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157A -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157A
KR20160028157A KR1020140116823A KR20140116823A KR20160028157A KR 20160028157 A KR20160028157 A KR 20160028157A KR 1020140116823 A KR1020140116823 A KR 1020140116823A KR 20140116823 A KR20140116823 A KR 20140116823A KR 20160028157 A KR20160028157 A KR 2016002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eam projector
image
functional film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639B1 (ko
Inventor
이선훈
Original Assignee
이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훈 filed Critical 이선훈
Priority to KR102014011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6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2Lenticular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에 광고노출 공간을 마련하고, 영상을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권취봉과, 승강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권취봉과 창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권취봉과, 상기 제1 권취봉에 결합되어 영상이 양쪽 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성 필름과, 상기 제2 권취봉에 결합되는 차광필름과, 상기 기능성 필름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 및 상기 빔 프로젝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빔 프로젝터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구밀집도가 높은 건물에 구비된 창문 등의 시설물을 광고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광고노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IMAGE SERVICE SYSTEM USING FUNCTIONAL FILM}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에 광고노출 공간을 마련하고, 영상을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고주가 특정 상품이나 아이디어, 서비스를 대중 매체를 이용하여 유료로 소비자에게 알리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가 광고이다. 이러한 광고는 통상적으로 상품, 아이디어,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거나 구매를 권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 자동차 등 제품 광고에서는 그 제품이 광고 내용이 되고, 정치 광고에서는 후보자나 정당의 정책, 의견 등이 광고 내용이 된다. 이처럼 모든 광고에는 소비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게 마련이다.
또한, 광고는 신문이나 잡지, TV, 라디오 등의 매스 미디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 노출될 수도 있고, 옥외에 대형 광고판을 이용하여 소비자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때, 광고판은 사람의 왕래가 잦은 번화가, 공공장소, 지하철역, 기차역 등에 주로 설치하여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 아이디어 등을 널리 알리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오프라인으로 설치되어 있는 광고판은 설치 장소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료가 비싸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심히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광고 등과 같이 자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광고의 경우에는 오랫동안 기억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광고의 노출 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정지화면을 노출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동영상 광고를 제공하고, 적은 비용으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2577호(2010.02.0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9374호(2011.12.0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4324호(2004.10.0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창문을 광고판으로 활용하여 오프라인 광고의 노출공간을 다양하게 확보하고, 광고의 노출용으로 이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영상을 차단하여 실내전용 영상출력 기능도 제공하는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화면거치수단과, 승강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화면거치수단과 창문 사이에 배치되는 권취봉과, 상기 화면거치수단에 결합되어 영상이 양쪽 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성 필름과,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는 차광필름과, 상기 기능성 필름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 및 상기 빔 프로젝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빔 프로젝터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권취봉과, 승강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권취봉과 창문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권취봉의 이웃한 상부나 하부, 또는 제1 권취봉의 수평방향에 구비되는 제2 권취봉과, 상기 제1 권취봉에 결합되어 영상이 양쪽 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성 필름과, 상기 제2 권취봉에 결합되는 차광필름과, 상기 기능성 필름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 및 상기 빔 프로젝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빔 프로젝터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구밀집도가 높은 건물에 구비된 창문 등의 시설물을 광고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광고노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국 광고뿐만 아니라 기능성 필름이 설치된 지역에 상응하는 지역 광고를 보행자 등의 광고수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이 설치된 건물의 내부 노출을 건물의 입주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프라이빗 기능과 창문 본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이하, '영상서비스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창문에 장착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는 화면거치수단(20) 및 권취봉(30)과, 상기 화면거치수단(20)에 결합되고 양방향으로 영상이 출력되는 기능성 필름(40)과, 상기 권취봉(30)에 결합되는 차광필름(50),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TV영상 각종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영상데이터 DB로부터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관리 단말기(7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창문, 예를 들면 창문이나 창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면거치수단(20)과 권취봉(3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0)는 창문에 접촉공간을 제공하는 창문 접촉판과, 상기 창문 접촉판의 양단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화면거치수단(20)과 권취봉(30)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권취봉 접촉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화면거치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화면거치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기능성 필름(40)을 케이스(10)에 거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면거치수단(20)으로는 권취봉이나 투명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된 외형을 갖는 기능성 필름(40)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면거치수단(20)으로는 상기 기능성 필름(40)이 부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투명패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소재의 기능성 필름(40)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면거치수단(20)으로는 기능성 필름(40)이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원통형 구조의 권취봉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권취봉(30)을 포함한다.
