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52Y1 -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 Google Patents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52Y1
KR200459252Y1 KR2020110009359U KR20110009359U KR200459252Y1 KR 200459252 Y1 KR200459252 Y1 KR 200459252Y1 KR 2020110009359 U KR2020110009359 U KR 2020110009359U KR 20110009359 U KR20110009359 U KR 20110009359U KR 200459252 Y1 KR200459252 Y1 KR 200459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strial property
zones
display unit
map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찬
변창규
Original Assignee
변창규
강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창규, 강경찬 filed Critical 변창규
Priority to KR2020110009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는, 특허 및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중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산업재산권을 분석하기 위한 맵의 편집구조에 있어서, 상기 맵의 일측 내지에 폐각형의 도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형의 중심에서 외곽측을 향해 다수 개의 제1기준선이 형성되어 있어 제1기준선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1구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구역은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다수 개의 제2기준선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어 제2기준선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2구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구역의 외주면부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을 특징별로 구분짓는 제목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2구역은 도형의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기간별로 순차적으로 구분짓는 기간구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제1구역 내의 다수 개의 제2구역 내에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형이 다수 위치하되, 상기 도형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구역에서 외곽측에 위치한 제2구역으로 갈수록 숫자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위치하는 분석그래프와; 상기 분석그래프가 위치한 내지를 제외한 타측의 내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자도형의 숫자와 일치되는 숫자가 순차별로 줄 또는 칸으로 구분된 채 표기된 숫자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숫자표시부의 각각의 줄 또는 칸과 인접한 칸 또는 줄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일, 공개일, 등록일,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출원인 중 선택된 1 내지 7개의 항목이 표시된 기본사항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목록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하나의 그래프에 정량적인 분석 및 정성적인 분석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산업재산권 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 엔지니어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각각의 제2구역에 표시되는 각각의 선행기술들은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형으로 표시되고, 해당 숫자와 매치되는 숫자표시부가 구비된 목록표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기본적인 정보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래프에 숫자도형으로 표시된 특정 산업재산권의 기본적인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The editorial structure of industrial property map}
본 고안은 특허 및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중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산업재산권을 분석하기 위한 맵의 편집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그래프 안에 해당 산업재산권의 전체적인 연도별 공개 및 등록 현황 분포를 알 수 있으면서 특징별 현황 및 추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맵, 디자인맵 등과 같은 산업재산권 분석 맵에 관한 특허 및 실용신안을 살펴보면, "특허동향분석 시스템"(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1089호, 특허문헌 1)에는 검색식을 수신하여 특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와, 검색결과 자료를 바탕으로 특허동향분석을 수행하는 동향분석부 및 특허동향분석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식 작성을 지원하며 프로젝트 진행단계에 따른 입력 및 출력값을 저장하고 검색부와 동향분석부를 제어하는 프로젝트 관리부로 구성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특허맵 작성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에 목적을 두고 있을 뿐 아직까지 특허맵의 편집 구조에 대해 공개된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특허맵의 편집 구조는 각각 별도의 정량적인 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와, 정성적인 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각각 별도로 편집되며, 검색된 특허에 대한 요지들은 그래프와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지식재산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 엔지니어들은 특허맵의 이해에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0-0021089 (2010.02.24)
본 고안의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맵을 구성하는 일측의 내지에 분석그래프를 형성하되, 상기 분석그래프는 산업재산권을 특징별로 구분짓는 다수 개의 제1구역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1구역에는 시기별로 구분짓는 다수 개의 제2구역이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그래프에 정량적인 분석 및 정성적인 분석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산업재산권 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 엔지니어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각각의 제2구역에 표시되는 각각의 선행기술들은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형으로 표시되고, 해당 숫자와 매치되는 숫자표시부가 구비된 목록표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기본적인 정보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래프에 숫자도형으로 표시된 특정 산업재산권의 기본적인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분석그래프의 숫자도형 및 목록표의 숫자표시부에 형성된 해당 숫자와 대응되는 보조숫자표시부가 일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해상 산업재산권의 요지 및 도면이 표시되는 요약부를 또다른 내지에 형성함으로써, 산업재산권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숫자도형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등록 