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61Y1 -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 Google Patents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61Y1
KR200459361Y1 KR2020090010943U KR20090010943U KR200459361Y1 KR 200459361 Y1 KR200459361 Y1 KR 200459361Y1 KR 2020090010943 U KR2020090010943 U KR 2020090010943U KR 20090010943 U KR20090010943 U KR 20090010943U KR 200459361 Y1 KR200459361 Y1 KR 200459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ipper
sliding door
contac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014U (ko
Inventor
강민성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2020090010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6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에 관한 것으로, 좌우문틀(40)의 요홈부에 접하는 미닫이문(30)의 수직방향 옆면과,상호간에 접하는 어느 한쪽의 수직방향의 미닫이문(30) 옆면과, 상?하부문틀(40a;40b)에 접하는 미닫이문 수평면 전길이를 통하여 'ㄷ'자형 요홈을 형성해 이에 삽입되는 스트립퍼(100)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퍼(100)는 길이방향 단면이'
Figure 112009051238822-utm00001
'형상을 갖는 연속길이 형태로, 상단의 사면(22) 중간을 기준으로 바닥에 일체 형성된 접이부(23)을 제외하고 좌우로 전개되고, 길이방향 양 외측벽은 상향의 톱날과 같은 돌조(21)가 연속된 패킹부재(20)를 형성하고, 형성된 길이방향 전개부에는 일테두리에 실리콘질 코팅라인(11)이 형성되고 내후성이면서 탄성재인 열가소성 필름(10)이 일체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100)로 특히 신축의 미닫이문은 물론이며, 기성문에도 시공이 용이하며, 문틀의 요홈부와 미닫이문,미닫이문 상호간의 틈새를 막아 외풍을 차단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Description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the stripper for opening and shutting wood door}
본 고안은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의 미닫이문은 물론이며, 기성문에도 시공이 용이하며, 문틀의 요홈부와 미닫이문,미닫이문 상호간의 틈새를 막아 외풍을 차단하는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 틈새로 들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서는 문짝 주변을 돌아가며 붙이는 형식의 종이와, 접착스티커식으로 붙이는 스펀지,또는 연질고무나 비닐계통의 바람막이가 많이 유통되고 있다.
금속샤시나 프라스틱 샤시의 미닫이형이나 여닫이형에 마련된 방음,방풍시공으로는 문이나, 문틀의 요홈부에 삽입한 브러시타입이나, 필름, 밴드타입의 바람막이재가 가장 일반적이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91-874호 1991.1.23에 따른 문의 완충용 패킹(이하 문헌 1이라 한다)에 따르면, U자의 단면을 갖는 패킹형태로 패킹상부에 대향된 플랜지와 측벽의 외면에 상향경사진 돌조를 형성하고, 플랜지와 측벽의 접속부분에 두꺼운 내향만곡부를 형성하되,플랜지의 저면에 요홈선이 형성된 패킹재의 형태가 있다.
또 다른 선원기술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34010호 나무문짝의 틈새 막이(이하 문헌 2라 한다)에 따르면, 다수의 기모가 형성된 실벨트와 실벨트를 끼워 부착하는 긴홈이 형성된 찬넬형의 부착구를 일조로 구성하여, 문틀과 나무도어의 접촉부, 또는 두 미닫이 문짝이 겹치는 부위에 홈을 파서 상기 부착구를 홈에 매입시키는 방식의 바람막이재가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선원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10-2009-55716호 2009.6.3 도어용 문풍지(이하,문헌 3이라 한다)는 여닫이 또는 슬라이드로 개폐되는 문에 접착하는 형태로 문풍지의 절단면이 삼각형으로 갖추고, 배면의 양면테이프로 문틀이나, 문에 접착하는 방식의 문풍지와 같은 기술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문틀의 요홈부와 미닫이문,미닫이문 상호간의 틈새를 막아 외풍을 차단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문헌 1과 같은 완충용 패킹에서는 문틀에 접촉면에 전 길이를 통하여 'ㄷ'자형 요홈을 형성해, 이에 문이 충돌시 접하도록 삽입하는 패킹으로, 요홈부에 삽입된 패킹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측벽의 접속부분에 두꺼운 내향 만곡부로 형성된 플랜지에 의하여, 문틀에 접하는 문이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이 남아 있으며, 또 문헌 2와 같은 경우에는 기성문짝이나 문틀에 부착구 홈을 내서 매입시키거나, 피스로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기모에 의하여, 문틀로부터 문의 밀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수반된다.
