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47Y1 -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 Google Patents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547Y1
KR200459547Y1 KR2020090013224U KR20090013224U KR200459547Y1 KR 200459547 Y1 KR200459547 Y1 KR 200459547Y1 KR 2020090013224 U KR2020090013224 U KR 2020090013224U KR 20090013224 U KR20090013224 U KR 20090013224U KR 200459547 Y1 KR200459547 Y1 KR 200459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orming
fold
tangential
be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788U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2020090013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4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에서는 필터의 상, 하면에 접철선을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번갈아 형성된 접철선에 의해 필터를 더블유(W) 형상으로 보다 정확하면서도 원활하게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철선을 형성하는 필터접철선형성부의 각 구성들간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구성들의 마모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소음 및 진동을 최대한 줄이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구동모터와 구동풀리 및 상,하부 로울러와 상,하부 스퍼기어가 구비된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단부가 뾰족한 형상인 복수개의 접철선형성돌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 사이에 위치되게 일정쿠션을 갖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와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서로 맞닿음에 따라 상기 상, 하부 로울러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의 상, 하면에 접철선이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이다.
필터절곡장치, 필터, 필터접철선형성부, 돌부, 삽입홈부, 쿠션부재

Description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FORMING STRUCTURE FOR FOLDING LINE OF FILTER IN FILTER FOLDING APPARATUS}
본 고안은 각종 필터 제품에 소요되는 필터를 절곡하는 필터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에서는 필터의 상, 하면에 번갈아가면서 접철선을 연속적으로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각 접철선을 중심으로 하여 필터가 원활하게 더블유(W)형상으로 절곡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철선을 형성하는 필터접철선형성부의 각 구성들간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구성들의 마모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소음 및 진동을 최대한 줄이도록 한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액체나 기체 또는 대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인체에 유해한 각종 오염물질 등을 걸러내는 것으로서, 상기의 필터는 일상생활 및 공장, 사업장 또는 공기를 정화하는 제품 등에 설치되는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황사를 비롯한 인체에 유해한 각종 대기오염물질 등에 의한 환경오염에 대한 대비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산업이 발달하면서 높은 청정도를 요구함에 따라서 특정 용도의 액체 혹은 기체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 지 및 불순물 혹은 유해입자가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filtering)내기 위한 각종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필터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불순물 또는 각종 오염물질을 최대한 걸러내어 공기를 깨끗한 상태로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의 필터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히도록 형성하여 최대의 효과를 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필터는 더블유(W) 형상으로 다단 절곡 형성함은 물론 상기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필터가 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절곡 형성된 필터의 양측면을 접착용 페이퍼를 접착하여 상기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필터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필터를 더블유(W) 형상으로 다단 절곡 형성하기 위한 필터절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의 필터절곡장치는 필터공급부의 롤구동체가 회동됨에 따라 필터는 일정속도로 풀어지면서 필터접철선형성부로 이송되며,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에서는 한 쌍의 로울러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필터에 접철선을 계속해서 형성한다.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에서 접철선이 형성된 필터는 필터폭재단부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폭으로 재단되며, 상기 재단된 필터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핫멜트분사부에서 분사되는 고온으로 용융된 접착제 즉, 핫멜트가 규칙적으로 일정량이 도포된 상태에서 핫멜트건조장치를 통과하면서 적정의 점도를 유지하는 일정온도까지 냉각되어 필터절곡부로 필터가 인입된다.
