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25Y1 -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 Google Patents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125Y1
KR200459125Y1 KR2020090009185U KR20090009185U KR200459125Y1 KR 200459125 Y1 KR200459125 Y1 KR 200459125Y1 KR 2020090009185 U KR2020090009185 U KR 2020090009185U KR 20090009185 U KR20090009185 U KR 20090009185U KR 200459125 Y1 KR200459125 Y1 KR 200459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wood
horizontal
vertical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699U (ko
Inventor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호 filed Critical 정종호
Priority to KR2020090009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2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형 장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의 상면과 좌 우면에 구비하는 장식 테두리 목재의 끝단부까지 장롱 내부 공간을 확장하여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현장 조립 작업을 배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장롱 주변에 발생하는 죽은공간(dead space)을 최소화함으로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에 설치되는 수직, 수평 목재를 장롱 내측으로 몰입시켜 장롱 측판과 상판 외측으로 돌출시키지 아니하므로 수평, 수직 목재의 전면 두께 만큼 장롱 내부 체적을 확장시켜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수평 수직 목재를 잡고 밀거나 당겨 장롱의 위치를 조절하더라도 파손의 염려가 없이 견고하며, 수직, 수평목재 노출에 따른 실내 공간의 죽은 공간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사나 배송 등 장롱의 운반에 있어 장롱 함체와 별도로 분리되어 현장 조립 시공되던 종래 현장 조립 공수의 증대 문제를 개선하고, 부분품으로 별도 분리된 수직, 수평 목재의 분실이나 다른 부분품과 뒤바뀌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을 제공하고자, 장롱 함체 양측면과 상부면에 결합하는 수직, 수평 목재를 장롱 함체 내측으로 몰입시켜 내측으로부터 장롱의 함체를 이루는 해당 측판 또는 상판에 체결하여 고정하여 장롱의 함체 판과 동일한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롱, 수직, 수평, 공간, 체적, 확장, 붙박이.

Description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The fixture style cabinet which has the internal space which is expanded}
본 고안은 붙박이형 장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의 상면과 좌 우면에 구비하는 장식 테두리 목재의 끝단부까지 장롱 내부 공간을 확장하여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현장 조립 작업을 배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장롱 주변에 발생하는 죽은공간(dead space)을 최소화함으로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장롱은 박스 형태의 목재 함체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도어를 달아 옷, 이블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롱은 박스 형태의 함체에서 개량되어 근자에는 붙박이형 장롱이라 불리우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붙박이형 장롱이라 함은 통상 벽체를 이용하여 일정 공간을 장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문 제작되는 붙박이 장롱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제작되는 장롱 유 형을 말한다.
