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63Y1 -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 - Google Patents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63Y1
KR200460363Y1 KR2020080007111U KR20080007111U KR200460363Y1 KR 200460363 Y1 KR200460363 Y1 KR 200460363Y1 KR 2020080007111 U KR2020080007111 U KR 2020080007111U KR 20080007111 U KR20080007111 U KR 20080007111U KR 200460363 Y1 KR200460363 Y1 KR 200460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salt
light source
led light
salt lamp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365U (ko
Inventor
옥도영
Original Assignee
옥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도영 filed Critical 옥도영
Priority to KR2020080007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6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10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atalyst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및 저소비전력을 갖는 암염 램프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의 암염 램프는, 광원의 삽입을 위한 홀이 구비되며 암염(rock salt)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 및 홀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코팅되며 공기 정화 기능을 하는 광학 반응형 광촉매; 상기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본체가 안착되는 상단 받침대; 상기 본체의 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단 받침대의 하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며,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컬러를 발하는 컬러 변환 LED 광원; 및 상기 컬러 변화 LED 광원의 외주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단 받침대와 결합되는 하단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Rock salt lamp having multi-technical and low consumption of electricity}
본 고안은 조명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암염 램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및 그 외 실내 공간에서 사용하는 스탠드형 조명 램프는 조명기구물과 조명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많은 제품군 및 종류가 있고, 가격도 고가에서 저가까지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이러한 천차만별의 조명 램프들의 차이점은 단지 조명기구물이 차이이며, 조명전구는 필라멘트형 백열전구 및 기타 소비전력이 높은 광원을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현재 상품으로 나와있는 소금 램프(Salt lamp) 역시 일반 조명 램프의 조명기구물에 속하는 것으로, 단지, 조명기구물만의 차이가 있을 뿐, 사용되는 광원은 백열전구로 역시 동일하다.
도 1은 종래의 소금 램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으로서 백열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소금 램프(100)는 오직 빛을 발산하 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2는 받침대, 104는 소켓, 106은 백열전구, 그리고, 110은 본체를 각각 나타낸다.
그런데,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스탠드형 조명 램프 및 소금 램프의 조명전구는 백열전구의 경우에 소비전력이 보통 25~35W용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소비전력이 높고, 전구형 형광등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 또한 소비전력이 20W 정도로 높다. 뿐만 아니라, 백열전구는 높은 소비전력으로 인해, 계절적으로 더운 시기의 실내 공간에서는 전구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이차적인 전력손실을 동반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최근의 에너지 절감에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상기 백열전구는 사라져야될 조명전구이다.
또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백열전구는 수명이 대략 1,000 시간으므로 짧은 수명에 따른 문제점이 있으며, 오직 한 가지 색상의 빛만 발하기 때문에 색상 구현에 한계가 있고, 다른 컬러의 빛을 발하고자 할 때에는 다른 컬러의 색상이 코팅되어 있는 새로운 광원으로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이, 가정용 스탠드 조명 램프 및 일반 소금 램프, 그리고, 상업용 실내 인테리어용 스탠드 조명 램프들은 소비전력이 높고, 단지 실내의 밝기만을 다소 밝게 하는 단순 기능밖에 없으며, 상업용의 경우에 컬러 백열전구를 사용하더라도 단일 컬러에 의한 분위기 연출 효과 밖에 없는 단순 기능의 램프들이므로, 그 이용에 제약이 많다.
본 고안은 단순 기능을 갖는 조명 램프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복합적이고 다기능적이며 에너지 절감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암염 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는, 광원의 삽입을 위한 홀이 구비되며 암염(rock salt)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 및 홀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코팅되며 공기 정화 기능을 하는 광학 반응형 광촉매; 상기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본체가 안착되는 상단 받침대; 상기 본체의 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단 받침대의 하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며,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컬러를 발하는 컬러 변환 LED 광원; 및 상기 컬러 변화 LED 광원의 외주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단 받침대와 결합되는 하단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광원이 삽입될 홀을 갖는 자연적(natural) 상태 또는 홀이 구비됨과 아울러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가공된 상태의 암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는 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한다.
