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64Y1 -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164Y1
KR200459164Y1 KR2020090013219U KR20090013219U KR200459164Y1 KR 200459164 Y1 KR200459164 Y1 KR 200459164Y1 KR 2020090013219 U KR2020090013219 U KR 2020090013219U KR 20090013219 U KR20090013219 U KR 20090013219U KR 200459164 Y1 KR200459164 Y1 KR 200459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andle
groove
protrusion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784U (ko
Inventor
박강철
Original Assignee
박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철 filed Critical 박강철
Priority to KR2020090013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6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는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오랜 사용에도 힌지구에 손상 및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 형성된 좌우 집게편이 결합 고정된 각각의 손잡이가 힌지구에 의해 끼움 결합되고, 양측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면서 제한적인 걸림회전되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경사면을 구비한 돌부가 제1손잡이의 힌지구 양측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외측 확개형상의 경사홈이 제2손잡이의 힌지구 양측 내면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며, 경사홈(31)의 내측 단부에 제1손잡이의 돌부가 제2손잡이의 경사홈을 따라 삽입 걸림되어 축회전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집게, 손잡이, 힌지, 경사홈, 이탈홈, 걸림턱

Description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tweezers hinge}
본 고안은 집게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게용 힌지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오랜 사용에도 힌지구에 손상 및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는 음식물을 집는 데 사용되는 조리집게, 쓰레기를 줍는 데 사용되는 쓰레기용 집게, 그 외 일반 다양한 물건들을 집는 데 사용되어 지고 있다.
종래의 집게는 양 집게편의 중간을 절곡하여 손아귀의 힘으로 사용되어지도록 형성되었으나, 이는 통상 금속재로 제작되므로 비위생적이고 특히 길이가 긴 경우 협지력이 약하여 집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24992호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금속제로 된 좌우 집게간(2,2')의 상부에 합성수지로 된 손잡이(3,3')가 매입되어 스프링(7)을 개재한 상태에서 힌지부(4)가 축핀(6)에 의해 축설되어 전개 및 절첩되게한 것에 있어서 끼움홈(5')에 끼움되는 끼움턱(5)의 일측에 만곡부(5c)와 걸림턱(5a)을 형성하여 이 걸림턱(5a)이 끼움홈(5')의 저면에 형 성된 걸림부(5b)에 걸림되므로서 좌우 집게간(2,2')의 전개각도를 제한하도록 한 집게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위생적이고 집게간의 길이가 길더라도 협지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기는 하나, 축핀에 의해 축설되어 전개 및 절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축핀이 리벳일 경우 한번 제작하여 사용되다가 파손되어 버리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통째로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볼트일 경우 계속적인 반복 사용으로 인해 체결부가 느슨해져 협지력에 장애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축핀으로 사용되는 리벳이나 볼트 등이 외부충격을 받아 외부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회전되지 않거나 작동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고 오랜 사용에도 힌지구에 손상 및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분리 형성된 좌우 집게편이 결합 고정된 각각의 손잡이가 힌지구에 의해 끼움 결합되고, 양측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면서 제한적인 걸림회전되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경사면을 구비한 돌부가 제1손잡이의 힌지구 양측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외측 확개형상의 경사홈이 제2손잡이의 힌지구 양측 내면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며, 경사홈(31)의 내측 단부에 제1손잡이의 돌부가 제2손잡이의 경사홈을 따라 삽입 걸림되어 축회전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집게용 힌지 결합구조는 별도의 축핀 없이 양 손잡이를 축결합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도 쉽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분리가 용이함으로써 손잡이를 세척하기 쉬워 늘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랜 사용에도 결합부가 헐거워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사 용자에게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손잡이의 사출 제작시 종래방식(금형 3개로 사출제작)과는 달리 손잡이의 사출 경계면이 결합방향 전,후방으로 나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하여 2개의 금형만으로 사출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금형 제작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집게용 손잡이의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집게용 손잡이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알 수 있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집게용 손잡이의 힌지 구조를 알 수 있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의한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는 분리 형성된 좌우 집게편(51,52)의 상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손잡이(10,20) 상부에 힌지구(11,21)를 형성하되, 제1손잡이(10)의 힌지구(11)가 제2손잡이(20)의 힌지구(21)에 삽입 구성되고, 일측 힌지구(11)의 걸림부(15)가 타측 힌지구(21)의 걸림면(25)에 걸림 구성되며, 양측 손잡이(10,20) 내측으로 형성된 스프링홈(41,42)에 스프링(45)을 내재하여 그 스프링(45)에 의해 탄지 구성되도록 하여 양 힌지구(11,21)가 제한적인 걸림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손잡이(10,20) 및 힌지구(11,21)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상기한 양측 힌지구(11,21)의 구성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1손잡이(10)의 상부에 형성된 판형 힌지구(11)의 양측면 중앙부에 돌부(13)를 형성한다. 