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629B1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629B1
KR101598629B1 KR1020090073989A KR20090073989A KR101598629B1 KR 101598629 B1 KR101598629 B1 KR 101598629B1 KR 1020090073989 A KR1020090073989 A KR 1020090073989A KR 20090073989 A KR20090073989 A KR 20090073989A KR 101598629 B1 KR101598629 B1 KR 101598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elastic member
stopper
fli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335A (ko
Inventor
안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6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 1 힌지 축; 상기 제 1 힌지 축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플립 힌지 바디;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1 힌지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와 간섭되는 제 2 스토퍼가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기기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종래의 데스크탑(desktop)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틸트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노트북(notebook)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노트북에 맞는 플립 힌지 방식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플립 힌지 구조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 를 도모하기 위해 넓은 틸팅(tilting) 각도가 요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장 또는 이동할 때, 플립 힌지 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폴딩(folding) 기능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최근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이 디스플레이 본체에 지원이 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눕혀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러한 터치 스크린에 알맞은 플립 힌지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플립 힌지 구조의 개성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본체의 틸팅 각도가 증가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장 또는 이동할 때, 플립 힌지 바디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밀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플립 힌지 구조의 개선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본체를 눕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 1 힌지 축; 상기 제 1 힌지 축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플립 힌지 바디;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1 힌지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와 간섭되는 제 2 스토퍼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 2 힌지 축; 상기 제 2 힌지 축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플립 힌지 바디; 상기 제 2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립 힌지 바디에 삽입되는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축이 관 통하고,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 2 홀더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립 힌지 바디; 상기 플립 힌지 바디를 단계적으로 틸팅 시키기 위한 제 1 어셈블리; 및 상기 플립 힌지 바디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플립 힌지 바디를 지지하는 제 2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본체의 틸팅 각도가 증가되어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틸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장 또는 이동하는 경우에 플립 힌지 바디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플립 힌지가 대략 180도에 가깝게 틸팅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터치 스크린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 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40)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전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런트 캐비닛(50)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후면의 외형을 형성하는 리어 캐비닛(30)이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과, 상기 프런트 캐비닛(50) 및 상기 리어 캐비닛(30)을 디스플레이 본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상기 리어 캐비닛(30)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플립 힌지 어셈블리(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어 캐비닛(30)에는 상기 플립 힌지 어셈블리(1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리어 캐비닛(3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1)에는 상기 플립 힌지 어셈블리(10)의 결합 브래킷(20 : 후술함)이 삽입될 공간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립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 1 홀더가 플립 힌지 바디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립 힌지 어셈블리(1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틸팅(tilting) 시에 회전축의 기능을 하는 복수의 힌지 축(12)과, 상기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플립 힌지 바디(11)와,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틸팅될 때 작용되는 제 1 탄성 부재(13)와,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가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만 작용되는 제 2 탄성 부재(13a)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플립 힌지 어셈블리(10)에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13)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함께 회전 가능한 제 1 홀더(14)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를 수용하는 제 2 홀더(15)와, 상기 제 1 홀더(14)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16)와, 상기 제 1 스토퍼(16)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스토퍼(16)와 간섭되는 제 2 스토퍼(17)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축(12)과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브래킷(20)과, 상기 제 2 스토퍼(17) 및 결합 브래킷(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와셔(18)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홀더(14) 및 상기 제 1 스토퍼(16) 사이에는 와셔(19)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 우측의 구성 요소들, 즉 제 1 탄성 부재(13)와, 제 1 홀더(14)와, 상기 와셔(19)와, 제 1 스토퍼(16)와, 제 2 스토퍼(17)와 스프링 와셔(18)을 제 1 어셈블리라고 할 수 있고, 좌측의 구성 요소들, 즉 제 2 탄성 부재(13a)와, 제 2 홀더(15)를 제 2 어셈블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힌지 축(12)에는 도 3에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의 우측에 위치되는 제 1 힌지과, 축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의 좌측에 위치되는 제 2 힌지 축이 포함된다.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에는 상기 제 1 홀더(14) 및 제 2 홀더(15)가 삽입될 수 있는 헤드부(111)와, 상기 헤드부(1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헤드부(111)를 지지하는 지지부(113)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13) 및 제 2 탄성 부재(13a)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상기 복수의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부(111)는 원통형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11)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홀더(14) 및 제 2 홀더(15)가 상기 헤드부(111)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제 1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홀더에 제 1 탄성 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1 스토퍼와 제 1 스토퍼가 접촉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제 2 탄성 부재 및 제 2 홀더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힌지 축(12)은 상기 제 1 홀더(14) 및 제 2 홀더(15)에 삽입되어,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의 헤드부(111)의 좌측 및 우측에 서로 대칭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11)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힌지 축(12)의 중심은 동일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각각의 힌지 축(1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힌지 축(12)에는 상기 힌지 축(12)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부품들이 결합되는 회전부(121)와, 상기 결합 브래킷(20)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 축(1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122)와, 상기 힌지 축(12)에 결합되는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부(123)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부(121)에 결합되는 부품들이 상기 회전부(12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12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2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부품들에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와, 상기 제 1 홀더(14) 및, 상기 제 1 스토퍼(16)가 있다.
