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26Y1 - 비닐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26Y1
KR200460326Y1 KR2020100001891U KR20100001891U KR200460326Y1 KR 200460326 Y1 KR200460326 Y1 KR 200460326Y1 KR 2020100001891 U KR2020100001891 U KR 2020100001891U KR 20100001891 U KR20100001891 U KR 20100001891U KR 200460326 Y1 KR200460326 Y1 KR 200460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inyl
collection
bobbi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396U (ko
Inventor
문종오
Original Assignee
문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오 filed Critical 문종오
Priority to KR2020100001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2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3/00Gatherers for removing stones, undesirable roots or the like from the soil, e.g. tractor-drawn r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2013/0218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for removing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비닐 수거장치는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전후좌우로 각각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장치를 전진시키는 바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테이퍼진 보빈을 통해 비닐을 감아줌과 아울러 보빈 좌우측에 각각 휠이 설치되어 보빈 외측에 설치된 축을 통해 회전하도록 된 수거휠과, 상기 수거휠의 일측에서 상기 축과 연결되는 체인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체인에 감속기를 매개로 연결되어 체인을 구동시킴으로써 수거휠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구동수단 및, 상기 바퀴 중 전방쪽 바퀴의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휠에 감져지는 비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간단한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비닐 수거장치의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비닐 수거장치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비닐을 감는 힘을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장치가 전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하며, 밭 두둑의 폭에 상관없이 장치의 폭이 조절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비닐 수거장치{VINYL REMOVAL APPARATUS}
본 고안은 농촌의 밭 두둑에 덮여진 비닐을 수거하는 비닐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밭의 두둑에 덮여진 비닐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된 비닐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작물을 파종하거나 심기 위해서는 관리기 등의 농기계를 이용하여 밭의 두둑 및 고랑을 만들고, 밭의 두둑에는 수분증발 및 잡초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닐을 피복한다.
상기 비닐을 피복한 후, 비닐이 바람에 의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의 양단부를 고랑의 흙을 이용하여 덮음으로써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닐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해 모종 또는 종자를 심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밭의 두둑에 피복하는 비닐은 작물의 수확 후에 제거 및 수거를 하여야만 이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괭이로 비닐의 양단부 상에 있는 흙을 걷어낸 후, 비닐을 잡아당겨 수거하였다.
그러나, 인력에 의한 비닐의 수거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에 간편하게 비닐을 수거할 수 있는 기계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 트랙터를 이용한 비닐수거기가 개발되었는 바, 상기 비닐수거기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품 단가가 높고, 비닐수거기의 유지 및 보수에도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닐수거기는 비닐수거기의 이동속도와 비닐을 말아주는 속도가 일치하지 못하여 비닐의 수거작업에 지장이 있고, 밭 두둑의 폭에 따라 비닐수거기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기능이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그 기능이 향상됨으로써 밭의 두둑에 덮여진 비닐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된 비닐 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전후좌우로 각각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장치를 전진시키는 바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테이퍼진 보빈을 통해 비닐을 감아줌과 아울러 보빈 좌우측에 각각 휠이 설치되어 보빈 외측에 설치된 축을 통해 회전하도록 된 수거휠과, 상기 수거휠의 일측에서 상기 축과 연결되는 체인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체인에 감속기를 매개로 연결되어 체인을 구동시킴으로써 수거휠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구동수단 및, 상기 바퀴 중 전방쪽 바퀴의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휠에 감져지는 비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롤러를 포함하여 비닐 수거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수거휠은 그 타측에 상기 축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에 상기 휠을 분리하여 비닐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수거휠 분리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거휠 분리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된 잠금 커버가 잠금 핀을 통해 상기 축에 탈착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잠금 커버는 하부의 힌지을 통해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체인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 엔진 또는 배터리를 이용한 DC 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방에 설치된 지지대에 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트가 상기 지지대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바퀴와 바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바퀴 