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60Y1 -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 Google Patents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560Y1
KR200459560Y1 KR2020100005903U KR20100005903U KR200459560Y1 KR 200459560 Y1 KR200459560 Y1 KR 200459560Y1 KR 2020100005903 U KR2020100005903 U KR 2020100005903U KR 20100005903 U KR20100005903 U KR 20100005903U KR 200459560 Y1 KR200459560 Y1 KR 200459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frame
grid
functional length
assembly structure
lengt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485U (ko
Inventor
차기철
이정제
우재민
안미선
Original Assignee
고려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조경(주) filed Critical 고려조경(주)
Priority to KR2020100005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60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8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및 조형미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 구조물로서, 간단한 구조의 프레임에 목재 등으로 제작되는 기능성 부재를 조립하여 펜스, 벤치, 파고라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간단한 구조 및 우수한 시공성을 가지면서 다양하게 시공이 가능한(즉, 동종의 부재로 다양한 확장성을 가지는) 그리드(grid) 타입의 프레임에 자연미를 느끼게 하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 기능성 길이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쉼터의 기능, 앉거나 공간을 구분하는 등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생활공간과 자연이 조화된 환경친화적인 조형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일관된 동종의 구성요소인 그리드 타입의 프레임을 기본 골조로 하여 목재 등의 기능성 길이부재를 조립하여 시공되므로, 파고라, 벤치, 펜스, 또는 이들이 조합된 구조물 등 여러 형태 및 용도의 구조물들이 하나의 공간 내에 시공되어 배치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일관되고 일체감을 가지는 조화된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Grid frame type assembled structure}
본 발명은 기능성 및 조형미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 구조물로서, 간단한 구조의 프레임에 목재 등으로 제작되는 기능성 부재를 조립하여 펜스, 벤치, 파고라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친화적인 주거생활공간 및 상업문화공간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도시의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또한 먹고 사는 것에 급급했던 시대를 벗어나게 되면서, 이제는 잘 먹고 잘 사는 것에 보다 신경을 쓰고 관심을 가지는 시대가 되고 있다.
또한 도시에 사는 사람들에게 자연에 대한 갈망이 생겨나게 되고, 무엇보다 도심 속 회색공간이었던 아파트나 상업건물에 녹색의 공간을 만들려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는 바, 조형물과 조경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예컨대, 아파트 단지에 시공되는 벤치(bench)나 파고라(pergola), 펜스 (fence) 등에 조형미를 부가하여,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미적 아름다움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파고라의 예를 들면, 이는 일종의 쉼터로 제공되는 구조물로서, 어원은 프랑스의 페르고라(pergola)에서 찾을 수 있고, 우리 말로는 그늘 시렁, 등나무대 등으로 부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옥외 구조물이다. 일례로는 학교 운동장 한 켠에 넝쿨로 덮혀 있는 벤치가 있는 공간의 구조물을 들 수 있다.
통상 파고라는 건물의 뜰이나 편평한 지붕 위에 나무를 세로와 가로로 얽어 세워서 등나무나 담쟁이, 덩굴장미 따위의 덩굴성 식물을 올려 그늘을 만든 서양식의 정자, 테라스, 산책길 또는 그 시렁 구조물로 알려져 있으나, 넓게는 뜰, 정원, 길 등의 특정 위치에 상관없이 장식 역할과 더불어 차양, 쉼터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반영구 시설물을 포함한다.
