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19Y1 -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19Y1
KR200459719Y1 KR2020090012185U KR20090012185U KR200459719Y1 KR 200459719 Y1 KR200459719 Y1 KR 200459719Y1 KR 2020090012185 U KR2020090012185 U KR 2020090012185U KR 20090012185 U KR20090012185 U KR 20090012185U KR 200459719 Y1 KR200459719 Y1 KR 200459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haft
diaphragm
protrusion
reducing valv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927U (ko
Inventor
심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to KR2020090012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1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상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으로 연통구를 형성시키는 격벽; 상기 연통구에서 승하강 작동되어 유압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승강축; 상기 승강축의 하측에 지지 배치되어 상기 승강축을 탄성 지지시키는 지지스프링; 및 상기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을 탄력 지지시키는 디스크, 다이어프램 및 브라켓이 적층 결합된 다이어프램 어세이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 어세이는 상기 디스크와 상기 브라켓이 초음파 융착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밸브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다이어프램 어세이의 초음파 융착 결합을 통해 종래의 너트 조립방식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배제하면서 제품의 조립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감압밸브 {PRESSURE REDUCING VALVE}
본 고안은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감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용 감압 장치는 제품 내부의 부품들을 유입되는 고압의 원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바, 고압의 원수에 의해 부품들에 전달되는 압력을 적절하게 낮추게 된다.
이와 같은 감압 장치의 일 예로 정수기 내로 공급되는 유체를 일정압력으로 유지시키는 감압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의 일측에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10a)와, 그 대향 측에 상기 유입구(10a)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10b)를 각각 형성시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유입구(10a)와 토출구(10b)의 사이에는 격벽(11)이 형성되며, 이 격벽(11)에는 연통공(11a)이 형성된다.
이 연통공(11a)의 내에는 유체가 유통될 수 있도록 직경이 작은 승강축(12)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12)에는 상승시에는 상기 연통공(11a)을 폐쇄하고 하강시에는 상기 연통공(11a)을 개방하여 유체의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제어하는 패킹(13)이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축(12)의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4)이 개재되도록 하부캡(15)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상측에는 커버(16)가 체결되고, 상기 커버(16)의 내측에는 승강축(12)의 상측에 디스크(17a), 다이어프램(17b) 및 브라켓(17c)이 순차적으로 너트(17d)로 조립된 다이어프램 어세이(17)가 위치되며, 상기 브라켓(17c)의 상측에는 탄성스프링(18)이 위치되며, 상기 커버(16)의 상측에는 상부캡(19)이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압의 원수가 유입구(10a)를 통해 유입되어 다이어프램 어세이(17)를 상부로 밀면 상기 브라켓(17c) 상단부에 장착된 탄성스프링(18)은 압축이 되고, 승강축(12)의 하단부에 장착된 지지스프링(14)은 인장되면서 상기 승강축(12)을 움직여 유로의 면적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고압의 원수가 유입구(10a)를 통해 감압밸브 내로 유입되면 상기 고압의 원수가 다이어프램 어세이(17)를 많이 들어올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승강축(12)도 위쪽으로 많이 움직이게 되면서 유로가 상당히 좁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저압의 원수가 유입구(10a)를 통해 감압밸브 내로 유입되면 상기 저압의 원수가 다이어프램 어세이(17)를 적게 들어올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승강축(12)도 위쪽으로 적게 움직이게 되면서 유로는 고압의 원수가 유입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좁아져서 고압이든 저압이든 유입되는 원수가 일정한 압력범위로 감압이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용 감압 밸브의 다이어프램 어세이(17)는 디스크(17a)와 다이어프램(17b) 및 브라켓(17c)을 조립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너트(17d)로 조립하고 풀림 방지를 위하여 풀림 방지용 본드를 체결된 나사산부에 도포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축(12)의 승하강에 따른 안정적 작동을 위한 별도의 지지 수단이 필요하고, 바디(10)와 함께 조립함으로써 취급에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이어프램 어세이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승강축에 대한 간단한 지지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감압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감압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2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토출구(120)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으로 연통구(130)를 형성시키는 격벽(140); 상기 연통구(130)에서 승하강 작동되어 유압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승강축(200); 상기 승강축(200)의 하측에 지지 배치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성 지지시키는 지지스프링(800); 및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력 지지시키는 디스크(610), 다이어프램(620) 및 브라켓(630)이 적층 결합된 다이어프램 어세이(600)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 