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580B1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580B1
KR101155580B1 KR1020100104718A KR20100104718A KR101155580B1 KR 101155580 B1 KR101155580 B1 KR 101155580B1 KR 1020100104718 A KR1020100104718 A KR 1020100104718A KR 20100104718 A KR20100104718 A KR 20100104718A KR 101155580 B1 KR101155580 B1 KR 10115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ans
antenna
main body
portable terminal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420A (ko
Inventor
김광화
윤성호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0010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5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6Means for locking or protecting against unauthorized ex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조립되는 안테나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고정 수단을 결합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는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방출 홀을 통하여 안테나의 일부가 돌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의 일측 말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제 1 체결 수단과, 상기 제 1 체결 수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 2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에 걸리도록 하는 링의 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Antenna structure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조립되는 안테나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고정 수단을 결합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그 형태에 따라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장형 안테나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내장형 안테나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외장형 안테나는 본체의 외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그 길이를 신장시키는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와 안테나의 일부가 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지만 그 길이를 신장시킬 수 없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 안테나로 구별할 수 있다.
최근, 리트랙터블 안테나보다는 고정형 안테나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외장형 안테나보다는 내장형 안테나가 많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리트랙터블 안테나 고유의 장점으로 인하여 여전히 리트랙터블 안테나의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정형 안테나 또는 내장형 안테나는 안테나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즉, 고정형 안테나 및 내장형 안테나는 그 형태만으로는 특정 대역을 벗어나는 신호는 수신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 안테나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신호의 간섭이 발생하여 수신 감도가 감소되기도 한다.
이에 반하여, 리트랙터블 안테나는 사용자가 임의로 그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한계가 다소 감소되며, 수신 감도도 고정형 안테나 또는 내장형 안테나보다 높게 형성된다.
한편, 리트랙터블 안테나는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조립되는데, 사용자가 본체의 외부로 안테나를 잡아당기는 경우 안테나가 완전히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안테나의 일측은 그 크기가 홀보다 크게 형성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트랙터블 안테나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홀을 통하여 안테나를 방출시킨 이후에 방출된 안테나의 일측에 헤드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일단 헤드가 결합되면 헤드를 파손시키지 않는 이상 헤드를 제거할 수 없게 되는데, 이에 따라 본체에 대한 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안테나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부득이하게 헤드를 파손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를 파손시키지 않고도 결합된 안테나를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조립되는 안테나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고정 수단을 결합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는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방출 홀을 통하여 안테나의 일부가 돌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의 일측 말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제 1 체결 수단 및 상기 제 1 체결 수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 2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에 걸리도록 하는 링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는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방출 홀을 통하여 안테나의 일부가 돌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의 일측 말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제 1 체결 수단 및 상기 제 1 체결 수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 2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나사의 형태로서 상기 제 1 체결 수단에 구비된 나사 홀에 결합되는 나사 산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 수단의 헤드 지름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 수단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조립되는 안테나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고정 수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안테나의 헤드를 파손시키지 않고도 안테나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케이스에 구비된 안테나 방출 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결 수단이 제 1 체결 수단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결 수단의 나사 홀 구조체와 몸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나사 홀 구조체에 몸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7의 제 2 체결 수단이 제 1 체결 수단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4의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케이스에 구비된 안테나 방출 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케이스는 크게 두 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는 이동 전화기의 경우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부착되는 앞면 케이스와 그 반대편의 뒷면 케이스로 형성되거나, 사용자 입력 자판이 배치되는 앞면 케이스와 그 반대편의 뒷면 케이스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앞면 케이스는 LCD 또는 자판과 같이 사용자에 대한 주요한 인터페이스 수단이 구비된 것을 의미하고, 뒷면 케이스는 그 반대편에 구비된 것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라고 하는 이동 전화기가 등장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별도의 자판 없이 구비된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동작하여 입력 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는 부분이 앞면 케이스이고, 그 반대편이 뒷면 케이스인 것이다.
