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980Y1 -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 Google Patents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980Y1
KR200459980Y1 KR2020110011429U KR20110011429U KR200459980Y1 KR 200459980 Y1 KR200459980 Y1 KR 200459980Y1 KR 2020110011429 U KR2020110011429 U KR 2020110011429U KR 20110011429 U KR20110011429 U KR 20110011429U KR 200459980 Y1 KR200459980 Y1 KR 200459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rrier
heat
heat trac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안
Original Assignee
김지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안 filed Critical 김지안
Priority to KR2020110011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내 유체의 온도유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히트 트레이싱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인 도모하기 위한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에 관한 것인 바, 요입부(2,2')와 돌출부(3,3')가 반복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되고 띠(帶) 형상으로 되어 캐리어(1,1') 양단의 요입부(2,2')와 돌출부(3,3')를 포개어 결합함으로써 파이프(P) 외면에 둘러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상기 캐리어(1)의 요입부(2,2')를 통해 전열 발열체(5,5')를 파이프(P) 외면에 배치, 고정시킬 수 있게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HEAT TRACING CARRIER}
본 고안은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내 유체의 온도유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히트 트레이싱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인 도모하기 위한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오일, 가스, 물 등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를 파이프, 도관 등(이하, 파이프로 통칭 함.)을 통해 운반할 때 여러 조건에 따라서 파이프 내의 유체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형태의 전열 발열체(Heat Trace)를 파이프 외면에 설치하여 내부의 유체를 가열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열 발열체를 설치한 파이프 또는 전열 발열체의 주위를 단열자켓으로 둘러쌓음으로써 주위로의 열손실을 감소시킨다.
케이블 형태의 전열 발열체는 비용이 적게 들고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파이프를 가열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거나 파이프 주위에 감싸여진 후 밴드나 리테이닝 스트랩 등의 고정구에 의해 일정 간격마다 고정되는 것으로,(히트 트레이싱은 히트의 종류에 따라 직렬회로 히터, 병렬회로 히터, 무한 병렬회로 등의 전열 발열체가 설치된다.)
상기 전열 발열체를 파이프 주위에 고정하는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전열 발열체에 관해서는 참고문헌 1,2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참고문헌1,2에 이와 관련된 여러 기술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4467호, 2009.05.29.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5855호, 2011.09.27.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히트 트레이싱은 파이프 또는 탱크 내 유체의 고유특성(점성, 빙점 등)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온도)을 최대한 억제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주위에 전열 발열체를 설치하는 작업을 일컫는 것으로 파이프 주위에 전열 발열체를 고정, 설치하는 히트 틀이싱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또 전열 발열체를 파이프 주위에 고정시키고 필요에 따라 단열자켓을 설치하는 것으로, 단열자켓의 설치작업 과정에서 (파이프 주위에 고정시킨 전열 발열체를 보호하는 수단이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파이프 주위에 고정시킨 전열 발열체의 고정상태를 훼손하거나 단열자켓을 파이프 주위에 감아 설치하는 작업성이 불량한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 주위에 전열 발열체를 더욱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게 하며 이와 더불어 전열 발열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보호하면서 히트 트레이싱 작업을 할 수 있는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파이프 주위에 고정되는 전열 발열체의 설치작업 용이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고 단열자켓의 설치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파이프 주위에 고정시킨 전열 발열체를 보호하면서 단열자켓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요입부와 돌출부가 반복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되고 띠(帶) 형상으로 되어 캐리어 양단의 요입부와 돌출부를 포개어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외면에 둘러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캐리어의 요입부를 통해 전열 발열체를 파이프 외면에 배치, 고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파이프 주위에 전열 발열체를 설치하는 히트 트레이싱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히트 트레이싱 작업의 용이성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전열 발열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히트 트레이싱 설치작업 후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단열자켓의 설치작업 역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5a 및 도 6, 6a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본 고안은 히트 트레이싱 작업에 있어서 파이프 주위에 전열 발열체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전열 발열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며, 단열자켓의 설치시에는 단열자켓의 설치작업을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전열 발열체를 파이프 외면에 설치하기 위한 캐리어는 요입부와 돌출부가 반복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되고 또 파이프 외면에 둘러 감아서 결합할 수 있도록 띠(帶) 형상으로 구성하여 파이프의 직경(외경)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규격으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파이프의 직경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교대로 형성된 요입부와 돌출부를 통해 전열 발열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전열 발열체를 고정시킨 요철부에는 보호커버를 결합하여 요철부를 통해 파이프 외면에 배치, 고정되는 전열 발열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돌출부에는 경우에 따라서 파이프의 단열 목적 등으로 단열자켓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리벳팅 등으로 단열자켓을 결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캐리어(1,1')는 주로 비철금속 등의 재질로서 요입부(2,2')와 돌출부(3,3')가 반복 형성된 요철 형상으로 구성하고 또 파이프(P) 외면에 둘러 감아 결합할 수 있도록 띠(帶) 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띠 형상으로 되고 요철로 이루어진 캐리어(1,1')는 파이프(P)의 직경(외경)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규격으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캐리어(1,1') 양단을 당기면 다소의 신축성이 발휘되므로 파이프(P)의 직경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교대로 형성된 요입부(2,2')와 돌출부(3,3')는 도시한 예와 같이 캐리어(1,1') 양단 요입부(2,2')와 돌출부(3,3')를 포개어 결합함으로써 캐리어(1,1')를 파이프(P) 외면에 결합한다.