붙박이 장롱은 사용자가 필요한 공간에 내 외부를 선호 구조로 요구하여 주문 시설되는 것이고 이는 실내 일부면에 빈틈없이 시설되므로 미려하고 일치된 인테리어 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이사를 갈 때 이동 설치가 어렵거나 일반인들로서는 불가능하므로 고정 설치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붙박이 장롱의 이점을 취하면서도 이사를 가거나 실내에서 위치 변환 이동 설치가 가능한 장롱이 붙박이형 장롱이라는 형식으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붙박이 장롱이나 붙박이형 장롱은 공히 외곽 테두리 목재 부분을 인테리어적인 디자인과 구조를 부가하는 개념으로 매우 두껍고 강조되며 중량감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종래 붙박이형 장롱은 도 1, 2 도시와 같이 장롱 함체(1)와 함체의 측판(11)과 상판(13)의 외측으로 수직, 수평목재(하시라, 자바라)를 테두리 목재로써 관통 나사로서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함체(1)의 전면에 문판(10)을 결합하여 함체(1)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 목재인 수직, 수평 목재(15, 17)는 수 mm ~ 십 수 mm의 판재를 이용하며 80 ~ 100 mm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중공의 격자형 기둥을 집성 제작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기둥 전면에 또 다른 장식목재(15a, 17a)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두리 목재인 수직, 수평 목재(15, 17)은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하며 단순히 "ㄱ" 자 구조이거나 "ㄷ"자 구조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붙박이형 장롱은 수직, 수평 목재(15, 17)의 전면 두께가 비대함으로 장식미는 증대되지만 그만큼의 장롱의 좌우측단 및 상단의 실내 공간은 죽은공간(18a, 18b: dead space)이 발생됨에 의해 실내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수직, 수평 목재가 측면으로 돌출되어 나사 결합 구성됨에 따라서 나사 결합 구조의 강도가 견고하지 못하므로 배송하거나 이사 중에는 반드시 수직 수평 목재를 분리하여 이송하고 재 조립하여야 하므로 현장 설치 조립에 따른 작업 공수가 증가하여 불편하고 이송 중에도 많은 부분품을 따로 적재하여야 하므로 불편함과 함께 수출 등 해외 이송의 경우에도 더 많은 부분품 관리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수평 목재가 비대하게 보이므로 사용자들은 견고한 것으로 오해하고 장롱의 위치를 조정할 때 수직목재를 잡고 당기거나 미는 외력을 가함으로 수직 목재 결합 부분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수직, 수평 목재를 격자형으로 이루는 경우에는 해당 기둥의 뒷면을 마감하는데 별도의 판재를 타카로 박아 고정하므로 그 표면 처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미려하지 못하므로 해당 수직 목재의 뒷면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실내에 장롱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매우 눈에 거슬리는 폐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수직, 수평 목재의 전면 두께 만큼 장롱 내부 공간이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장롱의 유효 내부 체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종래 붙박이형 장롱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갖는다.
본 고안은 장롱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수직, 수평 목재를 장롱 내측으로 몰입시켜 장롱 측판과 상판 외측으로 돌출시키지 아니하므로 수평, 수직 목재의 전면 두께 만큼 장롱 내부 체적을 확장시켜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장롱 측판과 상판 외측과 수평, 수직 목재의 외측면을 나란히 결합 구성하므로 수평 수직 목재의 지지 강도가 증대되어 이 수평 수직 목재를 잡고 밀거나 당겨 장롱의 위치를 조절하더라도 파손의 염려가 없는 견고한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평, 수직 목재 후면의 마감이 다소 미려하지 못하게 마감될 수 밖에 없어 측면이 노출되는 위치에 장롱을 시설하는 경우에도 측면 마감 상태가 미려하고 실내 공간의 죽은 공간을 배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사나 배송 등 장롱의 운반에 있어 장롱 함체와 별도로 분리되어 현장 조립 시공되던 종래 현장 조립 공수의 증대 문제를 개선하여 함체에 일체로 결합된 수평 수직 목재를 구비하므로 현장 시공이 간편하고 물류 운반에 있어서도 부분품으로 별도 분리된 수직, 수평 목재의 분실이나 다른 부분품과 뒤바뀌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장롱 함체 양측면과 상부면에 결합하는 수직, 수평 목재를 장롱 함체 내측으로 몰입시켜 내측으로부터 장롱의 함체를 이루는 해당 측판 또는 상판에 체결하여 고정하여 장롱의 함체 판과 동일한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장롱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수직, 수평 목재를 장롱 내측으로 몰입시켜 장롱 