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96Y1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96Y1
KR200460096Y1 KR2020100010254U KR20100010254U KR200460096Y1 KR 200460096 Y1 KR200460096 Y1 KR 200460096Y1 KR 2020100010254 U KR2020100010254 U KR 2020100010254U KR 20100010254 U KR20100010254 U KR 20100010254U KR 200460096 Y1 KR200460096 Y1 KR 200460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oint
thermal overload
terminal
overload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568U (ko
Inventor
조현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96Y1/ko
Priority to CN201110289010.8A priority patent/CN102436987B/zh
Publication of KR20120002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2Electrothermal relays wherein the thermally-sensitive member is heated indirectly, e.g. resistively, inductive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6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4Electrothermal relays wherein the thermally-sensitive member is only heated directly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접점과 제2접점을 포함하여 정상상태에서는 양 접점이 붙고 이상상태에서는 양 접점이 떨어져 회로를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상호 떨어지지 않도록 제2접점을 지지하는 단자 구속부를 구비함으로써, 제2접점의 벤딩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제2접점의 위치를 항상 유지시킴으로써 기기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제1접점과 제2접점이 떨어지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MALFUCTION AT THERMAL OVERROAD RELAY}
본 발명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동접점의 충분한 오버 트래블(Over Travel;OT)을 일정하게 확보함으로써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전자접촉기와 함께 전자개폐기를 구성하여 모터에 통전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이 되면 지정 시간 후에 회로를 트립(trip)하여 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기기이다.
도1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a는 정상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b는 트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정상상태에서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점(95)과 제2접점(96)이 서로 붙어있는 상태이지만,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결상이 발생되는 것과 같이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작동접점(제1접점 및 제2접점)이 서로 떨어지는 상태가 되어 회로를 차단시킨다.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상기와 같이 작동하므로 정상상태에서 접점의 접촉상태의 유지 및 이상상태에서의 접점의 접속상태 해제는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정상상태에서 접점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조 홀더(33)에 돌출부 형상(331)을 형성하여 제1접점(95)의 위치를 항상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제2접점(96)의 경우에는 제2접점이 위치하는 제2단자대가 벤딩각도가 기준보다 작아 오버 트래블(제1접점과 제2접점이 접촉하는 정도)이 과도하게 발생한 경우 정상상태시 양 접점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기에는 유리하지만, 트립시에 제1접점(95)이 제2접점(96)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지 못하여 오동작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제2접점(96)의 벤딩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제2접점(96)의 위치를 항상 유지시킴으로써 정상상태시 최적의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트립시에도 제1접점(95)이 제2접점(96)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2접점의 벤딩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제2접점의 위치를 항상 유지시킴으로써 정상상태시 최적의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트립시에도 제1접점이 제2접점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는, 제1접점과 제2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상상태에서는 양 접점이 붙고 이상상태에서는 양 접점이 떨어져 회로를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일정한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접점을 지지하는 단자 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는, 상기 단자 구속부가 상기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는, 상기 단자 구속부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을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는, 상기 단자 구속부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는, 상기 단자 구속부의 단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접점이 경사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에 따르면, 제2접점의 벤딩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제2접점의 위치를 항상 유지시킴으로써 정상상태시 최적의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트립시에도 제1접점으로부터 제2접점이 신속하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a는 정상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b는 트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구속부를 가진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 구속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 구속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4a는 정상상태시의 도면이고 도4b는 트립시의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원 내부의 도면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내부에서 단자 구속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서 제1접점(95)은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단자대(100)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단자대(100)는 제1접점(95) 외측의 단부가 보조 홀더(33)의 돌출부 형상(331)에 삽입되고 이상발생시 보조 홀더(33)와 일체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후술하는 제2접점(96)과의 접촉상태에서 해제된다.
제2접점(96)은 제1단자대(100)와 마주보는 제2단자대(200)의 단부에 위치하고 정상상태시에는 제1접점(95)과 접촉상태에 있으며 제2단자대(200)는 정상상태나 이상상태에 무관하게 고정된다.
또한 단자 구속부(8)는 커버(10)에 형성되고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제1접점(95)과 제2접점(96)이 일정한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접점(96)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단자 구속부(8)를 커버에 형성함으로써, 제2접점(96)의 벤딩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제2접점(96)의 위치를 항상 유지시킴으로써 정상상태시 최적의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트립시에도 제1접점(95)과 제2접점(96)이 신속하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자 구속부(8)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96)을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자 구속부(8)는 상기 제2접점(96)을 상기 제1접점(95)의 반대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간단한 형상을 이용하여 제2접점(96)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단자 구속부(8)는 상기 제2접점(96)을 하방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접점(96)이 위치하는 제2단자대(200)를 접촉 가압하여 지지하여도 좋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2단자대(200)를 지지하여도 좋다.
또한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구속부(8)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96)이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구속부(8)의 슬릿 형상 내부에 제2단자대(200)가 위치하게 되므로 제2접점(96)을 더욱 정확한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 단자 구속부(8)는 상기 제2접점(96)을 하방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접점(96)이 위치하는 제2단자대(200)를 접촉 가압하여 지지하여도 좋고 상기 제2단자대(200)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하여도 좋다.
또한 도3c 및 도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구속부(8)는 단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접점(96)이 경사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단자 구속부(8)의 형성 위치와 제2단자대(200)의 위치가 약간 어긋나는 경우에도 제2단자대(200)가 경사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안정적으로 단자 구속부(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단자 구속부(8)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커버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케이스 부분에 형성되어 제2단자대(200)를 지지하는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 구속부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 구속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4a는 정상상태시의 도면이고 도4b는 트립시의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정상상태시에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자대(100)가 보조 홀더(33)에 돌출부 형상(331)에 지지되고 제2단자대(200)가 단자 구속부(8)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면에서 상기 제2단자대(200)는 단자 구속부(8)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지만 접촉상태여도 무방하다.
이상이 발생하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트립상태가 되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홀더(33)가 화살표 방향(A)으로 상승하고 이에 따라 제1단자대(100)가 일체로 상승하여 제1접점(95)과 제2접점의 접촉상태(96)가 해제된다.
이 때 제2단자대(200)가 자체 탄성에 의해 상승하는 방향(B)으로 힘을 받더라도 단자 구속부(8)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므로 접점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2접점의 벤딩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제2접점의 위치를 항상 유지시킴으로써 정상상태시 최적의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트립시에도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신속하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8 : 단자 구속부 33 : 보조 홀더
95 : 제1접점 96 : 제2접점
100 : 제1단자대 200 : 제2단자대
331 : 돌출부 형상