한편 상기 캐리어(1,1')는 연결방법을 달리할 수 있는 바, 도 5, 5a 및 도 6, 6a와 같이 캐리어(1,1') 양 끝단을 연결프레임(6)으로 연결하거나 연결스프링핀(7)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 5a와 같이 양단에 걸이부(61,61')를 형성한 연결프레임(6)을 구성하여 캐리어(1,1')의 양 끝단 돌출부(3,3')와 요입부(2,2')에 걸어서 결합하고 리벳, 스크류 등으로 고정하여 캐리어(1,1')를 파이프(P) 외면에 감아 설치할 수 있다.
또, 도 6, 6a와 같이 캐리어(1,1')의 양 끝단 요입부(2,2')와 돌출부(3,3')에 결합공(8,8')을 형성하고 여기에 스프링연결핀(7)을 결합하여 캐리어(1,1') 양 끝단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연결핀(7)은 압축스프링 양측에 걸이(71,71')를 형성하고 이를 캐리어(1,1') 양 끝단 요입부(2,2')와 돌출부(3,3')에 형성된 결합공(8,8')에 끼워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6)과 스프링연결핀(7)은 캐리어(1,1')의 가변적인 연결 간격(거리)에 대응함으로써 파이프(P)의 직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캐리어(1,1')를 감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P) 외면에 결합된 캐리어(1,1')는 파이프(P)의 길이 등에 따라서 도시한 예와 같이 임의의 간격으로 수개를 설치하고, 캐리어(1,1')의 요입부(2,2')를 통해 파이프(P) 외면으로 전열 발열체(5,5')를 결합한다.
상기 캐리어(1,1')는 띠 형상으로 파이프(P) 외면에 감아져 결합되므로 직관은 물론 곡관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1,1')를 설치한 파이프(P)에는 캐리어(1,1')의 요입부(2,2')를 통해 파이프(P)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전열 발열체(5,5')를 간편하게 배치하고 고정시킬 수 있어 이의 고정,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전열 발열체(5,5')는 통상과 같이 주로 케이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이프(P)의 길이방향으로 요입부(2,2')를 따라 배치하여 파이프(P)를 감싸도록 결합하고 밴드나 리테이닝 스트랩 등의 고정구로서 고정시킴으로써 이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 발열체(5,5')가 결합된 요입부(2,2')에는 보호커버(4,4')를 결합한다.
상기 보호커버(4,4')는 요입부(2,2') 내로 결합되면서 요입부(2,2')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요입부(2,2')에 결합되는 보호커버(4,4')는 도시한 예와 같이 요입부(2,2') 내로 끼워 결합되는 끼움부(41,41')를 형성하고 전열 발열체(5,5')를 덮는 커버부(42)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요입부(2,2')를 통해 파이프(P) 외면에 배치된 전열 발열체(5,5')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한다.
또 상기 커버부(42)는 이웃하는 돌출부(3,3')와 동일 높이를 갖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3,3')와 커버부(42)가 동일 원호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캐리어(1,1') 외측으로 설치하는 단열자켓(9)을 설치하는 데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다시 언급한다.
상기 보호커버(4,4')는 파이프(P)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전열 발열체(5,5')를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여 파이프(P) 외면에 설치한 캐리어(1,1')의 요입부(2,2')에 결합함으로써 파이프(P) 외면에 결합된 전열 발열체(5,5')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P) 외면에 캐리어(1,1')를 결합하여 캐리어(1,1')의 요입부(2,2')를 통해 전열 발열체(5,5')를 배치, 고정하고, 상기 요입부(2,2')에 보호커버(4,4')를 결합함으로써 전열 발열체(5,5')의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상기 전열 발열체(5,5')를 설치한 파이프(P) 외면에는 단열 등의 목적 등 경우에 따라서 단열자켓(9)을 결합할 수 있다.
