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235Y1 - 화훼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화훼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235Y1
KR200461235Y1 KR2020100000490U KR20100000490U KR200461235Y1 KR 200461235 Y1 KR200461235 Y1 KR 200461235Y1 KR 2020100000490 U KR2020100000490 U KR 2020100000490U KR 20100000490 U KR20100000490 U KR 20100000490U KR 200461235 Y1 KR200461235 Y1 KR 200461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ower box
binding
cover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340U (ko
Inventor
이숙향
조관준
Original Assignee
경기도 고양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고양시 filed Critical 경기도 고양시
Priority to KR2020100000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23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2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separately from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훼를 안정적으로 포장하여 배송할 수 있도록 한 화훼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화훼용 포장상자는 상판, 하판, 제1측판, 제2측판, 제3측판, 제4측판을 구비하고 상판에 화분의 진입을 위한 다수의 화분진입공이 형성된 하부상자와; 하부상자의 상부를 덮도록 하부상자에 결합되며, 상면덮개부, 상면덮개부의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연장되며 하부상자의 제1 및 제2측판 외면을 덮는 제1 및 제2측면덮개부, 상면덮개부로부터 연장되며 그 하단의 높이가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측면덮개부를 구비하는 상부상자와;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홈과; 상부상자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그 일부가 손잡이홈으로 진입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부상자와 하부상자가 결속되도록 하는 제1결속부와; 제1결속부 양측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제2결속부와; 제2결속부가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된 결속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훼용 포장상자{Packing Box for Flowering Plant}
본 고안은 화훼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훼가 심어진 복수의 화분들을 포장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 화훼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과 같은 관상식물이 심어진 화분은 부피가 크고 잎과 줄기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충격에도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포장하여 운송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통상적으로 화분을 운반할 때는 여러 개의 화분을 함께 포장상자에 담아 판매장소 등으로 운반한다. 그러나 이럴 경우 운송과정에서 생기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화분들이 상자 내에서 흔들리거나 전복되기 때문에 화훼에 훼손이 생길 수 있었다. 또 운반된 화분들은 전시나 판매를 목적으로 포장상자로부터 분리해서 다시 정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화훼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었다.
또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이 활성화됨에 따라 재배업자가 주문한 개인에게 직접 화훼를 포장하여 배송하기도 하고 있으나, 통상의 포장상자는 배송하는 사람이 상자 내부의 화훼 포장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송과정에서 취급이 부주의해질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훼를 안정적으로 포장하여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통 중 화훼의 포장을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서도 전시나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포장 및 포장해체에 따른 화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자 내부의 화훼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통기상태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훼용 포장상자는 상판 및 하판,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측판, 다른 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3 및 제4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화분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에 화분의 진입을 위한 다수의 화분진입공이 형성된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상자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의 크기와 대응하는 상면덮개부, 상면덮개부의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측이 상기 하부상자의 제1 및 제2측판 외면을 덮는 제1 및 제2측면덮개부, 상기 상면덮개부의 다른 쪽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의 높이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측면덮개부를 구비하며, 하면이 개방된 상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홈과; 상기 상부상자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그 일부가 상기 손잡이홈으로 진입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부상자와 하부상자가 결속되도록 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 양측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제2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가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된 결속홈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상자의 화분진입공에는 그 상부로부터 화분이 진입할 때 하부상자의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화분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된 다수의 화분지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상자의 제1 내지 제4측면덮개부에는 통기 및 내부 확인을 위해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절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개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개폐부는 'C'형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상자의 상면덮개부에는 상면덮개부의 중앙부분을 부분적으로 뜯어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일부가 연결되고 나머지부분이 절개된 분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상자 외면에는 상기 분리부를 덮는 투명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에는 상기 결속홈에 결합되는 상기 제2결속부의 내면 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홈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덮개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상자의 내부공간으로 온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핫팩을 내장하며 다수의 통기공을 구비한 핫팩상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훼용 포장상자는 다수의 화분들을 하부상자의 각 화분진입공에 담아 유통과정에서 화분들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부상자로 하부상자 상부를 덮어 화분들에 심어진 화훼의 줄기와 잎 등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화훼를 안정적으로 포장하여 배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배송 후 판매 등을 위해 화분들을 전시할 때 상부상자를 분리한 후 화분들을 하부상자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그대로 전시나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화훼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개폐부나 분리부를 뜯어내어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통기상태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배송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취급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훼용 포장상자의 사시도로, 상부상자를 하부상자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훼용 포장상자의 사시도로, 상부상자와 하부상자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훼용 포장상자의 상부상자 사시도로, 상측덮개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훼용 포장상자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상식물을 심은 화분들을 담는 하부상자(10)와, 하부상자(10)의 상부를 덮도록 하부상자(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상자(30)를 구비한다. 하부상자(10)와 상부상자(30)는 종이 또는 수지재 골판지를 재단하여 각각 상자형태로 접어서 만든다.
