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82Y1 -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82Y1
KR200459282Y1 KR2020100004592U KR20100004592U KR200459282Y1 KR 200459282 Y1 KR200459282 Y1 KR 200459282Y1 KR 2020100004592 U KR2020100004592 U KR 2020100004592U KR 20100004592 U KR20100004592 U KR 20100004592U KR 200459282 Y1 KR200459282 Y1 KR 200459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advertisement
main
unit
mai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466U (ko
Inventor
이한승
Original Assignee
이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승 filed Critical 이한승
Priority to KR2020100004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8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더 유닛에 의해 감지된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해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DID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비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기능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방향정보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도사인 기능이 광고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소비자를 특정지역 또는 행사 장소 등으로 안내하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지역 또는 행사 등을 선택하였을 경우 해당 지역으로 소비자의 이동경로를 함께 표시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광고효과가 상승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Advertising Device Capable of Estimat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본 고안은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한 DID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고,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방범 및 보안, 시설물 관리 기능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입간판 형태의 광고판이나 위치정보를 알리는 사인보드는 인쇄물을 보드에 부착하거나 배너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광고와 각종 유도사인이나 안내사항 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인쇄물로 제작하여 게시함으로써 광고나 유도사인, 안내사항 등에 대한 내용이 변경되거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쇄물을 새로 제작하여야 하며, 이 기간 동안에는 변경된 광고나 유도사인, 안내사항 등의 수정된 정보 게시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새로 교체하거나 수정할 때마다 인쇄물 제작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야간 시에는 가시도가 떨어져 광고나 유도사인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고자 라이트박스의 형태로 제작하여 내부에 형광등 조명을 설치하여 운용하지만 이는 형광등 교체 등 잦은 유지보수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광고의 내용이나 유도사인, 안내사항 등이 교체될 때마다 인쇄물을 계속 새로 제작하여 수작업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고실시에 따른 효과측정 즉, 광고노출도 측정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근거자료 또한 명확하지가 않아서 광고실시에 따른 광고장소가 적합한 장소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으며, 단지 유동인구가 많다는 이유로 광고장소를 선정하여 광고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광고비를 책정하는 데 있어서 해당 지역의 광고노출도에 대한 근거 자료가 불충분하여 명확한 광고비를 책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입간판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해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이하 “DID”라 함)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비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기능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향정보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도사인 기능이 광고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되어 소비자를 특정지역 또는 행사 장소 등으로 안내하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지역 또는 행사 등을 선택하였을 경우 해당 지역으로 소비자의 이동경로를 함께 표시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광고효과가 상승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고노출도 측정을 위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이하 “CCTV”라 함)와 레이더 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광고를 관찰하는 계층 등을 구분하여 통계화가 가능하고, 방범 및 보안, 시설물 관리 기능이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획득된 영상정보와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해당 인터넷 웹사이트에 실시간으로 게시함으로써, 광고주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실시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광고실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약이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더 유닛에 의해 감지된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야 확보를 위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 각각의 디스플레이 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 각각의 디스플레이 면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센싱 유닛은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센싱 유닛은 레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나타내는 영상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에는 방향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도사인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입간판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에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해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DID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비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기능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정보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도사인 기능이 광고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소비자를 특정지역 또는 행사 장소 등으로 안내하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지역 또는 행사 등을 선택하였을 경우 해당 지역으로 소비자의 이동경로를 함께 표시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광고효과가 상승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시되는 광고 및 유도사인, 안내정보 등의 변경이나 수정 등의 관리가 메인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인쇄물 제작이 필요하지 않아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광고의 경우 인쇄물 형태의 한정된 광고가 아닌 동영상 광고 및 풀컬러 이미지 광고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물을 게시할 수 있고, 메인서버를 통해 거리와 시간에 제약 없이 광고 게시와 수정, 삭제 등의 관리가 용이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광고노출도 측정을 위한 CCTV와 레이더 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광고를 관찰하는 계층 등을 구분하여 통계화가 가능하고, 방범 및 보안, 시설물 관리 기능이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획득된 영상정보와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해당 인터넷 웹사이트에 실시간으로 게시함으로써, 광고주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실시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광고실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약이 가능한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100)는 기본적으로 본체(102)를 포함하며, 이러한 본체(102)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작할 경우 지반위에 설치하고, 박판의 형태로 제작할 경우 벽걸이 형태로 벽면에 설치한다.
본체(102)의 상부측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04)가 배치되고,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의 하부측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114)가 설치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는 LCD, PDP, 3D(3차원 입체영상)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일부에 터치패널(Touch panel) 형태를 적용하여 사용하거나, 화면 전체를 터치패널 형태로 하여 사용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는 본체(102)의 전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의 상부를 경사(θ1)지게 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부(114)의 하부를 경사(θ2)지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04) 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114)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은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를 동시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04)는 상부를 경사(θ1)지게 하고, 보조 디스플레이부(114)는 하부를 경사(θ2)지게 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 각각의 하부를 경사(θ1, θ2)지게 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면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에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해 DID시스템을 적용한다. DID 시스템은 영화 예고편, 뮤직비디오, CF 광고 같은 각종 동영상 광고 및 이미지 광고와, 지역정보 및 각종 생활정보 그리고 해당 광고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부 (104)의 설치 장소가 병원일 경우 병원이용 정보 및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며, 공항일 경우 공항이용 및 여행관련 정보 등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에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되어 소비자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기능이 가능하여 소비자가 사용하는 데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형태의 DID시스템이 구현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4)를 구비할 경우, 인터넷 온라인을 통해 네트워크화 되어 메인서버에서 광고와 디지털 정보에 대한 게시 및 수정 등의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지역과 시간에 제한 없이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의 일부에는 유도사인 기능이 함께 표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유도사인 기능은 소비자에게 방향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해 특정한 장소 등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터치스크린을 통해 특정 지역을 검색할 경우 유도사인 기능을 통해 그 지역까지 소비자가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어 소비자가 선택한 지역으로 손쉽게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유도사인 기능을 소비자가 사용할 경우 광고가 실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4) 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114)를 주시하고 있어 소비자에게 자연스러운 광고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의 사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에서 나타내는 영상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6)가 배치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의 사이에는 본체(102)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 즉, 소비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130)과 센싱 유닛(130)에 의해 감지된 소비자를 촬영하기 위한 CCTV와 같은 형태의 비전부(140)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싱 유닛(130)은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더를 사용한다.
비전부(140)에 의해 저장된 영상은 통계화를 위해 해당 지역에 대한 광고 노출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CCTV와 같은 비전부(140)의 제어 및 운용에 따른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기존 비디오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 등을 사용함으로써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쉬우며,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기 때문에 편집과 화상을 전송하기에도 편리하고, 현재 PC 기반의 형태로 제작 및 운용된다. 또한, 비전부(140)에 의해 DVR에 저장된 영상자료를 통해 방범 및 보안기능과 시설물 관리를 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비전부(140)를 통한 광고노출도 측정에 있어서 개인정보 등에 관련한 법적인 문제의 소지가 있을 경우, 비전부(140)의 영상은 DVR에 저장하지 않고 측정된 광고노출도의 수치 데이터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장소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10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114)는 각각 인터넷 온라인을 통해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메인 운영서버에서 광고의 게시 및 수정, 추가, 삭제 등의 관리와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쿠폰의 종류 및 수량 등에 대한 통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비전부(140)와 센싱 유닛(130)을 통해 얻어진 영상정보와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해당 인터넷 웹사이트에 게시함으로써, 광고주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주는 광고실시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광고실시 현장의 영상과 광고노출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광고실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체(102)에는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비전부(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는 동영상 광고 및 디지털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한다는 기술적 사상을 가진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형태로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이 실제 광고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내용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본체 104: 메인 디스플레이부
106: 스피커 114: 보조 디스플레이부
130: 센싱 유닛 140: 비전부
150: 제어부