최근 천연목이나 천연식물뿐만 아니라 철이나 금속 합금, 인조목, 합성수지, 콘크리트 등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시공된 파고라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단지에 주민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쉼터로 다수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파고라는 옥외에서 쉼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라면 구조나 재료, 기능, 지붕의 유무 등에 있어서 특정하게 한정되어 시공 및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지금까지 시공된 파고라, 벤치, 펜스 등은 설치공간에서 차양 및 비를 피할 수 있는 쉼터, 또는 앉거나 공간을 구분하는 등의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고, 자연이 조화된 아름다움을 제공하기 위한 시설물로는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파고라 등을 조형미를 가지는 시설물로 시공하는 예가 있으나, 이는 미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자연미보다는 인공적인 아름다움만을 강조한 시설물로 시공되고 있을 뿐, 생활공간과 자연이 조화된 구조물로 시공되고 있지는 못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구조나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 및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 측면에서도 과다한 시공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고라, 벤치, 펜스 등이 하나의 생활공간, 거주공간, 상업공간, 문화공간 내에 시공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각각 별도의 조형 개념이 적용되어 시공되고 있으므로 이들 시설물이 전체적으로 조화롭고 일관된 조형미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 및 우수한 시공성을 가지면서 동종의 부재로 다양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쉼터의 기능, 앉거나 공간을 구분하는 등의 기능성과 더불어 생활공간과 자연이 조화된 환경친화적인 조형미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나 구성이 단순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비용이 저렴한 이점과 더불어, 동종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한 조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일관된 동종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시공됨으로써 여러 형태 및 용도의 구조물들이 하나의 공간 내에 시공되어 배치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일관되고 일체감을 가지는 조화된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능성과 더불어 조형미를 함께 제공하는 간단한 구조의 구조물로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단지나 생활거주공간, 상업공간, 문화공간, 자연공간, 녹지공간 등의 공간 내에서 펜스, 벤치, 파고라 등으로 다양하고도 유용하게 시공 및 이용될 수 있는 조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개의 가늘고 긴 로드들이 종횡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전체가 그리드 구조를 이루면서 일체로 고정된 구조물로 제작되어 지면 상에 설치되는 그리드 프레임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을 형성하는 로드와 로드 사이로 끼워져 조립되는 기능성 길이부재;를 포함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상기 그리드 프레임의 로드와 로드 사이를 관통하여 수평 조립됨으로써 상기 그리드 프레임과 기능성 길이부재 전체가 일체의 벤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상기 그리드 프레임에 수평 조립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지면 상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과 기능성 길이부재 전체가 일체의 벤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이 별도 시공된 벽체의 전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가 그리드 프레임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수평 조립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과 기능성 길이부재 전체가 일체의 벤치를 형성하면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이 나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그리드 프레임에 기능성 길이부재를 벤치 형태로 조립하여, 상기 그리드 프레임과 기능성 길이부재 전체가 나무 주변으로 설치된 파고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이 지면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상기 그리드 프레임에 수평 조립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지면 상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벤치를 형성하며, 상기 그리드 프레임을 타고 자라도록 덩굴성 식물이 식재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과 기능성 길이부재 전체가 덩굴성 식물과 조합된 파고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이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역할을 하도록 지면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기능성 길이부재가 상기 그리드 프레임의 그리드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상기 그리드 프레임과 기능성 길이부재 전체가 일체의 펜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리드 프레임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지면을 굴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는 기초 콘크리트부와, 상기 그리드 프레임의 하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에 인서트 설치된 앵커볼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를 관통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은 간단한 구조 및 우수한 시공성을 가지면서 다양하게 시공이 가능한(즉, 동종의 부재로 다양한 확장성을 가지는) 그리드(grid) 타입의 프레임에 자연미를 느끼게 하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 기능성 길이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쉼터의 기능, 앉거나 공간을 구분하는 등의 기능성 시설물인 동시에 생활공간과 자연이 조화된 환경친화적인 조형물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그리드 타입의 프레임에 목재 등으로 제작된 기능성 길이부재를 간단히 끼워서 조립, 시공되므로, 구조나 구성이 단순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비용이 저렴한 이점과 더불어, 동종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파고라, 벤치, 펜스는 물론이고 화분받침대나 식물 등이 조합된 다양한 용도의 구조물로 시공이 가능하여 우수한 확장성을 가지는 친환경 기능성 조형물로 제공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일관된 동종의 구성요소인 그리드 타입의 프레임을 기본 골조로 하여 목재 등의 기능성 길이부재를 조립해 시공되므로, 파고라, 벤치, 펜스, 또는 이들이 조합된 구조물 등 여러 형태 및 용도의 구조물들이 하나의 공간 내에 시공되어 배치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일관되고 일체감을 가지는 조화된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기능성과 더불어 조형미를 함께 제공하는 간단한 구조의 구조물로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단지나 생활거주공간, 상업공간, 문화공간, 자연공간, 녹지공간 등의 공간 내에서 펜스, 벤치, 파고라 등으로 다양하고도 유용하게 시공 및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벤치형 조립 구조물의 여러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형 조립 구조물의 상이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펜스형 조립 구조물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구현예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이다.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일부를 변형한 또 다른 벤치형 조립 구조물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2에 도시된 구현예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이다.
도 9b는 도 2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이다.
도 10b는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1b는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5a에 도시된 구현예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이다.
도 12b는 도 5a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6에 도시된 구현예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이다.