어세이(600)는 상기 디스크(610)와 상기 브라켓(630)이 초음파 융착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바디(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스프링(800)이 안착되는 하부캡(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300)에는 상기 지지스프링(800)의 중심으로 상향 돌출되는 안내 돌기(31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축(200)에는 상기 하부캡(300)의 안내돌 기(310)와 암수 결합되는 안내홈(2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축(200)의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210)과 연통되도록 절개된 에어빼기홈(2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610)에는,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중심(621)으로 상향 관통되는 삽입돌기(611)와, 이 삽입돌기(611)의 단부에 용융 체결 가능한 제1용융돌기(6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630)에는, 상기 삽입돌기(611)가 삽입되는 삽입홈(631)과, 이 삽입홈(631)의 중심에 용융 체결 가능한 제2용융돌기(6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610)에는 상기 삽입돌기(611)의 주변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저면에 압착되는 제1원형돌기(6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630)에는 상기 삽입홈(631)의 주변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상면에 압착되는 제2원형돌기(6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에 의하면, 다이어프램 어세이의 초음파 융착 결합을 통해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축과 하부캡의 간단한 압입구조를 통해 승강축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밸브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감압밸브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승강축과 하부캡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다이어프램 어세이의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도 3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감압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20)가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토출구(120)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으로 연통구(130)를 형성시키는 격벽(140)과,
상기 연통구(130)에서 승하강 작동되어 유압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승강축(200)과,
상기 승강축(200)의 하측에 지지 배치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성 지지시키는 지지스프링(800)과,
상기 바디(100)의 하측에 O링(900)이 조합 배치되어 상기 지지스프링(800)이 안착되는 하부캡(300)과,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력 지지시키는 디스크(610), 다이어프램(620) 및 브라켓(630)이 적층 결합된 다이어프램 어세이(600)와,
상기 다이어프램 어세이(6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700)과,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400) 및
상기 커버(400)의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스프링(700)을 지지시키는 상부캡(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축(200)은 외측면이 삼각 형상으로 일부 연장되어 이 연장부의 하부가 상기 지지스프링(800)의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탄성 지지되며, 이 연장부의 상부 경사면을 통해 상기 연통구(13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 상기 하부캡(3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스프링(800)의 중심으로 상향 돌출되는 안내 돌기(31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축(200)에는 상기 하부캡(300)의 안내돌기(310)와 암수 결합되는 안내홈(21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축(200)이 상하로 작동시 상기 바디(100)의 연공통(130) 중심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축(200)의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210)과 연통되도록 절개 된 에어빼기홈(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승강축(200)이 상하로 작동시 상기 안내홈(210)에 에어 또는 유체의 압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다이어프램 어세이(600)의 디스크(610)에는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중심(621)으로 상향 관통되는 삽입돌기(611)와, 이 삽입돌기(611)의 단부에 용융 체결 가능한 제1용융돌기(61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브라켓(630)에는 상기 삽입돌기(611)가 삽입되는 삽입홈(631)과, 이 삽입홈(631)의 중심에 용융 체결 가능한 제2용융돌기(633)가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 어세이(600)는 상기 디스크(610)와 상기 브라켓(630)이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제1,2용융돌기(613)(633)가 각각 용융되어 삽입돌기(611)와 삽입홈(631)이 융착 결합됨으로써 일체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크(610)에는 상기 삽입돌기(611)의 주변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저면에 압착되는 제1원형돌기(6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630)에는 상기 삽입홈(631)의 주변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상면에 압착되는 제2원형돌기(63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어프램(620)을 사이에 두고 초음파 용착시 압축되는 힘으로 탄성을 갖고 있는 상기 다이어프램(620)을 상기 디스크(610)의 제1원형돌기(612)와 상기 브라켓(630)의 제2원형돌기(632)가 누르게 되어 유입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용 감압밸브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감압밸브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승강축과 하부캡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다이어프램 어세이의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도 3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Claims (8)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2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토출구(120)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으로 연통구(130)를 형성시키는 격벽(140);