돌부(13)는 타측 힌지구(21)에 결합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삽입 체결성이 용이하도록 타측 힌지구(21)와의 결합방향 전방측으로 일부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14)이 형성되게 한다.
힌지구(11)의 전방측 하부에는 타측 힌지구(21)에 형성되는 걸림면(25)에 걸림 정지되도록 각지게 형성된 모서리부를 갖는 걸림부(15)를 형성하고, 힌지구(11)의 하부에 형성된 제1손잡이(10)의 내측면에는 스프링(45)이 내재되는 스프링홈(41)을 형성한다.
상기 제1손잡이(10)와 마주하여 결합되는 제2손잡이(20)에는 제1손잡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프링홈(41)에 대응되는 스프링홈(42)을 형성하여 스프링(45)의 양단부가 스프링홈(41,42)에 끼워져 탄지 역할을 하도록 한다.
제2손잡이(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구(21)는 제1손잡이(10)의 힌지구(11)가 삽입되도록 마주하는 판형 힌지구(21)를 손잡이(20) 상부에 이격되게 형성하여 구성된다.
힌지구(21)의 양 내측면에는 제1손잡이(10) 힌지구(11)의 돌부(13)가 끼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시킨다. 도 4에서와 같이 힌지구(21)의 양측 내면에 상기 돌부(13)의 직경방향으로 외측 확개된 형상의 외향 경사진 경사홈(31)을 형성하고, 경사홈(31)의 내측 단부에 돌부(13)가 경사홈(31)을 따라 삽입 걸림되어 축회전되는 걸림턱(35)을 형성하며, 걸림턱(35)에서 힌지구(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탈홈(33)을 연장 형성한다.
이때 도 5a에서와 같이 돌부(13)의 직경(D)이 이탈홈(33)의 폭(w)에 대응되고(돌부(13)의 직경(D)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조금 클 정도의 일정한 폭(w)을 갖고), 돌부(13)의 최대높이(h)가 이탈홈(33)의 깊이(d)에 대응되도록(돌부(13)의 최대높이(h)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조금 클 정도의 깊이(d)를 갖도록) 형성하여 삽입, 걸림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집게용 힌지의 결합 순서와 분리 순서의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5a 및 도 5d는 집게용 손잡이의 힌지 구조에 의한 결합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는 평면 및 정단면 구성도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일측 힌지구(11)의 돌부(13) 경사면(14)과 타측 힌지구(21)의 경사홈(31)이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힌지구(11,21)를 결합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일측 힌지구(11)의 전방측이 타측 힌지구(21)의 이격된 내부공간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돌부(13)의 경사면(14)이 경사홈(31)의 경사면을 따라 매끄럽게 진입되고, 도 5c에서와 같이 경사홈(31)과 이탈홈(33)의 경계지점에 다다르면서 돌부(13)에 의해 양측 걸림턱(35) 부분을 양측으로 밀어내면서, 도 5d에서와 같이 억지끼움되어 이탈홈(33)과 걸림턱(35)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끼움되기 전에 양 손잡이(10,20)의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홈(41,42)에 스프링(45)을 삽입한 후 양 힌지구(11,21)를 결합하게 되면 도 6의 결합상태 단면 구성도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양 손잡이(10,20)는 스프링(45)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일측 힌 지구(11)의 걸림부(15)와 타측 힌지구(21)의 걸림면(25)에 의해 일정거리 유지된 채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걸림 고정된다.
이때 사용자가 양 손잡이(10,20)를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양 손잡이(10,20)의 내측면이 접하면서 집고자 하는 물건을 집을 수 있게 되고, 그 물건을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서 가압한 힘을 풀게 되면 스프링(45)의 탄지력에 의해 돌부(13)를 중심으로 축회전하여 벌어지면서 일측 힌지구(11)의 걸림부(15)와 타측 힌지구(21)의 걸림면(25)에 의해 걸림 고정된다.
삭제
한편 종래에는 손잡이의 사출 경계면이 결합방향 좌,우 양측으로 나뉘는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양측 금형 사이에 슬라이드 금형이 추가되어져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금형비가 많이 들었지만,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 사출 방식은 손잡이의 사출 경계면이 결합방향 전,후방으로 나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 금형이 필요없이 양측 금형만으로 사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금형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집게용 손잡이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집게용 손잡이의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집게용 손잡이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알 수 있는 사시도,
도 4는 집게용 손잡이의 힌지 구조를 알 수 있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a 및 도 5d는 집게용 손잡이의 힌지 구조에 의한 결합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는 평면 및 정면 단면 구성도,
도 6은 집게용 손잡이의 결합상태 단면 구성도,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손잡이 11,21 : 힌지구
13 : 돌부 14 : 경사면
15 : 걸림부 20 : 제2손잡이
25 : 걸림면 31 : 경사홈
33 : 이탈홈 35 : 걸림턱
41,42 : 스프링 홈 45 : 스프링