기타, 문헌 3과 같은 경우의 문풍지는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문틀의 요홈부나 요홈부에 접하는 문짝에 부착하는 형태로 기존 사각면재의 문풍지에 비하여 문틀과 문의 접촉부분의 두께를 줄이는 잇점이 있으나, 역시 문과 틀 사이에 압축되는 과정에서 문틀로부터 문이 들뜨는 것을 해결하지 못하며, 스펀지 형태로 먼지가 쌓이는 문제 등이 여전한 과제로 남아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특히 신축의 미닫이문은 물론이며, 기성문에도 시공이 용이하며, 문틀의 요홈부와 미닫이문,미닫이문 상호간의 틈새를 막아 외풍을 차단하도록,좌우문틀(40)의 요홈부에 접하는 미닫이문(30)의 수직방향 옆면과,상호간에 접하는 어느 한쪽의 수직방향의 미닫이문(30) 옆면과, 상?하부문틀(40a;40b)에 접하는 미닫이문 수평면 전길이를 통하여 'ㄷ'자형 요홈을 형성해 이에 삽입되는 스트립퍼(100)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퍼(100)는 길이방향 단면이 '
Figure 112009051238822-utm00002
'형상을 갖는 연속길이 형태로, 상단의 사면(22) 중간을 기준으로 바닥에 일체 형성된 접이부(23)을 제외하고 좌우로 전개되고, 길이방향 양 외측벽은 상향의 톱날과 같은 돌조(21)가 연속된 패킹부재(20)를 형성하고, 형성된 길이방향 전개부에는 일테두리에 실리콘질 코팅라인(11)이 형성되고 내후성이면서 탄성재인 열가소성 필름(10)이 일체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는 우선 시공면에 있어서,기존의 경우에는 문틀의 코너부에는 수작업으로 요홈을 파내는 관계로 기성문에는 시공이 곤란하지만, 본 고안의 경우에는 문틀이 아닌 미닫이문을 떼어내 상하면 테두리나, 상호 교행하는 면에 기계톱으로 요홈을 쉽게 가공해 스트립퍼를 끼우는 방식으로 기성문에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사용상의 효과 면에서도 좌우로 전개되는 패킹부재에 마련된 사면은 미닫이문에 삽입된 스트립퍼의 필름이 어느 한쪽으로 자연스럽게 접어지게 유도됨과 동시에, 밀착시 종전의 문풍지나, 스펀지형의 스트립퍼에 비하여 실리콘질 코팅라인(11)의 밀착성과 탄성재인 필름에 의하여 틈새가 긴밀해 외풍을 차단하는 효과가 높도록 하였다.
또한, 설치된 문의 개소에 따라서 문틀과 미닫이문과의 틈새가 다양해 필름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도 패킹부재 사이에 끼우는 필름의 높이를 조정해 틈새 공차를 적정 한도내에서 조정할 수 있어 시공상의 편의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조립도로 도시된바 와 같이,
좌우문틀(40)의 요홈부에 접하는 미닫이문(30)의 수직방향 옆면과, 상호간에 접하는 어느 한쪽의 수직방향의 미닫이문(30) 옆면과, 상?하부문틀(40a;40b)에 접하는 미닫이문 수평면 전길이를 통하여 'ㄷ'자형 요홈을 형성해 이에 삽입되는 스트립퍼(100)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퍼(100)는 길이방향 단면이 '
Figure 112009051238822-utm00003
'형상을 갖는 연속길이 형태로, 상단의 사면(22) 중간을 기준으로 바닥에 일체 형성된 접이부(23)을 제외하고 좌우로 전개되고, 길이방향 양 외측벽은 상향의 톱날과 같은 돌조(21)가 연속된 패킹부재(20)를 형성하고, 형성된 길이방향 전개부에는 일테두리에 실리콘질 코팅라인(11)이 형성되고 내후성이면서 탄성재인 열가소성 필름(10)이 일체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요부단면도 도 3의 'A'는 'ㄷ'자형 좌우문틀 요홈에 접하는 미닫이목문에 적용된 요부발췌도이며, 'B'는 상호 면접촉되는 미닫이목문의 적용상태 요부발췌도이다.
