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837Y1 -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 Google Patents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837Y1
KR200458837Y1 KR2020110009164U KR20110009164U KR200458837Y1 KR 200458837 Y1 KR200458837 Y1 KR 200458837Y1 KR 2020110009164 U KR2020110009164 U KR 2020110009164U KR 20110009164 U KR20110009164 U KR 20110009164U KR 200458837 Y1 KR200458837 Y1 KR 200458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lt storage
storage bag
pallet
upper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림
Original Assignee
임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림 filed Critical 임호림
Priority to KR2020110009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8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16Special arrangements of articles in storage spaces
    • B65G1/20Articles arranged in layers with spaces betwe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천일염보관백이 적재되는 상부팔레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수집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팔레트는,상부팔레트본체와;상기 상부팔레트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가 수용되는 간수수용부와; 일단부는 상기 간수수용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간수집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간수수용부의 간수를 상기 간수집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간수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SHELF ASSEMBLY FOR KEEPING NATURAL SEA SALT}
본 고안은 선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천일염이 수용된 천일염보관백을 적재하여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유해성분을 증발시켜서 제조되는, 가공하지 않은 소금이다. 최근 천일염의 다양한 효능에 대해 알려지면서 천일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천일염은 염전에서 채취된 후, 저장고에 저장되면서 간수가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간수를 제거하는 것은 천일염에 포함된 쓴맛과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천일염은 천일염보관백에 담겨진 상태로 저장고 내에 적재되어 일정 기간 동안 보관되면서 내부의 간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천일염 저장고에서는 복수개의 천일염보관백을 서로 적층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위쪽에 배치된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가 하부에 배치된 천일염보관백으로 이동되어 하부에 배치된 천일염보관백에 보관된 천일염은 간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오히려 간수에 묻히게 되는 역효과가 발생된다.
이렇게 보관된 천일염은 기간이 지나더라도 간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천일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렇게 품질이 저하된 천일염을 소비자가 구매하면, 천일염을 보관할 때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50249호에 개시된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를 별도로 이용하거나,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709호에 개시된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보관백"을 별도로 이용하여 간수를 배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일염보관백이 상호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에 배치된 천일염보관백의 천일염도 효과적으로 간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구비되어 천일염저장고의 크기와 높이 및 천일염보관백의 크기 등에 따라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가 다른 천일염보관백을 경유하지 않고 독립적이고 위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는,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천일염보관백이 적재되는 상부팔레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수집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팔레트는, 상부팔레트본체와; 상기 상부팔레트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가 수용되는 간수수용부와; 일단부는 상기 간수수용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간수집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간수수용부의 간수를 상기 간수집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간수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수집수관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집수관본체와; 상기 집수관본체의 축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간수배출호스가 하향 삽입되는 호스삽입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파레트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바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부파레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레트의 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공이 복수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바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는 수직프레임과 가로바의 조립 구조에 의해 상부팔레트 상에 적재된 천일염보관백이 서로 이격되게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가로바가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므로 천일염보관백의 크기와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분해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천일염보관백이 적재된 상부팔레트에는 바닥면에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가 수용될 수 있는 간수수용부가 형성되므로, 간수가 하부 영역에 배치된 천일염보관백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천일염보관백의 간수 배출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저장고에 보관된 복수개의 천일염보관백에 수용된 천일염의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팔레트에 수용된 간수는 간수배출호스를 통해 간수집수관으로 빠르게 배출되므로 상부팔레트에 간수가 체류되고 상부팔레트 표면에 천일염이 응고되거나 간수배출호스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에 천일염보관백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의 상부팔레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의 간수 배출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의 실 제품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100)에 천일염보관백(B)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의 실 제품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100)는 저장고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0)과,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0)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되는 가로바(120)와, 수직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간수집수관(130)과, 가로바(120) 상에 배치되는 하부팔레트(150)와, 하부팔레트(15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면에 천일염보관백(B)이 적재되는 상부팔레트(140)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110)은 저장고 내에 복수개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수직프레임(110)은 한 쌍을 기본 유닛으로 설치되며, 확장을 위해 한 개 이상의 수직프레임(110)이 기본유닛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110)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측 수직바(111) 및 우측 수직바(113)와, 한 쌍의 수직바(111,113)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바(11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직바(111,113)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한 쌍의 수직바(111,113) 사이의 간격은 하부팔레트(150) 및 상부팔레트(140)의 폭 보다 일정 길이 좁게 구비된다.