상기 권취봉(30)은 승강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기능성 필름(4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외부 노출을 차단시키기 위해 화면거치수단(20)과 창문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권취봉(30)은 승강로프의 조절에 따라 차광필름(50)이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봉(30)은 화면거치수단(20)으로 또 다른 제1 권취봉이 사용된 경우, 도 1과 같이 제1 권취봉의 이웃한 상부나 하부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10) 폭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화면거치수단(20)으로 권취봉이 사용된 경우, 화면거치수단(20)에 이웃한 권취봉(30)과 구분하기 위해 화면거치수단(20)으로 사용된 권취봉을 제1 권취봉으로, 권취봉(30)을 제2 권취봉으로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봉(30)은 화면거치수단(20)으로 또 다른 제1 권취봉이 사용된 경우, 도 2와 같이 화면거치수단(20)의 수평 방향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천정부에 케이스(1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넓은 경우에 화면거치수단(20)의 수평 방향에 권취봉(30)을 배치하고, 천정부에 케이스(1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좁은 경우에 화면거치수단(20)의 이웃한 상부나 하부에 권치봉(30)을 배치함으로써, 설치 공간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권취봉(30)이 화면거치수단(20)의 수평 방향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에 설치되면, 차광필름(50)이 기능성 필름(40)과 대등한 면적의 크기를 갖도록 하여 차광필름(50)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권취봉(20)과 제2 권취봉(30) 또는 이들 모두에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승강로프가 권취된 권취봉을 소정 방향으로 정·역회전시킴으로써 기능성 필름(40), 차광필름(50), 또는 이들 모두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기능성 필름(40)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필름(40)은 빔 프로젝터(60)를 통해 출력된 영상이 양쪽 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필름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필름이라면 어떠한 필름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투명도가 다양하게 조절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성 필름(40)으로는 양방향에서 영상이 맺히는 투명필름, 반투명 필름, 불투명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반투명 필름의 투명도가 높을수록 반투명 필름에 맺히는 상이 잘 안보이고, 투명도가 낮을수록 반투명 필름에 맺히는 상이 더 잘 보인다. 그리고 반투명 필름에 맺히는 상은 낮 보다는 밤에 원활히 인식된다.
이러한 반투명 필름으로는 일반적인 반투명 필름 이외에도 불투명한 화이트필름, 검정비드가 미량 포함된 그레이 필름, 검정비드가 다량 포함된 다크 그레이 필름도 있다. 이때, 선명도는 다크 그레이 필름과 그레이 필름, 화이트 필름 순으로 우수하게 맺힌다.
또한, 불투명 필름으로는 블랙 색상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투명 필름은 빔 프로젝터(60)를 통해 출력된 영상이 일반적인 세기로 출력되면 빔 프로젝터(60)를 마주보는 측면에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만, 빛의 세기를 높게 해 영상을 출력하면 빔 프로젝터(60)를 마주보는 측면뿐만 아니라, 반대면에서도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양방향으로 영상이 맺히는 정도는 빔 프로젝터(60)가 조사하는 방향에 20% 정도, 반대방향에 80% 정도가 맺히는 게 현재 일반적이나, 50:50이나 80:20으로도 조정이 가능하다. 이는, 각종 유무기 파우더로서 실리카(Slilica), PMMA 등의 비드를 PET 필름 안팎에 어떤 농도로 코팅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기능성 필름(40)은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창문에 배치되도록 화면거치수단(2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면거치수단(20)으로 투명패널이 사용된 경우, 기능성 필름(40)은 투명패널의 일측 표면에 부착된다.
아울러, 화면거치수단(20)으로 제1 권취봉이 사용된 경우, 상기 기능성 필름(40)은 상하방향으로 자체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승강로프(미도시)가 설치되되, 승강로프의 상단은 제1 권취봉(20)에 권취되어 있고 그 하단은 기능성 필름(4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측 스페이서 간봉에 결합된 고정바(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차광필름(50)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필름(50)은 기능성 필름(4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창문의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을 차단하는 필름으로, 이를 위해 권취봉(30)에 결합된다.
상기 기능성 필름(4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창문의 바깥으로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차광필름(50)은 승강로프를 통해 권취봉(30)에 감겨진다. 이와 반대로, 기능성 필름(4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창문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차광필름(50)은 승강로프를 통해 권취봉(30)부터 풀려져 기능성 필름(4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영상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프리젠테이션 등의 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프리젠테이션의 내용이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프리젠테이션 내용의 보안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4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외부 노출을 차단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차광필름(50)은 창문과 기능성 필름(40)의 사이에서 창문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영상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차광필름(50)은 기능성 필름(4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뿐만 아니라, 차광필름 자체로 영상을 내부로만 단방향으로 반사시키고자 하는 경우 승강로프를 통해 권취봉(30)부터 풀려질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필름(40)은 차광필름(50)의 전면이 개방되도록 제1 권취봉(20)에 권취된다.
