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583Y1 -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 Google Patents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583Y1
KR200461583Y1 KR2020120002811U KR20120002811U KR200461583Y1 KR 200461583 Y1 KR200461583 Y1 KR 200461583Y1 KR 2020120002811 U KR2020120002811 U KR 2020120002811U KR 20120002811 U KR20120002811 U KR 20120002811U KR 200461583 Y1 KR200461583 Y1 KR 200461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main body
unit
tea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열
Original Assignee
최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열 filed Critical 최성열
Priority to KR2020120002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저장하는 혼합차저장부와 상기 혼합차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차를 이송하는 혼합차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포개어진 종이컵을 이송하는 컵공급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공급부 및 상기 혼합차, 종이컵 및 온수를 공급받아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는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 소홀로 인한 내부 위생 상태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함으로서 위생적이고 일정한 맛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맞물려 현대인의 차에 대한 관심은 날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발맞춰 다양한 종류의 차가 출시되는 등 차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차에 대한 관심으로 길거리나 건물 등에는 다수의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자판기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판기들의 내부 위생 상태는 관리의 소홀로 인해 비위생적인 경우가 많으며, 소비자들은 이러한 비위생적인 자판기에 대한 불신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자판기들은 재료를 혼합하는 비율을 관리자가 정하기 때문에 자판기 마다 제공하는 차의 맛이 서로 다른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판기들은 특정 재료가 소진되면 소진된 재료가 빠진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경우가 있어 소비자가 금전적 손실을 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판기들은 여러 가지 재료를 자판기 내부에 저장한 뒤 이를 일정비율로 배출시켜 차를 제공하는데 간혹 배출되는 노즐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해 관리자가 세팅한 비율대로 재료가 혼합되지 않아 차의 맛이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판기에서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자판기에서 제공되는 차의 위생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같은 품목이라도 자판기 마다 서로 다른 비율로 만들어져 제공되는 차의 맛을 일정한 비율로 개별 포장되어 생산된 혼합차를 사용하므로써, 어느 자판기에서나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저장하는 혼합차저장부와 상기 혼합차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차를 이송하는 혼합차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포개어진 종이컵을 이송하는 컵공급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공급부 및 상기 혼합차, 종이컵 및 온수를 공급받아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공부에는 상기 혼합차이송부에서 혼합차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혼합차이송부에서 배출된 혼합차가 놓이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놓인 혼합차 상단을 고정하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에 의해 고정된 혼합차의 상부를 절개하는 커터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는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 소홀로 인한 내부 위생 상태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비율을 함유하도록 개별 포장되어 생산된 혼합차를 사용해 어느 자판기에서나 항상 일정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배치된 클립부재와 커터부재로 사용자가 혼합차의 포장된 부분을 절개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의 구성의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의 제공부의 일부 구조 중 개별 포장된 혼합차의 상부를 절개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의 제공부의 일부 구조 중 개별 포장된 혼합차의 상부를 절개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1000)는 본체부(100), 혼합차저장부(200), 선택부(300), 혼합차이송부(400), 컵공급부(500), 온수공급부(600), 제공부(700) 및 배출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박스형태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외부와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하는 본체도어(110)가 결합 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지면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부에 지지부재(미도시) 고정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재질은 도난이나 파손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금속재로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 그러나 설치되는 장소나 상황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이뤄질 수 도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장치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프레임(미도시)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프레임(미도시)에는 다양한 체결구가 결합 될 수 있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차저장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개별 포장된 혼합차(t)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혼합차저장부(200)는 다양한 종류의 개별 포장된 혼합차(t)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독립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차저장부(200)에는 다수의 칸막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차저장부에 형성된 저장 공간(미도시)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개별 포장된 혼합차(t)가 상기 제공부(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한 번에 다수개의 혼합차(t)가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 개씩 혼합차(t)를 공급하도록 상기 혼합차저장부(200)에는 여러 가지 격리배출수단(미도시)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차저장부(200)의 일부는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며 좁아지는 부분의 일단에 다수의 격벽(미도시)을 갖는 롤러(미도시)가 일정량 회전하며 하나의 혼합차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격벽(미도시)과 격벽(미도시) 사이에 공간은 개별 포장된 혼합차 한 개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격리배출수단(미도시)은 위에서 언급된 독립된 공간 마다 설치될 수 있다.