외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안테나의 일부를 돌출시키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에 방출 홀(100, 200)을 구비하는데, 방출 홀(100, 200)은 앞면 케이스 또는 뒷면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방출 홀(100, 200)은 앞면 케이스와 뒷면 케이스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앞면 케이스에 방출 홀(100, 200)의 일부가 형성되고, 뒷면 케이스에 방출 홀의 나머지 일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체 케이스의 앞면 케이스 또는 뒷면 케이스에 방출 홀(10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방출 홀(100)이 형성된 케이스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결국 방출 홀(100)이 열린 구조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열린 구조의 방출 홀(100)은 나머지 본체 케이스가 결합됨에 따라 닫힌 구조의 방출 홀이 된다.
즉, 도 1과 같이 열린 구조의 경우에는 열린 부분으로 안테나가 이탈될 수 있으나, 나머지 본체 케이스가 결합됨에 따라 열린 부분이 별도의 수단(미도시)으로 채워짐으로써 안테나가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열린 구조로 방출 홀(100)이 형성되면 안테나를 제거하는데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본체 케이스가 뒷면 케이스라고 할 때, 본체 케이스에서 앞면 케이스만을 제거하면 열린 부분으로 안테나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을 보면 열린 부분은 안테나가 삽입 또는 방출되는 부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안테나가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인 경우에는 접철되는 서로 다른 지름의 안테나 부분 중 열린 부분의 크기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안테나 부분을 통과시킴으로써 안테나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가 점차 축소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닫힌 구조의 방출 홀(200)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도 2는 닫힌 구조의 방출 홀(200)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닫힌 구조의 방출 홀(200)은 외장형 안테나의 삽입 또는 방출은 가능하게 하지만 열린 부분이 없기 때문에 안테나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방출 홀(200)은 외장형 안테나의 방출 또는 삽입만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크기는 안테나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안테나는 항상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헤드 부분과 항상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내부 말단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내부 말단 부분(이하, 테일 부분이라 한다)에는 안테나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에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맞는 돌기를 안테나의 테일 부분에 형성시킴으로써 안테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안테나를 본체 케이스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에 결합되어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 수단은 안테나 몸통이 관통하는 관통 홀과 본체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안테나를 조립함에 있어서 우선 관통 홀에 안테나를 삽입한 이후에 안테나와 지지 수단의 조립체를 본체 케이스에 부착하게 되는데, 지지 수단의 크기가 방출 홀(200)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방출 홀(200)을 통하여 안테나를 삽입할 수 없게 된다.
즉, 안테나의 테일 부분부터 방출 홀(200)을 통하여 삽입하더라도 지지 수단에 의하여 걸리기 때문에 완전히 조립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닫힌 구조의 방출 홀(200)을 갖는 본체 케이스에 안테나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방출 홀(200)을 통하여 안테나를 방출시킨 이후에 방출된 안테나의 헤드 부분에 헤드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헤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제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이에 따라 일단 헤드가 결합되면 헤드를 파손시키지 않는 이상 헤드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대한 수리를 수행할 때 안테나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닫힌 구조의 방출 홀(200)을 갖는 본체 케이스의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헤드를 파손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테일 부분에 형성된 돌기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방출 홀(200)을 통하여 안테나(300)의 일부가 돌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는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의 일측 말단 즉, 테일 부분(330)에 결합되어 형성된 제 1 체결 수단(400)과, 제 1 체결 수단(4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 2 체결 수단(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안테나(300)는 헤드(310)와 안테나 몸통(320)으로 구성되고, 안테나 몸통(320)에는 본체 케이스에 결합되어 안테나 몸통(320)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34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리트랙터블 안테나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고정형 안테나일 수도 있다.
안테나의 테일 부분(330)에는 제 1 체결 수단(400)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체결 수단(400)은 제 2 체결 수단(500)과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 수단(400)은 안테나의 테일 부분(33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는데, 이하 힌지 결합되는 안테나의 테일 부분을 힌지 돌기부(330)라 한다.
또한, 제 1 체결 수단(400)은 제 2 체결 수단(5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4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힌지 결합 및 나사 결합을 위하여 제 1 체결 수단(400)의 일측에는 힌지 홈(410)이 형성되고, 나머지 일측에는 나사 산(420)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홈(410)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홀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힌지 돌기부(330)의 힌지 돌기(335)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단순히 힌지 돌기(335)가 삽입은 되지만 관통되지 않은 홈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힌지 돌기(335)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안테나의 힌지 돌기부(330)에 구비된 힌지 돌기(335)는 힌지 홈(410)에 삽입되어 안테나(300)와 제 1 체결 수단(400)에 의한 힌지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힌지 홈(410)이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홈으로 구성됨에 따라 힌지 돌기(33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각 힌지 돌기(335)는 대응하는 힌지 홈(410)에 삽입된다.
