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274Y1 -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274Y1
KR200460274Y1 KR2020100001174U KR20100001174U KR200460274Y1 KR 200460274 Y1 KR200460274 Y1 KR 200460274Y1 KR 2020100001174 U KR2020100001174 U KR 2020100001174U KR 20100001174 U KR20100001174 U KR 20100001174U KR 200460274 Y1 KR200460274 Y1 KR 200460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proof
filling
senso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875U (ko
Inventor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조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수 filed Critical 조성수
Priority to KR2020100001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27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04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방에 리드선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리드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센서의 후방을 충진하는 내부 케이스; 및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내부 케이스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내부 케이스의 후단 외측을 고정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의 조립과 동시에 내부 케이스 내부로 방수 충진물의 주입이 용이하여 밀실한 방수 충진이 가능하고, 센서 헤드의 제조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Automatic door sensor head structure of a waterproof case}
본 고안은 자동문에 설치되는 센서 헤드에 방수 충진물을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문은 호텔, 병원 등 대형빌딩 뿐만 아니라 음식점, 슈퍼마켓 등 일반상가에서도 자동문의 보급이 확산되어 가면서 설치가 간편하고 제품 가격도 보다 저렴한 자동문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문에 장착되어 피감지체를 감지하여 자동문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는 필수적으로 자동문에 설치되고 있는바,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 등이 습기나 외부 물기에 노출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 헤드에 방수처리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센서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케이스 후방의 뚜껑을 열어서 방수 충진물을 주입하는 방식이 동원되고 있는바, 이는 케이스 내부의 밀실한 방수 충진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에 리드선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리드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센서의 후방을 충진하는 내부 케이스; 및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내부 케이스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내부 케이스의 후단 외측을 고정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는, 후방에 리드선(2)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상기 리드선(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센서(4)의 후방을 충진하는 내부 케이스(10); 및 일측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내부 케이스(10)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후단 외측을 고정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부 케이스(10a, 10b)로 분리가능한 상기 내부 케이스(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는 제1충진홀(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10)는, 후방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삽하는 상기 리드선(2)의 일단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드선 고정구(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측 전방에 렌즈(32)가 고정되게 장착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는, 일측에 상기 제1충진홀(14)과 연통 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는 제2충진홀(34);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8)가 삽입되는 걸림홀(36); 및 상기 걸림홀(36)의 후방에 형성되어, 전단이 삽입된 걸림돌기(18)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시키고, 후단이 상기 제1단턱(16)의 전단에 걸리는 제2단턱(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내삽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에 걸리고, 자동문의 문틀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홀에 내삽되면서, 전단이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상기 스토퍼(50); 및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전단 외측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후단이 상기 문틀의 외측면에 걸리는 너트(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50)는, 전단 외측 테두리에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편(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의 조립과 동시에 내부 케이스 내부로 방수 충진물의 주입이 용이하여 밀실한 방수 충진이 가능하고, 센서 헤드의 제조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 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 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 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외부 케이스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스토퍼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너트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 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후방에 리드선(2)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상기 리드선(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센서(4)의 후방을 충진하는 내부 케이스(10); 및 일측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내부 케이스(10)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후단 외측을 고정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센서 헤드는 자동문의 상부 문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자동문의 상부 문틀에 형성될 수 있는 센서장착홀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센서 헤드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내부 케이스(10)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는 센서(4); 및 센서(4)의 후방에서 내부 케이스(10)에 장착되어, 리드선(2)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센서(4)에 전달하는 소켓(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4)로는 마이크로웨이브 모션센서가(적외선센서가) 동원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모션센서는 고주파의 반사에 의한 도플러(doppler) 효과를 통해서, 자동문을 통과하는 대상물의 위치를 파악함에 따라 자동문의 개폐를 허가하는 전기적 신호를 자동문의 이동을 지원하는 동력모터로 인가한다.