선택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포함된 상기 본체도어(110)의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선택부(300)는 소비자가 어떤 혼합차(t)를 구매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혼합차(t)를 종류 별로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310)와 종류별 혼합차(t)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부재(320)로 이뤄지는 선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재(310)는 다양한 종류의 혼합차를 소비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해 실물을 전시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를 부착해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미도시)와 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를 이용해 표시할 수 있다.
혼합차이송부(400)는 상기 혼합차저장부(200)에 저장된 혼합차(t)를 이송시킨다. 상기 혼합차이송부(400)의 일측은 혼합차저장부(200)와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혼합차저장부(200)의 일측과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제공부(700)에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제공부(700)의 일측과 결합한다.
상기 혼합차이송부는 상기 혼합차저장부에 포함된 격리배출수단(미도시)에 의해 한 개씩 배출되는 혼합차가 제공부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경사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혼합차이송부(400)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미도시)나 컨베이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격리배출수단(미도시)에 의해 배출된 혼합차(t)를 상기 제공부(700)까지 이송시킨다.
컵공급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공부와 결합되어, 포개어진 종이컵(c)을 상기 제공부까지 이송시킨다. 상기 컵공급부(500)의 내부에는 상기 포개어진 종이컵(c)을 저장 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 공간에 형성된 종이컵(c)을 한 개씩 배출할 수 있도록 종이컵배출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이컵배출부재(미도시)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포개어진 종이컵(c)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도록 종이컵(c)의 상단 외주연과 접촉하고 있다가 롤러(미도시)가 일정량 회전하며 종이컵을 하부로 떨어뜨린다.
상기 종이컵배출부재(미도시)에 의해 한 개씩 배출된 종이컵(c)은 상기 제공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 홀더(510)를 따라 하부로 미끄러져 가며 컵받침대(520)에 떨어져 안착한다. 상기 홀더(510)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 형태로 이뤄지며 종이컵(c)이 상기 컵받침대(520)에 안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온수공급부(600)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공부(700)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온수공급부(600)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610)와 상기 저장탱크(6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재(미도시)와 저장탱크(610)와 일측이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컵받침대(5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기 종이컵(c)에 제공하는 배출노즐(620)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탱크(610)는 물을 저장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다. 상기 저장탱크(610)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거나 또는 수도관과 연결된 호스를 통해 물을 실시간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610)는 내부에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재(미도시)는 상기 저장탱크(61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노즐(62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종이컵(c)으로 제공되는 물만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미도시)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재질로 이뤄진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부재의 일부는 전기적 저항이 강한 코일로 이뤄질 수 있다.
제공부(700)는 상기 혼합차, 종이컵 및 온수를 공급받아 개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공부(700)에는 상기 제공부(700)는 동력에 의해 온수가 공급된 후에 열리고 컵이 외부로 반출되면 닫히는 개폐도어(710)와 상기 혼합차이송부(400)에서 배출된 혼합차(t)가 놓이는 거치대(720)와 상기 혼합차이송부(400)에서 혼합차(t)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30)와 상기 거치대(720)에 놓인 혼합차(t)의 상단을 고정하는 클립부재(740)와 상기 클립부재(740)에 의해 고정된 혼합차(t)의 상부를 절개하는 커터부재(750)가 포함될 수 있다.