상기 필터절곡부에서는 인입되는 필터의 접철선을 중심으로 상, 하부로 왕복이동하는 나이프에 의해 필터는 연속적으로 다단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필터는 계속해서 이송되어 작업테이블에 결합된 필터지지판넬에 닿으면서 일정한 형상 즉, 더블유(W) 형상으로 다단 절곡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필터절곡장치에서 필터를 더블유(W)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다단 절곡 형성하도록 접철선을 형성하는 필터접철선형성부에는 접철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동력이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외주면이 맞닿은 한 쌍의 로울러 및, 상기 한 쌍의 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로울러 외주면에 단부가 뾰족한 복수개의 돌부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에서는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에 의해 필터가 인입되어 이송됨과 함께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로울러에 형성된 각 돌부가 다른 하나의 로울러 표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의 필터에는 접철선이 계속해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로울러 및 각 돌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필터에 접철선을 형성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로울러에 형성된 각 돌부의 단부가 다른 로울러의 표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금속과 금속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필터의 접철선 형성부위에서 상기의 접철선이 확실하게 형성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하여,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에서 접철선이 확실하게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의 필터가 필터절곡부로 인입될 경우에는 상기 필터절곡부에서 필터 가 정확한 형상으로 제대로 절곡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절곡장치에서 제작 완료된 최종제품인 필터의 불량율이 높아짐은 물론 상기 필터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로울러에 의해 필터에 형성되는 접철선은 상기 필터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에서만 눌려지는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필터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된 접철선에 의하여 상기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절곡부에서 필터를 원하는 형태로 원활하게 절곡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금속재인 한 쌍의 로울러의 돌부와 표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접철선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로울러에 형성된 각 돌부와 다른 하나의 로울러 표면에서의 마모현상 및 손상,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한 쌍의 로울러를 수시로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교체 비용이 상승함은 물론 수시로 교체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금속간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등 작업 환경 여건이 매우 열악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에 구비된 상, 하부 로울러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접철선형성돌부와, 일정쿠션을 갖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를 번갈아가면서 형성함과 함께 상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와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서로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가 접철선형성쿠션부재의 일정깊이까지 삽입됨에 따라 필터의 표면에 접철선이 보다 손쉽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형서오딜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접선형성부의 상, 하부 로울러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의 상, 하면에 접철선을 번갈아가면서 형성함에 따라 상기 번갈아 형성된 접철선에 의해 필터는 더블유(W)형상으로 정확하면서도 원활하게 다단 절곡되므로 인해 제작되는 필터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에 접철선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가 서로 맞닿은 위치에 일정쿠션을 갖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를 설치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로울러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필터에 접철선을 형성하여도 상기 한 쌍의 로울러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손상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진동을 최대한 줄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필터를 다단 절곡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필터에 접철선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벨트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필터가 인입되어 접철선을 형성하는 상,하부 로울러와, 상기 상,하부 로울러와 축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로울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부 스퍼기어(spur gear)가 구비된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은 물론 단부가 뾰족한 형상인 복수개의 접철선형성돌부가 방사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의 사이인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은 물론 내측으로 파여진 복수개의 삽입홈부가 방사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홈부 내에는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의 단부가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도록 일정쿠션을 갖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기 상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는 상기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와 맞닿고, 상기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는 상기 상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와 맞닿음에 따라 상기 상, 하부 로울러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의 상, 하면에 접철선이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삽입홈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삽입홈부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 성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는 일정쿠션을 갖는 실리콘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모터와 구동풀리 및 상, 하부 로울러 그리고, 상, 하부 스퍼기어가 구비된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에 구비된 상, 하부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단부가 뾰족한 형상인 복수개의 접철선형성돌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 사이에 일정쿠션을 갖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는 상기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과 맞닿도록 함과 함께 상기 