단열자켓(9)은 캐리어(1,1')의 돌출부(3,3') 외면을 따라 둘러 감아서 결합하고 리벳팅 등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과정에서 보호커버(4,4')는 돌출부(3,3')와 동일 높이로 동일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단열자켓(9)을 둘러 감아 결합하는 데 지장을 주지 않으며, 또 리벳팅 등으로 단열자켓(9)을 고정시킬 때 캐리어(1,1')의 돌출부(3,3')는 물론 보호커버(4,4')의 커버부(42)를 이용하여 리벳팅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캐리어(1,1')를 이용하여 전열 발열체(5,5')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파이프(P)에 고정, 설치작업할 수 있으며, 또 보호커버(4,4')로서 파이프(P)에 배치, 고정시킨 전열 발열체(5,5')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1,1': 캐리어 2,2':돌출부
3,3':요입부 4,4':보호커버
5,5':전열 발열체(Heat Trace) 6:연결프레임
7:연결스프링핀 8,8':결합공
9:단열자켓

Claims (5)

  1.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요입부(2,2')와 돌출부(3,3')를 반복 형성한 요철(凹凸)의 띠(帶) 형상으로 캐리어(1,1')를 구성하여 양단의 요입부(2,2')와 돌출부(3,3')를 포개어 결합함으로써 파이프(P) 외면에 둘러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캐리어(1)의 요입부(2,2')를 통해 전열 발열체(5,5')를 파이프(P) 외면에 배치, 고정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전열 발열체(5,5')가 결합된 요입부(2,2')에는 전열 발열체(5,5')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커버(4,4')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4,4')는 캐리어(1,1')의 요입부(2,2')내로 끼워 결합되는 끼움부(41,41')와 전열 발열체(5,5')를 덮는 커버부(42)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1')의 양 끝단 돌출부(3,3')와 요입부(2,2')에 연결프레임(6)의 걸이부(61,61')를 걸어 결합함으로써 캐리어(1,1')를 파이프(P) 외면에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1')의 양단 요입부(2,2')와 돌출부(3,3')에 결합공(8,8')을 형성하고 여기에 스프링연결핀(7)의 양 끝단 걸이(71,71')를 걸어 결합함으로써 캐리어(1,1')를 파이프(P) 외면에 감아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5. 삭제
KR2020110011429U 2011-12-23 2011-12-23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KR200459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29U KR200459980Y1 (ko) 2011-12-23 2011-12-23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29U KR200459980Y1 (ko) 2011-12-23 2011-12-23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980Y1 true KR200459980Y1 (ko) 2012-04-25

Family

ID=4660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29U KR200459980Y1 (ko) 2011-12-23 2011-12-23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98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217U (ko) * 1978-04-22 1979-10-30
JP2001043958A (ja) * 1999-07-28 2001-02-16 Hitachi Hometec Ltd 温風用ヒータ
KR20050031904A (ko) * 2003-09-30 2005-04-06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배관의 단열보온 구조 및 단열보온 용구 키트
KR20090054467A (ko) * 2006-09-13 2009-05-29 와틀로 일렉트릭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모듈방식 히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217U (ko) * 1978-04-22 1979-10-30
JP2001043958A (ja) * 1999-07-28 2001-02-16 Hitachi Hometec Ltd 温風用ヒータ
KR20050031904A (ko) * 2003-09-30 2005-04-06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배관의 단열보온 구조 및 단열보온 용구 키트
KR20090054467A (ko) * 2006-09-13 2009-05-29 와틀로 일렉트릭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모듈방식 히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871B2 (en) Subsea pipe-in-pipe structures
US8777655B2 (en) Wire power cord retainer
JP5306479B2 (ja) モジュール式ヒータシステム
ES2791988T3 (es) Conducto calefactable para fluidos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KR101068361B1 (ko) 유체 이송관 가열장치
US20160121822A1 (en) Harness clip and system for clipping wiring harness
JP6764275B2 (ja) 加熱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70350618A1 (en) Heat Source Apparatus
EP2703702B1 (en) Piggy back holdback clamp
KR200459980Y1 (ko) 히트 트레이싱 캐리어
CN110024481A (zh) 电磁感应加热装置
US11940077B2 (en) Extended direct electric heating system
US20150097089A1 (en) Wire harness mounting assembly
KR200460483Y1 (ko) 퍼스날 프로텍션 커버
KR101512589B1 (ko)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US9989189B1 (en) Straps for pipe insulation
KR101077497B1 (ko) 열선 내장형 동파방지장치
CN106662285A (zh) 流体管线
WO2016052156A1 (ja) 断熱配管
RU2431031C1 (ru) Пояс крепления и защиты кабеля
RU104000U1 (ru)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тель
CN205424249U (zh) 可电加热的介质管道
KR101340630B1 (ko) 보온 시공용 선박 파이프 플랜지 매트
KR200465230Y1 (ko) 싸개형 히터의 클램프
KR102466207B1 (ko) 순간온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