상기 회전 방지부(122)는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브래킷(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래킷(20)에 상기 회전 방지부(122)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202: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브래킷(20)은 상기 리어 브래킷(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홀(202)에 상기 회전 방지부(122)가 삽입되면, 상기 힌지 축(12)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부(122)에는 제 2 스토퍼(17)와, 스프링 와셔(18)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스토퍼(17)와, 상기 스프링 와셔(18)에는 상기 회전 방지부(122)가 삽입되는 비원형의 홀(171, 181)이 형성된다. 상기 홀(171, 181)은 상기 회전 방지부(122)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 축(12)의 일 단부는 상기 결합 브래킷(20)의 관통홀(22)에 삽입되고, 타 단부에는 상기 이탈 방지부(123)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축(12)에 결합된 부품들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부(123)는 상기 회전부(12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13) 및 제 2 탄성 부재(13a)는 판상의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는 기능은 다르지만, 구조 및 형상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의 구조에 관한 설명은 제 1 탄성 부재(13)의 구조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에는 상기 힌지 축(12)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 1 홀더(14)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부(131)와, 상기 걸림부(131)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연장부(132)와, 상기 걸림부(131)의 타 단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13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33)가 포함된다.
상기 걸림부(131)는 판상의 금속이 곡면의 고리 형상으로 휘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서는 상기 걸림부(131)가 "C"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 1 연장부(132) 및 제 2 연장부(13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서는 상기 제 1 연장부(132)의 길이가 상기 제 2 연장부(13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상기 제 1 연장부(132) 및 상기 제 2 연장부(133)의 길이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상기 제 2 연장부(133)의 길이가 상기 제 1 연장부(1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13) 및 제 2 탄성 부재(13a)는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에 삽입되므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틸팅될 때, 상기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와 함께 틸팅된다.
한편, 상기 제 1 홀더(14)에는 상기 힌지 축(12)이 관통하는 관통홀(141)과,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의 걸림부(131)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31)를 지지하는 삽입부(142)와, 상기 제 1 스토퍼(16)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43)와, 상기 제 1 스토퍼(16)가 상기 제 1 홀더(14)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홈(143a)과, 상기 제 1 연장부(132) 및 상기 제 2 연장부(133)가 상기 제 1 홀더(14) 외부로 연장되기 위한 개구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더(14)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관통홀(141)은 상기 제 1 홀더(14)가 상기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상기 힌지 축(12)의 회전부(12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3)는 상기 제 1 홀더(14)의 외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3)의 외주에는 상기 삽입홈(143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43a)에는 상기 제 1 스토퍼(16)의 돌출부(16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4)의 폭은 상기 제 1 연장부(132) 및 제 2 연장부(133) 사이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홀더(14)가 상기 제 1 탄성 부재(1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개구부(144)의 폭이 상기 제 1 연장부(132) 및 제 2 연장부(133) 사이의 폭보다 크면,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회전할 때, 상기 제 1 탄성 부재(13)만 회전되고, 상기 제 1 홀더(14)가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비틀거림 내지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 1 스토퍼(16)에는 상기 회전부(121)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61)과, 상기 제 2 스토퍼(17)와 간섭을 일으키는 복수의 제 1 간섭돌기(162)와, 상기 제 1 홀더(14)의 삽입홈(143a)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스토퍼(16)는 상기 제 1 홀더(14)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 1 스토퍼(16)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스토퍼(17)가 접촉된다.
