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49Y1 -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 Google Patents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49Y1
KR200461349Y1 KR2020110001495U KR20110001495U KR200461349Y1 KR 200461349 Y1 KR200461349 Y1 KR 200461349Y1 KR 2020110001495 U KR2020110001495 U KR 2020110001495U KR 20110001495 U KR20110001495 U KR 20110001495U KR 200461349 Y1 KR200461349 Y1 KR 200461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ver
housing
protru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2020110001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08Video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하우징과 덮개의 조립구성이 단일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 공정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공정을 자동화하는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조립된 덮개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도 하우징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는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된 내부에 스위치기능을 위한 부품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막는 덮개를 구비하는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에 복수개의 결합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바깥둘레면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의 결합구멍에는 상기 결합돌출부가 결합구멍으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하여 이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으로 결합돌출부의 바깥둘레면과 밀착하는 결합편을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덮개의 결합편이 결합구멍으로부터 평행하게 절결한 한 쌍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 대향하는 결합돌출부의 양측면에는 결합편쪽으로 돌출시킨 밀착부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Push Switch}
본 고안은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스위치기능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하우징의 개방부를 막는 덮개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된 덮개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때 하우징의 손상을 방지하여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는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쉬스위치는 휴대단말기, 게임기, 각종 전자기기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절연 수지재의 하우징(1)과, 하우징(1) 내에 설치된 돔형상의 가동단자(2) 및 복수의 고정단자(3)와, 상기 하우징(1)에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단자(2)를 작동시키는 푸쉬버튼(4)과, 상기 하우징(1)의 개방부를 막는 덮개(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푸쉬버튼(4)의 누름조작으로 가동단자(2)의 정점부를 가압하게 되면, 정점부가 하방으로 탄성변형 및 복원하여 복수의 고정단자(3)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스위치기능이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과 덮개(5)의 조립구성은 합성수지재인 하우징(1)에 형성한 결합돌기(1a)와, 금속재인 덮개(5)에 형성한 결합구멍(5a)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하우징(1)의 결합돌기(1a)에 덮개(5)의 결합구멍(5a)을 끼워넣은 후(도 5의 가상선 상태), 결합구멍(5a)으로 관통하여 돌출된 결합돌기(1a)의 끝단부분을 열용융시켜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5)를 하우징(1)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푸쉬스위치의 조립구성은, 하우징(1)의 결합돌기(1a)에 덮개(5)의 결합구멍(5a)을 끼워 맞추는 공정과, 결합구멍(5a)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a)를 열용융시킴과 동시에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공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 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조립공정을 자동화하는 경우 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은 조립된 덮개(5)를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결합돌기(1a)를 다시 용융시켜 제거해야 한다. 이로 인해 결합돌기(1a)가 변형되어 손상되므로, 하우징(1)과 덮개(5)를 재조립할 수 없다. 따라서 하우징(1) 뿐만 아니라 하우징(1) 내에 고정설치된 부품들까지도 재사용할 수 없어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과 덮개의 조립구성이 단일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 공정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공정을 자동화하는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된 덮개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도 하우징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부품을 재사용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된 내부에 스위치기능을 위한 부품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막는 덮개를 구비하는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에 복수개의 결합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바깥둘레면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의 결합구멍에는 상기 결합돌출부가 결합구멍으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하여 이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으로 결합돌출부의 바깥둘레면과 밀착하는 결합편을 형성한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덮개의 결합편이 결합구멍으로부터 평행하게 절결한 한 쌍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 대향하는 결합돌출부의 양측면에는 결합편쪽으로 돌출시킨 밀착부를 형성한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푸쉬스위치에 의하면, 하우징의 결합돌출부에 덮개의 결합구멍을 끼워넣는 작업에 의해 덮개의 결합편이 탄성변형하게 되고, 이 결합편의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으로 결합돌출부의 바깥둘레면에 결합편의 끝단이 밀착하여 고정됨에 따라 하우징과 덮개의 조립작업이 단일 공정에 의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품 조립시의 공정 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조립공정을 자동화하는 경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의 결합돌출부에 밀착되어 있는 덮개의 결합편을 결합돌출부로부터 살짝 이격시키게 되면, 하우징의 결합돌출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덮개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과 덮개를 재조립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푸쉬스위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푸쉬스위치에서 하우징과 덮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푸쉬스위치에서 하우징과 덮개의 조립상태도.
도 4는 종래의 푸쉬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푸쉬스위치에서 하우징(10)과 덮개(2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하우징(10)과 덮개(20)의 평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하우징(10)과 덮개(20)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푸쉬스위치는, 내부에 스위치기능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2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공간에 스위치기능을 위한 메탈돔스위치(도시 안됨)와 푸쉬버튼(30) 등의 부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부품의 설치 후에는 개방된 상부를 금속재질의 덮개(20)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에는 스위치기능을 위한 제1 및 제2 고정단자(41,42)가 하우징(10)의 사출성형시 매립되어 일단은 하우징(10) 내부 바닥에 배치되고 타단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하우징(10)과 덮개(20)의 조립구조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면에 복수개의 결합돌출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20)에는 상기 결합돌출부(11)의 바깥둘레면이 끼워지도록 대응 형상의 결합구멍(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돌출부(11)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면의 양쪽에 1개씩 형성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20)의 결합구멍(21)에는 결합돌출부(11)를 결합구멍(21)에 삽입할 때 탄성변형하여 이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으로 결합돌출부(11)의 바깥둘레면과 밀착하는 결합편(22)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20)의 결합편(22)은 결합구멍(21)의 마주하는 양쪽 안둘레면을 평행한 방향으로 절결한 한 쌍의 절결부(23)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22)에 대향하는 결합돌출부(11)의 양측면에는 결합편(22)쪽으로 돌출시킨 밀착부(12)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양쪽 결합편(22)의 끝단 사이의 거리(b)는, 상기 결합돌출부 (11)에 형성된 양측 밀착부의 끝단 사이의 거리(a)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편(22)은 탄성변형되는 방향으로 약간 절곡하여 두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에 메탈돔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푸쉬버튼(30)을 차례로 설치한 후, 덮개(20)의 결합구멍(21)을 하우징(10)의 결합돌출부(11)에 끼워넣어 하우징(10)의 개방부를 덮개(20)로 막게 되면, 결합구멍(21) 양쪽에 구비된 양쪽 결합편(22)의 끝단 사이의 거리(b)가 결합돌출부(11)의 양쪽 밀착부(12)의 끝단 사이의 거리(a)보다 짧게 형성된 것이므로, 밀착부(12)가 결합편(22)의 끝단을 밀어올려 도 3a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계속되는 탄성변형에 의해 결합편(22)의 끝단 사이의 거리(b)가 밀착부(12) 사이의 거리(a)보다 커지게 되면, 결합돌출부(11)가 덮개(20)의 결합구멍(21)을 관통하게 되고, 탄성변형된 결합편(22)에는 원위치하려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편(22)의 끝단이 결합돌출부(11)의 밀착부(12)의 표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결합돌출부(11)에 덮개(20)의 결합구멍(21)이 완전히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편(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돌출부(11)와 결합편(22)이 고정된 상태에서 덮개(20)가 결합돌출부(11)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 양쪽 결합편(22)은 끝단 사이의 거리(b)가 더욱 좁아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결합돌출부(11)의 밀착부(12)를 더욱 가압하여 덮개(20)가 결합돌출부(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로 인해 하우징(10)과 덮개(20)의 조립상태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불가피하게 조립된 덮개(20)를 하우징(1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의 결합돌출부(11)를 가압하고 있는 덮개(20)의 결합편(22)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양쪽 결합편(22)의 끝단 사이의 거리(b)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결합돌출부(11)의 밀착부(12) 표면을 가압하는 결합편(22)의 가압력을 약화시키거나 밀착부(12) 표면으로부터 결합편(22)의 끝단을 이격시킬 수 있어 덮개(20)를 하우징(10)의 결합돌출부(1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결합돌출부(11)의 손상 없이 덮개(20)가 분리되므로, 하우징(10)과 덮개(20)를 조립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11 : 결합돌출부
12 : 밀착부 20 : 덮개
21 : 결합구멍 22 : 결합편
23 : 절결부