상기 도플러(doppler) 효과는 크리스티안 요한 도플러(christian johann doppler)에 의해 1842년 처음으로 분석된 것으로, 그 정의로는 파동이 발생하는 중에 파원이나 관측자 중 하나라도 운동을 하고 있다면 발생하게 되는 효과로, 그 둘의 사이가 좁혀지고 있다면 진동수가 커지게 되고, 반대로 멀어지게 된다면 진동수가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둘이 같은 운동을 하고 있을 때에는 특별한 효과가 발생하지는 않는 것을 말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 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 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따른 내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내부 케이스(10)는 후방에 장착되는 리드선(2)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상기 리드선(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센서(4)의 후방을 충진한다.
내부 케이스(10)의 재질은 ABS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BS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의 혼성중합체 및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혼성중합체를 혼합(블렌드)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부 케이스(10a, 10b)로 분리가능한 상기 내부 케이스(10)는, 전방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4)가 외부 센싱을 가능하게 하는 중공홀(12); 상기 상부 케이스(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는 제1충진홀(14); 후단 외측에 형성되어, 외삽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 내측이 걸리는 제1단턱(16); 및 전단이 상기 제1단턱(16) 전방에 형성되는 1 이상의 돌기홀(20)의 전단에서 각각 탄성지지되고, 후단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외삽된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을 고정하는 1 이상의 걸림돌기(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한 쌍의 상, 하부 케이스(10a, 10b)로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상, 하부 케이스(10a, 10b) 중 어느 하나의 측단면부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마주보는 상, 하부 케이스(10a, 10b)에는 결합돌기(11)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0)의 중앙 내측부는, 센서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센서(4)가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는 센서 고정부(24); 및 상기 센서 고정부(24)의 후방에서 소켓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소켓(6)이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는 소켓 고정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홀(12)은 내부 케이스(1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4)가 외부 센싱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중공홀(12)의 내측 후단에는 센서(4)가 위치한다.
제1충진홀(14)은 내부 케이스(10)의 상기 상부 케이스(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을 수 있다. 제1충진홀(14)의 형상은 외부 케이스(30)에 형성되는 제2충진홀(34)에 연통 되게 형성되어, 외부 케이스(30)가 내부 케이스(10)에 외삽된 상태에서 제2충진홀(34)을 통해 방수 충진물이 유입될 때 제1충진홀(14)로의 원할 한 유입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 충진물로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또는 핫멜트 등이 동원되어, 센서(4)의 후방부인 내부 케이스(10)의 내측을 밀실하게 채울 수 있다.
제1단턱(16)은 내부 케이스(10)의 후단 외측에 형성되어, 외삽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 내측이 걸리게 된다. 이를 위해, 외부 케이스(30)의 제2단턱(38)은 상기 걸림홀(36)의 후방에 형성되어, 후단이 상기 제1단턱(16)의 전단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이상의 걸림돌기(18) 각각의 전단이 상기 제1단턱(16) 전방에 형성되는 1 이상의 돌기홀(20)의 전단에서 각각 탄성지지되고, 후단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외삽된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을 고정할 수 있다.
2 개의 걸림돌기(18)가 내부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상호 대향 되는 위치에서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을 고정할 수 있다.
걸림돌기(18) 각각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형성하여, 내부 케이스(10)에 외삽되는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이 용이하게 걸림돌기(18)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진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케이스(30)의 진출이 완료된 후, 걸림돌기(18)의 후단면이 외부 케이스(30)에 형성되는 걸림홀(36)의 후단면에 걸리게 된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10)는, 후방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삽하는 상기 리드선(2)의 일단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드선 고정구(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드선 고정구(22)는 리드선(2)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드선(2)의 일단부를 내삽하면서 리드선(2) 일단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리드선 고정구(22)를 통과한 리드선(2)의 일단부는 내부 케이스(10) 내에 위치하는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외부 케이스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외부 케이스(30)는 일측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내부 케이스(10)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후단 외측을 고정한다.
즉, 내측 전방에 렌즈(32)가 고정되게 장착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는, 일측에 상기 제1충진홀(14)과 연통 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는 제2충진홀(34);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8)가 삽입되는 걸림홀(36); 및 상기 걸림홀(36)의 후방에 형성되어, 전단이 삽입된 걸림돌기(18)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시키고, 후단이 상기 제1단턱(16)의 전단에 걸리는 제2단턱(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케이스(30)는 내측 전방에 렌즈(32)가 고정되게 장착된다.