수직바(111,113)는 천일염보관백(B)의 무게에 의한 수직하중 및 전단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수직바(111,113)는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로 구비된다. 수직바(111,113)의 두께는 천일염보관백(B)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직바(111,113)의 하부 영역은 천일염 저장고의 바닥에 앵커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수직바(111,113)의 상부 영역은 저장고의 천정에 고정 또는 지지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의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 또는 지지될 수 있다.
수직바(111,113)의 판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결합공(117)이 관통형성된다. 제1결합공(117)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당해 수직바(111,113)와 가로바(120)가 고정되도록 한다.
보강바(115)는 한 쌍의 수직바(111,113)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바(111,113)의 강도를 보강한다. 보강바(115)는 양단이 한 쌍의 수직바(111,113)에 결합되게 구비된다. 보강바(115)는 한 쌍의 수직바(111,113)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보강바(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복수개가 배치되거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로바(120)는 수직프레임(110)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면에 하부팔레트(150)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가로바(120)는 양측의 수직프레임(110) 사이의 이격 공간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바본체(121)와, 가로바본체(1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면에 하부팔레트(150)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판(123)과, 가로바본체(121)의 양측에 구비되어 각기 수직바(111,113)와 결합되는 결합판(125)을 포함한다.
가로바본체(121)는 일정 면적을 갖는 금속 재질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가로바본체(121)는 안착판(123)과 함께 측단면 형상이 "I"자 빔의 형태를 이루고, 결합판(125)과 함께 횡단면 형상이 "H" 빔의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가로바(120)의 구조에 의해 수직 방향 하중 및 전단 방향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안착판(123)은 가로바본체(121)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결합되어 안착되는 하부팔레트(150)의 하면을 지지한다. 안착판(123)은 일정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하부팔레트(150)와 면 접촉하며, 하부팔레트(150)를 통해 가해지는 천일염보관백(B)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결합판(125)은 가로바본체(121)의 양측에 일정 면적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결합판(125)은 판면에 복수개의 제2결합공(127)이 형성된다. 제2결합공(12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공(117)과 대응되게 배치된 후 볼트가 체결되어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이때, 제1결합공(117)이 수직바(111,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가로바(120)의 수직 방향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천일염보관백(B)의 크기와 개수 등을 고려하여 수직프레임(110)에 대한 가로바(120)의 결합 간격과 결합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바(111,113)와 가로바(120)는 제1결합공(117)과 제2결합공(127)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므로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다. 따라서, 설치 장소와 천일염보관백(B)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2결합공(127)은 결합판(125)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제2결합공(127)의 배치 간격은 제1결합공(117)의 배치 간격과 동일하게 구비된다.
간수집수관(130)은 수직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부팔레트(140)로부터 배출되는 간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간수집수관(130)은 수직하게 배치된 집수관본체(131)와, 집수관본체(131)에 연결된 연결관(133)과, 연결관(133)에 연장 형성된 호스삽입관(135)을 포함한다.