도 13b는 도 6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기능성과 더불어 조형미를 함께 제공하는 간단한 구조의 조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단지나 생활거주공간, 상업공간, 문화공간, 자연공간, 녹지공간 등의 공간 내에서 펜스, 벤치, 파고라 등으로 다양하고도 유용하게 시공 및 이용될 수 있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간단한 구조 및 우수한 시공성을 가지면서 다양하게 시공이 가능한(즉, 동종의 부재로 다양한 확장성을 가지는) 그리드(grid) 타입의 프레임에 자연미를 느끼게 하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 기능성 길이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쉼터의 기능, 앉거나 공간을 구분하는 등의 기능성 시설물인 동시에 생활공간과 자연이 조화된 환경친화적인 조형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그리드 타입의 프레임에 목재 등으로 제작된 기능성 길이부재를 간단히 끼워서 조립, 시공되므로, 구조나 구성이 단순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비용이 저렴한 이점과 더불어, 동종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파고라, 벤치, 펜스는 물론이고 화분받침대나 식물 등이 조합된 다양한 용도의 구조물로 시공이 가능하여 우수한 확장성을 가지는 친환경 기능성 조형물로 제공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일관된 동종의 구성요소인 그리드 타입의 프레임을 기본 골조로 하여 목재 등의 기능성 길이부재를 조립해 시공되므로, 파고라, 벤치, 펜스, 또는 이들이 조합된 구조물 등 여러 형태 및 용도의 구조물들이 하나의 공간 내에 시공되어 배치되더라도 전체적으로 일관되고 일체감을 가지는 조화된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 구조물의 여러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벤치로 시공된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이 중에서 도 2와 도 3은 벤치와 더불어 화분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시공된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 구조물은, 다수개의 가늘고 긴 로드(12)들이 종횡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전체가 그리드(격자) 구조를 이루면서 일체로 고정된 하나의 구조물로 제작되고 지면(G) 상에 설치되는 그리드 프레임(11)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을 형성하는 로드(12)와 로드 사이로 끼워져 조립되는 기능성 길이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도 1의 구현예는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를 관통하여 수평 조립됨으로써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일체의 벤치(10a)를 형성하도록 시공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은 소정 길이의 로드(12)들이 사각형의 그리드(격자)를 형성하도록 직각으로 교차 배치되어 조립된 일체의 프레임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벤치형 조립 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독립 구성된 2개의 그리드 프레임(11)을 제작한 뒤, 이 2개의 그리드 프레임(11)을 좌우 양측으로 배치하고, 상기 좌우 양측의 그리드 프레임(11) 사이에서 이들을 형성하는 로드(12)와 로드 사이의 그리드 내부에 기능성 길이부재(13)를 삽입하여 횡방향으로 길게 걸쳐지도록 조립하게 된다.
이때,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를 양측의 그리드 프레임(11) 상부에 나란히 수평 배치되도록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면, 기능성 길이부재(13)들이 전체적으로 평판 구조를 이루게 되면서 벤치로 사용될 수 있는 도시된 바의 조립 구조물을 구성하게 된다.
벤치(10a)로 구현된 도 1의 조립 구조물을 살펴보면,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양측의 그리드 프레임(11)에서 사각형의 그리드를 형성하는 로드(12)와 로드 사이의 그리드 내부로 삽입되어 수평 지지되는 바, 기능성 길이부재(13)들은 양단부가 양측의 그리드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되는 엉덩이 받침대가 되고, 결국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앉아서 쉴 수 있는 일체의 벤치(10a)가 된다.