렌즈(32)는 내부 케이스(10)의 전단면에 후단면이 안착하게 되고, 상기 렌즈(32)를 통해 자동문을 통과하려는 피감지체를 감지한 신호광이 집광 되어 센서(4)에 전달된다.
제2충진홀(34)은 외부 케이스(30)의 일측에서 상기 제1충진홀(14)과 연통 되게 형성되어, 외부 케이스(30)가 내부 케이스(10)에 외삽된 상태에서 제2충진홀(34)을 통해 방수 충진물이 먼저 유입 받을 수 있다.
걸림홀(36)은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8)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30)가 내부 케이스(10)에 외삽이 완료된 후 걸림돌기(18)의 후단면이 걸림홀(36)의 후단면에 걸리게 된다.
제2단턱(38)은 상기 걸림홀(36)의 후방에 형성되어, 전단이 삽입된 걸림돌기(18)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시키고, 후단이 상기 제1단턱(16)의 전단에 걸리게 된다. 이를 위해, 제2단턱(38)은 외부 케이스(3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0)는 후단 외측의 테두리를 따라 제1단턱(16)을 형성하고 있고, 제1단턱(16)은 제2단턱(38)의 후단면에 맞닿을 때까지 진출하여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단턱(38)이 제1단턱(16)이 걸림홀(36) 까지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스토퍼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에 너트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고안은, 내삽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에 걸리고, 자동문의 문틀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홀에 내삽되면서, 전단이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상기 스토퍼(50); 및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전단 외측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후단이 상기 문틀의 외측면에 걸리는 너트(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사부(40)는 외부 케이스(30)의 외측 전단에 형성되어, 너트(60)가 나사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40)는 렌즈(32)가 위치하는 외측 전방에 형성되어, 결합하는 너트(60)에 의해 렌즈(32)가 문틀 내로 깊숙이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너트(60)가 외부 케이스(30)의 전단 외측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후단이 상기 센서장착홀이 형성되는 상기 상부 문틀의 외측면에 걸리기 때문이다.
스토퍼(50)는 내삽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에 걸리고, 자동문의 문틀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홀에 내삽되면서, 전단이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한다.
이 경우, 외부 케이스(30)는 상기 걸림홀(36)의 전방에 형성되어, 외삽되는 상기 스토퍼(50)의 후단이 걸리는 제3단턱(4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제3단턱(42)은 상기 걸림홀(36)의 전방에 형성되어, 외삽되는 상기 스토퍼(50)의 후단이 걸리게 한다.
제3단턱(42)은 제2단턱(38)이 돌출 형성되는 반대 방향인, 외부 케이스(3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외부 케이스(30)에 외삽되는 스토퍼(50)의 후단면이 맞닿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50)는, 전단 외측 테두리에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편(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퍼(50)는 외부 케이스(30)에 외삽되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전단에 다수의 탄성편(52)이 경사지게 부착된다.