Claims (8)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한 이동 대상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레이더 유닛에 의해 감지된 대상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비전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의 입출력 제어 및 상기 비전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야 확보를 위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 각각의 디스플레이 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 각각의 디스플레이 면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은 레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 나타내는 영상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에는 방향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도사인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2020100004592U 2010-04-30 2010-04-30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200459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92U KR200459282Y1 (ko) 2010-04-30 2010-04-30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592U KR200459282Y1 (ko) 2010-04-30 2010-04-30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66U KR20110010466U (ko) 2011-11-07
KR200459282Y1 true KR200459282Y1 (ko) 2012-03-22

Family

ID=476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592U KR200459282Y1 (ko) 2010-04-30 2010-04-30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669A (zh) * 2014-11-28 2015-03-04 河南智金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化信息展示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109Y1 (ko) * 2018-01-31 2020-02-21 송훈주 테이블형 광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379A (ko) * 2005-08-12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포함한 컴퓨터시스템
KR20080041788A (ko) * 2006-11-08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자동 위치 설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9379A (ko) * 2005-08-12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포함한 컴퓨터시스템
KR20080041788A (ko) * 2006-11-08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자동 위치 설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669A (zh) * 2014-11-28 2015-03-04 河南智金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化信息展示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66U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657B2 (en) Inserting interactive objects into video content
EP1621982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20100313214A1 (en) Display system, system for measuring display effect, display method, method for measuring display effect, and recording medium
JP2010098730A5 (ko)
JP624395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271612B2 (ja)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プログラムとその記憶媒体
KR200459282Y1 (ko)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20190119919A (ko) 스마트 광고 시스템
KR102151880B1 (ko) 골프장 전동 카트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광고 방법
KR200463804Y1 (ko) 광고 효과 측정이 가능한 광고장치의 배치구조
KR101615330B1 (ko)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28157A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KR10155181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및 영상서비스 방법
KR20100006618U (ko) 광고효과 측정이 가능한 사인기능 디지털 디스플레이
KR200468825Y1 (ko) 광고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광고판
JP5542469B2 (ja) 情報提示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04219U (ko) 광고측정을 위한 카메라와 레이더 유니트 기기
KR20100002851U (ko) 광고측정이 가능한 편의점용 엘이디 디스플레이
JP2012173338A (ja) 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100002514U (ko) 광고측정이 가능한 마트용 엘시디 광고판
KR100796232B1 (ko) 다목적 자동판매기
KR200469723Y1 (ko) 광고효과 측정이 가능한 다기능 디지털 디스플레이
KR10113761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구조물 광고 시스템
KR20100003082U (ko) 광고측정이 가능한 은행용 엘시디 광고판
TWI430170B (zh) 電子看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