상기 관통홀(161)은 상기 제 1 스토퍼(16)가 상기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상기 힌지 축(12)의 회전부(12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간섭돌기(162)는 상기 제 1 스토퍼(16)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 간섭돌기(162)는 상기 제 2 스토퍼(17)에 형성된 제 2 간섭돌기(172)와 간섭을 일으켜서, 특정 힘을 넘어서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 1 탄성 부재(13) 및 상기 제 1 홀더(14)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후방으로 틸팅하면,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상기 힌지 축(12) 및 제 1 홀더(1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에 삽입된 상기 제 1 탄성 부재(13)가 변형된다.
다만, 상기 제 1 스토퍼(16)가 상기 제 2 스토퍼(17)와 간섭을 일으켜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13) 및 상기 제 1 홀더(14)는 상기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더 큰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의 변형이 더 심해지면, 상기 제 1 탄성 부재(13)는 상기 제 1 홀더(14)에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더 큰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홀더(14)가 상기 제 1 탄성 부재(13)로부터 받는 힘이 상기 제 1 간섭돌기(162) 및 상기 제 2 간섭돌기(172)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면, 상기 제 1 스 토퍼(16)는 상기 제 2 스토퍼(17)의 간섭에서 벗어나서 상기 제 2 간섭돌기(172)가 또 다른 제 1 간섭돌기(162)와 간섭될 때까지 상기 제1 홀더(14)는 일정 각도 회전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스토퍼(16)에 상기 제 1 간섭돌기(162)가 6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제 1 간섭돌기(162) 사이의 각도는 약 60°이므로, 상기 제 1 스토퍼(16)가 상기 제 2 스토퍼(17)와의 간섭에서 벗어나면, 상기 제 2 스코퍼(17)가 다음 제 1 스토퍼(16)와 간섭될 때까지 약 60°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힘은 상기 제 1 간섭돌기(162) 및 상기 제 2 간섭돌기(172) 사이의 마찰력과 동일하다.
상기 제 1 홀더(14) 및 제 1 스토퍼(16) 사이에는 와셔(19)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와셔(19)는 상기 제 1 홀더(14) 및 제 2 스토퍼(17)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홀더(14) 및 제2 스토퍼(17)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 2 스토퍼(17)에는 상기 힌지 축(12)의 회전 방지부(122)가 관통하는 관통홀(181)과, 상기 제 1 스토퍼(16)와 간섭을 일으키는 제 2 간섭돌기(172)가 포함된다.
상기 관통홀(181)은 상기 회전 방지부(122)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간섭돌기(172)는 상기 제 1 스토퍼(16)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간섭돌기(172)는 상기 제 1 간섭돌기(162)와 간섭을 일으켜서 상기 제 1 스토퍼(16)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틸팅되는 각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 1 탄성 부재(13)가 상기 제 1 홀더(14)에 가하는 힘이 상기 제 1 간섭돌기(162)와 상기 제 2 간섭돌기(172) 사이의 마찰력보다 커지면, 상기 제 1 홀더(14) 및 상기 제 1 스토퍼(16)는 일정 간격 회전된다.