상기 하단 받침대는 컬러 변환 LED 광원을 고정시키는 소켓을 구비한다.
상기 상단 받침대와 상기 하단 받침대는 지지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상단 받침대와 하단 받침대는 20~100㎜의 간격을 갖는다.
본 고안의 암염 램프는 상기 컬러 변화 LED 광원과 연결되어 상기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은 암염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외부 표면 또는 광원이 삽입될 홀 표면에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를 코팅해줌으로써 이러한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에 의해 탈취, 살균 및 포름알데이드 같은 새집증후군 억제 등 공기 정화의 기능을 겸하는 암염 램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광원으로서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채용함으로써 일차적으로는 LED 광원의 채용에 의해 소비전력 감소에 따른 초에너지 절약형 암염 램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레드, 그린 및 블루의 각각에 대한 밝기 조절과 빛 혼합에 의해 64 컬러 이상의 빛을 발함으로써 색의 에너지와 성질을 이용하여 심리치료와 의학에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색채가 가진 일정한 물리적 파동과 시각적 자극을 통해 사람의 정신적 안정감에 매우 유익한 영향을 주는 칼라테라피 효과를 갖는 암염 램프를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은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 및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암염 램프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조명 램프에도 적용함으로써 경제적 측면, 시각적 측면 및 공기 정화 등 실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조명기구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최근, 정부의 에너지 절감 정책에 따라 새로운 광원으로 LED가 급부상하고 있다. 상기 LED는 낮은 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수은(Hg)이 포함되어있지 않은 친환경 제품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지속적인 시장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LED 광원은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주로 응용 시장으로 상업용 옥외간판, 교통신호등, 광고판(POP) 광원, TFT-LCD의 일부 백라이트(Back light) 광원 등에 한정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가정용 백열전구 및 형광등 대체용으로 LED 백색 광원이 제품화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다소 미비하여 활발한 가정용 시장 진출은 아직까지는 미흡한 현실이다.
또한, 스탠드 조명 램프에 단색 LED 광원을 채용할 경우, 소비전력 감소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는 있겠지만, 기존의 백열전구와 비교할 때, 기능성 면에서 차이점이 없어, 램프 가격은 다소 비싸지만 수명이 길다는 논리 하나로만 접근하여 긴 안목에서 경제적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기에는 어렵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은 LED 광원을 응용한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조명 램프의 광원으로 적용하고, 또한,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를 코팅시켜 공기 정화 기능을 부여하여 멀티 기능 및 저소비전력의 암염 램프를 구현한다.
자세하게,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및 저소비전력의 암염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이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암염 램프의 본체와 상단 받침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는 약 2억 5천 만 년 전 지구의 지각변동으로 히말가야산맥 지역의 바닷물이 갇혀 묻히면서 천연의 수수함을 그대로 간직한 채 지표면으로부터 지하 200~300m 깊이에 매장되어 있는 크리스탈 소금 화석으로 이루어지며, 채굴 당시의 자연적(Natural) 상태, 또는, 특정한 모양 및 크기를 갖도록 가공된 상태이고, 광원 설치를 위한 홀(212)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210)는 상단 받침대(220) 상에 안착되며, 상기 본체(210)와의 안전한 고정을 위해, 예를 들어, 조인트 나사에 의해 상기 상단 받침대(220)와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본체 외측면에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외측면에는 가시광선에 의해 광촉매 반응을 하고, 이를 통해, 공기정화 기능, 살균 및 항균 기능, 탈취 기능, 오염방지 기능 등의 역할을 하는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230)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230)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TiO2)이며,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되고, 코팅된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230)는 상온에서 대략 1시간 정도 건조된다.