한편, 힌지 홈(410)이 형성된 제 1 체결 수단(400)의 반대 일측에는 나사 산(4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나사 산(420)은 제 2 체결 수단(500)과 나사 결합을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힌지 홈(410)과 힌지 돌기(335)에 의하여 형성된 힌지는 제 2 체결 수단(50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즉, 제 2 체결 수단(500)에 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안테나(300)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제 2 체결 수단(500)을 제 1 체결 수단(400)에서 분리하여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체결 수단(400)과 제 2 체결 수단(500)이 나사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제 2 체결 수단(500)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이를 회전시켜야 한다.
그런데, 제 1 체결 수단(400)과 제 2 체결 수단(500)의 결합체가 안테나(3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 케이스에 밀착하여 있는 경우에는 제 2 체결 수단(500)을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300)와 제 1 체결 수단(400)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인데, 제 2 체결 수단(500)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 1 체결 수단(400)과 제 2 체결 수단(500)의 결합체를 힌지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세움으로써(예를 들면,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움으로써) 용이하게 제 2 체결 수단(5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 1 체결 수단(4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원통 형상을 갖는 제 1 체결 수단(400)의 최대 지름은 방출 홈의 최대 지름과 같거나 그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체 케이스에서 안테나(300)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 결합된 제 1 체결 수단(400)까지 완전히 방출시켜야 하는데, 제 1 체결 수단(400)의 지름이 방출 홈보다 큰 경우 안테나(300)를 완전히 방출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도 5는 제 1 체결 수단(400)에 힌지 홈(410)이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의 힌지 돌기부(330)에 힌지 돌기(3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체결 수단(400)에 힌지 돌기가 형성되고, 안테나의 힌지 돌기부(330)에 힌지 홈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결 수단(500)이 제 1 체결 수단(400)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체결 수단(400)의 나사 산(420)이 제 2 체결 수단(500)의 나사 홀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결 수단(500)은 나사 홀을 구성하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나사 홀을 구성하는 구조체는 제 2 체결 수단(500)의 몸체와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나사 홀을 구성하는 구조체를 나사 홀 구조체라 한다.
또한, 제 2 체결 수단(500)은 이탈 방지 돌기(51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말단 면에 홈(520)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탈 방지 돌기(510)는 지지 수단(340)에 걸림으로써 제 2 체결 수단(500)에 결합된 안테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탈 방지 돌기(510)의 지름이 지지 수단(340)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를 잡아 당김에 따라 제 2 체결 수단(500)이 이동하더라도 지지 수단(340)에 이탈 방지 돌기(510)가 걸려 더 이상 제 2 체결 수단(500)이 외부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탈 방지 돌기(510)는 방출 홀(2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지지 수단(340)에서 이탈 방지 돌기(510)가 빠지더라도 제 2 체결 수단(500)이 결합된 안테나(300)가 방출 홀(200)을 통하여 완전히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홈(520)은 나사 결합된 제 2 체결 수단(500)을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드라이버를 홈(520)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제 2 체결 수단(5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홈(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십자형 또는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나사 홀 구조체가 몸체 안에서 이동하는 제 2 체결 수단(700)이 제 1 체결 수단(400)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결 수단(700)의 나사 홀 구조체(720)와 몸체(71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은 제 1 체결 수단(400)과 나사 홀 구조체(72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나사 홀 구조체(720)에 몸체(71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결 수단(700)은 몸체(710) 및 나사 홀 구조체(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체결 수단(700)의 몸체(710)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제 1 체결 수단(400)과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그 내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710)에는 이탈 방지 돌기(71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제 2 체결 수단(500)의 이탈 방지 돌기(510)와 마찬가지로 지지 수단(340) 또는 방출 홀(200)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 홀 구조체(720)의 양 말단에는 걸림 수단(721, 72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나사 홀 구조체(720)가 몸체(710)에 삽입되었을 때 나사 홀 구조체(720)와 몸체(710)의 내부 면 사이에 존재하는 판 스프링(730)이 나사 홀 구조체(720)와 함께 