상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는 상기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와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의 단부가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에 일정깊이까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 하부 로울러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의 상, 하면에 접철선이 번갈아가면서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필터에 접철선이 또렷하면서도 확실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의 상, 하면에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접철선에 의하여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절곡부에서는 상기의 필터를 각 접철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형상 즉, 더블유(W) 형상으로 보다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다단 절곡됨으로 인해 상기 필터의 불량율을 줄이면서도 상기 필터를 제작하는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정확한 형상으로 제작된 필터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상, 하부 로울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터에 접철선을 형성할 때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와 일정쿠션을 갖는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서로 맞닿으면서 접철선을 형성함으로서, 상기의 접철선형성쿠션부재에 의하여 상, 하부 로울러의 외면 및, 각 접철선형성돌부가 마모되거나 손상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필터절곡장치에서 필터의 접철선 형성이 용이함은 물론 오랫동안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교체에 의한 비용을 절감하는 등 제작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와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는 금속과 합성수지재(실리콘) 간의 접촉임에 따라 필터의 접철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최대한 줄임으로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의 일 실시예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 전체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 전체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에서 필터접철선형성부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에서 필터접철선형성부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필 터접철선형성부에서 접철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필터접첩설형성부에서 접철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의 필터피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공기 중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각종 대기오염물질이나 먼지 및 불순물 등을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하는 필터(10)를 제작하는 필터절곡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필터절곡장치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0)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부(1)와, 상기 필터(10)에 접철선(a)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필터접철선형성부(2)와, 상기 필터(10)를 당겨주는 필터피딩(feeding)부(3)와, 상기 필터(10)의 폭을 일정하게 재단하는 필터폭재단부(4) 및, 상기 필터(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접착제 즉, 핫멜트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핫멜트분사부(5)와, 상기 필터(10)에 분사된 핫멜트를 적정 점도를 유지하도록 일정온도까지 냉각시키도록 상기 핫멜트를 건조하는 핫멜트건조부(6) 및, 상기 접철선(a)이 형성된 필터(10)를 접철선(a)을 중심으로 하여 절곡하는 필터절곡부(7) 그리고, 상기 각 구성의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필터절곡장치에는 필터(10)를 일정한 형상으로 절곡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절곡장치로 필터(10)를 공급하도록 하는 필터공급부(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공급부(1)에는 필터접철선형성부(2)로 필터(10)가 인출되도록 상기 필터(10)가 감겨진 롤구동체(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공급부(1)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공급부(1)에서 보내지는 필터(10) 를 필터절곡장치에서 보다 원활하게 다단으로 절곡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10)에 접철선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필터접철선형성부(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2)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필터(10)를 잡아 당겨김에 따라 상기의 필터(10)가 필터절곡장치 내로 원활하게 진행 즉, 이송되도록 하는 필터피딩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필터피딩부(3)에는 도 1과 도 3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10)를 잡아당기도록 외주면이 서로 맞닿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 하부 피딩롤러(31,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 하부 피딩롤러(31,32) 사이에는 인입되는 필터(10)가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피딩롤러(32)의 일측에는 모터(3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33)의 축과 타이밍벨트(35)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풀리(34)가 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 하부 피딩롤러(31,32)의 일측에는 상, 하부 피딩롤러(31,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외주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톱니형상을 갖는 상, 하부 스퍼(spur)기어(36,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피딩부(3)의 상부 피딩롤러(31) 상방에는 상기 상, 하부 피딩롤러(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에어실린더(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피딩부(3) 일측에는 접철선(a)이 형성된 필터(10)를 계속 이송시키면서 상기의 필터(10)를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도록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재단하는 필터폭재단부(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폭재단부(4)의 일측에는 재단된 필터(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접착제 즉, 고온으로 용융된 핫멜트를 규칙적으로 일정량 분사하여 도포하는 핫멜트분사부(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핫멜트분사부(5)의 일측에는 절곡되는 필터(10)의 인접한 대향면이 용이하게 밀착되어 상호간에 접착되도록 상기 핫멜트의 적정 점도를 유지하는 온도까지 냉각시키도록 핫멜트를 건조하는 핫멜트건조부(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핫멜트건조부(6)의 일측에는 상, 하부에 서로 엇갈리면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상, 하부 나이프는 필터(10)의 각 접철선(a)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의 필터(10)를 일정한 형상 즉, 더블유(W) 형상으로 다단 절곡하는 필터절곡부(7)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필터절곡부(7)의 