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334A -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 Google Patents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334A
KR20120054334A KR1020100115661A KR20100115661A KR20120054334A KR 20120054334 A KR20120054334 A KR 20120054334A KR 1020100115661 A KR1020100115661 A KR 1020100115661A KR 20100115661 A KR20100115661 A KR 20100115661A KR 20120054334 A KR20120054334 A KR 20120054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vel
rod
articulated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이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도 filed Critical 이상도
Priority to KR102010011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4334A/ko
Publication of KR2012005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형상의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상하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삽 본체로 구성된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는 상하부로 분리되어 지되, 하부 삽자루의 상단에는 중심에 축공이 구비된 소켓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의 결합을 위해 상부 삽자루의 하단부에는 상기 축공에 대응하도록 통공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는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과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구에 의해 스프링이 내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 삽자루의 하단부 외주면에 파지부가 외삽되고; 상기 하부 삽자루의 꺾임을 위해 상기 소켓부의 축공과 삽입홈의 통공에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상하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삽 본체로 구성된 삽에 있어, 상기 삽자루를 상하부로 분리하되 회전축 결합에 의해 꺾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물을 반발력에 의해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Shovel}
본 발명은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상하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삽 본체로 구성된 삽에 있어, 상기 삽자루를 상하부로 분리하되 회전축 결합에 의해 꺾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물을 반발력에 의해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은 사람의 손발을 이용하여 흙을 파고 움직이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로, 종래에는 얇은 금속판재나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삽 본체를 형성하되 목재를 가공하여 일정길이로 형성된 삽자루의 양끝단에 상기 삽 본체와 손잡이를 못 등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삽은 삽 본체의 파손 등으로 삽 본체를 교체해야 할 경우 삽자루를 분리시키기 어려울 뿐더러 분리 후 교체하여 다시 삽자루를 사용하기에는 처음과 같은 견고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상기 삽자루를 파이프 형상의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삽 본체와 손잡이에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삽자루는 상당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어 흙, 모래 등의 작업물을 퍼내서 던지는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되긴 하나, 상기 흙, 모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작업물을 퍼내서 던지는 작업에는, 일체로 형성된 삽자루에 의해 작업물의 무게가 작업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상하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삽 본체로 구성된 삽에 있어, 상기 삽자루를 상하부로 분리하되 회전축 결합에 의해 꺾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물을 반발력에 의해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은, 파이프형상의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상하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삽 본체로 구성된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는 상하부로 분리되어 지되, 하부 삽자루의 상단에는 중심에 축공이 구비된 소켓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소켓부의 결합을 위해 상부 삽자루의 하단부에는 상기 축공에 대응하도록 통공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는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과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구에 의해 스프링이 내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 삽자루의 하단부 외주면에 파지부가 외삽되고; 상기 하부 삽자루의 꺾임을 위해 상기 소켓부의 축공과 삽입홈의 통공에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끝단이 걸리도록 상기 하부 삽자루의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구가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더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이 하부로 미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상하단에 형성된 손잡이 및 삽 본체로 구성된 삽에 있어, 상기 삽자루를 상하부로 분리하되 회전축 결합에 의해 꺾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물을 반발력에 의해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삽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 -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작동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부 삽자루(110) 및 상부 삽자루(120), 상기 하부 삽자루(110)의 하단에 형성된 삽 본체(102), 상기 상부 삽자루(120)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10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삽자루(110,120)의 몸체는 파이프 형상의 합성수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관절구조에 의해 꺾임이 가능하도록 각각 하부 삽자루(110)의 상단에는 소켓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111)에 대응하도록 상부 삽자루(120)의 하단부에는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소켓부(111)와 삽입홈(121)에는 회전축(140)의 결합을 위해 각각 축공(111a)과 통공(1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삽자루(110,120)의 외주면에 위치하되, 내장된 스프링(132)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파지부(13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132)은 상기 상부 삽자루(120)의 하단부 외주면과 상기 파지부(130)의 내주면 사이에 내장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삽자루(120)의 외주면 일측, 즉 상기 삽입홈(121)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22)과 상기 파지부(13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구(131)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삽자루(110,120)의 꺾임을 위해 상기 소켓부(111)의 축공(111a)과 삽입홈(121)의 통공(121a)에는 회전축(140)이 결합되며, 상기 축공(111a)과 통공(121a)을 관통한 상기 회전축(140)의 끝단에는 체결구(141)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1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30)의 끝단이 걸리도록 상기 하부 삽자루(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구(112)가 형성되어 일정지점에서 상기 파지부(130)의 하부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100)의 작동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내장된 스프링(132)의 탄성에 의해 파지부(130)가 상하부 삽자루(110,120)의 외주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무관절 형태로 사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작업물의 경우 한 손으로는 파지부(130)를 잡고 상부로 이동시킨 후 다른 한 손으로는 하부 삽자루(110)를 잡고 상기 하부 삽자루(110)를 꺾게 되므로 그 반발력에 의해 작업물을 멀리 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지부(13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0a)를 더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이 하부로 미끌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삽
101: 손잡이 102: 삽 본체
110: 하부 삽자루 111: 소켓부
111a: 축공 112: 걸림구
120: 상부 삽자루 121: 삽입홈
121a: 통공 122: 걸림턱
130: 파지부 130a: 경사부
131: 고정구 132: 스프링
140: 회전축 141: 체결구