하부상자(10)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사각형의 상판(11)과 하판(12),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측판(13) 및 제2측판(14), 제1 및 제2측판(13,14)과 다른 위치에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측판(15)과 제4측판(16)을 구비한다. 상판(11)과 하판(12), 제1 내지 제4측판(13,14,15,16)은 상호 접하는 변이 접혀서 연결됨으로써 그 내부에 화분(10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17)을 갖춘 장방형의 육면체를 이룬다.
하부상자(10)의 상판(11)에는 상측으로부터 화분(100)의 진입시켜 담을 수 있도록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화분진입공(19)이 형성된다. 또 각 화분진입공(19)에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로부터 화분(100)을 진입시킬 때 하부상자(10)의 내측으로 밀려 변형되면서 화분(100)의 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화분지지부(20)가 마련된다. 화분지지부(20)는 각 화분진입공(19)이 형성되는 위치의 상판(11)이 방사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100)이 화분진입공(19)을 통하여 담길 때 탄성 변형되는 다수의 화분지지부(20)가 화분(100)의 측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지지함으로써 화분(100)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부상자(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상자(10) 상판(11)의 크기와 대응하는 상면덮개부(40), 상면덮개부(40)의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측 부분이 하부상자(10)의 제1측판(13) 및 제2측판(14)의 외면을 덮는 제1측면덮개부(31) 및 제2측면덮개부(32), 상면덮개부(40)의 다른 쪽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의 높이가 하부상자(10)의 제3 및 제4측판(15,16)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측면덮개부(33,34)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상자(30)의 하면은 개방된다.
즉 상부상자(30)는 제1 및 제2측면덮개부(31,32)의 상하길이가 제3 및 제4측면덮개부(33,34)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상자(30)를 하부상자(10)에 결합시킬 때 제1 및 제2측면덮개부(31,32)가 하부상자(10)의 제1 및 제2측판(13,14)의 외면을 덮고, 제3 및 제4측면덮개부(33,34)의 하단이 하부상자(10)의 제3 및 제4측판(15,16) 상단에 이른다.
하부상자(10)의 제3 및 제4측판(15,16) 중앙부에는 하부상자(10)를 들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각각 손잡이홈(21)이 형성되고, 상부상자(30)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33,34)의 하단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그 일부가 하부상자(10)의 손잡이홈(21)으로 진입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부상자(30)와 하부상자(10)가 결속되도록 하는 제1결속부(35)가 마련된다.
또 상부상자(30)에는 제1결속부(35) 양측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33,34)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제2결속부(36)가 마련되고, 하부상자(10)에는 이들 제2결속부(36)가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제3 및 제4측판(15,16)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된 결속홈(23)을 구비한다.
이는 하부상자(10)에 화분들(100)을 담은 후 상부상자(30)를 덮을 때 제2결속부들(36)을 하부상자(10)의 결속홈(23)에 결합시킴으로써 상부상자(30)가 하부상자(10)에 대하여 측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결속부(35)를 손잡이홈(21)에 결합시킴으로써 상부상자(30)가 하부상자(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하부상자(10)의 제3 및 제4측판(15,16) 상단에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홈(23)에 결합된 제2결속부(36)의 내면 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속홈(23)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소정길이 연장된 지지턱(24)이 마련된다.
또 상부상자(30)의 제1 내지 제4측면덮개부(31,32,33,34)에는 통기 및 내부 확인을 위해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연결된 상태로 절개되어서 형성된 다수의 개폐부(38a,38b)가 마련된다. 개폐부(38a,38b)는 각각의 상측부분이 상부상자(30)에 연결되도록 'C'형으로 절개된 형태이다. 이는 필요에 따라 개폐부(38a,38b)를 뜯어내거나 내측으로 밀어 개방함으로써 포장 후 내부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거나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부상자(30)는 날씨가 더운 하절기에 개폐부(38a,38b)를 뜯어내고 사용함으로써 통기상태를 조절할 수 있고, 동절기처럼 날씨가 차가운 경우에는 개폐부(38a,38b)를 그대로 유지한 채 사용함으로써 내부의 화훼를 추운 날씨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부상자(30)의 상면덮개부(40)에는 필요에 따라 그 중앙부분을 부분적으로 뜯어내어 개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부분이 절개된 분리부(39a,39b)가 마련된다. 이는 필요에 따라 분리부(39a,39b)를 뜯어냄으로써 포장상자를 운반하거나 배송하는 사람이 상자 내부의 화훼 포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부상자(30) 외면에는 분리부(39a,39b)와 양측의 측면덮개부(31,32)를 덮는 투명필름(37)이 부착된다. 이는 분리부(39a,39b)를 통해 상부상자(3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투명필름(37)을 통해 내부의 화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분리부(39a,39b)는 그 외측에 투명필름(37)이 부착된 상태에서도 상부상자(30)의 내측으로부터 뜯어내어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상부상자(30) 상측덮개부(4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측덮개부(40)는 각 측면덮개부(31,32,33,34)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제1날개부(41), 제2날개부(42), 제3날개부(43), 제4날개부(44)를 구비하고, 각 날개부들(41,42,43,44)의 양단도 접철이 가능한 연결부(45)에 의해 연결된다. 또 제3날개부(43)와 제4날개부(44)에는 양측의 제1 및 제2날개부(41,42)와 그 자체의 접힘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접힘안내선들(46)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술한 분리부(39a,39b)는 제1날개부(41)와 제2날개부(42)에 마련된다.