벤치형 조립 구조물에서 두 그리드 프레임(11)은 벤치(10a)의 다리 역할을 하게 되는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들은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될 수 있도록 내부식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기타 금속이나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로드(12)의 재질로는 복수 사용자의 체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교차 배치된 전체 로드(12)들을 일체화하여 하나의 프레임 구조물로 만들기 위해서는 로드(12)들을 서로 용접하여 조립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그리드 프레임(11)에 조립되는 본 고안의 기능성 길이부재(13)로는 사각 그리드 사이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는 사각 단면 및 크기를 가지는 목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상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나란하게 조립되는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 간을 서로 일체로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로는 목재를 결합할 수 있는 통상의 수단, 예컨대 장볼트나 장못, 클램프, 패스너, 또는 양측에 덧대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덧판, 접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벤치형 조립 구조물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도 7a 및 도 7b에 보다 상세히 도시하였는 바, 도 7a는 평면도(a), 정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내고, 도 7b는 그리드 프레임(11)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 구조물은 그리드 프레임(11)을 지면(G)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지면(G)을 굴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는 기초 콘크리트부(B)와,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하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14)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B)에 인서트 설치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14)에 관통되는 앵커볼트(15)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4)를 관통한 앵커볼트(15)에 체결되는 너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15)는 기초 콘크리트부(B)의 콘크리트 타설시 인서트되어 고정 시공되는 것으로, 장착플레이트(14)의 체결홀에 삽입된 뒤 장착플레이트(14) 위에서 너트(16)가 체결됨으로써 장착플레이트(14)와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14)는 그리드 프레임(11)의 하부면에 용접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지면(G) 아래에 선 시공된 기초 콘크리트부(B)와 그리드 프레임(11)을 일체로 연결하는 매개체이며, 이때 앵커볼트(15)와 너트(16)는 그리드 프레임(11)에 일체로 설치된 장착플레이트(14)와 기초 콘크리트부(B)를 일체로 결합시켜주는 체결수단이 된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벤치형 조립 구조물의 두 그리드 프레임(11) 중 하나를 단순 지지식으로 변형한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측의 그리드 프레임(11)에는 로드(12)와 로드 사이의 그리드 내부로 기능성 길이부재(13)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식으로 조립 및 지지되되, 타측의 그리드 프레임(11)에서는 그 상측으로 기능성 길이부재(13)의 타단부가 단순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로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양측의 그리드 프레임(11)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걸쳐짐으로써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일체의 벤치(10a)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의 구현예에서는 다수개의 사각 단면 길이부재(13)가 전체적으로 평판 구조를 이루도록 나란히 이웃 배치되어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공되었으나, 본 구현예에서 사각 단면의 길이부재(13) 여러 개를 평판 구조가 되도록 나란히 이웃 배치하여 구성하는 대신, 전체가 엉덩이 받침대 크기의 평판 구조(소정 길이의 직사각형 판재)로 가공된 하나의 길이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형 조립 구조물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그리드 프레임(11)이 기능성 길이부재(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등받이 및 화분받침대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의 구현예는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그리드 프레임(11)에 수평 조립되는 수평부재(13a)와, 상기 수평부재(13a)를 지면(G) 상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3b)로 구성되어,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일체의 벤치(10b)를 형성하도록 시공된 것이다.
여기서, 수평부재(13a)와 지지부재(13b)가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재(13a)가 그리드 프레임(11)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 로드(12)와 로드 사이를 관통하도록 조립되며, 이때 수평부재(13a) 양단부의 지지부재(13b)가 지면(G)에 지지됨으로써, 그리드 프레임(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된 수평부재(13a)가 엉덩이 받침대 부분이 되고, 그리드 프레임(11)은 등받이 부분이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은 직육면체 구조를 가지면서 지면(G)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 설치되고, 전체 형상이 ㄷ 자형으로 제작된 기능성 길이부재(13)가 그리드 프레임(11)을 관통하면서 조립되며, 나란히 이웃 배치된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들이 전체적으로 평판 구조를 이루게 되면서, 수평부재(13a)는 벤치(10b)의 엉덩이 받침대를, 지지부재(13b)는 벤치(10b)의 다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평부재(13a)는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의 그리드 내부를 통과하도록 끼워져 조립되며, 상기 지지부재(13b)는 수평 조립된 수평부재(13a)의 양단부에 수직방향(또는 경사방향)으로 일체 형성되어 지면(G) 상에서 수평부재(13a)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수평부재(13a)와 지지부재(13b)로 이루어진 기능성 길이부재(13)는 도 1의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나란히 이웃 배치되도록 그리드 프레임(11)에 끼워져서, 그리드 프레임(11)에 횡방향으로 관통 조립되는 수평부재(13a)는 사용자가 엉덩이를 대고 앉게 되는 벤치(10b)의 엉덩이 받침대 역할을, 그 하측의 지지부재(13b)는 벤치(10b)의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그리드 프레임(11)은 사용자가 기능성 수평부재(13a) 위에 착석한 상태로 등을 