집수관본체(131)는 한 쌍의 수직바(111,113) 사이에 배치된다. 집수관본체(131)의 하부 영역은 간수이동관(137)과 연결되고, 간수이동관(137)은 간수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의해 상부팔레트(140)에 적재된 천일염보관백(B)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간수저장탱크(미도시)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관(133)은 집수관본체(131) 사이에 배치되어 집수관본체(131)를 연결하고, 호스삽입관(135)을 통해 유입되는 간수가 집수관본체(131)로 이동되도록 한다. 호스삽입관(135)은 연결관(133)의 판면으로부터 상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호스삽입관(1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팔레트(140)의 간수배출호스(147)의 일단 측이 삽입되어 연결되며, 따라서 간수배출호스(147)를 통해 이동되는 간수를 집수관본체(131)로 안내한다. 이때, 호스삽입관(135)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간수배출호스(147)가 아랫 방향으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부팔레트(140)의 간수가 간수배출호스(147)를 따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호스삽입관(135)은 연결관(133)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Y"자 형태로 양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간수집수관(130)을 중심으로 주변에 복수개의 천일염보관백(B)이 보관될 경우, 연결관(1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호스삽입관(135)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간수집수관(130)은 집수관본체(131)가 연결관(133)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관(133)의 판면에 호스삽입관(135)이 일체로 연장되게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간수집수관(130)에 호스삽입관(135) 바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집수관본체(131)와 간수이동관(137)을 통해 이동된 간수는 간수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다. 간수저장탱크(미도시)는 그 일부는 지면에 매몰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간수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 간수는 추후 후처리를 통해 재활용될 수 있다.
상부팔레트(140)는 상면에 천일염보관백(B)이 안착되어 적재되며, 천일염보관백(B)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를 수용하였다가 간수집수관(130) 측으로 배출시킨다. 상부팔레트(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팔레트(150)의 상면에 적층되는 상부팔레트본체(141)와, 상부팔레트본체(14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적재된 천일염보관백(B)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가 수용되는 간수수용부(145)와, 간수수용부(145) 사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적재되는 천일염보관백(B)을 접촉 지지하는 복수개의 적재기둥(143)과, 간수수용부(145)에 수용된 간수를 간수집수관(130)으로 배출시키는 간수배출호스(147)를 포함한다.
상부팔레트본체(141)는 간수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바닥면이 하부팔레트(150) 상에 적층된다. 상부팔레트본체(141)의 바닥면에는 하부팔레트(150)의 끼움돌기(153)가 결합되는 결합공(미도시)이 외주연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간수수용부(145)는 복수개의 적재기둥(143) 사이에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간수수용부(145)는 상부팔레트본체(141)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의 전 영역을 따라 분포되며, 서로 연통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적재기둥(143) 상에 적재된 천일염보관백(B)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가 간수수용부(145) 내의 전 영역으로 퍼지며 수용된다.
적재기둥(143)은 상부팔레트본체(14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측벽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적재기둥(143)은 상부팔레트본체(141)의 전 영역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면에 천일염보관백(B)이 적재된다. 적재기둥(143) 사이에는 간수수용부(145)가 형성되어 있어 천일염보관백(B)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가 직접 간수수용부(145)로 수용될 수 있다.
간수배출호스(147)는 간수수용부(145)에 수용된 간수를 간수집수관(130)으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간수배출호스(147)는 그 일단부(147a)가 간수수용부(145) 내에 배치되고, 타단부(147b)는 간수집수관(130)의 호스삽입관(135)에 연결된다. 간수배출호스(147)는 상부팔레트본체(141)의 측벽을 통해 타단부(147b)가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된 타단부(147b)는 호스삽입관(135)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삽입관(135)의 높이가 상부팔레트(140)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간수배출호스(147)의 타단부(147b)는 하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간수수용부(145)에 수용된 간수가 간수배출호스(147)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간수배출호스(147)는 상부팔레트본체(141)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부팔레트본체(141) 내부로 배출된 간수의 수위가 낮더라도 최대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팔레트(150)는 상부팔레트(140)와 결합된 상태로 가로바(120)의 상부에 적재된다. 하부팔레트(150)는 상부팔레트(140)와 적층적으로 결합되어 천일염보관백(B)이 적재된 상부팔레트(140)를 지게차를 이용해 가로바(120) 상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부팔레트(140)는 그 위에 복수개의 천일염보관백(B)이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간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하부팔레트(150)는 상부팔레트(140)를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하부팔레트(150)는 상부팔레트(140)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팔레트(140) 보다 일정 면적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팔레트(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로바(120) 상에 적재되는 하부팔레트본체(151)와, 하부팔레트본체(151)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된 결합돌기(153)와, 하부팔레트본체(15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면(155)을 포함한다.