상부 나이프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선(a) 부분에서 필터(10)를 절곡하고 나면, 그 다음 접철선(a)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 나이프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선(a) 부분에서 필터(10)를 절곡하는 등 상기의 상, 하부 나이프가 상, 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며 왕복이동하면서 각 접철선(a)을 기준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필터(10)를 절곡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절곡장치에서 필터(10)를 더블유(W) 형상으로 다단 절곡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10)에 접철선(a)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2)는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맞닿은 상태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공급부(1)에서 필터접철선형성부(2)로 인입되는 필터(10)에 접철선(a)을 형성하도록 하는 상, 하부 로울 러(24,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로울러(25)의 일측에는 구동풀리(2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22)의 하방측인 필터접철선형성부(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풀리(22)와 타이밍벨트(23)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 즉, 구동력이 발생됨과 함께 상기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 로울러(2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로울러(25)의 타측에는 상기 하부 로울러(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외주면에 톱니형상을 갖는 하부 스퍼(spur)기어(2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타측에는 하부 스퍼기어(27)와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 로울러(24)가 하부 로울러(2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외주면에 톱니형상을 갖는 상부 스퍼(spur)기어(26)가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구동풀리(22)가 회전함과 함께 하부 로울러(25)가 회전되면, 상기 하부 로울러(25)의 타측에 결합된 하부 스퍼기어(27)와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타측에 결합된 상부 스퍼기어(26)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는 외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접철선형성돌부(100)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100)는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주면에 방사상 형태로 위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홈부(200)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삽입홈부(200)는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외주면에 방사상 형태로 위치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외주면에는 각 접철선형성돌부(100)와 각 삽입홈부(200)가 번갈아가면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는 하부 로울러(25)의 각 삽입홈부(200)에 위치되어 서로 맞닿음은 물론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각 삽입홈부(200)에는 하부 로울러(25)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가 위치되어 맞닿도록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100)와 각 삽입홈부(200)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외주면에 번갈아가면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각 삽입홈부(200) 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10)의 상, 하면에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접철선(a)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100)의 단부가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도록 일정쿠션을 갖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 즉,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100)를 단면상태로 볼 때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100)의 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각 삽입홈부(200)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삽입홈부(200)는 상기 각 삽입홈부(200) 내에 삽입 결합되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가 삽입홈부(200) 내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외주면인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는 성형이 용이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100)의 뾰족한 단부에 의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나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필터(10)의 상, 하면에 번갈아가면서 접철선(a)을 형성할 때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100)의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일정 쿠션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도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양측부 상방측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1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높이를 조절하는 핸들(28)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터절곡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필터공급부(1)의 롤구동체(11)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롤구동체(11)에 감겨진 필터(10)가 풀어지면서 필터접철선형성부(2) 내로 인입되고, 상기 인입되는 필터(10)는 필터피딩부(3)에 의해 당겨지면서 계속해서 필터절곡장치로 공급된다.
즉,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피딩부(3)의 모터(33)가 구동되면 타이밍벨트(35)에 의해 상기 모터(33)와 연결된 풀리(35)가 회전되고, 상기 풀리(35) 에 축결합된 하부 스퍼기어(37)와 상부 스퍼기어(36)가 맞물려 있음에 따라 상기 상, 하부 스퍼기어(36,37)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인해 상, 하부 피딩롤러(31,32)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터(10)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의 필터(10)는 필터절곡장치에서 원활하게 이송된다.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2) 내로 인입된 필터(10)는 한 쌍의 로울러 즉, 상, 하부 로울러(24,25)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철선(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접철선(a)이 형성된 필터(10)는 계속해서 이송되면서 상기 필터피딩부(3)를 지나 필터폭재단부(4)를 통과하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일정한 폭으로 절단 및 재단된다.
상기 재단된 필터(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핫멜트분사부(5)에서 분사되는 고온으로 용융된 접착제 즉, 핫멜트가 분사되고, 상기 핫멜트가 분사된 필터(10)는 계속해서 이송되어 핫멜트건조부(6)를 통과하면서 상기 핫멜트는 필터(10)의 인접한 대향면 즉,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상호간에 접착가능한 적정 점도를 유지하는 온도까지 냉각되도록 건조된다.