또 상부상자(30)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33,34) 상측에는 결합홈(48)이 각각 형성되고, 제1날개부(41)의 양단에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덮개부(40)를 구성하는 각 날개부가 모두 접혀 덮힌 상태에서 제1날개부(41)를 결속하기 위해 결합홈(48)으로 진입하여 접히는 결합날개(49)가 형성된다. 이 결합날개(49)는 제1날개부(41)의 양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형태이다.
여기서는 상측덮개부(40)가 접힌 상태에서 제1날개부(41)의 결합날개들(49)이 결합홈(48)에 결합되는 형태만을 예시하였으나, 상부상자(30)의 상측덮개부(40)의 형태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측덮개부는 통상적인 박스처럼 복수의 날개가 결속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 상측덮개부(40)의 내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절기처럼 날씨가 차가운 경우 상부상자(30)의 내부공간으로 온기를 제공하여 화훼를 추운 날씨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핫팩(120)을 내장한 핫팩상자(100)가 부착될 수 있다. 핫팩상자(100)는 종이 등에 의해 사각의 상자형태로 마련되며, 그 내부의 핫팩(120)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가 상부상자(30) 내측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101,102)을 구비한다. 이러한 핫팩상자(100)는 양면테이프(130) 등에 의해 상측덮개부(40)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훼용 포장상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화분들(100)을 하부상자(10)의 각 화분진입공(19)에 담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부상자(30)로 하부상자(10) 상부를 덮어 화분들(100)에 심어진 화훼의 줄기와 잎 등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화훼를 안정적으로 포장하여 배송할 수 있다.
또 배송이 완료된 후 판매 등을 위해 화분들(100)을 전시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상자(30)만을 벗긴 상태에서, 전시공간에 하부상자(10)를 그대로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화훼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화분들(100)을 하부상자(10)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전시나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화훼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개폐부(38a,38b)나 분리부(39a,39b)를 뜯어내어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통기상태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배송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취급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도록 할 수 있다.
10: 하부상자, 19: 화분진입공,
20: 화분지지부, 21: 손잡이홈,
23: 결속홈, 24: 지지턱,
30: 상부상자, 35: 제1결속부,
36: 제2결속부, 37: 투명필름,
38a,38b: 개폐부, 39a,39b: 분리부,
40: 상측덥개부.

Claims (8)

  1. 상판 및 하판,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측판, 다른 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3 및 제4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화분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에 화분의 진입을 위한 다수의 화분진입공이 형성된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상자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의 크기와 대응하는 상면덮개부, 상면덮개부의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측이 상기 하부상자의 제1 및 제2측판 외면을 덮는 제1 및 제2측면덮개부, 상기 상면덮개부의 다른 쪽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의 높이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측면덮개부를 구비하며, 하면이 개방된 상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홈과;
    상기 상부상자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그 일부가 상기 손잡이홈으로 진입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부상자와 하부상자가 결속되도록 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 양측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제2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가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된 결속홈;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상자의 화분진입공에는 그 상부로부터 화분이 진입할 때 하부상자의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화분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된 다수의 화분지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상자의 제1 내지 제4측면덮개부에는 통기 및 내부 확인을 위해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절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개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폐부는 'C'형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
  5. 상판 및 하판,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측판, 다른 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3 및 제4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화분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에 화분의 진입을 위한 다수의 화분진입공이 형성된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상자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의 크기와 대응하는 상면덮개부, 상면덮개부의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측이 상기 하부상자의 제1 및 제2측판 외면을 덮는 제1 및 제2측면덮개부, 상기 상면덮개부의 다른 쪽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의 높이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측면덮개부를 구비하며, 하면이 개방된 상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홈과;
    상기 상부상자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그 일부가 상기 손잡이홈으로 진입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부상자와 하부상자가 결속되도록 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 양측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제2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가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된 결속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상자의 상면덮개부에는 상면덮개부의 중앙부분을 부분적으로 뜯어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일부가 연결되고 나머지부분이 절개된 분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상자 외면에는 상기 분리부를 덮는 투명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