기댈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등받이 역할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상부에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바깥쪽 로드(12)들을 제외한 그 안쪽의 로드(12)들을 삭제하여 화분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식물이 식재된 화분(31)을 수납하여 화분받침대 겸용 벤치로 사용되는 조립 구조물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그리드 프레임(11)에 화분(31)을 수납하여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자연과 조화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되고, 결국 자연과 조화된 벤치형 조립 구조물이 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분받침대 겸용 벤치(10b)로 구현되는 조립 구조물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도 9a 및 도 9b에 보다 상세히 도시하였는 바, 도 9a는 평면도(a), 정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내고, 도 9b는 그리드 프레임(11)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드 프레임(11)의 고정 방식은 도 1의 구현예와 동일하며, 시공 과정에서 그리드 프레임(11)을 지면(G)에 설치한 뒤, 수평부재(13a)를 그리드 프레임(11)의 그리드 내부로 삽입하여 조립하고, 각 수평부재(13a)에 지지부재(13b)를 결합하게 되는바, 수평부재(13a)와 지지부재(13b)는 목재를 결합하는 통상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부재로는 장볼트나 장못, 클램프, 패스너, 또는 양측에 덧대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덧판, 접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호 조립되는 양측에 끼움식 구조물, 즉 돌기와 슬롯을 형성시킨 뒤, 양측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슬롯에 돌기를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여 끼우는 끼움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 사각 단면의 길이부재(13) 여러 개를 평판 구조가 되도록 나란히 이웃 배치하여 구성하는 대신, 직사각형 판재로 가공된 길이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도 각각 직사각형 판재로 가공된 수평부재와 지지부재를 ㄷ 자형으로 조립하여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10a,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벤치형 조립 구조물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벽체(옹벽)(40)에 시공된 벤치형 조립 구조물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의 구현예는 그리드 프레임(11)이 별도 시공된 벽체(40)의 전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그리드 프레임(11)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조립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가 각각 벤치(10c)의 등받이와 엉덩이 받침대 역할을 하도록 시공된 것이다.
여기서, 그리드 프레임(11)의 상부에는 도 2의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화분(3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그리드 프레임(11)에서 수납공간 하측의 로드(12)들에 다수개의 길이부재(13)들이 나란히 조립되어 지지됨으로써 벤치 형태의 조립 구조물이 구성된다.
이때, 그리드 프레임(11)의 고정 방식은 도 1 및 도 2의 구현예와 동일하며,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는 전체적으로 평판 구조를 이루게 되면서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게 되고, 그리드 프레임(11)은 등을 기댈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등받이 기능을 하게 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수평으로 횡 설치된 기능성 길이부재(13)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그리드 프레임 부분(11a)이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엉덩이 받침대의 후측 부분에 해당하는 기능성 길이부재(13)는 로드(12)와 로드 사이의 그리드 내부로 끼워지고, 그 전측의 기능성 길이부재(13)는 상기와 같이 그리드 프레임(11)의 전방 돌출된 부분(11a)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길이부재(13)들을 움직이지 않도록 로드(12)에 결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예컨대 길이부재(13)의 하면에 못이나 스크류 등을 고정한 뒤 이들을 와이어로 로드(12)에 묶어 결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길이부재(13) 간에도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때 결합부재로는 장볼트나 장못, 클램프, 패스너, 또는 양측에 덧대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덧판, 접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호 조립되는 양측에 끼움식 구조물, 즉 돌기와 슬롯을 형성시킨 뒤, 양측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슬롯에 돌기를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여 끼우는 끼움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는 길이부재(13)들 중 전측으로 위치되는 일부 길이부재들을, 프레임(11)의 돌출된 부분(11a)에 지지시키는 것이 아닌, 후측의 길이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프레임 전방으로 돌출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전체 길이부재(13)들을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구현예에서, 사각 단면의 길이부재(13) 여러 개를 평판 구조가 되도록 나란히 이웃 배치하여 구성하는 대신, 전체가 엉덩이 받침대 크기의 평판 구조(소정 길이의 직사각형 판재)로 가공된 하나의 길이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와 도 11a, 도 11b는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형 조립 구조물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식물과 조화된 조립 구조물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전체적인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a는 식물과 조화된 파고라형 조립 구조물의 평면도(a) 및 정면도(b)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b는 그리드 프레임(11)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구현예는 그리드 프레임(11)이 나무(3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에 기능성 길이부재(13)를 벤치 형태로 조립하여,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나무(32) 주변으로 설치된 일체의 파고라(10d)를 형성하도록 시공된 것이다.
여기서, 그리드 프레임(11)과 지면(G) 간의 고정 방식은 도 1 내지 도 3의 구현예와 동일하고, 그리드 프레임(11)에 적어도 한 방향 이상, 바람직하게는 네 방향 모두를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시켜 출입구(11b)를 형성한다.