이러한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230)는 본체(210)의 외측면 뿐만 아니라, 홀(212) 표면에도 코팅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230)는 본체(210)의 외측면 및 홀(212) 표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 코팅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컬러 변환 LED 광원과 하단 받침대 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는 광원으로서 컬러 변환 LED 광원(240)이 적용된다. 상기 컬러 변환 LED 광원(240)의 외주면에는 하단 받침대(250)가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컬러 변환 LED 광원(240)은 하단 받침대(250)에 설치된 소켓(252)에 끼워지고, 상기 소켓(252)에는 외부로부터 전선(254)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컬러 변환 LED 광원(240)의 중간 부분에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242)가 설치된다.
도 5는 본체와 결합된 상단 받침대와 컬러 변환 LED 광원이 설치된 하단 받침대가 결합되어 구성된 본 고안의 암염 램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받침대(220)와 하단 받침대(250)는, 예를 들어, 지지대(26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컬러 변환 LED 광원(240)의 총 길이가 75㎜ 이고, 중간 부분에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되는 센서(2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센서 부분은 360°방향 전체로 리모트 콘트롤 주파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어떠한 형태이든 간에 오픈시켜야 하므로, 하단 받침대(250)와 상단 받침대(220)는 최소한 20㎜ 이상, 예를 들어, 20~100㎜ 간격을 두고 결합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200)는 빛의 3원색인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 색을 발하는 삼색 LED 광원으로 구성된 컬러 변환 LED 광원(240)을 수동(Manual Mode) 또는 자동(Auto Mode)으로 제어하기 위해 리모트 콘트롤러(도시안됨)를 포함하며,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는 컬러 변환 LED 광원(24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암염 램프(200)는 리모트 콘트롤러로 조절하여 다양한 색의 빛을 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빛 색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 며, 이에 따라, 칼라테라피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 작용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 정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게다가, 초절전 컬러 변환 LED 광원의 채용으로 인해 에너지 절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닌 멀티 기능 및 저소비전력 특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는 기존 조명 램프의 백열전구 및 단색 LED 대신에 초고휘도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컬러 변화 LED 광원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 백열전구 25W에 비해 소비전력은 1/8 정도로서 8배의 절전 효과가 있다. 또한, 25W 백열전구의 밝기는 165lm 정도이고, 본 고안의 컬러 변화 LED 광원의 밝기는 135lm 정도이므로,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컬러 변환 LED 광원은 백열전구와 밝기가 거의 대등하여 가정용 및 상업용 실내 인테리어용 스탠드 조명 램프에 사용되기에 충분하다. 아울러, 본 고안의 컬러 변환 LED 광원의 수명은 평균 50,000시간 이상이어서 한번 설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발열이 최고 30℃ 이하를 나타내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채용한 본 고안의 암염 램프는 광원으로서 백열전구를 채용한 종래의 조명 램프에 비해 소비전력 절감 및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 효과 및 경제적인 절감의 효과가 크다.