유무를 표시하는 등록표시마크를 형성함으로써 기술 개발 및 침해 등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제2구역에는 해당 특징 및 기간에 대한 검색 총 량을 표시함으로써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기술 또는 디자인 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요약부 일측에 해당 산업재산권과 특징, 출원인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 있는 또다른 산업재산권의 정보가 표시되는 관련항목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관련 산업재산권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및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중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산업재산권을 분석하기 위한 맵의 편집구조에 있어서, 상기 맵의 일측 내지에 폐각형의 도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형의 중심에서 외곽측을 향해 다수 개의 제1기준선이 형성되어 있어 제1기준선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1구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구역은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다수 개의 제2기준선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어 제2기준선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2구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구역의 외주면부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을 특징별로 구분짓는 제목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2구역은 도형의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기간별로 순차적으로 구분짓는 기간구분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제1구역 내의 다수 개의 제2구역 내에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형이 다수 위치하되, 상기 도형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구역에서 외곽측에 위치한 제2구역으로 갈수록 숫자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위치하는 분석그래프와; 상기 분석그래프가 위치한 내지를 제외한 타측의 내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자도형의 숫자와 일치되는 숫자가 순차별로 줄 또는 칸으로 구분된 채 표기된 숫자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숫자표시부의 각각의 줄 또는 칸과 인접한 칸 또는 줄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일, 공개일, 등록일,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출원인 중 선택된 1 내지 7개의 항목이 표시된 기본사항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목록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석그래프와 목록표가 형성된 내지 외의 다른 내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자도형의 숫자와 일치되는 숫자가 표시된 보조숫자표시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숫자표시부의 숫자와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요지가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요지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숫자에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도면이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도면표시부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약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숫자도형에는 해당 숫자에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등록 유무가 표시되어 있는 등록표시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목표시부는 도형 중심측에 위치한 소제목표시부와, 도형 외곽측에 위치한 대제목표시부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역에는 해당되는 제목표시부에 속하는 특징을 가지며, 기간구분표시부의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검색건수의 총량을 표시하는 검색건수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요약부에는 해당 산업재산권과 특징, 출원인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 있는 또다른 산업재산권의 정보가 표시되는 관련항목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하나의 그래프에 정량적인 분석 및 정성적인 분석이 가능해지도록 하여 산업재산권 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 엔지니어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제2구역에 표시되는 각각의 선행기술들은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형으로 표시되고, 해당 숫자와 매치되는 숫자표시부가 구비된 목록표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기본적인 정보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래프에 숫자도형으로 표시된 특정 산업재산권의 기본적인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분석그래프의 숫자도형 및 목록표의 숫자표시부에 형성된 해당 숫자와 대응되는 보조숫자표시부가 일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해상 산업재산권의 요지 및 도면이 표시되는 요약부를 또다른 내지에 형성함으로써, 산업재산권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숫자도형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등록 유무를 표시하는 등록표시마크를 형성함으로써 기술 개발 및 침해 등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구역에는 해당 특징 및 기간에 대한 검색 총 량을 표시함으로써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기술 또는 디자인 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약부 일측에 해당 산업재산권과 특징, 출원인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 있는 또다른 산업재산권의 정보가 표시되는 관련항목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관련 산업재산권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분석그래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목록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요약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분석그래프에 등록유무표시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산업재산권 분석 맵은 특허와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중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산업재산권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맵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특허맵, 디자인맵, 상표맵 등으로 불리우는 것을 말한다.
본 고안에서 산업재산권 분석 맵은 일측 내지에 분석그래프(10)가 위치하고, 또다른 내지에는 목록표(20)가 위치한다.
아울러, 분석그래프(10) 및 목록표(20)가 형성된 내지 외의 또다른 내지에 요약부(30)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석그래프(10)는 도 1에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분석그래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과 같은 폐각형의 도형(11)의 형상을 취한다.