또한 그리드 프레임(11)의 내부공간에서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로 기능성 길이부재(13)를 횡방향으로 끼워 벤치 형태로 조립한다.
이때,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를 적절한 벤치 높이에서 로드(12)와 로드 사이의 그리드 내부에 삽입하여 나란히 수평 조립하는데, 전체의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이웃 배치된 상태로 평판 구조를 이루게 되는 바, 벤치의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벤치 후방의 그리드 프레임(11)은 등받이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들은 양단부가 그리드 내부로 끼워져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데, 일부가 하측으로 위치된 프레임의 로드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길이부재(13)를 움직이지 않도록 로드(12)에 결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예컨대 길이부재(13)의 하면에 못이나 스크류 등을 고정한 뒤 이들을 와이어로 로드(12)에 묶어 결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길이부재(13) 간에도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결합부재로는 장볼트나 장못, 클램프, 패스너, 또는 양측에 덧대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덧판, 접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호 조립되는 양측에 끼움식 구조물, 즉 돌기와 슬롯을 형성시킨 뒤, 양측을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슬롯에 돌기를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여 끼우는 끼움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사각 단면의 길이부재(13) 여러 개를 평판 구조가 되도록 나란히 이웃 배치하여 구성하는 대신, 전체가 엉덩이 받침대 크기의 평판 구조로 가공된 하나의 길이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하측의 프레임 위에 지지되도록 하여 양단부와 후면부를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와 도 12a,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파고라형 조립 구조물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식물과 조화된 조립 구조물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는 전체적인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그리드 프레임(11)에 담쟁이, 덩굴장미 따위의 덩굴성 식물(32)이 자라도록 식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식물과 조화된 파고라형 조립 구조물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를 나타내고, 도 12b는 그리드 프레임(11)의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그리드 프레임(11)이 시공되고, 다수개의 길이부재(13)가 그리드 프레임(11)의 그리드 내부에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벤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그리드 프레임(11)은 덩굴성 식물이 자라는 벽체 기능을 하게 되는데, 지면(G)에 고정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구현예와 동일하고, 소정 높이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소정 폭의 직육면체로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중앙 하부에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수평 관통 삽입되어 조립됨으로써 중앙의 벤치가 구성된다.
상기 중앙의 벤치를 구성하는 길이부재(13)들은 나란히 이웃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평판 구조를 이루도록 조립되며, 다수개의 길이부재(13)가 나란히 설치되는 대신, 전체가 엉덩이 받침대 크기의 평판 구조로 가공된 하나의 길이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의 벤치 일측방 또는 양측방으로는 별도의 추가적인 벤치가 구성되며, 이 역시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를 그리드 프레임(11)에 조립하여 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측방의 벤치는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의 수평부재(13a)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평부재(13a)의 일단부가 그리드 프레임(11)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수평 관통 삽입(그리드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수평부재(13a)의 타단부가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에 별도로 조립, 지지되는 지지부재(13b)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3b)는 지면(G) 상에 상하로 길게 시공되어 하단부에 상기 수평부재(13a)가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기둥부재(13c)와, 상기 기둥부재(13c)의 상단부에 수평 조립되어 일단부가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상단부에 관통 삽입(그리드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되는 횡부재(1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재(13c)와 횡부재(13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재(13b)는 전체적으로 ㄱ 자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그리드 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는 수평부재(13a)와 함께 측방의 벤치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기둥부재(13c)와 횡부재(13d), 수평부재(13a) 역시 이들을 구성하는 다수개가 나란히 이웃 배치되어 전체가 평판 구조를 이루도록 시공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나란히 설치되는 대신, 상기 기둥부재(13c), 횡부재(13d), 수평부재(13a)로서 각각 전체가 평판 구조로 가공된 하나의 길이부재가 제공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기둥부재(13c)와 횡부재(13b)의 결합 방법, 기둥부재(13c)와 엉덩이 받침대를 형성하는 수평부재(13a)들의 결합 방법은 통상의 목재를 결합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재(13c)를 지면(G)에 고정하는 방식은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상기 기둥부재(13c)의 하단부에 지지브라켓(13e)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결하고 지지브라켓(13e)을 기초 콘크리트부(B')에 인서트된 앵커볼트(15')와 너트(16')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기둥부재(13c)에 지지브라켓(13e)을 설치하되, 이 지지브라켓(13e)을 지중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부(B')에 고정하여 결합하는 방식은 그리드 프레임(11)의 고정 방식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초 콘크리트부(B')에 인서트 시공된 앵커볼트(15')와 너트(16)'를 이용하는 것이다(장착플레이트 대신 지지브라켓 사용). 이때, 지지브라켓(13e)은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지면(G)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 구조물은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구조물, 즉 펜스(10f)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도 6과 도 13a,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6은 사시도이고, 도 13a는 평면도(a), 정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내며, 도 13b는 그리드 프레임(11)이 지면(G)에 고정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그리드 프레임(11)이 시공되고, 다수개의 기능성 길이부재(13)가 그리드 프레임(11)의 그리드 내부에 끼워져 조립된다.