그런 다음, 상기의 필터(10)는 상기 필터절곡부(7)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절곡부(7)로 인입된 필터(10)는 상, 하부 나이프가 상, 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면서 번갈아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 하부 나이프에 의하여 접철선(a)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절곡됨에 따라 최종제품인 필터(10)는 더블유(W) 형상으로 다단 절곡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10)을 더블유(W)형상으로 다단 절곡하기 위해 접철선(a)을 형성하는 필터접철선형성부(2)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에서 도 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공급부(1)로부터 필터접철선형성부(2)로 공급되는 필터(10)는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2)의 상, 하부 로울러(24,25)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송된다.
상기의 상, 하부 로울러(24,25)는 구동모터(21)의 구동력 즉,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스퍼기어(27)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스퍼기어(27)과 맞물린 상태인 상부 스퍼기어(26)가 하부 스퍼기어(27)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은 타이밍벨트(23)에 의해 구동풀리(22)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풀리(22)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구동풀리(22)와 일측이 축결합된 하부 로울러(25)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하부 로울러(25)는 회전한다.
상기 하부 로울러(25)의 타측에는 하부 스퍼기어(27)이 축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하부 스퍼기어(27)도 회전되는데, 상기 구동모터(21)의 축과 구동풀리(22) 및 하부 로울러(25)와 하부 스퍼기어(27)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하부 스퍼기어(27)의 상부에는 상부 스퍼기어(26)가 맞물린 상태로 결합됨은 물론 상기 상부 스퍼기어(26)에는 상부 로울러(24)가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상부 스퍼기어(26)와 하부 스퍼기어(27)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상기 상부 로울러(24)도 상부 스퍼기어(26)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2)로 공급되어 이송하는 필터(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 하부 로울러(24,25)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철선(a)이 형성된다.
상기의 필터접철선형성부(2)에서 접철선(a)을 형성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외주면에는 방사상형태로 복수개의 접철선형성돌부(100)와 복수개의 삽입홈부(200)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각각 형성됨은 물론 상기 각 삽입홈부(200) 내에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는 하부 로울러(25)의 각 삽입홈부(200)에 각각 위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 로울러(25)의 각 삽입홈부(200)에 삽입 결합된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의 표면과 접촉됨은 물론 상기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 내로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로울러(25)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는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각 삽입홈부(200)에 각각 위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로울러(24)의 각 삽입홈부(200)에 삽입 결합된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의 표면과 접촉됨은 물론 상기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 내로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 단부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각 삽입홈부(200) 내에 삽입 결합되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는 일정쿠션을 갖는다.
그럼에 따라, 상기 회전하는 상, 하부 로울러(24,25) 사이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필터(10)에서 접철선(a)이 형성되는 위치인 필터(10)의 상, 하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 및 각 삽입홈부(200) 내에 삽입 결합된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가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맞닿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절철선형성돌부(100)의 단부가 상기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의 상면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일정깊이까지 삽입된다.
즉, 상기 회전하는 상부 로울러(24)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가 상기 회전하는 하부 로울러(25)의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필터(10)의 상면에 접철선(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하는 상부 로울러(24)의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의 상면에 상기 회전하는 하부 로울러(25)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면 상기 필터(10)의 하면에 접철선(a)이 형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가 계속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과 함께 상기 상, 하부 로울러(24,25)의 각 접철선형성돌부(100)와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상기 필터(10)의 상, 하면에 각각 맞닿으면서 상기 접철선형성돌부(100)의 단부가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의 상면으로 일정깊이까지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접철선형성돌부(100)와 접철선형성쿠션부재(210)에 의하여 상기 필터(10)의 상, 하면에 접철선(a)이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10)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의 필터(10)에는 접철선(a)이 정확한 형상으로 제대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접철선형성부(2)에서 필터(10)의 상, 하면에 접철선(a)이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필터(10)는 계속 이송되어 상기 필터절곡부(7)로 인입되고, 상기 필터절곡부(7)에서 필터(10)의 상, 하면에 번갈아가면서 형성된 각 접철선(a)을 중심으로 하여 상, 하방향으로 엇갈리면서 반복적으로 절곡함에 따라 상기 의 필터(10)는 각 접철선(a)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다단 절곡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 전체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 전체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에서 필터접철선형성부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에서 필터접철선형성부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필터접철선형성부에서 접철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필터접첩설형성부에서 접철선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필터절곡장치의 필터피딩부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필터공급부 2: 필터접철선형성부
