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는 후면 블록(120)이 토압 등에 의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고 전면 블록(110)은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Compared to the size of the
전면블록(110)은 별도의 장식판을 사용하지 않고 자신이 옹벽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장식판(200)(도 2에 도시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식판(200)의 결합을 위하여 전면블록 몸체(111)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하나로 도시됨)의 장식판 결합홈(114)이 형성되며 장식판(200)의 배면에는 결합홈(114)에 끼워 결합되는 블록 결합돌기(210)가 형성된다.The
전면블록(110)은 별도의 장식판(200)이 결합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장식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장식면(115)(도 12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본 발명 옹벽 블록(100)은 종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조적되며, 이때 상하부에 있는 것들의 결속을 위하여 후면블록(1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조적돌기(124)와 조적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하부 옹벽블록(100)의 조적돌기(124)에 맞춰 상부 옹벽블록(100)의 조적홈이 끼워진다.
The
본 발명 옹벽블록(100)은 다양한 보강재(앵커블록(300), 망형 그리드(400), 발형 그리드(500) 등)를 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먼저 각 보강재에 대해 설명한다.The
도 4와 도 5에서처럼, 앵커블록(300)은 예컨대 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중량물로서 자중과 형상에 의해 보강토 옹벽의 밀림을 구속하며 앵커 연결봉(310)을 통해 옹벽블록(100)과 연결된다.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앵커블록(300)과 앵커 연결봉(310)의 연결구조는 예를 들어, 앵커블록(300)에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연결홈(301)이 형성되고, 앵커 연결봉(310)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홈(301)에 상부에서부터 결합되는 연결후크(311)가 형성되는데, 이때, 앵커블록(300)과 앵커 연결봉(310)간의 결속력을 증대하고 앵커블록(300)과 앵커 연결봉(310)이 토압 등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홈(301)과 연결후크(311)는 토압의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물론, 앵커블록(300)과 앵커 연결봉(310)은 단품으로 형성되어 현장에서 결합 사용되지 않고 앵커블록(300)의 타설시 앵커 연결봉(310)을 인서트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앵커 연결봉(310)의 타측 단부에는 옹벽블록(100)에 연결되는 블록 연결부(312)가 형성된다. 블록 연결부(312)는 하나 이상의 옹벽블록(100)에 연결되도록 벤딩된 형태이며 하기의 옹벽블록(100)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한다.The other end of the
즉, 앵커 연결봉(310)은 연결봉 몸체(313), 연결봉 몸체(313)의 후단부에 곡선형으로 벤딩 형성되는 연결후크(311), 연결봉 몸체(313)의 선단부에 연결봉 몸체(31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블록 연결부(31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That is, the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망형 그리드(400)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격자형태의 망 구조이며, 옹벽블록(100)에 키블록(140)을 통해 고정된다.6 and 7, the
도 8과 도 9에서처럼, 발형 그리드(500)는 다수의 바(510)가 일측 단부의 블록 연결부(520)에 블록 연결부(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연결된 구조이며, 키블록(150)을 통해 옹벽블록(100)에 고정된다.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본 발명의 옹벽블록(100)은 전술한 보강재들 모두를 공용할 수 있는 것이며, 앵커블록(300)의 경우 앵커 연결봉(310)의 연결봉 몸체(313)와 블록 연결부(312)를 수용하어야 하고, 망형 그리드(400)와 발형 그리드(500)의 경우 키블록(140,150)을 수용하여야 한다.Retaining
이를 위하여 후면블록(120)은 앵커 연결봉(310)의 블록 연결부(312)와 키블록(140,150)이 각각 보강재 연결부가 갖추어진다. 키블록(140,150)은 각각 저면에 저부를 향해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리(141,151)가 형성된 구조이며, 다리(141,151)는 각각 망형 그리드(400)의 구멍과 발형 그리드(500)의 바(510) 사이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망형 그리드(400)와 발형 그리드(500)를 고정한다.