스토퍼(50)가 상기 센서장착홀에 삽입되면, 탄성편(52)이 상기 몸체의 중심부 방향으로 탄성편(52)의 후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해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2: 리드선 4: 센서
10: 내부 케이스 14: 제1충진홀
16: 제1단턱 18: 걸림돌기
22: 리드선 고정구 30: 외부 케이스
32: 렌즈 34: 제2충진홀
38: 제2단턱 50: 나사부
52: 탄성편 60: 너트

Claims (6)

  1. 삭제
  2. 후방에 리드선(2)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상기 리드선(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내측 전방에 위치하는 센서(4)의 후방을 충진하는 내부 케이스(10); 및
    일측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내부 케이스(10)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후단 외측을 고정하는 외부 케이스(30);를 포함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부 케이스(10a, 10b)로 분리가능한 상기 내부 케이스(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는 제1충진홀(14)을 포함하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3. 후방에 리드선(2)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상기 리드선(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내측 전방에 위치하는 센서(4)의 후방을 충진하는 내부 케이스(10); 및
    일측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내부 케이스(10)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후단 외측을 고정하는 외부 케이스(30);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케이스(10)는, 후방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삽하는 상기 리드선(2)의 일단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드선 고정구(22)를 더 포함하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내측 전방에 렌즈(32)가 고정되게 장착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는, 일측에 상기 제1충진홀(14)과 연통 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는 제2충진홀(34);을 포함하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5. 후방에 리드선(2)이 장착되고, 전방 내측을 통해 외부 센싱을 하도록 상기 리드선(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센서부를 장착하고, 일측이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내측 전방에 위치하는 센서(4)의 후방을 충진하는 내부 케이스(10); 및
    일측이 상기 방수 충진물을 유입 받아 상기 내부 케이스(10)로 전달하고, 후단이 내삽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0)의 후단 외측을 고정하는 외부 케이스(30);를 포함하되,
    내삽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후단에 걸리고, 자동문의 문틀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홀에 내삽되면서, 전단이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50); 및 상기 외부 케이스(30)의 전단 외측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후단이 상기 문틀의 외측면에 걸리는 너트(60);를 더 포함하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는, 전단 외측 테두리에 상기 센서장착홀의 내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편(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KR2020100001174U 2010-02-02 2010-02-02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KR200460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74U KR200460274Y1 (ko) 2010-02-02 2010-02-02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74U KR200460274Y1 (ko) 2010-02-02 2010-02-02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75U KR20110007875U (ko) 2011-08-10
KR200460274Y1 true KR200460274Y1 (ko) 2012-05-10

Family

ID=4559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174U KR200460274Y1 (ko) 2010-02-02 2010-02-02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27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380A (ja) * 1994-11-01 1996-05-21 Ngk Spark Plug Co Ltd ガソリン機関の二次電圧検出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11116B1 (ko) * 1988-09-10 1997-07-07 가부시키기이샤 아이센스 광전센서
KR200440347Y1 (ko) 2007-05-18 2008-06-09 양성모 적외선 송광부와 수광부가 일체화된 자동문 안전센서장치
JP2009200987A (ja) 2008-02-25 2009-09-03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116B1 (ko) * 1988-09-10 1997-07-07 가부시키기이샤 아이센스 광전센서
JPH08128380A (ja) * 1994-11-01 1996-05-21 Ngk Spark Plug Co Ltd ガソリン機関の二次電圧検出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40347Y1 (ko) 2007-05-18 2008-06-09 양성모 적외선 송광부와 수광부가 일체화된 자동문 안전센서장치
JP2009200987A (ja) 2008-02-25 2009-09-03 Kyocera Corp 撮像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75U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2199B1 (en) Waterproof socket
BRPI0613196B1 (pt) porta de refrigerador
US20070214556A1 (en) Slow closure mechanism for toilet covers
BR102012018646A2 (pt) tomada equipada com dois obturadores
CN107048778A (zh) 用于使家具拉出件与引导单元能够松开地连接的装置
CN105813868A (zh) 安装用于车辆通气孔的翼状旋钮的结构
KR101249495B1 (ko)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CN105534459A (zh) 一种用于水槽式清洁设备的门板系统
KR200460274Y1 (ko) 자동문 센서헤드의 방수 케이스 구조
CN105105645A (zh) 家用电器开盖及保温盖防漏装结构和家用电器
US20070089972A1 (en) Button assembly of dishwasher
ES2363183T3 (es) Fijación deslizable para el panel estético de una puerta de lavavajillas.
CN211459437U (zh) 一种抽屉滑轨前端限位安装机构
CN104266442A (zh) 冰箱的门体和双开门冰箱
US11458432B2 (en) Rechargeable dehumidifier
CN104567185B (zh) 冰箱
CN205876012U (zh) 嵌入式吊门无轮阻尼器
CN108935359A (zh) 钓鱼用渔线轮的计数器盒
CN209592428U (zh) 一种无边框开关插座
KR200486939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미닫이 도어 손잡이
US20030198706A1 (en) Ice-cream disher
JP6113050B2 (ja) ドア
CN204427686U (zh) 一种豆浆机
KR100512725B1 (ko)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CN210801759U (zh) 一种左右通用的一体式冰箱闭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