중 전방쪽 바퀴는 상기 전방쪽 지지대에 회전 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어 진행방향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는 그 하부에 좌우로 각각 고정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의 내측에 각각 각도조절 브라켓트가 설치되어 이 각도조절 브라켓트와 고정대의 결합위치를 통해 상기 롤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비닐 수거장치의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비닐 수거장치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비닐을 감는 힘을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장치가 전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하며, 밭 두둑의 폭에 상관없이 장치의 폭이 조절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의 수거휠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거휠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거휠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의 바퀴 폭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의 바퀴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의 롤러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 수거장치를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비닐 수거장치(1)는 크게 두 쌍의 바퀴(10)와, 수거휠(20), 구동수단(30) 및, 롤러(40)로 이루어져 밭의 두둑에 덮여진 비닐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바퀴(10)는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50) 하부에 전후좌우로 각각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비닐 수거장치(1)를 전진시키는 것이고, 상기 수거휠(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50) 상부에 설치되어 테이퍼진 보빈(21)을 통해 비닐을 감아주며, 상기 보빈(21) 좌우측에 각각 휠(22)이 설치되어 보빈(21) 외측에 설치된 축(23)을 통해 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구동수단(30)은 상기 수거휠(20)의 일측에서 상기 축(23)과 연결되는 체인(31)이 설치되고, 상기 체인(31)에 감속기를 매개로 연결되어 체인(31)을 구동시킴으로써 수거휠(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상기 롤러(40)는 바퀴(10) 중 전방쪽 바퀴(10)의 지지대(6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휠(20)에 감져지는 비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비닐 수거장치(1)는 상기 구동수단(30)의 작동으로 상기 수거휠(20)이 회전하면서 비닐을 감아주게 되고, 상기 비닐을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바퀴(10)가 회전하면서 상기 비닐 수거장치(1)가 전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수거휠(20) 구조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수거휠(20)은 그 타측에 상기 축(23)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21)에 상기 휠(22)을 분리하여 비닐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수거휠 분리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휠 분리수단(7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 연결된 잠금 커버(71)가 잠금 핀(72)을 통해 상기 축(23)에 탈착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상기 잠금 커버(71)는 하부의 힌지(73)을 통해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수거휠(20)은 테이퍼진 상기 보빈(21)의 회전을 통해 비닐을 감아주는 역할과, 감겨진 비닐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보빈(21)에 감져진 비닐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보빈(21)을 개방하여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우선, 상기 보빈(2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잠금 커버(71)를 개방하기 위하여 잠금 커버(71) 및 상기 축(23)에 설치된 잠금 핀(72)을 이탈시킨 후, 상기 잠금 커버(71)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보빈(21)의 일측에 상기 축(23)을 매개로 설치된 상기 휠(22)을 제거하여 보빈(21)을 개방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보빈(21)의 중앙부를 분리하여 감겨진 비닐을 인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구동수단(30)을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체인(31)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 엔진(32) 또는 배터리를 이용한 DC 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모터 엔진(32) 및 감속기의 작동으로 상기 수거휠(20)의 축(23)과 연결된 상기 체인(31)이 구동되면서 이 체인(31) 구동을 통해 수거휠(20)을 회전시켜 비닐을 감아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바퀴(10) 폭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바퀴(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전후방에 설치된 지지대(60)에 브라켓트(61)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트(61)가 상기 지지대(6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바퀴(10)와 바퀴(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밭두둑의 폭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 폭에 적합하도록 상기 바퀴(10)와 바퀴(1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비닐 수거장치(1)가 보다 용이하게 밭두둑을 지나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바퀴(10)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바퀴(10) 중 전방쪽 바퀴(10)는 상기 전방쪽 지지대(60)에 회전 브라켓트(62)를 매개로 설치되어 진행방향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밭의 두둑이 직선이 아닌 곡선을 이룰 경우 상기 바퀴(10)가 회전되면서 밭두둑의 방향을 따라 전진하게 되어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진행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롤러(40)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롤러(40)는 그 하부에 좌우로 각각 고정대(41)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41)의 내측에 각각 각도조절 브라켓트(42)가 설치되어, 이 각도조절 브라켓트(42)와 고정대(41)의 결합위치를 통해 상기 