측판과 상판 외측으로 돌출시키지 아니하므로 수평, 수직 목재의 전면 두께 만큼 장롱 내부 체적을 확장시켜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장롱 측판과 상판 외측과 수평, 수직 목재의 외측면을 나란히 결합 구성하므로 수평 수직 목재의 지지 강도가 증대되어 이 수평 수직 목재를 잡고 밀거나 당겨 장롱의 위치를 조절하더라도 파손의 염려가 없는 견고한 장롱을 이루는 효과가 있으며, 수평, 수직 목재 후면의 마감이 다소 미려하지 못하게 마감될 수 밖에 없어 측면이 노출되는 위치에 장롱을 시설하는 경우에도 측면 마감 상태가 미려하고 실내 공간의 죽은 공간을 배제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와 함께 이사나 배송 등 장롱의 운반에 있어 장롱 함체와 별도로 분리되어 현장 조립 시공되던 종래 현장 조립 공수의 증대 문제를 개선하여 함체에 일체로 결합된 수평 수직 목재를 구비하므로 현장 시공이 간편하고 물류 운반에 있어서도 부분품으로 별도 분리된 수직, 수평 목재의 분실이나 다른 부분품과 뒤바뀌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함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판(11)과 상판(13), 저판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지는 함체(1), 상기 함체의 전면에 함체를 개폐하는 문판(10)을 결합하고 상기 함체(1)를 단수 또는 복수 이상 횡설하고 상기 함체의 좌우측 단부와 상부에 각각 수직, 수평 목재(2,3)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붙박이형 장롱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재(2)는 전면에 위치하는 장식목재부(21)와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23)로 이루고 상기 장식목재부(21)와 지지목재부(23)는 단턱(25, 27)을 형성하도록 어긋나게 결합하여 이루며 지지목재부(23)를 관통하는 나사공(29)를 수 개소에 천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목재(2)의 단턱(25)에는 상기 함체(1)의 측판(11)을 삽입하여 나사(7)로서 상기 나사공(29)를 관통하여 측판(11)에 체결 결합하여 이루고 함체(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23)의 나사 관통 표면에 힌지로서 문판(10)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턱(25)은 측판(11)의 두께와 동일한 넓이의 단턱으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턱이 동일하면 측판에 결합된 후 측판(11)의 표면과 장식목재(21)의 표면이 동일 표면으로 단차가 발생치 아니하여 미려한 마감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목재부(23)의 단턱(27)은 문판(10) 결합 시 문판과 함체 내부 사이의 틈새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길이 돌출된 단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 장롱의 수평 목재(3)는 전면에 위치하는 장식목재부(31)와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33)로 이루고 상기 장식목재부(31)는 지지목재부(33)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측판(11)의 두께와 동일한 넓이의 단턱(35)을 양측에 형성하여 이루는 동시에 장롱을 이루는 각 함체(1)의 측판(11)을 수평 목재(3)의 높이 만큼 상판(13)의 위로 더 연장시켜 형성하고 상판(13) 상부에 지지목재부(33)를 탑재하고 단턱(35)에는 측판(11)의 단부를 위치시켜 수평목재(3)를 상기 상판(13)의 저면으로부터 나사(7)를 통하여 체결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수평 목재는 도 5 도시와 같이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전면에 위치하는 장식목재부(31)와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33)로 이루고 상기 장식목재부(31)는 지지목재부(33)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측판(11)의 두께와 동일한 넓이의 단턱(35)을 양측에 형성하여 이루는 동시에 상기 장식목재부(31)와 지지목재부(33)를 어긋나게 결합하여 상기 장식목재부(31)의 상기 단턱(35)에 연장하는 수평방향의 단턱(36)을 형성하여 수평목재(3a)를 이루어 상기 단턱(36)에는 상판(13)의 단부를, 상기 단턱(35)에는 측판(11)의 단부를 위치시켜 상기 수평목재(3a)를 상판에 탑재하고 저면으로부터 나사(7)를 통하여 체결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로써 4는 문판(10) 결합용 힌지로써 지지목재부와 문판 사이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은 제 작용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로서의 테두리 목재가 구현된 장롱 외형 사시도이다.