이와 같이, 차광필름(50)은 주로 낮시간에 암막스크린필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낮 시간에는 기능성 필름(40)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반면, 단방향 암막필름으로 구성된 차광필름(50)은 시인성이 좋기 때문이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광필름(50)은 상하방향으로 자체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승강로프(미도시)가 설치되되, 승강로프의 상단은 권취봉(30)에 권취되어 있고 그 하단은 차광필름(5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측 스페이서 간봉에 결합된 고정바(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필름으로는 배면에 광고포스터가 형성된 암막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차광필름은 배면에 광고포스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그 배면에 인서트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영상서비스 시스템을 프리젠테이션 등의 일정에 사용하는 경우에 차광필름에 광고포스터를 설치하여 광고포스터에 대한 광고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빔 프로젝터(60)를 포함한다.
상기 빔 프로젝터(60)는 기능성 필름(40)이 설치된 창문으로부터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고 관리 단말기(7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관리 단말기(7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데이터에 포함된 광고 영상을 기능성 필름(40)을 향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필름(40)의 표면에 광고 영상의 화면을 노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빔 프로젝터(60)로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이 부여된 빔 프로젝터라면 어떠한 빔 프로젝터(6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인터넷 망의 연결이 가능한 지역 전체에서 본 시스템이나 방법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인트라넷 망을 이용하여 특정한 건물이나 지역, 집단 단위로 본 시스템이나 방법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관리 단말기(7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단말기(70)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범용적으로 연결되는 형태, 인트라넷을 통하여 일정 공간이나 그룹에만 제한되어 연결되는 일반적인 서버의 형태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유선 접속이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접속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를 모두 포괄한다.
다시 말해, 관리 단말기(70)는 빔 프로젝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여기서, 유무선 네트워크로는 유무선 접속이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무선 접속의 형태로는 USB 형태의 저장소, 플래시메모리, HDD, SSD 등이 커넥터나 케이블 등을 통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60) 등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를 포함하며, 이 경우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등의 네트워크 환경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창문에 케이스(10), 화면거치수단(20), 권취봉(30), 기능성 필름(40) 및 차광필름(50)을 설치하고 관리자 단말기(70)로 저장매체를 연결하여 구성하면, 이동성이 확보되어 본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외부 서버가 필요하지 않은 시스템 구성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별도 네트워크 연결 없이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의 천정 등에 거치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양방향 광고가 가능하므로 광고효과 또한 증대된다.
이러한 관리 단말기(7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빔 프로젝터(60)와 연결되어 각 빔 프로젝터(60)에 주기적 또는 선택적으로 광고 영상이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영상데이터가 저장된 영상데이터 DB가 내장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관리 단말기(70)는 각 빔 프로젝터(60)에 맞춤형 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도록 각 빔 프로젝터(6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데이터 DB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빔 프로젝터(6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기(70)는 각 빔 프로젝터(60)가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는 경우 각 대상의 IP 주소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영상데이터 DB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각 지역별 영상데이터를 해당 지역에 위치한 빔 프로젝터(6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관리 단말기(70)는 모든 지역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60)에 대기업 상품 등을 선전하는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한편, 커피숍과 식당 등 특정 지역에 위치한 상점 등을 선전하는 광고 영상을 해당 지역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6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단말기(70)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과, 업로드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수단과,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부와,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관리 단말기(70)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력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은 영상데이터를 통신수단을 통하지 않고 관리 단말기(70)의 관리자가 직접 관리 단말기(70)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업로드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정보저장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으로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입력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특정적으로는 CD롬, USB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트부는 통신수단 및 정보저장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수단으로부터 영상데이터의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기능성 필름(40)의 설치위치나 빔 프로젝터(60)들의 위치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각 빔 프로젝터(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데이터를 자체 내장된 영상데이터 DB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해당 빔 프로젝터(60)로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부는 광고주 단말기(90)로부터 회원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광고주 단말기(90)로부터 회원정보, 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성별, 나이, 주소, 이메일 주소, 무선 단말기 번호, ID, 비밀번호 등을 전송받아 이를 인증하여 ID 및 비밀번호를 부여한 후 관련 회원 정보를 정보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호스트부는 통신수단을 통해 광고주 단말기(9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정보저장수단에 저장한다. 