하부팔레트본체(151)는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하부팔레트본체(151)의 측면에는 포크삽입공(157)이 복수개 형성된다. 포크삽입공(157)은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데 이용된다.
결합돌기(153)는 하부팔레트본체(151)의 테두리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부팔레트(140)의 하부 영역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하부팔레트(150)와 상부팔레트(140)가 적층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결합면(155)은 하부팔레트본체(15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팔레트(140)와 면 접촉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100)의 조립 과정과 사용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천일염이 보관될 저장고 내부에 수직프레임(110)을 설치한다. 수직프레임(110)은 한 쌍의 수직바(111,113)와 보강바(115)가 미리 조립된 형태로 준비되거나, 저장고(미도시) 내부에서 조립되어 준비될 수 있다. 수직바(111,113)의 하부 영역은 저장고(미도시)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 영역은 저장고(미도시)의 천정 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다.
수직프레임(110)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수직프레임(110)의 배치가 완료되면, 수직프레임(110)의 가로 방향으로 한 쌍의 가로바(120)를 서로 평행하게 조립한다. 가로바(120)는 적재되는 천일염보관백(B)의 높이를 고려하여 수직프레임(110)에 조립된다. 작업자는 복수개의 제1결합공(117) 중 희망하는 높이에 제2결합공(127)을 배치하고 체결부재(미도시)를 체결하여 가로바(1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가로바(120)는 수직프레임(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직프레임(110)의 축 방향을 따라 가로바(120)가 다층적으로 구비된다.
수직프레임(110)의 일측에는 간수집수관(130)을 설치한다. 복수개의 집수관본체(131)를 연결관(133)에 의해 연결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한다. 집수관본체(131)의 하부 영역은 간수이동관(137)과 연결되고, 간수이동관(137)은 간수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된다.
한편, 상부팔레트(140)를 하부팔레트(150) 상에 적층시켜 준비한다. 그리고, 상부팔레트(140) 상에 천일염이 수용된 천일염보관백(B)을 적재한다. 천일염보관백(B)의 적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지게차의 포크(미도시)를 하부팔레트(150)의 포크삽입공(157)에 삽입하여 하부팔레트(150)와 상부팔레트(140) 및 이에 적재된 천일염보관백(B)을 함께 가로바(120) 상에 적재한다. 작업자는 수직프레임(110)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 가로바(120)에 천일염보관백(B)을 적재시키고, 상부 영역에 위치된 가로바(120)에도 천일염보관백(B)을 적재시킨다.
작업자는 서로 다른 높이의 가로바(120)에 천일염보관백(B)을 적재한 후, 해당하는 상부팔레트(140)에 위치된 간수배출호스(147)를 이웃하게 배치된 간수집수관(130)의 호스삽입관(135)에 삽입한다.
가로바(120)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천일염보관백(B)은 서로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각각의 천일염보관백(B)은 상부팔레트(140)의 적재기둥(143) 상에 적재되고, 천일염보관백(B)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는 상부팔레트(140)의 간수수용부(145)에 수용된다. 간수수용부(145)에 수용된 간수는 간수배출호스(147)를 통해 집수관본체(131)로 배출된 후, 간수저장탱크(미도시)로 최종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는 수직프레임과 가로바의 조립 구조에 의해 상부팔레트 상에 적재된 천일염보관백이 서로 이격되게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가로바가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므로 천일염보관백의 크기와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분해도 가능하다.
