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783Y1 - 진열판체결구 - Google Patents

진열판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83Y1
KR200458783Y1 KR2020090013036U KR20090013036U KR200458783Y1 KR 200458783 Y1 KR200458783 Y1 KR 200458783Y1 KR 2020090013036 U KR2020090013036 U KR 2020090013036U KR 20090013036 U KR20090013036 U KR 20090013036U KR 200458783 Y1 KR200458783 Y1 KR 200458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late
plate support
body portion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620U (ko
Inventor
우종국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선호
우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우종국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2020090013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8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진열판체결구의 몸체부(100)는 그 외주를 둘러 나사부(80)가 형성되며 이중 앞 부분의 나사부(83)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높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진열판(250)과 결합되는 진열판결합부(200)와 결합된다.
Figure R2020090013036
진열판, 체결

Description

진열판체결구{Display plate connecting device}
본 고안은 진열판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진열판을 벽체 등과 같은 진열판지지체에 설치하는 진열판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열판체결구는 목재재질의 진열판지지체에 특별한 결합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되며, 이외 아크릴이나 유리재질 등의 진열판지지체에도 쉽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목재재질의 진열판지지체가 이중으로 결합될 때 본 고안에 따른 진열판체결구에 따라 이들 이중의 진열판지지체를 상호간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진열판체결구는 진열판을 벽체 등과 같은 지지체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그 몸체부에 진열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몸체부를 벽체 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진열판체결구가 결합되는 벽체 등은 목재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외 아크릴이니 유리로 이루질 수도 있다.
진열판체결구를 벽체 등의 지지체에 결합할 때 그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록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진열판지지체가 이중으로 결합되 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벽체에 사각판이 결합되고 상기 사각판에 진열판체결구가 결합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진열판체결구를 사용하여 이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 등의 지지체에 결합할 때 그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는 진열판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열판지지체가 이중으로 결합되는 경우, 이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진열판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외주를 둘러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된 것으로서, 진열판과 결합된 진열판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몸체부 외주의 나사부 중 일부는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판체결구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진열판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진열판은 상기 진열판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 외주의 나사부 중 앞쪽 부분이 그 뒷부분보다 나사산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그 뒷면은 폐쇄되고 앞면은 개방된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 폐쇄된 공동부의 뒷면에는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못이 제공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진열판체결구에 경우 벽체와 같은 진열판지지체가 목재재질인 경우 단순히 그 결합공에 끼워 넣음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지며 또한 전면과 후면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진열판지지체를 용이하게 결합을 시키면서 전면의 진열판지지체에 체결이 된다. 또한 목재재질 이외의 것에도 쉽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판체결구의 몸체부(100)를 보인다. 이와 같은 몸체부(100)에 진열판(250)과 결합되는 진열판결합부(200)가 결합된다. (도 4 및 도 6 참조)
상기 몸체부(100)는 그 외주를 둘러 나사부(8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나사부 중 일부의 나사산(83)은 다른 부분보다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의 나사부(83)가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뒷부분의 나사부의 직경은 D1인데, 앞부분의 나사부(83)의 직경은 D2로서 앞 부분의 나사부(83)의 직경이 H만큼 높게 형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앞쪽의 나사부(83)가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의 전단에는 그 주위를 둘러 테두리부(40) 가 형성되고 그 전면(63)은 개방되어 그 안쪽으로 공동부(60)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뒷면(64)은 폐쇄되어 있다.
상기 공동부(60)에는 후술하는 진열판결합부(2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진열판결합부(200)는 몸체부(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지만, 다른 경우 몸체부(100)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후술하는 상기 진열판결합부(200)에는 진열판(2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것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뒷면(64)에는 결합공(69)이 형성되며, 여기에 나사못(79)과 같은 결합수단이 결합된다.
도 2의 (a)를 참고로, 목재를 재질로 하는 지지체(400a)에 그 뒷부분이 폐쇄된 결합공(48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공(480a)의 직경은 높이가 높은 나사부(83)의 직경(D2)보다 작다.
이러한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진열판체결구의 몸체부(100)를 인입하면서 강제로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가 높은 나사부(83)가 목재재질의 지지체(400a)의 결합공(480a)의 내면에 강제로 대응하는 나사부를 형성하면서 강제 결합된다.
도 2의 (b)를 참고로, 목재를 재질로 하는 지지체(400b)에 결합공(480b)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공(480b)의 직경은 높이가 높은 나사부(83)의 직경(D2)보다 작다.
이러한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진열판체결구의 몸체부(100)를 인입하면서 강제로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가 높은 나사부(83)가 목재재질의 지지체(400b)의 결합 공(480b)의 내면에 강제로 대응하는 나사부를 형성하면서 강제 결합된다.
도 3과 4는 진열판지지체(400c)(500)가 이중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보인다.
이 경우, 전면의 진열판 지지체(400c)에는 진열판체결구의 몸체부(100)가 결합되는 관통결합공(480c)이 다수개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결합공(480c)에 진열판체결구의 몸체부(10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진열판지지체(400c)는 목재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관통결합공(480c)의 직경이 높이가 높은 나사부(83)의 직경(D2)보다 작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를 상기 관통결합공(480c)에 인입하면서 강제로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가 높은 나사부(83)가 목재재질의 지지체(400c)의 관통결합공(480c)의 내면에 강제로 대응하는 나사부를 형성하면서 강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공동부(60)의 뒷면(64)의 결합공(69)에 나사못(79)과 같은 결합수단을 결합한다. 그러면 이에 따라 상기 전면의 진열판지지체(400c)와 그 후면의 진열판지지체(500)가 결합이 된다.
상기 몸체부(100)의 공동부(60)에 진열판결합부(200)가 결합되며, 그 전면에 진열판(250)이 진열판결합부(200)에 결합되고 있다.
도 5와 6은 진열판지지체(700)가 아크릴이나 유리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로서, 이 경우 그 관통결합공(780)을 몸체부(100)가 관통하고 그 후면에서 너트부재(900)가 결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를 경우 벽체와 같은 진열판지지체가 목재재질인 경우 단순히 그 결합공에 끼워 넣음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지며 또한 전면과 후면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진열판지지체를 용이하게 결합을 시키면서 전면의 진열판지지체에 체결이 된다. 또한 목재재질 이외의 것에도 쉽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이 되었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작용을 보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을 보이는 도면.