이후 해당 영상데이터가 광고주 단말기(90)로부터 갱신되면, 호스트부는 상기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갱신된 영상데이터로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단말기(70)를 구성하는 정보저장수단은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기능성 필름(40)이나 빔 프로젝터(6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빔 프로젝터(60) DB와, 기능성 필름(40)이나 빔 프로젝터(60)로 제공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데이터 DB를 포함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 정보저장수단에는 영상데이터를 업로드한 광고주 단말기(90)의 정보가 저장된 광고주 관리D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주 관리DB에는 광고주 ID 및 비밀번호, 광고주의 신상정보, 광고 영상의 홍보 대가로 광고주로부터 지급받을 광고금액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80)는 통신 기능이 없는 빔 프로젝터(60)를 사용하기 위해 관리 단말기(70)와 빔 프로젝터(6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단말기(70)에 연결되어 관리 단말기(7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빔 프로젝터(6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기(80)는 관리 단말기(70)로부터 제공된 광고 영상이 빔 프로젝터(60)에 의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다른 양태로서, 사용자 단말기(80)는 외부로부터 구동모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기능성 필름(40) 및 차광 필름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는 온(ON) 버튼과 오프(OFF)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80)로는 관리 단말기(70)로부터 송신된 영상데이터를 수신받아 빔 프로젝터(60)에 제공할 수 있도록 PDA, 스마트폰, 스마트패드(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통신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서비스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주 단말기(90)는 관리 단말기(70)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 단말기(70)에 상품이나 서비스업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광고주 단말기(90)는 관리 단말기(70)에 설치된 광고 영상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60)로 출력되는 광고 영상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 영상 제작 프로그램은 관리 단말기(70)에 접속한 광고주 단말기(90)에 광고 기본 제작툴을 제공하여 광고주 단말기(90)로 하여금 출력되는 광고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광고주 단말기(90)는 상기 관리 단말기(70)에 접속하여 광고 영상을 노출시키는 빔 프로젝터(60)의 위치와 숫자, 및 광고출력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주 단말기(9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운용자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광고주 단말기(90)로는 PDA, IMT-2000, 스마트폰, 스마트패드(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광고 영상이 포함된 영상데이터를 빔 프로젝터(60)에 전송하는 콘텐츠 공급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필름(40)에 광고를 게재하거나 콘텐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광고주 또는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광고나 콘텐츠를 제작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는 경우, 업종 등의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광고나 콘텐츠를 보유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공급업자(contents provider) 등이 상기 콘텐츠 공급서버를 통하여 상기 광고주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공급 서버는 상기 관리 단말기(7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능성 필름(40)에 상기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광고 영상이 포함된 영상데이터 및 상기 광고주가 제공하는 정보가 함께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공급 서버에서 업종별로 구별된 콘텐츠(자동차매장은 자동차관련 콘텐츠, 커피숍은 커피상식이나 커피제조법 등 커피관련 콘텐츠, 노래방은 최신유행곡 및 율동 등 노래방관련 콘텐츠)와 함께, 광고주와 수요자의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광고주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한 정보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식당의 경우, 음식관련 콘텐츠가 나가고 있을 때 하단에 "오늘의 특별메뉴 *****, 선착순 100분 50% DC 합니다."와 같은 문구가 나가고 주인은 실시간으로"잔여 20분 남았습니다."라는 해당 문구도 문자를 보낼 수도 있다.
광고할 수 있는 공간(예를 들면, 매장의 외벽이나 창문)을 가지고 있으나 기능성 필름(40)의 시공비용이나 운영비용을 독자적으로 부담하기 어려운 매장의 주인은 광고 공간을 영상서비스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대여함으로써, 매장의 운영을 통해 얻는 수익 이외에 광고 공간의 대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광고 공간의 대여자는 관리자로부터 임대비용을 얻는 대신 보조광고의 노출시간을 얻어서 자체적으로 매장을 홍보하는데 본 발명의 영상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케이스 20 : 화면거치수단
30 : 권취봉 40 : 기능성 필름
50 : 차광필름 60 : 빔 프로젝터
70 : 관리 단말기 80 : 사용자 단말기
90 : 광고주 단말기

Claims (8)

  1.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화면거치수단;
    승강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화면거치수단과 창문 사이에 배치되는 권취봉;
    상기 화면거치수단에 결합되어 영상이 양쪽 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성 필름;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는 차광필름;
    상기 기능성 필름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 및
    상기 빔 프로젝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빔 프로젝터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거치수단은
    권취봉 또는 투명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기는 유무선 접속을 통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빔 프로젝터에 전송하는 저장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이 투명필름, 반투명 필름, 불투명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기와 빔 프로젝터 사이에 설치되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빔 프로젝터에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서비스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기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 단말기에 상품이나 서비스업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광고주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서비스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필름은 배면에 광고포스터가 형성되거나 광고포스터를 삽입할 수 있는 인서트부가 구비된 암막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서비스 시스템.