또한, 천일염보관백이 적재되는 상부팔레트에는 바닥면에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되는 간수가 수용되는 간수수용부가 구비되므로, 간수가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천일염보관백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천일염보관백의 간수 배출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저장고에 보관되는 천일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팔레트 내에 수용되는 간수는 간수배출호스를 통해 간수집수관으로 빠르게 배출되므로 상부팔레트 내에 간수가 체류되고 상부팔레트 표면에 천일염이 응고되거나 간수배출호스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110 : 수직프레임
111 : 좌측 수직바 113 : 우측 수직바
115 : 보강바 117 : 제1결합공
120 : 가로바 121 : 가로바본체
123 : 안착판 125 : 결합판
127 : 제2결합공 130 : 간수집수관
131 : 집수관본체 133 : 연결관
135 : 호스삽입관 137 : 간수이동관
140 : 상부팔레트 141 : 상부팔레트본체
143 : 적재기둥 145 : 간수수용부
147 : 간수배출호스 150 : 하부팔레트
151 : 하부팔레트본체 153 : 결합돌기
155 : 결합면 157 : 포크삽입공

Claims (4)

  1.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천일염보관백이 적재되는 상부팔레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수집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팔레트는,
    상부팔레트본체와;
    상기 상부팔레트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일염보관백으로부터 배출된 간수가 수용되는 간수수용부와;
    일단부는 상기 간수수용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간수집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간수수용부의 간수를 상기 간수집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간수배출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파레트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바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부파레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레트의 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공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수집수관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집수관본체와;
    상기 집수관본체의 축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간수배출호스가 하향 삽입되는 호스삽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KR2020110009164U 2011-10-14 2011-10-14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KR200458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64U KR200458837Y1 (ko) 2011-10-14 2011-10-14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64U KR200458837Y1 (ko) 2011-10-14 2011-10-14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837Y1 true KR200458837Y1 (ko) 2012-03-15

Family

ID=4762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64U KR200458837Y1 (ko) 2011-10-14 2011-10-14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83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762U (ko) * 1995-11-15 1997-06-18 정세춘 염수받이가 부설된 소금 보관통
KR20070107919A (ko) * 2006-05-04 2007-11-08 (주)가우아이앤씨 다단선반의 높이간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를 갖는물품의 전시가 가능한 조립선반
KR20100006828U (ko) * 2008-12-26 2010-07-06 (유)서해푸드 천일염 용기
KR20100100716A (ko) * 2010-05-04 2010-09-15 정초인 간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천일염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762U (ko) * 1995-11-15 1997-06-18 정세춘 염수받이가 부설된 소금 보관통
KR20070107919A (ko) * 2006-05-04 2007-11-08 (주)가우아이앤씨 다단선반의 높이간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를 갖는물품의 전시가 가능한 조립선반
KR20100006828U (ko) * 2008-12-26 2010-07-06 (유)서해푸드 천일염 용기
KR20100100716A (ko) * 2010-05-04 2010-09-15 정초인 간수 처리 기능을 구비한 천일염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1518C (en) Module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parts, displacement body, use of a grid for the production of a module and concrete part
US20090250369A1 (en) Water holding tank
RU23700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в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астений и его основание
MX2008013803A (es) Tanque para almacenamiento de agua.
ES2253714T3 (es) Acumulador de liquido tridimensional de tipo caja.
KR101037580B1 (ko) 사면 식생용 옹벽
EP2931631B1 (en) Modular tanks, method for constructing a modular tank and kit for constructing a modular tank
US8851317B2 (en) Effluent filtration tank
KR200458837Y1 (ko) 천일염 보관 선반조립체
US7735668B2 (en) Large-volume container comprising two parts and a support device located in the connection region
US8833708B2 (en) Support structure
JPH07229172A (ja) 雨水溜家屋
KR20130077864A (ko) 크레이트
AU2008255231B2 (en) Water tank improvements
KR101609381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EP3359753B1 (en) Inspection chamber for a pipe structure for drainage or sewerage
FR2956384A1 (fr) Element d'angle et caisse demontable renforcee
CN216532811U (zh) 一种多用途模块化混凝土树池
KR101857595B1 (ko)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
CN216949731U (zh) 一种平底板抗浮一体化地埋式水箱
AU2008203248A1 (en) Fluid reservoir
JP2015148125A (ja) ウォーターフェンス
CN217779228U (zh) 一种多层沥水货架
JP3175652U (ja) 円筒型貯水タンク
CN101454515A (zh) 水储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