상기의 'A'와 같이, 좌우문틀(40)의 'ㄷ'자형 요홈에 접하는 미닫이문(30)의 수직방향 옆면 전길이에 폭 3㎜, 깊이 7㎜의 요홈을 형성하여, 길이방향 좌우로 전개되는 패킹부재(20) 사이에 코팅라인(11)이 상향되게 필름(10)을 삽입한 후, 양 외측벽에 돌조(21)가 형성된 패킹부재(20)을 상기 미닫이문에 형성한 요홈부에 억지끼움으로 조립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필름(10)의 높이는 수종으로 구비해, 문틀과 미닫이문이 접하는 거리가 현장에 따라 상이하므로 패킹부재(20)에 끼운후, 사면(22) 사이의 전개부에 끼워진 필름(10) 높이를 조정함이 요구된다.
본 고안에 따른 좌우로 전개되는 패킹부재(20)에 마련된 사면(22)은 미닫이문(30)에 삽입된 스트립퍼(10)의 필름(10)이 어느 한쪽으로 자연스럽게 접어지게 유도됨과 동시에, 밀착시 종전의 문풍지나, 스펀지형의 스트립퍼에 비하여 실리콘질 코팅라인(11)의 밀착성과 탄성재인 필름에 의하여 틈새가 긴밀해 외풍을 차단하는 효과가 높도록 하였다.
또, 상호 면 접촉되는 미닫이목문 상호간에 접하는 요부발췌도인 도 3의 와'B'같이, 어느 한쪽의 미닫이문의 수직면에 요홈을 형성해 스트립퍼(100)를 삽입시키면, 미닫이문(30)이 상호 틈새는 매우 협소하나, 슬립 경박하면서도 내후성이 있고 탄성이 있는 필름(10)은 미닫이문이 상호 교행할 때마다, 패킹부재(20)의 사 면(22)에 좌우로 미닫이문이 진행하는 쪽으로 필름(10)이 반복적으로 쓸어 넘어가는 상태로 틈새에 위치된다.
따라서, 실리콘질 코팅라인(11)과 필름의 탄발력에 의하여, 교행된 미닫이문의 틈새도 긴밀하게 외풍을 차단 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4와 도시와 같이, 상부문틀(40a)과 하부문틀(40b) 각면에 접하는 미닫이문(30)의 상하 틈새에 설치되는 참고단면도로, 미닫이문의 상면테두리와 하면의 호차(42)가 매입된 측면테두리 전 길이에 요홈을 형성해 스트립퍼(100)를 삽입한 것으로, 레일(41) 상에 얹힌 미닫이문(30)의 실외쪽 사면(22)으로 필름(10)이 향하도록 설치해, 외풍을 긴밀히 차단시키고 미닫이문 교행시에도 미닫이문과 문틀과의 틈새를 실리콘질 코팅라인(11)의 밀착성과 탄성재인 필름에 의하여 긴밀하게 차단하도록 하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요부단면도로 'A'는 'ㄷ'자형 문틀요홈에 접하는 미닫이목문에 적용된 요부발췌도, 'B'는 상호 면접촉되는 미닫이목문의 적용상태 요부발췌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문틀과 하부문틀 각면에 접하는 미닫이문의 상하 틈새에 설치되는 참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필름 11:코팅라인
20:패킹부재 21:돌조
22:사면 23:접이부
30:미닫이문 40:좌우문틀
40a:상부문틀 40b:하부문틀
41:레일 42:호차
100:스트립퍼

Claims (1)

  1. 좌우문틀(40)의 요홈부에 접하는 미닫이문(30)의 수직방향 옆면과,상호간에 접하는 어느 한쪽의 수직방향의 미닫이문(30) 옆면과, 상?하부문틀(40a;40b)에 접하는 미닫이문 수평면 전길이를 통하여 'ㄷ'자형 요홈을 형성해 이에 삽입되는 스트립퍼(100)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퍼(100)는 길이방향 단면이 '
    Figure 112009051238822-utm00004
    '형상을 갖는 연속길이 형태로, 상단의 사면(22) 중간을 기준으로 바닥에 일체 형성된 접이부(23)을 제외하고 좌우로 전개되고, 길이방향 양 외측벽은 상향의 톱날과 같은 돌조(21)가 연속된 패킹부재(20)를 형성하고, 형성된 길이방향 전개부에는 일테두리에 실리콘질 코팅라인(11)이 형성되고 내후성이면서 탄성재인 열가소성 필름(10)이 일체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KR2020090010943U 2009-08-21 2009-08-21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KR200459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43U KR200459361Y1 (ko) 2009-08-21 2009-08-21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943U KR200459361Y1 (ko) 2009-08-21 2009-08-21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14U KR20110002014U (ko) 2011-03-02