  8.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권취봉;
    승강로프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권취봉과 창문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권취봉의 이웃한 상부나 하부, 또는 제1 권취봉의 수평방향에 구비되는 제2 권취봉;
    상기 제1 권취봉에 결합되어 영상이 양쪽 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기능성 필름;
    상기 제2 권취봉에 결합되는 차광필름;
    상기 기능성 필름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 및
    상기 빔 프로젝터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빔 프로젝터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116823A 2014-09-03 2014-09-03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KR10163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23A KR101635639B1 (ko) 2014-09-03 2014-09-03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823A KR101635639B1 (ko) 2014-09-03 2014-09-03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57A true KR20160028157A (ko) 2016-03-11
KR101635639B1 KR101635639B1 (ko) 2016-07-04

Family

ID=5558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823A KR101635639B1 (ko) 2014-09-03 2014-09-03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1366A (en) * 2019-02-14 2020-08-19 Constantino Mattthew Light blocking transparent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011B1 (ko) * 2018-01-30 2019-11-22 조흥래 투명패널을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구연동화 콘텐츠 제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61655B1 (ko) * 2019-08-08 2021-06-07 주식회사 토비스 광투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49A (ja) * 1997-01-28 1998-08-04 Taiyo Kogyo Kk 遮光膜装置
JP2002162686A (ja) * 2000-11-24 2002-06-07 Esutekku:Kk ウインドウ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0306148Y1 (ko) * 2002-11-29 2003-03-03 최해용 상하 이동형 양면 스크린
KR20040084324A (ko) 2003-03-27 2004-10-06 주식회사 엔지넷 광고 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공동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2577A (ko) 2008-07-29 2010-02-08 (주)쓰리디미디어솔루션코리아 오프라인 매장에서 쌍방향 광고방법과 광고시스템, 그리고이를 위한 광고장치
KR101089374B1 (ko) 2009-02-17 2011-12-02 (주)월드게이트 온라인 광고 중개 시스템 및 온라인 광고 중개 방법
KR20140093520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월드테크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49A (ja) * 1997-01-28 1998-08-04 Taiyo Kogyo Kk 遮光膜装置
JP2002162686A (ja) * 2000-11-24 2002-06-07 Esutekku:Kk ウインドウ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0306148Y1 (ko) * 2002-11-29 2003-03-03 최해용 상하 이동형 양면 스크린
KR20040084324A (ko) 2003-03-27 2004-10-06 주식회사 엔지넷 광고 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공동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2577A (ko) 2008-07-29 2010-02-08 (주)쓰리디미디어솔루션코리아 오프라인 매장에서 쌍방향 광고방법과 광고시스템, 그리고이를 위한 광고장치
KR101089374B1 (ko) 2009-02-17 2011-12-02 (주)월드게이트 온라인 광고 중개 시스템 및 온라인 광고 중개 방법
KR20140093520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월드테크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1366A (en) * 2019-02-14 2020-08-19 Constantino Mattthew Light blocking transparen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639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01B1 (ko)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US6850209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vehicles
US20070188483A1 (en) Display apparatus for outdoor signs and related system of displays and methods of use
US20090113775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visual content to a targeted display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ES2943578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distribución de contenido audio y visual proyectado
US20180357681A1 (en) Dual-display digital signage apparatus for outdoor use
KR10163563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US20160118016A1 (en) Portable digital sign system
KR20050050670A (ko) 변화가능한 이미지 방향을 지닌 바닥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5070740A (ja) 透明な有機elディスプレイを用いた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広告情報提供方法及び記録媒体。
US99658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a property utilizing advanced real estate signs
KR20140034367A (ko)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품 주문이 가능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5181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및 영상서비스 방법
US20040075618A1 (en) Advertisement and display mechanism for providing high resolution advertisement messages and method therefor
KR101615330B1 (ko)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2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친화적 광고 방법
JP2023529744A (ja) 車両の外部ディスプレイを用いたデジタル知能化情報共有ベースの広告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037873A (ja) 広告媒体、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用赤外線送信装置
JP2017126140A (ja) 学内情報提供システム
CN114026628A (zh) 便携式动态显示设备和系统
KR200265152Y1 (ko) Led전광판을 이용한 게시판장치
KR20210133399A (ko) 간판 렌탈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JP2007171628A (ja) 情報公開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