아울러, 이 도형(11)의 중심에서 외곽측을 향해 다수 개의 제1기준선(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기준선(12)에 의해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제1구역(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1구역(13)은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다수 개의 제2기준선(13b)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기준선(13b)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2구역(13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2기준선(13b)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구역(13)의 외주면부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을 특징별로 구분짓는 제목표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맵의 경우 상기 특징은 기술적인 특징을 의미하며, 기술적 특징에 따라 제목표시부(14)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디자인맵의 경우 상기 특징은 형상 및 모양을 의미하여 형상 및 모양의 특징에 따라 제목표시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2구역(13a)에는 도형(11)의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기간별로 순차적으로 구분짓는 기간구분표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기간표시부는 제2구역(13a) 내에 년도를 표시하는 숫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분석그래프(10)의 각 제1구역(13) 내의 다수 개의 제2구역(13a) 내에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형(16)이 다수 위치하되, 상기 도형(11)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구역(13a)에서 외곽측에 위치한 제2구역(13a)으로 갈수록 숫자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분석그래프(10)의 제목표시부(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11) 중심측에 위치한 소제목표시부(14b)와, 도형(11) 외곽측에 위치한 대제목표시부(14a)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달력에 대한 디자인맵이라면 대제목표시부(1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누운 삼각 기둥형과 비삼각기둥 디자인으로 구성하고, 소제목표시부(14b)는 각각 대제목표시부(14a)의 하위 카테고리로써 단순 사각형과 아이디어 반영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목표시부(14)를 카테고리별로 다수 개의 대제목표시부(14a)와 소제목표시부(14b)로 분류하게 되면 그 특징별 분류가 보다 명확해지게 된다.
목록표(20)는 도 2에 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목록표(20)는 상기 분석그래프(10)가 위치한 내지를 제외한 타측의 내지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분석그래프(10)의 숫자도형(16)에 표시된 숫자와 일치되는 숫자가 순차별로 줄 또는 칸으로 구분된 채 표기된 숫자표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숫자표시부(21)가 목록표(20)에 일렬로 줄을 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분석그래프(10)의 숫자도형(16)에 표시된 숫자와 일치되도록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숫자표시부(21)의 각각의 줄 또는 칸과 인접한 칸 또는 줄에는 기본사항표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기본사항표시부(22)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일, 공개일, 등록일,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출원인 중 선택된 1 내지 7개의 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즉, 특정 산업재산권에 대하여 특정 숫자가 부여된 채 그 숫자가 분석그래프(10)의 숫자도형(16) 및 목록표(20)의 숫자표시부(21)에 표시되며, 분석그래프(10)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의 등록 또는 공개 년도에 따른 어느 하나의 제2구역(13a)에 표시되고, 해당 제2구역(13a)은 특정 제목표시부(14)에 의해 구분된 제1구역(13)에 포함된에 따라 분석그래프(10)를 통해서 해당 산업재산권의 공개 시기 및 기술적 특징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목록표(20)에는 기본사항표시부(22)를 통해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일, 공개일, 등록일,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출원인 등과 같은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 목록표(20)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해당 산업재산권의 기본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석그래프(10)에는 다수 개의 숫자도형(16)이 위치하는 바, 도 1과 같이 전체적으로 다수 개의 제목표시부(14)로 구분된 상태에서 제1구역(13) 및 제2구역(13a)별로 숫자도형(16)의 갯수를 확인할 수 있어 분석그래프(10)를 보면서 분석 대상이 되는 분야의 특징별, 시기별 동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의 분석그래프(10)에는 제1기준선(12)에 의해 분할된 다수 개의 제1구역(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2는 이중 어느 하나의 제1구역(13)을 분석한 목록표(20)로써, 산업재산권 분석 맵에는 하나의 분석그래프(10)의 각각의 제1구역(13)에 해당하는 다수 개의 목록표(20)가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산업재산권 분석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특정 산업재산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그래프(10)와 목록표(20)가 형성된 내지 외의 다른 내지에 각각의 산업재산권의 요지 및 도면이 표시되는 요약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요약부(30)의 일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요약부(30)에는 분석그래프(10)의 숫자도형(16)의 숫자와 일치되는 숫자가 표시된 보조숫자표시부(3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숫자표시부(31)의 숫자와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요지가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요지표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숫자에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도면이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도면표시부(3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약부(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요지나 도면 외에 명칭, 분류코드 등의 다양한 기본정보를 함께 표기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이해를 쉽게 할 수도 있다.
특히, 요약부(30)에는 해당 산업재산권과 특징, 출원인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 있는 또다른 산업재산권의 정보가 표시되는 관련항목표시부(34)를 형성함으로써 산업재산권 분석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해당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항목들을 쉽게 찾을 수 있어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3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분석그래프(10)에서 숫자도형(16)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에 숫자는 1 부터 순차적으로 올라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목록표(20)의 숫자표시부(21)에도 위에서 아래로 1 부터 순차적으로 올라가도록 숫자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분석그래프(10)의 숫자도형(16)의 숫자와 목록표(20)의 숫자표시부(21)의 숫자가 일치되는 것이다.