To this end, the
상기 보강재 연결부는 후면블록 몸체(121)에 좌우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보강재 연결부(125) 및 후면블록 몸체(121)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제1보강재 연결부(125)에 연통하는 제2보강재 연결부(126)으로 구성된다.The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is arrang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rst
제1보강재 연결부(125)는 후면블록 몸체(121)의 상면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으로서, 앵커 연결봉(310)의 블록 연결부(312)와 키블록(140,150)이 각각 수용되고, 제2보강재 연결부(126)는 후면블록 몸체(121)의 상면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으로서 앵커 연결봉(310)의 연결봉 몸체(313)가 수용된다.The first
여기서, 제1보강재 연결부(125)에 수용되는 앵커 연결봉(310)의 블록 연결부(312)와 키블록(140,150)은 전면블록(110)과 후면블록(120)에 걸쳐 이들(110,120)을 결합함으로써 보강재(300,400,500)가 후면블록(120)뿐만 아니라 전면블록(110)에도 연결되면서 전면블록(110)과 후면블록(120)을 함께 고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면블록(110)의 결합돌기(112)의 상부 및 후면블록 몸체(121)의 결합홈(122) 좌우 양측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제1보강재 연결부(125)는 결합핀(130)이 결합되는 제1,2핀홈(113,123)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전면블록(110)의 결합돌기(112)는 앵커 연결봉(310)의 연결봉 몸체(313)의 안착을 간섭하지 않도록 전면블록 몸체(111)보다 낮게 형성되거나 도 10에서처럼 전면블록 몸체(1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이면서 앵커 연결봉(310)의 연결봉 몸체(313)가 안착되는 안착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The
즉, 본 발명 옹벽블록(100)은 제1보강재 연결부(125)에 키블록(140,150)이 안착되어 망형 그리드(400)와 발형 그리드(500)(도면에서는 발형 그리드(500)의 키블록(150)은 제1보강재 연결부(125)가 아니라 후술하는 제3보강재 연결부(127)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발형 그리드(500)의 키블록(150)도 제1보강재 연결부(125)에 고정될 수 있다)를 고정할 수 있고, 제1,2보강재 연결부(125,126)에 걸쳐 앵커 연결봉(310)의 블록 연결부(312)와 연결봉 몸체(313)가 결합됨으로써 앵커블록(300)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보강재를 공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더불어, 후면블록(120)은 보강재(300,400,500)의 고정 위치를 더욱 다변화할 수 있도록 즉, 제1보강재 연결부(125)의 위치에 보강재(300,400,500)를 고정할 수 없는 경우 등을 감안하여 제3보강재 연결부(127)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3보강재 연결부(127)는 후면블록 몸체(121)의 후방쪽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면서 제2보강재 연결부(126)와 직교하면서 연통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제3보강재 연결부(127)는 앵커 연결봉(310)의 블록 연결부(312)와 키블록(140,150) 모두가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이다. 도 8과 도 9는 발형 그리드(500)를 고정하는 키블록(150)을 제3보강재 연결부(127)에 고정한 예이다.The third reinforcing
제3보강재 연결부(127)를 통해 보강재를 다양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에서처럼, 다수의 앵커블록(300)을 설치할 때 제1,3보강재 연결부(125,127)를 교대로 사용함으로써 옹벽블록(100)들의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고, 망형 그리드(400)와 발형 그리드(500)의 경우 제1,3보강재 연결부(125,127) 모두에 키블록(140,150)을 고정함으로써 망형 그리드(400)와 발형 그리드(500)의 고정력도 증대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may be installed in various structures through the third reinforcing
본 발명에 의한 옹벽 블록의 구조에 따르면, 다종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옹벽 시공시 현장 여건에 따라 도 4 내지 도 9에서처럼, 어느 한 종류의 보강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종의 보강재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pply a variety of reinforcement material, as shown in Figures 4 to 9,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s well as any one type of reinforcement can be selected and used, and a variety of reinforcement material Can also be used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제1,3보강재 연결부(125,127)는 보강재의 연결뿐만 아니라, 다수의 옹벽 블록(100)을 횡방향으로 배열할 때 옹벽 블록(100)들의 줄맞춤을 위한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기능도 겸할 수 있다.