제공부(7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공부(70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도어(110)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개폐도어(710)는 상기 본체도어(110)에 형성된 관통홀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도어(710)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이뤄진다. 예를 들면,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뤄져 내부도 확인할 수 있고 강한 재질로 인한 파손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도어(710)는 상기 본체도어(11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710)는 상기 개폐도어(710)와 회전하도록 결합된 회전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해 자동으로 문이 개폐될 수도 있다.
거치대(720)는 상기 제공부(7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대(720)는 상기 혼합차이송부(400)에 의해 배출되는 개별 포장된 혼합차(c)가 놓일 수 있도록 혼합차이송부(4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720)는 혼합차(c)가 떨어질 때 외부로 튕겨나 나가지 않도록 내부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730)는 상기 혼합차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혼합차이송부의 끝단 즉 개별 포장된 혼합차(c)가 배출되는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730)는 상기 개별 포장된 혼합차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근접센서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전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클립부재(740)는 상기 제공부(700)의 상판(p)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혼합차이송부(400)에서 배출되는 개별 포장된 혼합차(c)의 끝단을 취부할 수 있도록 혼합차이송부(40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클립부재(740)는 제1 클립(741)과 제2 클립(742)을 포함한다. 각각의 클립은 한 쌍의 바로 이뤄져 있어 상기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취부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립(741)과 제2 클립(742)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한 쌍의 바 중 하나의 바만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모터(미도시)와 같은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결합되어 자동으로 한 쌍의 바가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혼합차를 취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립(741)과 제2 클립(742)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커터부재(750)의 날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립부재(740)는 상기 감지센서(730)에 개별 포장된 혼합차(c)가 배출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혼합차(c)가 거치부재(720)에 안정적으로 놓일 일정시간 후에 작동해 정확히 혼합차(c)의 상부를 취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터부재(750)는 상기 제1 클립(741)과 제2 클립(742)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생긴 빈 공간에 커터 날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터부재의 커터 날은 하나의 날로 이뤄질 수 있고 또는 복수개의 날로 이뤄질 수도 있다. 또는 가위와 같이 두 개의 날이 교차하며 상기 개별 포장된 혼합차의 상부를 절개할 수 있다. 상기 커터부재(750)의 하부에는 레일(7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751)은 상기 커터부재(750)가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게 해 혹시 발생할지 모를 상기 클립부재(740)와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개별 포장된 혼합차(c)의 상부를 좀 더 용이하게 절개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커터부재(750)에는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할 수 있도록 동력원이 결합 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800)은 상기 본체부(100)에는 제공부(700)에서 발생하는 오물이나 쓰레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제공부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배출부(800)는 액체화된 오물이나 잘려진 혼합차(c)의 포장 또는 종이컵을 수용할 수 있는 배출바스켓(810)과 상기 배출바스켓(810)에 담겨진 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출덮개(820)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바스켓(810)은 상기 제공부(7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배출바스켓(810)의 내부에는 액체화 된 오물과 비닐이나 종이 등을 분리할 수 있도록 거름망(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덮개(820)는 상기 제공부(700)의 바닥 중 일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배출덮개(820)는 평상시에는 차단되어 있다가, 오물이나 쓰레기가 배출되는 시점에 회전하며 열리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기는 사용자가 선택부(300)의 디스플레이부재(310)를 보고 스위치부재(320)를 통해 원하는 혼합차(t)를 선택한다.
선택된 혼합차(t)는 혼합차이송부(400)를 통해 제공부(700)의 거치부재(720)로 이송되어 배출되고, 별도로 종이컵(c)이 홀더(510)를 따라 하부로 미끄러져 컵받침대(520)에 떨어져 안착된다. 그리고, 온수공급부(600)에서 가열 저장된 물이 배출노즐(620)을 통해 종이컵(c)에 배출되어 채워진다.