이때, 목록표(20)는 분석그래프(10)의 제목표시부(14)에서 A-1-1인 누운 삼각 기둥 디자인 중 전면 단순 사각형인 디자인에 관한 것으로써, 전체 산업재산권 분석 맵에는 이러한 목록표(20)가 다수 개 형성된다 할 것이다.
한편, 요약부(30)의 보조숫자표시부(31)에도 역시 "(A-1-1)-1"이라고 표시되어 있어 분석그래프(10)의 제목표시부(14)와 일치되는 부분과, 숫자도형(16)의 숫자와 일치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보조숫자표시부(31)는 단순히 분석그래프(10)의 숫자도형(16)의 숫자만 일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목표시부(14)에 표시된 기호와도 일치시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의 제목표시부(14)에 맞게 해당 산업재산권의 요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숫자도형(16)에는 해당 숫자에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등록 유무가 표시되어 있는 등록표시마크(16a);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산업재산권 분석 맵을 보는 사람이 단순히 시기별 및 특징별로 공개 현황을 파악하는 것만이 아니라, 해당 산업재산권 중 어느 것이 등록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해 및 권리분석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목록표(20) 및 요약부(30)에는 이러한 산업재산권의 특징별 요지 및 기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침해 및 권리분석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갖게 된다.
한편,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제2구역(13a)에는 해당되는 제목표시부(14)에 속하는 특징을 가지며, 기간구분표시부(15)의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검색건수의 총량을 표시하는 검색건수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의 예를 들어 누운 삼각 기둥 디자인 중에 전면 단순 사각형인 디자인에 대한 검색 결과 년도별 즉, 각각의 제2구역(13a)에 해당하는 총 검색 건수를 각각의 제2구역(13a)에 표시함으로써 특징 및 시기별로 검색 총량이 표시됨으로써 정량적인 분석이 보다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는 맵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분석그래프(10)를 보는 것으로 특징 및 시기별로 해당산업재산권의 정량적인 동향 및 정성적인 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관련된 목록표(20)를 봄으로써 상세한 분석이 필요한 특정 산업재산권에 대하여 기본적인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요약부(30)가 구비된 경우 해당 산업재산권의 도면 및 요지를 파악하여 기술 개발 및 회피 설계 등의 업무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는 특허맵, 디자인 맵, 상표맵 등 다양한 산업재산권의 분석 맵의 편집 구조에 활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 분석그래프 11 : 도형
12 : 제1기준선 13 : 제1구역
13a : 제2구역 13b : 제2기준선
14 : 제목표시부 14a : 대제목표시부
14b : 소제목표시부 15 : 기간구분표시부
16 : 숫자도형 16a : 등록표시마크
20 : 목록표 21 : 숫자표시부
22 : 기본사항표시부 30 : 요약부
31 : 보조숫자표시부 32 : 요지표시부
33 : 도면표시부 34 : 관련항목표시부

Claims (6)

  1. 특허 및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중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산업재산권을 분석하기 위한 맵의 편집구조에 있어서,
    상기 맵의 일측 내지에 폐각형의 도형(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형(11)의 중심에서 외곽측을 향해 다수 개의 제1기준선(12)이 형성되어 있어 제1기준선(12)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1구역(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구역(13)은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다수 개의 제2기준선(13b)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어 제2기준선(13b)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2구역(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구역(13)의 외주면부에는 해당 산업재산권을 특징별로 구분짓는 제목표시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2구역(13a)은 도형(11)의 중심에서 외곽측으로 기간별로 순차적으로 구분짓는 기간구분표시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제1구역(13) 내의 다수 개의 제2구역(13a) 내에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도형(16)이 다수 위치하되, 상기 도형(11)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구역(13a)에서 외곽측에 위치한 제2구역(13a)으로 갈수록 숫자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위치하는 분석그래프(10)와;
    상기 분석그래프(10)가 위치한 내지를 제외한 타측의 내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자도형(16)의 숫자와 일치되는 숫자가 순차별로 줄 또는 칸으로 구분된 채 표기된 숫자표시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숫자표시부(21)의 각각의 줄 또는 칸과 인접한 칸 또는 줄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산업재산권의 출원일, 공개일, 등록일,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록번호, 출원인 중 선택된 1 내지 7개의 항목이 표시된 기본사항표시부(22)가 형성되어 있는 목록표(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그래프(10)와 목록표(20)가 형성된 내지 외의 다른 내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자도형(16)의 숫자와 일치되는 숫자가 표시된 보조숫자표시부(3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숫자표시부(31)의 숫자와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요지가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요지표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숫자에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도면이 일측에 표시되어 있는 도면표시부(3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약부(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도형(16)에는 해당 숫자에 대응되는 산업재산권의 등록 유무가 표시되어 있는 등록표시마크(16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목표시부(14)는 도형(11) 중심측에 위치한 소제목표시부(14b)와, 도형(11) 외곽측에 위치한 대제목표시부(14a)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5.