The first and third reinforcing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은 다음과 같다.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ulti retaining wall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옹벽 시공 공법은 개략적으로 옹벽 블록(100) 조적(종횡방향) - 뒷채움 - 보강재 설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보강재의 설치시 선택된 보강재를 옹벽 블록(100)의 제1 내지 제3보강재 연결부(125,126,127)에 선택적으로 연결 설치한다.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is roughly composed of retaining wall block 100 (horizontal direction)-backfill-reinforcement installation process, and since it is know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reinforcement selected when the reinforcement is installed is made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옹벽의 설계 단계에서 보강재를 선택하지 않고 현장 여건에 따라 보강재를 선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옹벽 블록(100)에 다양한 보강재의 설치 가능하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옹벽의 시공시 보강재에 맞는 옹벽 블록을 선택하지 않고 본 발명의 옹벽 블록(100)을 사용하여 옹벽의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without selecting the reinforcement in the design step of the retaining wall.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install various reinforcing materials in the
100 : 옹벽블록,
110 : 전면블록, 111 : 전면블록 몸체
112 : 결합돌기, 113 : 제1핀홈
120 : 후면블록, 121 : 후면블록 몸체
122 : 결합홈, 123 : 제2핀홈
124 : 조적돌기, 125 : 제1보강재 연결부
126 : 제2보강재 연결부, 127 : 제3보강재 연결부
130 : 결합핀, 140,150 : 키블록
200 : 장식판,100: retaining wall block,
110: front block, 111: front block body
112: coupling protrusion, 113: first pin groove
120: rear block, 121: rear block body
122: coupling groove, 123: second pin groove
124: masonry projections, 125: the first reinforcement connection
126: connection of the second reinforcement, 127: connection of the third reinforcement
130: coupling pin, 140,150: key block
200: decorative plate,
Claims (9)
육면체 형태의 전면블록 몸체(111) 및 상기 전면블록 몸체의 후방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블록의 결합홈에 끼워 결합되는 결합돌기(112)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매개로 하여 상기 후면블록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블록(110)으로 이루어지며, 앵커 연결봉(310)이 연결된 앵커블록(300)과 망형 그리드(400) 및 발형 그리드(500)를 포함하는 보강재가 공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면블록(120)은, 상기 후면블록 몸체(121)의 상면 전방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1보강재 연결부(125), 상기 제1보강재 연결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보강재 연결부(126)를 포함하여, 상기 제1,2보강재 연결부(125)에 걸쳐 상기 앵커 연결봉(310)의 블록 연결부(312)와 앵커봉 몸체(313)가 결합되거나 상기 제1보강재 연결부(125)에 상기 망형 그리드와 발형 그리드에 결합되는 키블록(140,150)이 결합되어 상기 보강재가 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It consists of a rear block body 121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a coupling groove 12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ont of the rear block body, and is repeatedly stack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long the ground surface or the cut surface. Being rear block 120;
The front block body 111 of the hexahedral shape and form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ront block body consisting of a coupling protrusion 112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rear block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Consists of the front block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block, the anchor block 300 is connected to the anchor block 300 is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including the mesh grid 400 and the foot grid 500 is shared. Composed,
The rear block 120, the first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125 is formed in a groove shape with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block body 121,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connecting portion Block connection portion 312 and the anchor rod body of the anchor connecting rod 310 over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aterial connecting portion 125, including a second reinforcing material connecting portion 126 is formed in a groove shape with an upper opening 313 is coupled or the first reinforcement connecting portion 125 is a multi-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shared by the key block (140,150) coupled to the mesh grid and the foot grid.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상기 옹벽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할 때 앵커 연결봉(310)이 연결된 앵커블록(300)과 망형 그리드(400) 및 발형 그리드(500)를 포함하는 보강재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옹벽 블록에 연결 및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상기 보강재를 다단으로 설치하면서 채움재를 채워 다짐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A first step of depositing th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claim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ront of the slope;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through the first step, one or more of the anchor block 300 to which the anchor connecting rod 310 is connected and the reinforcement including the mesh grid 400 and the foot grid 500 may be selected.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ulti retaining wall block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step of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while installing the reinforcement in multiple stages through the second ste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2551A KR101088477B1 (en) | 2011-05-04 | 2011-05-04 |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various stiffener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2551A KR101088477B1 (en) | 2011-05-04 | 2011-05-04 |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various stiffener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8477B1 true KR101088477B1 (en) | 2011-11-30 |