Claims (5)

  1. 제1접점과 제2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상상태에서는 양 접점이 붙고 이상상태에서는 양 접점이 떨어져 회로를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일정한 오버 트래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접점을 지지하는 단자 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구속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을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구속부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이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구속부는 단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접점이 경사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KR2020100010254U 2010-10-05 2010-10-05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KR200460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54U KR200460096Y1 (ko) 2010-10-05 2010-10-05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CN201110289010.8A CN102436987B (zh) 2010-10-05 2011-09-26 热过载继电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54U KR200460096Y1 (ko) 2010-10-05 2010-10-05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68U KR20120002568U (ko) 2012-04-16
KR200460096Y1 true KR200460096Y1 (ko) 2012-05-04

Family

ID=4598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54U KR200460096Y1 (ko) 2010-10-05 2010-10-05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0096Y1 (ko)
CN (1) CN1024369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405A (ko) * 2015-03-24 2016-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643U (ko) * 1998-06-29 2000-01-2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고정장치
KR100400779B1 (ko) 2001-11-12 2003-10-08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
KR200385587Y1 (ko) 2005-03-18 2005-05-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용 고감도 반전기구
KR200411508Y1 (ko) 2005-12-28 2006-03-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3315A (ja) * 1983-04-30 1984-11-17 松下電工株式会社 両切型接点開閉装置
KR200218834Y1 (ko) * 2000-10-13 2001-04-02 엘지산전주식회사 결상 보호용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와 레버 구조
KR100425193B1 (ko) * 2001-12-10 2004-03-30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험버튼장치
KR20040042627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산전 주식회사 소형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4906881B2 (ja) * 2009-03-27 2012-03-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熱動形過負荷継電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643U (ko) * 1998-06-29 2000-01-2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고정장치
KR100400779B1 (ko) 2001-11-12 2003-10-08 엘지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구조
KR200385587Y1 (ko) 2005-03-18 2005-05-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용 고감도 반전기구
KR200411508Y1 (ko) 2005-12-28 2006-03-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68U (ko) 2012-04-16
CN102436987B (zh) 2015-07-08
CN102436987A (zh)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3122B2 (en) Temperature-sensitive pellet type thermal fuse
US7345569B2 (en) Temperature sensitive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s
US9552949B2 (en) Circuit breaker and adapter for a circuit breaker
JP6419515B2 (ja) 直流遮断器
EP2871658B1 (en) Circuit breaker
US20140104730A1 (en) Motor protector
US20080289938A1 (en) Reduced material plug-on jaw with symmetrical spring for a circuit breaker
KR20046009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오동작 방지 구조
KR100983686B1 (ko) 전자접촉기
US9711313B2 (en) Instant trip apparatus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2209352A (en) Automatic circuit breaker
RU2461906C1 (ru) Миниатюрный защит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US11501936B2 (en) Temperature switch
KR20120004922U (ko) 배선용 차단기의 바이메탈 조립체
US3555479A (en) Circuit breaker construction
US9362076B2 (en)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ing a stair type hanger
US9761400B2 (en)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KR100510714B1 (ko) 차단기의 트립기구부 구조
KR101252409B1 (ko) 히터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US2767281A (en) Thermal over-current circuit-breaker
KR200466276Y1 (ko) 회로 차단기의 트립 장치
JP7390791B2 (ja) リレー
KR101669906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20160122354A (ko) 래치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차단기
KR101794173B1 (ko) 회로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