몸체(7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걸림 수단(721, 722)는 몸체(710)에 구비된 이동 방지 수단(미도시)에 걸리게 됨으로써 나사 홀 구조체(720)가 몸체(7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판 스프링(730)은 몸체(720)의 내부 면에 지지되어 나사 홀 구조체(720)에 압력을 가하여 몸체(720)의 내부 면과 나사 홀 구조체(720)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나사 홀 구조체(720)가 몸체(720) 내부에서 헐겁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나사 홀 구조체(720)는 몸체(710)의 내부 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1 체결 수단(400)의 나사 산(420)이 결합되는 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할 수도 있으며, 제 1 체결 수단(400)의 나사 산(420)이 결합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축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은 사용자가 안테나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축에 대한 회전은 나사 홀 구조체(720)에 형성된 홈(723)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730)에 의하여 몸체(710)의 내부 면과 나사 홀 구조체(720)간의 마찰이 충분히 큰 경우 몸체(71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체결 수단(400)에 대한 나사 홀 구조체(720)의 회전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제 2 체결 수단(500, 700)의 몸체(710)의 아래 쪽 외주면을 따라 하나의 이탈 방지 돌기(510, 715)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 개의 이탈 방지 돌기가 제 2 체결 수단(500, 7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그 형태도 외주면을 따른 원형이 아닌 톱니 바퀴 모양일 수 있으며, 그 외에 지지 수단(340)의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7의 제 2 체결 수단(700)이 제 1 체결 수단에(400)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은 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은 결합된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체결 수단(400)의 나사 산(420)은 제 2 체결 수단(700)의 나사 홀 구조체(720)와 나사 결합한다. 나사 홀 구조체(720)는 제 2 체결 수단(700)의 몸체(710) 내부 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데, 사용자가 안테나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음에 따라 몸체(710) 내부 면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 홀 구조체(720)와 몸체(710)간의 마찰에 따라 안테나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더라도 나사 홀 구조체(720)가 몸체(7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데, 이상의 직선 이동은 안테나를 충분히 잡아 당긴 경우 몸체(710)에 구비된 이탈 방지 돌기(715)가 지지 수단(340)에 걸려서 몸체(710)는 그 자리에 정지하고 안테나와 함께 나사 홀 구조체(720)가 외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이며, 안테나를 충분히 밀어 넣은 경우 본체 케이스의 안테나 이동 경로상에 존재하는 이동 방지 수단(미도시)이 몸체(71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몸체(710)는 그 자리에 정지하고 안테나와 함께 나사 홀 구조체(720)가 내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은 제 1 체결 수단(400)에 나사 산(420)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체결 수단(500, 700)에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형태로 제 1 체결 수단 및 제 2 체결 수단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체결 수단(1200)에 나사 홀(1210)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체결 수단(1300)에 나사 산(1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320)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340)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사 형태를 갖는 제 2 체결 수단(1300)의 헤드(1320)의 지름은 지지 수단(340)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안테나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 체결 수단(1300)을 회전시켜 제 1 체결 수단(1200)에서 제 2 체결 수단(1300)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안테나를 분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체결 수단(1400)에 축 방향으로 가이드 봉(1410)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체결 수단(1500)이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340)에 걸리도록 하는 링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지지 수단(340)에 걸리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체결 수단(1500)의 외부 지름은 지지 수단(340)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체결 수단(1500)은 제 1 체결 수단(1400)의 가이드 봉(1410)에 삽입되는데, 이를 위하여 가이드 봉(1410)의 지름은 제 2 체결 수단(1500)의 내부 지름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봉(1410)의 지름은 제 1 체결 수단(14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가이드 봉(1410)이 형성된 부위에 제 1 체결 수단(1400)의 축 방향에 대한 수직 면(1430)이 형성되고, 수직 면(1430)이 제 2 체결 수단(1500)의 한쪽 면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이드 봉(1410)에는 제 1 체결 수단(1400)의 축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관통 홀(1420)이 형성되고 관통 홀(1420)에는 고정 핀(1440)이 삽입되는데, 고정 핀(1440)은 수직 면(1430)을 향한 방향으로 제 2 체결 수단(1500)을 지지하여, 결국 제 2 체결 수단(1500)은 제 1 체결 수단(1400)의 수직 면(1430)과 고정 핀(1440)에 의하여 제 1 체결 수단(1400)에 고정된다.