또한, 본 고안의 암염 램프는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다. 즉, 본 고안의 암염 램프는 천연 소금 램프의 본체에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TiO2)을 코팅해준다. 이와 같은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는 가시광선과의 광촉매 작용에 의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특별히, 기존의 광촉매 작용은 주성분이 자외선 반응형 광촉매로서, 빛에너지로서 파장대가 365~385㎚인 자외선 에너지를 이용해 왔다. 자외선 에너지의 주 광원은 태양 빛으로 대략 3%의 자외선만을 활용할 수 있지만, 실내의 경우에 자외선이 들어오는 양과 장소에 한계가 있어서 효과가 미비하고, 특히, 태양 빛이 없는 저녁 및 우천시에는 더더욱 효과를 볼 수 없다.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광촉매는 가시광선과 반응하는 가시광선 반응형이다. 이러한 가시광 반응형 광촉매는 태양 빛 및 일반전구, 형광등, LED에서 발생하여 일상생활 공간에 대량으로 존재하는 400~700㎚ 광역 파장대의 가시광 빛에 반응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자외선 빛 에너지에서도 그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가시광 빛 에너지에서도 광반응을 하여 기존의 자외선 광촉매 보다 3~4배 강화된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광촉매의 작용원리를 살펴보면, 산화티타늄(TiO2)으로 이루어진 광촉매에 가시광선 에너지가 닿으면 표면으로부터 전자(e)가 방출되고, 이 방출된 전자가 공기 중의 산소(O2)와 반응하여 O2 -로 해리되며, 전자가 방출된 광촉매 표면은 양(+) 전하를 띠고, 공기 중의 수분(H2O)으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원래대로 환원되며, 전자를 빼앗긴 수분은 수산화 라디컬(OH)이 되어 강한 산화분해력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생성된 O2 -, OH는 강한 산화분해력에 의하여 주변에 있는 여러 유해물질들을 분해하는 환경개선제로서, 공기정화 기능, 살균 및 항균 기능, 탈취 기능, 오염방지 기능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는 컬러테라피 기능을 갖는다. 상기 컬러테라피란 색의 에너지와 성질을 이용해 심리치료와 의학에 활용하는 것으로서, 색채가 가진 일정한 물리적 파동과 시각적 자극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취하게 하고 신체의 밸런스를 바로잡아 준다고 한다. 색채 치료의 정확한 의학적 효과는 아직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정신과 분야에서는 보조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약 50년 전 미국의 한 교육학자는 "페인팅과 퍼스널리티"라는 논문을 통해 아이들이 그림에 사용한 색채를 통해 심리와 건강상태를 조사한 결과, "행복하고 적극적인 아이"는 주로 노란색을, "침체되고 우울한 기분을 가진 아이"는 보라색을 즐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색채가 아이들의 불안을 치유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오렌지색은 "상쾌한 기분을 돋우거나 불안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유행하는 컬러테라피의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데, 향기요법인 아로마테라피와 같이 색깔 역시 사람의 몸과 마음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색채 요법은 과학적으로 확실하게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경험적으로 볼 때 확실한 효과를 얻고 있다. 우리의 일상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컬러테라피의 예라면 산만하고 공격적인 아동의 방에는 간결하고 정돈된 느낌의 블루 톤 벽지 및 조명을 활용해주고, 소극적이거나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의 방에는 밝고 화사하며 아기자기한 느낌의 분홍색, 오렌지, 노란색, 파스텔톤의 벽지 및 조명을 활용해 주면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불면증이 있을 때에는 푸른색이나 보라색 계열의 침구나 조명을 활용한다.
이와 같이 컬러테라피는 특정한 사람에게 필요하기보다는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일상 생활 전반에 걸쳐 컬러테라피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특히, 색채는 빛이 존재하는 이상 시각적, 물리적, 심리적으로 영향을 주므로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채와 필요한 색채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찾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이 오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중 87%는 시각을 통하는데, 이 중에서 80%는 색에 의한 것으로 학계에서는 보고 있다. 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궁무진하다. 붉은 색은 힘과 에너지 및 흥분과 연관돼 있고, 공포감과 무절제한 열정 및 분노를 자극한다. 붉은 색은 눈에 띄는 가시 색 중 가장 느린 진동파를 갖고 있어 다른 색보다 빠르고 즉각적인 영향을 사람에게 미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광원으로서 컬러테라피에 효과가 있는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는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레드+그린, 레드+블루, 그린+블루 및 레드+그린+블루의 7 색상의 빛을 발할 수 있으며, 또한, 기본색인 레드, 그린 및 블루의 각각을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이용해서 조절해서 4-그레이 스케일(4-Gray Scale) 로 콘트롤함으로써 적어도 64 컬러 이상의 많은 색상의 빛을 발하여 각자에게 잘 맞는 색상의 빛을 찾아내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신의 균형과 조화를 이르게 함으로써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실시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 스탠드형 조명기구에서 조명기구물은 그대로 두고 컬러 변환 LED 광 원을 사용하여 부분적인 기능성을 지닌 조명 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명 램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본체와 상단 받침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본체 외측면에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에서의 컬러 변환 LED 광원과 하단 받침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암염 램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7)

  1. 광원의 삽입을 위한 홀이 구비되며, 암염(rock salt)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 및 홀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코팅되며, 공기 정화 기능을 하는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
    상기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본체가 안착되는 상단 받침대;
    상기 본체의 홀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단 받침대의 하부로부터 삽입 고정되며,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컬러를 발하는 컬러 변환 LED 광원; 및
    상기 컬러 변화 LED 광원의 외주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상단 받침대와 결합되는 하단 받침대;
    를 포함하는 암염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자연적(natural) 상태 또는 가공된 상태의 암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염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 반응형 광촉매는 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염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받침대는 상기 컬러 변환 LED 광원을 고정시키 는 소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염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받침대와 상기 하단 받침대는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염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받침대와 하단 받침대는 20~100㎜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염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변화 LED 광원과 연결되어 상기 컬러 변환 LED 광원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염 램프.