수직 목재(2)는 측판(11) 내측, 함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체결 구성하였으며 수평 목재(3)는 상판(13) 외측에 결합 구성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테두리 목재가 구현된 장롱 외형 사시도이며 수직 목재(2)는 기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수평 목재(3a)는 상판(13) 내측, 함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체결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직, 수평 목재(2, 3, 3a)의 체결은 나사(7) 체결에 의하며 나사의 끝단부측에는 나사 체결에 대응하는 너트를 매입 형성하여 나사 체결을 확고하게 이루도록 조립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도 3을 참조하면, 수직목재(2)를 측판(11) 내측, 함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체결 구성하는 경우 장롱 함체(1)의 내부 체적은 종래에 비해 지지목재부의 두께인 d1 만큼 커지게되는 것이고, 도 5를 참조하면, 수평목재(3a)를 상판(13) 내측, 함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체결 구성하는 경우 장롱 함체(1)의 내부 체적은 종래에 비해 지지목재부의 두께인 d2 만큼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장롱 함체 외과을 둘러싸는 테두리목재인 수직 수평 목재를 함체 내부로 몰입 형성하므로 수평, 수직 목재의 전면 두께 만큼 장롱 내부 체적을 확장시켜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장롱 측판과 상판 외측과 수평, 수직 목재의 외측면을 나란히 결합 구성하므로 수평 수직 목재의 지지 강도가 증대되어 이 수평 수직 목재를 잡고 밀거나 당겨 장롱의 위치를 조절하더라도 파손의 염려가 없어 견고하며, 수평, 수직 목재 후면의 마감이 제작 공정상 다소 미려하지 못하게 마감될 수 밖에 없어 측면이 노출되는 위치에 장롱을 시설하는 경우에도 측 면 마감 상태가 미려하고 실내 공간의 죽은 공간을 배제하면서도 이사나 배송 등 장롱의 운반에 있어 장롱 함체와 별도로 분리되어 현장 조립 시공되던 종래 현장 조립 공수의 증대 문제를 개선하여 함체에 일체로 결합된 수평 수직 목재를 구비하므로 현장 시공이 간편하고 물류 운반에 있어서도 부분품으로 별도 분리된 수직, 수평 목재의 분실이나 다른 부분품과 뒤바뀌는 문제가 없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수직, 수평목재(2, 3, 3a)가 장식목재부와 지지목재부로 구분 제작되어 결합된 구조로 나뉘어 설명한 것은 목재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지지목재부를 속이빈 형태의 기둥으로 별도 제작함에 의한 것이고 장식목재부와 지지목재부의 결합은 통상의 방식대로 타카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장식목재부와 지지목재부를 일체로 구성하면서 본 고안의 단턱들을 형성하여도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동일한 것이다.
또한 장식목재부는 그 전면 넓이와 두께, 장식의 형상이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장식목재부의 변형을 종래와 같이 그대로 수용하여 제작 가능하므로 장식목재부의 변형에 따른 장롱 제작의 제한이 별도로 발생하지는 아니하므로 호환성이 매우 높은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수직, 수평목재가 테두리 목재로 결합된 장롱을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2a는 도 1 도시 장롱의 실내 설치 정면 상태도.
도 2b는 도 1 도시 장롱의 평면 상태도.
도 2c는 도 1 도시 장롱의 측면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상태의 요부 발췌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상태의 요부 발체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로서의 장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상태의 요부 발체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3 고안의 구조에 따른 장롱을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7은 도 5 고안의 구조에 따른 장롱을 도시한 외형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수직목재 3, 3a: 수평목재
21, 31: 장식목재부 23, 33: 지지목재부
25, 27, 35, 36, 37: 단턱

Claims (3)

  1. 함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판(11)과 상판(13), 저판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지는 함체(1), 상기 함체의 전면에 함체를 개폐하는 문판(10)을 결합하고 상기 함체(1)를 단수 또는 복수 이상 횡설하고 상기 함체의 좌우측 단부와 상부에 각각 수직, 수평 목재(2,3)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붙박이형 장롱에 있어서,
    상기 수직 목재(2)는 전면에 위치하는 장식목재부(21)와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23)로 이루고 상기 장식목재부(21)와 지지목재부(23)는 단턱(25, 27)을 형성하도록 어긋나게 결합하여 이루며 지지목재부(23)를 관통하는 나사공(29)를 수 개소에 천공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목재(2)의 단턱(25)에 상기 함체의 측판(11)을 삽입하여 나사(7)로서 상기 나사공(29)를 관통하여 측판(11)에 체결 결합하여 이루고,