제 2 체결 수단(1500)과 수직 면(1430) 사이에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고정 링(1510)을 삽입할 수 있는데, 고정 링(15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2 체결 수단(1500)이 고정 핀(1440) 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체결 수단(1500)과 고정 핀(1440)간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제 2 체결 수단(150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 링(1510)은 그 재질이 고무일 수 있으며, 링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약간 휨으로써 밀착된 물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금속 재질의 와셔(washer)일 수도 있다.
도 15는 도 14의 제 1 체결 수단(1400)과 제 2 체결 수단(1500)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2 체결 수단(1500)이 제 1 체결 수단(1400)의 가이드 봉(1410)에 삽입되고 수직 면(1430)과 제 2 체결 수단(1500) 사이에 고정 링(1510)이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 핀(1440)이 가이드 봉(1410)의 관통 홀(1420)에 삽입되어 제 2 체결 수단(1500)이 제 1 체결 수단(1400)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5과 같이 고정 핀(1440)을 관통 홀(1420)에 삽입하는 경우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고정 핀(1440)이 관통 홀(1420)에서 이탈할 수도 있는데, 도 16와 같이 고정 핀(1440)의 양쪽을 휨으로써 고정 핀(14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안테나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휘어진 고정 핀(1440)을 곧게 펴고 관통 홀(1420)에서 고정 핀(1440)을 제거한 이후에 제 2 체결 수단(1500)을 가이드 봉(1410)에서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안테나를 분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체결 수단(1700)에는 외주면을 따라 걸림 홈(1710)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체결 수단(1800)이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340)에 걸리도록 링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지지 수단(340)에 걸리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체결 수단(1800)의 외부 지름은 지지 수단(340)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7의 제 1 체결 수단(1700)은 외주면을 따라 걸림 홈(1710)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제 2 체결 수단(1800)을 관통시킴으로써 제 1 체결 수단(1700)과 제 2 체결 수단(1800)을 결합할 수는 없다.
이에, 제 2 체결 수단(1800)은 C자 형태로 그 일부가 절개된 것일 수 있는데, 제 2 체결 수단(1800)은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제 1 체결 수단(1700)의 걸림 홈(1710)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체결 수단(1700)에 고정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결 수단(1800)의 내부 면이 걸림 홈(1710)의 내부에 형성된 원통 외부면에 밀착되고, 제 2 체결 수단(1800)의 위쪽 면 및 아래쪽 면을 향하여 걸림 홈(1710)의 수직 면이 힘을 가하게 되므로 제 2 체결 수단(1800)이 걸림 홈(17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안테나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C자 형태의 제 2 체결 수단(1800)을 걸림 홈(1710)에서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안테나를 분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체결 수단과 제 2 체결 수단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체결 수단(1900)에 나사 홀(1910)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홀(1910)에 체결되는 고정 나사(2100)간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링 형태의 제 2 체결 수단(2000)이 제 1 체결 수단(1900)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 1 체결 수단(1900)의 나사 홀(1910)과 고정 나사(2100)는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것인데, 제 2 체결 수단(2000)이 고정 나사(2100)의 나사 산(2110)에 관통되고 고정 나사(2100)가 나사 홀(191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 2 체결 수단(2000)이 제 1 체결 수단(190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 2 체결 수단(2000)은 제 1 체결 수단(1900)의 절단면과 고정 나사(2100)의 헤드(2120)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제 2 체결 수단(2000)의 내부 지름은 고정 나사(2100)의 헤드(2120)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수단(340)에 걸리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체결 수단(2000)의 외부 지름은 지지 수단(340)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안테나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 나사(2100)을 회전시켜 제거한 이후에 제 1 체결 수단(1900)에서 제 2 체결 수단(2000)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안테나를 분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체결 수단(1200, 1400, 1700, 1900)의 일측에는 힌지 홈이 구비되어, 힌지 홈은 안테나의 힌지 돌기부(33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를 분해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 1 체결 수단(1200, 1400, 1700, 1900)과 제 2 체결 수단(1300, 1500, 1800, 2000)의 결합체를 힌지 회전시켜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세움으로써 용이하게 제 2 체결 수단(1300, 1500, 1800, 20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00: 안테나 310: 헤드
320: 안테나 몸통 330: 힌지 돌기부
335: 힌지 돌기 340: 지지 수단
410: 힌지 홈 420: 나사 산
710: 몸체 720: 나사 홀 구조체
721, 722: 걸림 수단 510, 715: 이탈 방지 돌기
520, 723: 홈 1210, 1910: 나사 홀
1310, 2110: 나사 산 1320, 2120: 헤드
1410: 가이드 봉 1420: 관통 홀
1440: 고정 핀 1510: 고정 링
1710: 걸림 홈
400, 1200, 1400, 1700, 1900: 제 1 체결 수단
500, 700, 1300, 1500, 1800, 2000: 제 2 체결 수단