Claims (3)

  1. 분리 형성된 좌우 집게편이 결합 고정된 각각의 손잡이가 힌지구에 의해 끼움 결합되고, 양측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면서 제한적인 걸림회전되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경사면(14)을 구비한 돌부(13)가 제1손잡이(10)의 힌지구(11) 양측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외측 확개형상의 경사홈(31)이 제2손잡이(20)의 힌지구(21) 양측 내면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며, 경사홈(31)의 내측 단부에 제1손잡이(10)의 돌부(13)가 제2손잡이(20)의 경사홈(31)을 따라 삽입 걸림되어 축회전되는 걸림턱(35)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5)에서 힌지구(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탈홈(33)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13)의 직경(D)은 이탈홈(33)의 폭(w)에 대응되고, 돌부(13)의 최대높이(h)는 이탈홈(33)의 깊이(d)에 대응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KR2020090013219U 2009-10-12 2009-10-12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KR200459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19U KR200459164Y1 (ko) 2009-10-12 2009-10-12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219U KR200459164Y1 (ko) 2009-10-12 2009-10-12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4U KR20110003784U (ko) 2011-04-20
KR200459164Y1 true KR200459164Y1 (ko) 2012-03-21

Family

ID=4420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219U KR200459164Y1 (ko) 2009-10-12 2009-10-12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476B1 (ko) * 2012-06-01 2014-02-21 안선영 분리형 집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421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92U (ko) * 1998-04-21 1998-07-25 임영현 집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92U (ko) * 1998-04-21 1998-07-25 임영현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476B1 (ko) * 2012-06-01 2014-02-21 안선영 분리형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84U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8133B (zh) 可移爪換位的撬棒工具
US3496616A (en) Gripping and locking device
KR200459164Y1 (ko) 집게용 힌지의 결합구조
KR102356485B1 (ko)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US20080240882A1 (en) Plastic Rivet and Removing Tool
AU2018313313A1 (en) Tool handle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KR20120054334A (ko)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TW201832876A (zh) 水泵鉗以及罩構件
US11969079B2 (en) Hairbrush apparatus with detachable brush heads
US20160151894A1 (en) Tool Head Cover
US20180070600A1 (en) Crab Cracking Tool
USD520845S1 (en) Pliers handles
TWI676535B (zh) 切削工具用保管箱
TWM449065U (zh) clamp
US20090165604A1 (en) Engaging portion of a screwdriver
US20080072713A1 (en) Multipurpose prying tool
CN103104578B (zh) 一种夹具
US20120318105A1 (en) Open-End Wrench
KR101709753B1 (ko)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CN218947396U (zh) 一种工具钳
KR101615809B1 (ko) 장착 구조 개선형 체인 커버
JP5210400B2 (ja) 顎部材が交換可能なプライヤ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US20160113473A1 (en) Quick Disconnect Swivel Adjoined Lock Mechanism
KR101146424B1 (ko) 복수개의 집게발을 가지는 공구
US258920A (en) Tack-pu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