    상기 함체(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23)의 나사 관통 표면에 힌지로서 문판(10)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목재(3)는 전면에 위치하는 장식목재부(31)와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33)로 이루고 상기 장식목재부(31)는 지지목재부(33)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측판(11)의 두께와 동일한 넓이의 단턱(35)을 양측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장롱을 이루는 각각의 상기 함체(1)의 측판(11)을 수평 목재(3)의 높이 만큼 상판(13)의 위로 더 연장시켜 형성하고,
    상기 상판(13) 상부에 지지목재부(33)를 탑재하고 단턱(35)에는 측판(11)의 단부를 위치시켜 수평목재(3)를 상기 상판(13)의 저면으로부터 나사(7)를 통하여 체결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목재(3)는 전면에 위치하는 장식목재부(31)와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목재부(33)로 이루고 상기 장식목재부(31)는 지지목재부(33)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측판(11)의 두께와 동일한 넓이의 단턱(35)을 양측에 형성하여 이루는 동시에 상기 장식목재부(31)와 지지목재부(33)를 어긋나게 결합하여 상기 장식목재부(31)의 상기 단턱(35)에 연장하는 수평방향의 단턱(36)을 형성하여 수평목재(3a)를 이루어 상기 단턱(36)에는 상판(13)의 단부를, 상기 단턱(35)에는 측판(11)의 단부를 위치시켜 수평목재(3a)를 상판에 탑재하고 저면으로부터 나사(7)를 통하여 체결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KR2020090009185U 2009-07-15 2009-07-15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KR200459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85U KR200459125Y1 (ko) 2009-07-15 2009-07-15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85U KR200459125Y1 (ko) 2009-07-15 2009-07-15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99U KR20110000699U (ko) 2011-01-21
KR200459125Y1 true KR200459125Y1 (ko) 2012-03-19

Family

ID=4420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185U KR200459125Y1 (ko) 2009-07-15 2009-07-15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25Y1 (ko) * 2009-07-15 2012-03-19 정종호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KR102033012B1 (ko) * 2017-02-23 2019-10-16 이병갑 광각 개방형 욕실용 코너장
KR101950900B1 (ko) * 2017-06-12 2019-02-22 박상욱 가구용 측면 몰딩
CN109793328A (zh) * 2017-11-17 2019-05-24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容积可调方便拆卸行李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79Y1 (ko) 2006-07-27 2006-10-17 주식회사 로템 철도차량용 실내 마감 몰딩 부재
KR20110000699U (ko) * 2009-07-15 2011-01-21 정종호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79Y1 (ko) 2006-07-27 2006-10-17 주식회사 로템 철도차량용 실내 마감 몰딩 부재
KR20110000699U (ko) * 2009-07-15 2011-01-21 정종호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99U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299B2 (en) Semi-frameless cabin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459125Y1 (ko) 확장된 내부 공간을 갖는 붙박이형 장롱
US20180206636A1 (en) Drawer comprising a base panel, two lateral walls, a rear wall and a screen
TWI659711B (zh) 用於引導家具門的引導系統
JP2002509465A (ja) 家具組立部材
KR100841213B1 (ko) 납골안치단
RU169452U1 (ru) Конструк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элемента, обеспечивающего установку и фиксацию профилированной ручки
KR200450638Y1 (ko) 슬라이드 도어 장롱의 하부레일 지지구조
KR200441767Y1 (ko) 미닫이 장롱
JP4344588B2 (ja) 戸袋パネル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JP4916142B2 (ja) 収納装置
KR20140073190A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KR20110005248U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
KR200464775Y1 (ko)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 설치프레임
KR200441299Y1 (ko) 미닫이 장롱
KR101418828B1 (ko)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이장
KR20070020739A (ko)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KR101840131B1 (ko) 철제 가구의 구조
KR20140005997U (ko) 조립식 옷장
KR20040002174A (ko) 김치냉장고
KR200455503Y1 (ko) 도어 프레임
KR20130131811A (ko) 수납장을 구비한 침대
KR20170017319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KR101687375B1 (ko) 건축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