혼합차(t)가 배출된 것이 감지센서(730)에 의해 감지되면, 클립부재(740)가 혼합차(c)의 상부를 취부하고 커터부재(750)의 하부 레일(751)이 이동하면서 커터부재(750)가 혼합차(c)의 상부를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가 절단되어 개방된 상태의 혼합차(c)를 온수가 채워진 종이컵(c)에 부어 잘 저은 후 음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자판기는 포장이 된 상태의 분말 혼합차가 배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분말 혼합차의 가루가 자판기의 주변에 달라붙어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없어진다.
또한, 종이컵(c)에 채워진 물의 일부를 버리거나 분말 혼합차(t)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하는 등 사용자가 분말 혼합차(t)의 양이나 농도를 조절하여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100 : 본체부 110 : 본체도어
200 : 혼합차저장부 300 : 선택부
310 : 디스플레이부재 320 : 스위치부재
400 : 혼합차이송부 500 : 컵공급부
600 : 온수공급부 610 : 저장탱크
620 : 배출노즐 700 : 제공부
710 : 개폐도어 720 : 거치대
730 : 감지센서 740 : 클립부재
750 : 커터부재 800 : 배출부

Claims (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저장하는 혼합차저장부;
    상기 혼합차저장부에 저장된 혼합차를 이송하는 혼합차이송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포개어진 종이컵을 이송하는 컵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공급부: 및
    상기 혼합차이송부에서 혼합차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혼합차이송부에서 배출된 혼합차가 놓이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놓인 혼합차 상단을 고정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혼합차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한 후에 작동되는 클립부재, 상기 클립부재에 의해 고정된 혼합차의 상부를 절개하기 위해 상기 클립부재의 제1클립과 제2클립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레일이 구비되는 커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차, 종이컵 및 온수를 공급받아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2811U 2012-04-06 2012-04-06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KR200461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811U KR200461583Y1 (ko) 2012-04-06 2012-04-06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811U KR200461583Y1 (ko) 2012-04-06 2012-04-06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583Y1 true KR200461583Y1 (ko) 2012-07-31

Family

ID=4713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811U KR200461583Y1 (ko) 2012-04-06 2012-04-06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58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374B1 (ko) 1997-03-19 1999-09-01 배길성 자동 판매기의 스틱 투출장치
KR101063118B1 (ko) 2010-01-21 2011-09-07 노성남 커피 자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9374B1 (ko) 1997-03-19 1999-09-01 배길성 자동 판매기의 스틱 투출장치
KR101063118B1 (ko) 2010-01-21 2011-09-07 노성남 커피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3214C2 (ru) Эргономичное серви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20140212566A1 (en) Frozen drink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frozen drinks
RU2526677C2 (ru)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упрощенным обслуживанием
EP0572408B1 (en) Trolley designed for use as a conveying trolley for conveying products, in particular foods and drinks for sale
RU2552861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порошка
CN103260486A (zh) 具有液滴收集器的饮料制备机器
US10529165B2 (en) Cup lid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US20160185587A1 (en) Beverage supply apparatus
WO2012134978A2 (en) Ice bagging apparatus and methods
EP2488425B1 (en) A device for dispensing granular food products and an insert to be inserted in a device for dispensing granular food products
US20090250490A1 (en) Dispensing device
KR200461583Y1 (ko) 개별 포장된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판기
CA2718656A1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AU2016336027A1 (en) Machine for dispensing an ice beverage
US8534508B2 (en) Storage dispenser apparatus for aids, consumables and utensils
CN107205575A (zh) 用于用粉末填充饮料分配器的系统
EP1998296A1 (en) Vending machine for hot beverages
AU2011224013A1 (en) Dispenser producing beverages from powder
KR20030006422A (ko) 커피자판기의 커피유출시스템
US6546969B1 (en) Sugar dispensing apparatus
JP5526830B2 (ja) 自動販売機
US6324965B1 (en) Bypass mechanism for bulk ingredient beverage dispenser
WO2001064548A1 (en) Storage and dispensing receptacle
KR200157696Y1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JP2009252216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