Family
ID=4539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2551A KR101088477B1 (en) | 2011-05-04 | 2011-05-04 |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various stiffener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847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4740B1 (en) * | 2014-06-25 | 2015-02-24 | 주식회사 동명건설엔지니어링 | Retaining wall using larg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527703B1 (en) * | 2015-02-02 | 2015-06-09 |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 Revetment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KR102006305B1 (en) * | 2018-12-24 | 2019-08-01 | (주)지성이씨에스 | Block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of cut-slope and back-filing side |
KR102340292B1 (en) * | 2021-07-06 | 2021-12-16 | 김명수 | Vegetation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6244A (en) | 2001-11-30 | 2003-06-13 | Kyokado Eng Co Ltd | Reinforced soil structure, reinforcing member, block for reinforced s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100930886B1 (en) | 2009-04-17 | 2010-01-06 | 강선욱 | Mounting structure of decoration panel for revetment-block |
KR100970303B1 (en) | 2009-02-17 | 2010-07-15 | 김종철 | Revetment-block |
-
2011
- 2011-05-04 KR KR1020110042551A patent/KR10108847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6244A (en) | 2001-11-30 | 2003-06-13 | Kyokado Eng Co Ltd | Reinforced soil structure, reinforcing member, block for reinforced s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100970303B1 (en) | 2009-02-17 | 2010-07-15 | 김종철 | Revetment-block |
KR100930886B1 (en) | 2009-04-17 | 2010-01-06 | 강선욱 | Mounting structure of decoration panel for revetment-block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4740B1 (en) * | 2014-06-25 | 2015-02-24 | 주식회사 동명건설엔지니어링 | Retaining wall using larg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527703B1 (en) * | 2015-02-02 | 2015-06-09 |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 Revetment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KR102006305B1 (en) * | 2018-12-24 | 2019-08-01 | (주)지성이씨에스 | Block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of cut-slope and back-filing side |
KR102340292B1 (en) * | 2021-07-06 | 2021-12-16 | 김명수 | Vegetation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5250B1 (en) | Mounting structure of decoration stone block and the mounting method | |
KR101728791B1 (en) | Prefabricated concrete retaining wall using recycle aggregate | |
JP6343727B1 (en) |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and connecting block | |
KR101103142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1088477B1 (en) | Multi retaining wall block applicable various stiffener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is | |
KR20190083466A (en)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7761759B (en) | L-shaped concrete retaining wall | |
KR20150098535A (en) | a prefabricated retaining block and all its adjuncts for assembling the block. | |
KR101307763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reinforced-earth abutment having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reinforcement members | |
KR100980860B1 (en) | Retaining wall fixed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reof | |
KR20090108146A (en) | Construction structure of breast wall in groundcutted area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38915B1 (en) | Retaining wall | |
KR20160050226A (en) | Cut slope reinforcement | |
CN205669211U (en) | A kind of prefabricated Gravity Retaining Wall | |
KR20120131693A (en) | Pre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0970303B1 (en) | Revetment-block | |
KR101884663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soil retaining wall using cap slab | |
KR101159097B1 (en) | Precast abutment for longitudinal continuous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07228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1164989B1 (en) |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assembly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 |
JP2015021314A (en) | Solid foundation method using pc unit, and pc unit | |
KR10106572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1168859B1 (en) |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using the same | |
KR200461055Y1 (en) |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 |
KR101954113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