KR2020080007111U 2008-05-30 2008-05-30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 KR200460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111U KR200460363Y1 (ko) 2008-05-30 2008-05-30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111U KR200460363Y1 (ko) 2008-05-30 2008-05-30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65U KR20090012365U (ko) 2009-12-03
KR200460363Y1 true KR200460363Y1 (ko) 2012-05-21

Family

ID=4660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111U KR200460363Y1 (ko) 2008-05-30 2008-05-30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34B1 (ko) * 2019-07-04 2021-04-26 주식회사 제이치글로벌 가시광 활성 광촉매를 포함하는 le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205A (ja) 1998-11-18 2000-06-06 Ushio Inc 黄色光放射用白熱電球
JP2006131583A (ja) 2004-11-09 2006-05-25 Marukatsu Sangyo Kk 抗菌性付与剤
KR100788766B1 (ko) 2006-10-31 2007-12-26 류기복 음이온 및 방향제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205A (ja) 1998-11-18 2000-06-06 Ushio Inc 黄色光放射用白熱電球
JP2006131583A (ja) 2004-11-09 2006-05-25 Marukatsu Sangyo Kk 抗菌性付与剤
KR100788766B1 (ko) 2006-10-31 2007-12-26 류기복 음이온 및 방향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65U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891B1 (ko) 조명 장치
EP2028417A1 (en) Lighting equipment excelling in air purification
JP2007173557A (ja) 光源装置
CN201137852Y (zh) 一种太阳能幕墙灯
KR200460363Y1 (ko) 다기능 및 저 소비전력의 암염 램프
KR200399913Y1 (ko) 외부전극형광램프를 이용한 장식용 조명기구
JP6369779B2 (ja) 照明器具
JP2007309071A (ja) 発光手段を有する機能性畳
CN203879058U (zh) 一种荧光spa水池
CN203023862U (zh) 一种新型具有空气净化功能的led筒灯
KR200430350Y1 (ko) 다색용 조명기구
TWI495396B (zh) 環境感知投影燈具
KR200339155Y1 (ko) 광촉매물질의 막이 형성된 등기구
KR200297872Y1 (ko)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램프 구조물
CN205782400U (zh) 一种led照明筒灯泡
KR200184966Y1 (ko) 오염물질 예방층을 구성하는 직접조명등기구
KR101868368B1 (ko) 뇌파리듬 조절 기능이 구비된 조명기구
CN208935900U (zh) 木制镂空灯
KR200184967Y1 (ko) 오염물질 예방층을 구성하는 조명기구의 조명커버
CN215808141U (zh) 一种222nm波长的消毒、杀菌的吊灯灯具
CN107420851B (zh) 一种陶瓷装饰台灯
CN202302896U (zh) 照明灯
CN207740914U (zh) 一种led吊灯
KR200184969Y1 (ko) 오염물질 예방층을 구성하는 조명 등기구 지주체
KR200344924Y1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