Claims (3)

  1. 파이프형상의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상하단에 형성된 손잡이(101) 및 삽 본체(102)로 구성된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는 상하부로 분리되어 지되, 하부 삽자루(110)의 상단에는 중심에 축공(111a)이 구비된 소켓부(1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소켓부(111)의 결합을 위해 상부 삽자루(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축공(111a)에 대응하도록 통공(121a)이 구비된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삽입홈(121)의 상부에는 스프링(132)의 고정을 위한 걸림턱(1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22)과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구(131)에 의해 스프링(132)이 내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 삽자루(120)의 하단부 외주면에 파지부(130)가 외삽되고;
    상기 하부 삽자루(110)의 꺾임을 위해 상기 소켓부(111)의 축공(111a)과 삽입홈(121)의 통공(121a)에 회전축(14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30)의 끝단이 걸리도록 상기 하부 삽자루(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구(112)가 더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30)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0a)를 더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이 하부로 미끌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KR1020100115661A 2010-11-19 2010-11-19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KR20120054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61A KR20120054334A (ko) 2010-11-19 2010-11-19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61A KR20120054334A (ko) 2010-11-19 2010-11-19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334A true KR20120054334A (ko) 2012-05-30

Family

ID=4627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661A KR20120054334A (ko) 2010-11-19 2010-11-19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43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36B1 (ko) * 2013-01-25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97318B1 (ko) * 2013-01-25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CN104988958A (zh) * 2015-07-23 2015-10-21 江西理工大学 一种洛阳铲
KR20170006069A (ko) 2015-07-07 2017-01-17 김래옥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호미
CN107736087A (zh) * 2017-11-08 2018-02-27 张丽杰 一种高强度防滑园林铲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36B1 (ko) * 2013-01-25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101497318B1 (ko) * 2013-01-25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KR20170006069A (ko) 2015-07-07 2017-01-17 김래옥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호미
CN104988958A (zh) * 2015-07-23 2015-10-21 江西理工大学 一种洛阳铲
CN107736087A (zh) * 2017-11-08 2018-02-27 张丽杰 一种高强度防滑园林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4334A (ko) 관절형 삽자루를 구비한 삽
US10675744B2 (en) Multi-purpose handheld tool
US20100263133A1 (en) Multi-purpose tool
EP1900485A3 (en) Ergonomic handle
US10065454B2 (en) Assembly for loosening or tightening mechanical nuts (esp. wheel nuts)
JP2009541068A (ja) 動力工具およびチャック解除装置
US7958804B2 (en) Screwdriver handle having removable rotating cap
KR101516493B1 (ko) 다용도 집게
US6434793B1 (en) Device arranged at the end of a handle
US8418321B1 (en) Auxiliary pole handle assembly
US9826880B1 (en) Apparatus for use as a universal kickstand
US9409287B2 (en) Hex wrench tool handle
US6343822B1 (en) Pivoting shovel handle
CN104742107A (zh) 一种多功能伸缩夹持装置
US20160151894A1 (en) Tool Head Cover
CN207612537U (zh) 省力易携带的园林铲
CN207402702U (zh) 一种万能扳手
KR20130064452A (ko) 휴대용 망치
CN207534750U (zh) 多功能家用型铁锤
KR20190014609A (ko) 비늘 제거가 가능한 어류 파지용 집게
CN207948022U (zh) 一种铲柄
KR101729851B1 (ko) 기능성 비전동 수공구의 결합구조
CA2434112A1 (en) Sleeve retention for tool
KR20140078071A (ko) 다용도 집게
USD584592S1 (en) Hand tool g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