Claims (8)

  1.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방출 홀을 통하여 안테나의 일부가 돌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의 일측 말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제 1 체결 수단; 및
    상기 제 1 체결 수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 2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에 걸리도록 하는 링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 수단의 외부 지름은 상기 지지 수단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상기 제 1 체결 수단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체결 수단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 가이드 봉에 삽입되고, 상기 축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 봉의 관통 홀에 삽입되는 고정 핀에 의하여 상기 제 1 체결 수단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C자 형태로 그 일부가 절개된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제 1 체결 수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체결 수단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상기 제 1 체결 수단에 구비된 나사 홀과 상기 나사 홀에 체결되는 고정 나사간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 1 체결 수단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 수단은 상기 안테나의 일측 말단과 힌지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7.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방출 홀을 통하여 안테나의 일부가 돌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의 일측 말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제 1 체결 수단; 및
    상기 제 1 체결 수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 2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나사의 형태로서 상기 제 1 체결 수단에 구비된 나사 홀에 결합되는 나사 산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 수단의 헤드 지름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안테나 몸통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 수단의 내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 수단은 상기 안테나의 일측 말단과 힌지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KR1020100104718A 2010-10-26 2010-10-26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KR10115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18A KR101155580B1 (ko) 2010-10-26 2010-10-26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18A KR101155580B1 (ko) 2010-10-26 2010-10-26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20A KR20120043420A (ko) 2012-05-04
KR101155580B1 true KR101155580B1 (ko) 2012-06-19

Family

ID=4626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718A KR101155580B1 (ko) 2010-10-26 2010-10-26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836B1 (ko) 2017-08-25 2018-11-08 주식회사 독트라 안테나 힌지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325A (ja) * 1996-05-13 1997-11-28 Yokowo Co Ltd 移動通信機器用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の給電方法
KR200359415Y1 (ko) 2004-05-12 2004-08-21 박근석 다기능 휴대폰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325A (ja) * 1996-05-13 1997-11-28 Yokowo Co Ltd 移動通信機器用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の給電方法
KR200359415Y1 (ko) 2004-05-12 2004-08-21 박근석 다기능 휴대폰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20A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884B2 (en) Mounting and locking mechanism, casing, and wearable device
US8024841B2 (en) Hinge
US9618975B2 (en) Retractable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871193B1 (ko)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US8254870B2 (en) Bluetooth periphera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388199B2 (en) Adjustable lamp device and holding mechanism thereof
US8593803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KR1011555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CN110131261B (zh) Led箱体的连接装置及led显示屏
KR1010557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US20090123222A1 (en) Detachable connector assembly
US8491245B2 (en) Positioning assembly
US9392721B2 (en) Sliding mechanism with locking function
US2014034086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ing apparatus
US8042230B2 (en) Hinge assembly
KR101598629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124750B1 (ko) 나사 홀더
AU2017101751A4 (en) Quick-Release Structure For a Grease Gun
US20100014939A1 (en) Fastener
KR101237213B1 (ko) 안테나 결합구조
US2010033040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US20100163566A1 (en) Screw protection cover and shell assembly using the same
AU2013204634B2 (en) Blind reel fixing assembly having multi-stage adjustable lengths
AU2013100480A4 (en) Blind reel fixing assembly having multi-stage adjustable lengths
US8468654B2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