3: 필터피딩부 4: 필터폭재단부
5: 핫멜트분사부 6: 핫멜트건조부
7: 필터절곡부 8: 제어부
10: 필터 11: 롤구동체
21: 구동모터 22: 구동풀리
23: 타이밍벨트 24: 상부 로울러
25: 하부 로울러 26: 상부 스퍼기어
27: 하부 스퍼기어 100: 접철선형성돌부
200: 삽입홈부 210: 접철선형성쿠션부재

Claims (3)

  1. 필터를 다단 절곡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필터에 접철선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벨트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필터가 인입되어 접철선을 형성하는 상,하부 로울러와, 상기 상,하부 로울러와 축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로울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부 스퍼기어(spur gear)가 구비된 필터절곡장치의 필터접철선형성부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은 물론 단부가 뾰족한 형상인 복수개의 접철선형성돌부가 방사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의 사이인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 하부 로울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은 물론 내측으로 파여진 복수개의 삽입홈부가 방사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홈부 내에는 상기 각 접철선형성돌부의 단부가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도록 일정쿠션을 갖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기 상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는 상기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와 맞닿고, 상기 하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돌부는 상기 상부 로울러의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와 맞닿음에 따라 상기 상, 하부 로울러 사이로 인입되는 필터의 상, 하면에 접철선이 번갈아가면서 연속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홈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 삽입홈부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접철선형성쿠션부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접철선형성쿠션부재는 일정쿠션을 갖는 실리콘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KR2020090013224U 2009-10-12 2009-10-12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KR200459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24U KR200459547Y1 (ko) 2009-10-12 2009-10-12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24U KR200459547Y1 (ko) 2009-10-12 2009-10-12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8U KR20110003788U (ko) 2011-04-20
KR200459547Y1 true KR200459547Y1 (ko) 2012-03-30

Family

ID=4420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224U KR200459547Y1 (ko) 2009-10-12 2009-10-12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4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635B1 (en) 1996-10-18 2001-09-18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evice for folding a web of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0635B1 (en) 1996-10-18 2001-09-18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evice for folding a web of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8U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49075B (zh) 造纸成型自动化分切装置
KR100966894B1 (ko) 필터절곡장치
CN103481215B (zh) 抛光轮装置及具有其的自动去毛刺机
WO2011019502A1 (en) Methods and appartuses for anvil reconditioning
JP6329549B2 (ja) 連続ガラスリボンの加工方法
RU200711072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ъема листов волокон с травянистой части растений банан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умажной продукции
KR200459547Y1 (ko) 필터절곡장치의 필터 접철선 형성구조
WO2019102783A1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CN204148976U (zh) 全自动圆管毛刺去除机
CN209973877U (zh) 面摩擦展平装置
CN101502972B (zh) 用于对杆状元件打孔的组件
JP519178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方法
KR20150053469A (ko) 콘베이어 벨트 표면부 클리닝 장치
TWI599418B (zh) 帶坯連鑄機及其運行方法
JP2008229554A (ja) 蛍光灯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2044316B1 (ko) 스트립 방향전환 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EP01604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laps from a continuous web of paper
CN212422106U (zh) 一种透明pp挤出机在线除尘设备
CN112839885B (zh) 高精度辊式输送机
JP5569805B2 (ja) 線材表面の加工装置
EP2561982B1 (en) An installation for compacting pap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3726634U (zh) 火烧机
CN109761093A (zh) 展平收卷装置
RU116396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ачистки и шлифовки наружной част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деревянных деталей цилиндрической формы, как прямых, так и изогнутых от загрязнений и поверхностных дефектов
KR100812163B1 (ko) 그라인더 캐빈 내부의 스와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