  7. 상판 및 하판,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측판, 다른 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3 및 제4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화분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에 화분의 진입을 위한 다수의 화분진입공이 형성된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상자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의 크기와 대응하는 상면덮개부, 상면덮개부의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측이 상기 하부상자의 제1 및 제2측판 외면을 덮는 제1 및 제2측면덮개부, 상기 상면덮개부의 다른 쪽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의 높이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측면덮개부를 구비하며, 하면이 개방된 상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홈과;
    상기 상부상자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그 일부가 상기 손잡이홈으로 진입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부상자와 하부상자가 결속되도록 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 양측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제2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가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된 결속홈;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에는 상기 결속홈에 결합되는 상기 제2결속부의 내면 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홈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
  8. 상판 및 하판,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측판, 다른 위치에서 상호 대향하는 제3 및 제4측판을 구비하고 내부에 화분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에 화분의 진입을 위한 다수의 화분진입공이 형성된 하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상자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의 크기와 대응하는 상면덮개부, 상면덮개부의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측이 상기 하부상자의 제1 및 제2측판 외면을 덮는 제1 및 제2측면덮개부, 상기 상면덮개부의 다른 쪽 대향하는 양변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의 높이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측면덮개부를 구비하며, 하면이 개방된 상부상자와;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홈과;
    상기 상부상자의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그 일부가 상기 손잡이홈으로 진입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부상자와 하부상자가 결속되도록 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 양측의 상기 제3 및 제4측면덮개부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제2결속부와;
    상기 제2결속부가 진입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상자의 제3 및 제4측판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마련된 결속홈;을 포함하되,
    상기 상측덮개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상자의 내부공간으로 온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핫팩을 내장하며 다수의 통기공을 구비한 핫팩상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용 포장상자.
KR2020100000490U 2010-01-18 2010-01-18 화훼용 포장상자 KR200461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90U KR200461235Y1 (ko) 2010-01-18 2010-01-18 화훼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90U KR200461235Y1 (ko) 2010-01-18 2010-01-18 화훼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40U KR20110007340U (ko) 2011-07-26
KR200461235Y1 true KR200461235Y1 (ko) 2012-06-29

Family

ID=4559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490U KR200461235Y1 (ko) 2010-01-18 2010-01-18 화훼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2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9864B (zh) * 2014-08-08 2016-10-05 杭州蓝郡农业科技有限公司 盆栽花卉包装结构
KR20180001223U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우리애그린 포트용 포장지
KR102225036B1 (ko) * 2019-07-24 2021-03-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장 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769A (ja) * 1996-10-31 1998-05-19 Nichirei Corp 植物収容箱
US20010035364A1 (en) * 2000-02-10 2001-11-01 Weder Donald E. Floral shipping container
JP2009286491A (ja) * 2008-06-02 2009-12-10 Rengo Co Ltd 鉢物ケース
KR20110014770A (ko) * 2009-08-06 2011-02-14 정헌영 화분 전시겸용 물류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769A (ja) * 1996-10-31 1998-05-19 Nichirei Corp 植物収容箱
US20010035364A1 (en) * 2000-02-10 2001-11-01 Weder Donald E. Floral shipping container
JP2009286491A (ja) * 2008-06-02 2009-12-10 Rengo Co Ltd 鉢物ケース
KR20110014770A (ko) * 2009-08-06 2011-02-14 정헌영 화분 전시겸용 물류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40U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869B1 (ko) 음식 제품을 배송 및 전시를 위한 전개 가능 통풍 패널을 가진 변환 가능 케이스
US2150453A (en) Plant package
JP2013136413A (ja) 鉢植え植物用のラッピングシート
KR200461235Y1 (ko) 화훼용 포장상자
US20090114560A1 (en) Method and package for assembling and shipping fresh cut floral arrangements
US6446805B1 (en) Container for plants
US2932384A (en) Flower display holder
US20060289334A1 (en) Assembly for transporting and presenting at least one object, a packaging method using such an assembly, and an opening method
KR101026959B1 (ko) 택배용 포장박스
US2238818A (en) Plant package
US7007426B1 (en) Floral product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90315565A1 (en) Packaging for shipping plants
US20090056210A1 (en) Flower transporting device
US2106487A (en) Display case
KR20130002895U (ko) 화분용 포장박스
KR20170000248U (ko) 포장용 상자
KR20190111522A (ko) 화분 운반용 포장모듈
KR200461236Y1 (ko) 화훼용 포장상자
KR200419658Y1 (ko) 화분 포장 용기
KR200461237Y1 (ko) 화훼용 포장상자
JP2004338767A (ja) 切花の保水容器及び梱包体
KR20120006735U (ko)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JP2008081166A (ja) 鉢植え植物用包装具
JPH0312655Y2 (ko)
TWM577415U (zh) Plant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