여기서, 그리드 프레임(11)은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기능을 하게 되는데, 지면(G)에 고정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구현예와 동일하고, 소정 높이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소정 폭의 직육면체로 시공된다.
이때, 덩굴성 식물이 그리드 프레임(11)에 자랄 수 있도록 지면(G)에 식재될 수도 있다.
도시된 구현예는 기능성 길이부재(13)가 로드(12)와 로드 사이의 그리드 내부로 횡방향으로 길게 수평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기능성 길이부재(13)는 목재 등으로 제작되어 자연적인 미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펜스(10f)가 공간을 구획하는 견고한 벽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펜스의 강성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는 것 외에 종방향으로도 삽입되어 수직 설치될 수 있으며, 횡방향의 기능성 길이부재만이 설치되거나 종방향의 기능성 길이부재만이 설치되거나 횡방향의 기능성 길이부재와 종방향의 기능성 길이부재가 동시에 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종횡으로 복합 설치되는 경우, 종방향 길이부재의 하단 끝면을 횡방향 길이부재의 상면에 지지시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종방향 길이부재와 횡방향 길이부재를 사각형 또는 그리드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구현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a : 벤치 10b : 벤치
10c : 벤치 10d : 파고라
10e : 파고라 10f : 펜스
11 : 그리드 프레임 11b : 출입구
12 : 로드 13 : 길이부재
13a : 수평부재 13b : 지지부재
13c : 기둥부재 13d : 횡부재
13e : 지지브라켓 14 : 장착플레이트
15 : 앵커볼트 15' : 앵커볼트
16 : 너트 16' : 너트
31 : 화분 32 : 나무
33 : 덩굴성 식물 40 : 벽체
B : 기초 콘크리트부 G : 지면

Claims (19)

  1. 다수개의 가늘고 긴 로드(12)들이 종횡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전체가 그리드 구조를 이루면서 일체로 고정된 구조물로 제작되어 지면(G) 상에 설치되는 그리드 프레임(11)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을 형성하는 로드(12)와 로드 사이로 끼워져 조립되는 기능성 길이부재(13);
    를 포함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를 관통하여 수평 조립됨으로써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일체의 벤치(10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독립 구성된 2개의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이 양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그리드 프레임(11) 사이에서 이들을 형성하는 로드(12)와 로드 사이에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길게 걸쳐지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독립 구성된 2개의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이 양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그리드 프레임(11) 사이에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의 일단부가 일측의 그리드 프레임(11)을 형성하는 로드(12)와 로드 사이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의 타단부가 타측의 그리드 프레임(11) 상측으로 지지되어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횡방향으로 길게 걸쳐지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에 수평 조립되는 수평부재(13a)와, 상기 수평부재(13a)를 지면(G) 상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3b)로 구성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일체의 벤치(10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11) 타입의 조립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이 지면(G)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수평부재(13a)와 지지부재(13b)가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수평부재(13a)가 그리드 프레임(11)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 로드(12)와 로드 사이를 관통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수평부재(13a) 양단부의 지지부재(13b)가 지면(G)에 지지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된 수평부재(13a)가 벤치(10b)의 엉덩이 받침대 부분을, 상기 지지부재(13b)가 벤치(10b)의 다리 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이 별도 시공된 벽체(40)의 전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그리드 프레임(11)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수평 조립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일체의 벤치(10c)를 형성하면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에서 수평 조립된 기능성 길이부재(13)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프레임 부분(11a)이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엉덩이 받침대의 후측 부분에 해당하는 기능성 길이부재(13)가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로 끼워지되, 그 전측의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상기 전방 돌출된 프레임 부분(11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상부에는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바깥쪽 로드(12)들을 제외한 그 안쪽의 로드(12)들이 제거된 형태로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식물이 식재된 화분(31)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이 나무(3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에 기능성 길이부재(13)를 벤치 형태로 조립하여,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나무(32) 주변으로 설치된 파고라(10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나무(32)를 둘러싸는 그리드 프레임(11)에는 나무(32) 주변의 내부공간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시킨 출입구(11b)가 형성되고,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내부공간에서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로 기능성 길이부재(13)가 횡방향으로 끼워져 벤치 