    상기 연통구(130)에서 승하강 작동되어 유압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승강축(200);
    상기 승강축(200)의 하측에 지지 배치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성 지지시키는 지지스프링(800);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력 지지시키는 디스크(610), 다이어프램(620) 및 브라켓(630)이 적층 결합된 다이어프램 어세이(600); 및
    상기 바디(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스프링(800)이 안착되는 하부캡(30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캡(300)에는 상기 지지스프링(800)의 중심으로 상향 돌출되는 안내 돌기(31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축(200)에는 상기 하부캡(300)의 안내돌기(310)와 암수 결합되는 안내홈(210)이 구비되되, 상기 승강축(200)의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210)과 연통되도록 절개된 에어빼기홈(2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감압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2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내측에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토출구(120)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으로 연통구(130)를 형성시키는 격벽(140);
    상기 연통구(130)에서 승하강 작동되어 유압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승강축(200);
    상기 승강축(200)의 하측에 지지 배치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성 지지시키는 지지스프링(800); 및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200)을 탄력 지지시키는 디스크(610), 다이어프램(620) 및 브라켓(630)이 적층 결합된 다이어프램 어세이(600)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610)에는,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중심(621)으로 상향 관통되는 삽입돌기(611)와, 이 삽입돌기(611)의 단부에 용융 체결 가능한 제1용융돌기(613)와, 상기 삽입돌기(611)의 주변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저면에 압착되는 제1원형돌기(6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630)에는,
    상기 삽입돌기(611)가 삽입되는 삽입홈(631)과, 이 삽입홈(631)의 중심에 용융 체결 가능한 제2용융돌기(6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630)에는
    상기 삽입홈(631)의 주변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이어프램(620)의 상면에 압착되는 제2원형돌기(6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KR2020090012185U 2009-09-16 2009-09-16 감압밸브 KR200459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85U KR200459719Y1 (ko) 2009-09-16 2009-09-16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85U KR200459719Y1 (ko) 2009-09-16 2009-09-16 감압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27U KR20110002927U (ko) 2011-03-23
KR200459719Y1 true KR200459719Y1 (ko) 2012-04-12

Family

ID=4420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185U KR200459719Y1 (ko) 2009-09-16 2009-09-16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78B1 (ko) * 2011-12-16 2013-11-01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가스버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13U (ja) * 1992-11-25 1994-06-28 株式会社東芝 減圧弁
JPH09329253A (ja) * 1996-06-11 1997-12-22 Hitachi Ltd リリーフバルブ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250705Y1 (ko) * 2001-07-25 2001-10-19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정수기용 감압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013U (ja) * 1992-11-25 1994-06-28 株式会社東芝 減圧弁
JPH09329253A (ja) * 1996-06-11 1997-12-22 Hitachi Ltd リリーフバルブ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250705Y1 (ko) * 2001-07-25 2001-10-19 유일시스템 주식회사 정수기용 감압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27U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5848B2 (ja) 高圧ポンプ
CN1143068C (zh) 用于集尘器的阀
US10047870B2 (en) One way valve assembly
CN102348916A (zh) 压力动作控制阀
CN101405528A (zh) 具有弹性隔膜的阀
CN201443117U (zh) 一种活塞式冲洗阀
CN201531661U (zh) 恒流阀
KR200459719Y1 (ko) 감압밸브
JP3947392B2 (ja) リリーフバルブ
CN201049270Y (zh) 气动自动排水阀
KR101138956B1 (ko) 감압밸브
CN202612750U (zh) 液化石油气瓶减压阀
CN202109046U (zh) 带限压装置的安全阀
CN218266549U (zh) 一种盖帽式空气呼吸器
CN208236612U (zh) 改进的双筒手拉气筒外壳
CN101713446A (zh) 用于阻尼器的位于阻尼器的下部室和补偿室之间的阀组件
CN102125706A (zh) 一种血液透析用自复位减压阀
KR200449604Y1 (ko) 솔레노이드가 측면에 구비된 개폐밸브
CN217898157U (zh) 一种密封胶塞
CN218152376U (zh) 一种降压快速启动的电磁阀装置
KR100473850B1 (ko) 정수기용 감압 밸브 어셈블리
CN216447490U (zh) 一种包含真空破坏器的减压阀
CN103982703A (zh) 一种自动排气阀
CN207406860U (zh) 减压阀
CN203979602U (zh) 一种自动排气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