롤러(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수거휠(20)에 감겨지는 비닐이 보다 편리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롤러(40)가 비닐을 지지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롤러(40)의 각도를 각도조절 브라켓트(42)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감겨지는 비닐의 전달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닐 수거장치(1)의 사용 상태를 도 9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0)의 작동으로 상기 수거휠(20)이 회전되면서 밭두둑의 비닐(2)을 감게 되고, 상기 롤러(40)는 전달되는 비닐(2)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수거휠(20)의 보빈(21)이 비닐(2)을 당겨주는 힘에 의해 상기 바퀴(10)가 회전되면서 상기 비닐 수거장치(1)가 전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비닐 수거장치(1)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밭두둑의 비닐(2)을 수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비닐 수거장치 2 : 비닐
10 : 바퀴 20 : 수거휠
21 : 보빈 22 : 휠
23 : 축 30 : 구동수단
31 : 체인 32 : 모터 엔진
40 : 롤러 41 : 고정대
42 : 각도조절 브라켓트 50 : 베이스 프레임
60 : 지지대 61 : 브라켓트
62 : 회전 브라켓트 70 : 수거휠 분리수단
71 : 잠금 커버 72 : 잠금 핀
73 : 힌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하부에 전후좌우로 각각 설치되어 그 회전에 의해 장치를 전진시키는 바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테이퍼진 보빈을 통해 비닐을 감아줌과 아울러 보빈 좌우측에 각각 휠이 설치되어 보빈 외측에 설치된 축을 통해 회전하도록 된 수거휠과, 상기 수거휠의 일측에서 상기 축과 연결되는 체인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체인에 감속기를 매개로 연결되어 체인을 구동시킴으로써 수거휠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구동수단과, 상기 바퀴 중 전방쪽 바퀴의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휠에 감져지는 비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롤러 및, 상기 수거휠의 타측에 상기 축과 연결되어 상기 보빈에 상기 휠을 분리하여 비닐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수거휠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비닐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거휠 분리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된 잠금 커버가 잠금 핀을 통해 상기 축에 탈착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상기 잠금 커버는 하부의 힌지를 통해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수거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방에 설치된 지지대에 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트가 상기 지지대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바퀴와 바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수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중 전방쪽 바퀴는 상기 전방쪽 지지대에 회전 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어 진행방향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수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그 하부에 좌우로 각각 고정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의 내측에 각각 각도조절 브라켓트가 설치되어 이 각도조절 브라켓트와 고정대의 결합위치를 통해 상기 롤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수거장치.
KR2020100001891U 2010-02-23 2010-02-23 비닐 수거장치 KR200460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91U KR200460326Y1 (ko) 2010-02-23 2010-02-23 비닐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91U KR200460326Y1 (ko) 2010-02-23 2010-02-23 비닐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96U KR20110008396U (ko) 2011-08-31
KR200460326Y1 true KR200460326Y1 (ko) 2012-05-15

Family

ID=4559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891U KR200460326Y1 (ko) 2010-02-23 2010-02-23 비닐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2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64Y1 (ko) 2005-05-10 2005-08-17 조현식 비닐 걷음 장치
KR20060037168A (ko) * 2004-10-27 2006-05-03 협우물산 주식회사 멀칭비닐지 회수장치
KR20060112313A (ko) * 2005-04-25 2006-11-01 이병찬 폐비닐 수거기
JP2008125414A (ja) * 2006-11-20 2008-06-05 Minoru Industrial Co Ltd マルチフィルムの巻取回収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168A (ko) * 2004-10-27 2006-05-03 협우물산 주식회사 멀칭비닐지 회수장치
KR20060112313A (ko) * 2005-04-25 2006-11-01 이병찬 폐비닐 수거기
KR200392364Y1 (ko) 2005-05-10 2005-08-17 조현식 비닐 걷음 장치
JP2008125414A (ja) * 2006-11-20 2008-06-05 Minoru Industrial Co Ltd マルチフィルムの巻取回収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96U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752Y1 (ko) 비닐 수거기
CN110800393B (zh) 一种农业用除草机
CN213044088U (zh) 农作物除草机
CN111194655B (zh) 一种完整取膜的地膜回收装置
KR20180045205A (ko) 밭작물 줄기절단 겸 피복비닐 수거기
JP2007135413A (ja) 移植装置
KR100618194B1 (ko) 멀칭비닐지 회수장치
KR200460326Y1 (ko) 비닐 수거장치
KR200450548Y1 (ko) 농업용 비닐 피복기
KR101302932B1 (ko) 비닐 수거장치
KR20170030315A (ko) 트랙터 전면 부착형 폐비닐 수거장치
KR200448356Y1 (ko) 두둑 성형기 및 비닐피복기가 장착된 경운기
JP4712058B2 (ja) 植穴形成装置
KR101033092B1 (ko) 비닐 수거장치
KR200451023Y1 (ko) 잔디 채취장치
CN208317661U (zh) 整膜地膜收覆一体机
CN216721972U (zh) 一种带有薄膜捡拾的旋耕机
KR20230036306A (ko) 모터를 활용한 자주식 폐비닐수거기
CN204968370U (zh) 一种适用于高杆密植作物的全自动微型中耕除草机
JP2001258348A (ja) 残幹切断装置
CN213847556U (zh) 一种农机用开沟器
CN215121808U (zh) 一种用于橡胶园除草机的轴承防堵装置
CN216018151U (zh) 有机覆膜水稻专用起膜机
CN219719024U (zh) 一种生态有机茶园除草装置
CN207151110U (zh) 一种耕层残膜回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