Claims (5)

  1. 결합공을 가지는 진열판지지체에 진열판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재질은 목재 또는 유리 또는 아크릴이며,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재질이 유리 또는 아크릴인 경우 상기 결합공은 관통공이며;
    (a) 외주를 둘러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여기서,
    (a1) 상기 몸체부의 전단에는 그 주위를 둘러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a2) 상기 몸체부의 뒷면은 폐쇄되고 앞면은 개방된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 폐쇄된 공동부의 뒷면에는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있으며,
    (a3) 상기 몸체부의 나사부는, 상기 테두리부 쪽 방향을 앞쪽으로 하여, 앞쪽부분의 나사부의 직경이 상기 앞쪽부분의 뒷쪽에 형성된 뒷쪽부분의 나사부의 직경보다 크며; 만일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재질이 목재인 경우 상기 앞쪽부분의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결합공의 직경보다 크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결합공에 인입하면서 강제로 회전하면 상기 앞쪽부분의 나사부가 상기 결합공의 내면에 강제로 대응하는 나사부를 형성하면서 강제로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진열판지지체와 결합하고; 만일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재질이 유리 또는 아크릴인 경우 상기 앞쪽 부분의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결합공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몸체부를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관통공인 결합공을 관통하여 인입하였을 때 상기 뒷쪽부분의 나사부는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관통공인 결합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진열판지지체의 관통공인 결합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몸체부의 뒷쪽부분의 나사부에 너트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진열판지지체와 결합하고;
    (b) 상기 몸체부의 공동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진열판과 결합된 진열판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진열판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판결합부에서 상기 진열판은 상기 진열판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판체결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나사못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판체결구.
KR2020090013036U 2009-10-07 2009-10-07 진열판체결구 KR200458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36U KR200458783Y1 (ko) 2009-10-07 2009-10-07 진열판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36U KR200458783Y1 (ko) 2009-10-07 2009-10-07 진열판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20U KR20110003620U (ko) 2011-04-13
KR200458783Y1 true KR200458783Y1 (ko) 2012-03-12

Family

ID=4420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036U KR200458783Y1 (ko) 2009-10-07 2009-10-07 진열판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8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28U (ko) * 1999-04-21 2000-11-25 이창환 구조물 시공용 파이프 체결구조
JP4198061B2 (ja) * 2001-12-27 2008-12-17 スカニア シーブイ アクチボラグ(パブル) 対象物を支持構造体に取り付ける固定装置と方法
KR20090006288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서울금속 스크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28U (ko) * 1999-04-21 2000-11-25 이창환 구조물 시공용 파이프 체결구조
JP4198061B2 (ja) * 2001-12-27 2008-12-17 スカニア シーブイ アクチボラグ(パブル) 対象物を支持構造体に取り付ける固定装置と方法
KR20090006288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서울금속 스크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20U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171B2 (en) Hanging system for pictures or objects
US7719832B2 (en) Computing device mounting system
US8126186B2 (en) Display
US8482907B2 (en) Electronic device and wall hang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KR20140104836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면 고정 구조
WO2009038967A3 (en) Fastener assembly
EP1996005A3 (en) Substrate attachment structure
KR200458783Y1 (ko) 진열판체결구
KR200467577Y1 (ko) 가구용 조립구
KR200442211Y1 (ko) 진열판 체결구
KR20160120579A (ko) 엘이디 라이트패널
US20110290519A1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ATE501330T1 (de) Montageschraube zur befestigung von beschlagteilen
EP2040263A3 (en) Disk device
KR200381873Y1 (ko) 판넬 부착용 나사못
JP2008202774A (ja) 外入れナット
US9244489B2 (en) Display device
JP2011202677A (ja) ネジ止め構造
US20060267460A1 (en) Ornamental panel for electronic devices
EP2738529A1 (en) Photoelectric sensor
KR1011555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WO2022077691A1 (zh) 一种壁板用膨胀螺钉
KR100919714B1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배면커버 구조체
JP2016084916A (ja) パイプ抱持バンド取付具およびパイプ抱持バンド取付具の取付構造
JP6161398B2 (ja) パネル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