Claims (2)

  1. 삭제
  2. 일측이 개방된 내부에 스위치기능을 위한 부품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막는 덮개를 구비하는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면에 복수개의 결합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의 바깥둘레면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의 결합구멍에는 상기 결합돌출부가 결합구멍으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하여 이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으로 결합돌출부의 바깥둘레면과 밀착하는 결합편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의 결합편은 결합구멍으로부터 평행하게 절결한 한 쌍의 절결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 대향하는 결합돌출부의 양측면에는 결합편쪽으로 돌출시킨 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KR2020110001495U 2011-02-23 2011-02-23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KR200461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95U KR200461349Y1 (ko) 2011-02-23 2011-02-23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495U KR200461349Y1 (ko) 2011-02-23 2011-02-23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49Y1 true KR200461349Y1 (ko) 2012-07-10

Family

ID=4713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495U KR200461349Y1 (ko) 2011-02-23 2011-02-23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202B2 (en) Push button switch
JP2007173172A (ja) 押釦スイッチ
KR200461349Y1 (ko) 덮개 조립이 용이한 푸쉬스위치
KR97000776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EP3291268B1 (en) Switch device
JP5284883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4323363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150763B1 (ko) 푸쉬 스위치장치
CN111092317A (zh) 电路基板用连接器装置
JP6580058B2 (ja) 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33648A (ja) 蓋の組立が容易なプッシュスイッチ
EP0902450A1 (en) Push-button switch
JP20130584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4018056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JP2007165227A (ja) 電子部品のフレーム取付構造
US4542582A (en) Relay assemblage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JP3895639B2 (ja) オン‐オフスイッチ及びそれによるデュアルインライン実装
KR200338896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226851Y1 (ko) 마이크로 스위치
KR100964302B1 (ko) 다용도 파스너
KR89000496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TWM446408U (zh) 程式開關之改良結構
JP2007018790A (ja) スイッチ
JP6562733B2 (ja) 電子部品
KR200351476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