KR200459361Y1 true KR200459361Y1 (ko) 2012-03-23

Family

ID=4420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943U KR200459361Y1 (ko) 2009-08-21 2009-08-21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6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660A (ja) * 2002-05-13 2003-11-19 Tsuchiya Tsco Co Ltd パイルウェザーストリップ
KR20070077655A (ko) * 2006-01-24 2007-07-27 복 서 박 벽체와 문틀 사이의 틈새 밀폐방법
KR20080000050U (ko) * 2007-04-04 2008-01-10 박종문 출입문용 바람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660A (ja) * 2002-05-13 2003-11-19 Tsuchiya Tsco Co Ltd パイルウェザーストリップ
KR20070077655A (ko) * 2006-01-24 2007-07-27 복 서 박 벽체와 문틀 사이의 틈새 밀폐방법
KR20080000050U (ko) * 2007-04-04 2008-01-10 박종문 출입문용 바람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14U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7500B2 (en) Entry system with water infiltration barrier
US8966839B2 (en) Window assembly
KR102149651B1 (ko) 글래스런 시스템용 플라스틱 채널 조립체-빌로 벨트 브래킷
GB2391252A (en) Finger guard for a door
KR200470050Y1 (ko) 샷시문용 방풍구
KR100720135B1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200459361Y1 (ko) 미닫이목문용 스트립퍼
JP2007297831A (ja) ふかし枠、及び、建具
US20210332639A1 (en) Adjustable corner pad and method of use
US20050151395A1 (en) Water catching strip with a water catching channel disposed between a vehicle a-pillar and windshield
KR101504265B1 (ko) 타원형 구조를 갖는 발포 풍지판
KR20130006567U (ko) 미닫이 창호문의 레일 방풍재
EP1662084A3 (en) Guide for liftable glass panes of vehicle door windows
CN217435481U (zh) 车窗玻璃导轨结构、车门和汽车
KR102121309B1 (ko) 방풍재
US2182207A (en) Weather strip assembly
US2263872A (en) Weather strip
JP4433423B1 (ja) 隙間風防止具。
KR20090055716A (ko) 도어용 문풍지
JP2876098B2 (ja) ドア枠
RU2309236C2 (ru) Эластичный перекрывающий уплотняемый зазор уплотнитель для окон, дверей или иных аналогич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AU2015101590A4 (en) Garage Door Seal
JP5000953B2 (ja) 開口部周り構造、開口部周り施工方法および開口部周り化粧部材
JP3920684B2 (ja) パネルの目地構造
JP3027809U (ja) 木製引き戸用歪み吸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