형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이 지면(G)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엉덩이 받침대 기능을 하도록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에 수평 조립되는 수평부재(13a)와, 상기 수평부재(13a)를 지면(G) 상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3b)로 구성되어 벤치를 형성하며,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을 타고 자라도록 덩굴성 식물(33)이 식재되어,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덩굴성 식물(33)과 조합된 파고라(10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b)는 지면(G) 상에 상하로 길게 시공되어 하단부에 상기 수평부재(13a)가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기둥부재(13c)와, 상기 기둥부재(13c)의 상단부에 수평 조립되어 일단부가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상단부에 로드(12)와 로드 사이로 관통 삽입됨으로써 지지되는 횡부재(13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하부에 별도의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추가로 수평 관통 삽입되어 조립됨으로써 별도의 벤치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이 공간과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 역할을 하도록 지면(G)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기능성 길이부재(13)가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그리드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상기 그리드 프레임(11)과 기능성 길이부재(13) 전체가 일체의 펜스(10f)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을 지면(G)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지면(G)을 굴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는 기초 콘크리트부(B)와,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의 하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14)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B)에 인서트 설치된 앵커볼트(15)와, 상기 장착플레이트(14)를 관통한 앵커볼트(15)에 체결되는 너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7, 청구항 10, 청구항 12, 및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프레임(11)은 로드(12)들이 사각형의 그리드를 형성하도록 직각 교차 배치된 일체의 프레임이고,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가 그리드 프레임(11)의 로드(12)와 로드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사각 단면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7, 청구항 10,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는 다수개가 나란히 이웃 배치되어 조립으로써 전체적으로 평판 구조를 이루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19.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7, 청구항 10,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길이부재(13)는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KR2020100005903U 2010-06-07 2010-06-07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KR200459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03U KR200459560Y1 (ko) 2010-06-07 2010-06-07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03U KR200459560Y1 (ko) 2010-06-07 2010-06-07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85U KR20110011485U (ko) 2011-12-14
KR200459560Y1 true KR200459560Y1 (ko) 2012-04-04

Family

ID=4660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903U KR200459560Y1 (ko) 2010-06-07 2010-06-07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6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344Y1 (ko) 2001-03-02 2001-09-28 박정순 화분받침으로 겸용할 수 있는 조립식 벤치
KR20100085782A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골격구조를 이용한 식생옹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344Y1 (ko) 2001-03-02 2001-09-28 박정순 화분받침으로 겸용할 수 있는 조립식 벤치
KR20100085782A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골격구조를 이용한 식생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85U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7810A1 (en) Decorative pole and base stand stabilizing container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CA2556539A1 (en) Gazebos with integrated additional features
US20160029573A1 (en)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US20070245624A1 (en) Outdoor and garden structure for displaying ornamental items
KR101751761B1 (ko)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가능한 다기능 장식용 식재장치
KR100520887B1 (ko)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KR200459560Y1 (ko) 그리드 프레임 타입의 조립 구조물
JP2004283119A (ja) 壁面植栽緑化装置
CN201234479Y (zh) 休闲植物花架
JP3149247U (ja) グリーンカーテン
KR20090010423U (ko) 화단경계석 기능이 있는 화분이 부설된 벤치
JP2007154634A (ja) ベランダ用美観構造物
KR101345761B1 (ko)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CN213509775U (zh) 一种园林景观休息亭
CN201192010Y (zh) 一种室外花架
CN219887675U (zh) 一种帐篷木屋
KR200424688Y1 (ko) 화분이 구비된 울타리
JP3820505B2 (ja) ツル科植物育成用装置
JP2017127196A (ja) バルコニーの緑化構造
JP2506298Y2 (ja) 人工竹垣の組立構造
KR100619274B1 (ko) 조립식 화단
CN211369660U (zh) 一种景观园林休息亭
KR20140019690A (ko) 프로파일재를 이용한 수경재배용 화분대
KR100975430B1 (ko) 토담 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