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13a)에는 해당되는 제목표시부(14)에 속하는 특징을 가지며, 기간구분표시부(15)의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검색건수의 총량을 표시하는 검색건수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부(30)에는 해당 산업재산권과 특징, 출원인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 있는 또다른 산업재산권의 정보가 표시되는 관련항목표시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KR2020110009359U 2011-10-21 2011-10-21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KR200459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59U KR200459252Y1 (ko) 2011-10-21 2011-10-21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59U KR200459252Y1 (ko) 2011-10-21 2011-10-21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252Y1 true KR200459252Y1 (ko) 2012-03-23

Family

ID=4762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59U KR200459252Y1 (ko) 2011-10-21 2011-10-21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526A (ko) 2017-03-15 2018-09-28 오재진 브랜드 분석맵 인쇄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76A (ko) * 1999-03-30 2000-10-25 김덕중 특허 맵 생성방법
KR20010027419A (ko) * 1999-09-08 2001-04-06 김덕중 특허/기술분석용 데이터가공 및 특허맵 자동생성방법
KR20030012516A (ko) * 2001-08-01 2003-02-12 (주) 위즈도메인 특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허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제공하는 방법
JP2005032136A (ja) 2003-07-10 2005-02-03 Nissan Motor Co Ltd 特許評価方法及び特許評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76A (ko) * 1999-03-30 2000-10-25 김덕중 특허 맵 생성방법
KR20010027419A (ko) * 1999-09-08 2001-04-06 김덕중 특허/기술분석용 데이터가공 및 특허맵 자동생성방법
KR20030012516A (ko) * 2001-08-01 2003-02-12 (주) 위즈도메인 특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허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제공하는 방법
JP2005032136A (ja) 2003-07-10 2005-02-03 Nissan Motor Co Ltd 特許評価方法及び特許評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526A (ko) 2017-03-15 2018-09-28 오재진 브랜드 분석맵 인쇄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37811A (ja) 特許データベースから特許間の相互関係を分析し提供する方法
US11847170B2 (en) Data visualization tool with guided visualization creation and secure publication feature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CN105808183B (zh) 显示控制系统和显示控制方法
US20160343004A1 (en) Process journey sentiment analysis
US20110099465A1 (en) Butterfly diagrams enabling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analysis
Majiwala et al. A bibliometric review of a decade’research on industry 4.0 & supply chain management
KR200459252Y1 (ko) 산업재산권 분석 맵의 편집 구조
JP2014102626A (ja) レコメンド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Donzé National labels and the competitiveness of European industries: the example of the ‘Swiss Made’law since 1950
JP2014109852A5 (ko)
Culy et al. Structured Parallel Coordinates: a visualization for analyzing structured language data
CN104331392B (zh) 一种可批量编辑图文app中展示内容的方法
CN102110247A (zh) 专利申请人区域技术发展趋势分析系统
JP2005157896A (ja) データ分析支援システム
JP2005267584A (ja) タブの関連付けと色付けにより検索結果を表示,管理するシステム
Nilawati et al. Interface on usability testing Indonesia official tourism website
John et al. A visual focus+ context approach for text comparison tasks
Patel Education Levels and Employment in UK
Smith Commercial Networks and Marks of Trade on Athenian Pots
KR101953200B1 (ko) 브랜드 분석맵 인쇄물
Więcek-Janka et al. Scientometric and bibliometric analysis in analytical marketing research
Styll Fast dashboards anywhere with SAS® visual analytics
Nesvet Andrew King, ed., Work and the Nineteenth-Century Press: Living Work for Living People
Khurshid et al. ESG literature mapping: insights from bibliometric analysis
Osipenko Determinants of the competitiveness of international tourist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