상기 제 2 스토퍼(17)와 상기 결합 브래킷(20)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18)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 축(12)의 회전 방지부(122)가 상기 스프링 와셔(18)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 와셔(18)도 상기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힌지 축(12)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와셔(18)는 코일 형상의 와셔로서, 진동에 의해 상기 결합 브래킷(20)에 체결되는 너트(21)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브래킷(20)은 상기 리어 캐비닛(30)에 고정되는 고정면(203)과, 상기 힌지 축(12)의 회전 방지부(122)가 관통하는 축 관통면(201)이 포함된다. 상기 축 관통면(201)은 상기 고정면(203)에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고정면(203)에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관통면(201)에는 상기 힌지 축(12)의 회전 방지부(122)가 관통되는 관통홀(20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02)은 상기 회전 방지부(122)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방지부(122)는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관통홀(202)에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힌지 부(12)도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힌지 축(12)의 양단부에는 상기 힌지 축(12)이 상기 결합 브래킷(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너트(21)가 결합된다.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탄성 부재(13) 및 제 1 홀 더(14)의 반대 측에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와 제 2 홀더(15)가 상기 제 1 탄성 부재(13) 및 제 1 홀더(14)와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구조는 동일하다. 즉,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에도 걸림부(131a)와, 제 1 연장부(132a)와, 제 2 연장부(133a)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13)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에 삽입되어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 2 홀더(15)에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의 걸림부(131a)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31a)를 지지하기 위한 삽입부(151)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가 터치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를 지지하는 지지부(152)와, 상기 힌지 축(12)이 관통하는 관통홀(15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홀더(15)는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상기 결합 브래킷(20)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는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에 삽입되어,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와 함께 회전되다가, 상기 제 2 홀더(15)의 지지부(152)와 간섭을 일으킨다. 상기 지지부(152)는 상기 제 2 홀더(15)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의 회전 범위를 제한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본체가 제 1 각도로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플립 힌지 바디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후방으로 틸팅되어 상기 플립 힌 지 바디(11)의 하단부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지지될 때의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후방으로 틸팅된 각도를 말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서 X선은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임의의 각도로 틸팅되어 있을 때의 플립 힌지 바디(11)의 위치를 나타내고, Y선은 상기 X선에 위치된 플립 힌지 바디(11)에 하방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제 1 스토퍼(16)의 제 1 간섭돌기(162)와 상기 제 2 스토퍼(17)의 제 2 간섭돌기(172)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기 직전의 임계 위치를 나타낸다.
즉, 상기 Y선은 상기 X선의 위치에서 서로 간섭되어 맞물려 있던 상기 제 1 간섭돌기(162) 및 제 2 간섭돌기(172)의 맞물림이 풀리기 직전의 위치이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의 틸팅 각도가 더 작아지면, 원래의 틸팅 위치인 X선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탄성 부재(13)는 상기 제 1 홀더에 점점 더 많은 힘을 주게 된다.
에에 따라, 상기 제 2 간섭돌기(172)는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X선에 있을 때 맞물려 있는 제 1 간섭돌기(162)와의 간섭이 해제되고, 일정 각도 회전되어 또 다른 제 1 간섭돌기(162)와 간섭된다.
상기 제 2 간섭돌기(172)가 또 다른 제 1 간섭돌기(162)와 간섭이 될 때의 플립 힌지 바디(11)의 위치가 Z선에 해당한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13)는 상기 제 2 간섭돌기(172)가 또 다른 제 1 간섭돌기(162)와 간섭이 될 때까지 움직이려는 성질, 즉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상기 Z선에 위치로 복귀되려는 성질에 의해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는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Z의 위치로 힘을 계속 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X선의 위치로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를 움직이지 않는 한 계속 상기 리어 캐비닛(30)에 밀착되어 폴딩(folding) 상태를 유지한다.
도 12은 디스플레이 본체가 제 2 각도로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 2 각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터치 스크린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후방으로 최대한 틸팅되었을 때의 각도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각도에서는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게 된다.
도 1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터치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도 9,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터치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무게 중심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플립 힌지 어셈블리(10)에 더 많은 토크(torque)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제 2 각도로 틸팅되기 전에는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는 상기 플립 힌지 바디(11)와 함께 회전하다가,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의 제 1 연장부(132a)가 상기 제 2 홀더(15)의 지지부(152)와 간섭이 된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가 상기 지지부(152)와 간섭이 되면,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의 연장부(132a)는 상기 지지부(152)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 부(152)를 지지한다.
즉, 상기 제 2 탄성 부재(13a)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가 터치 스크린으로 사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위치가 낮아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기 위해 더 큰 힘이 필요하므로 상기 제 1 탄성 부재(13)를 보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후면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립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 1 홀더가 플립 힌지 바디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제 1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홀더에 제 1 탄성 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제 1 스토퍼와 제 1 스토퍼가 접촉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제 2 탄성 부재 및 제 2 홀더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디스플레이 본체가 제 1 각도로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플립 힌지 바디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은 디스플레이 본체가 제 2 각도로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Claims (17)

  1.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 1 힌지 축;
    상기 제 1 힌지 축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플립 힌지 바디;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1 힌지 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와 간섭되는 제 2 스토퍼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립 힌지 바디에 삽입되는 제 1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에는 상기 제 1 힌지 축이 관통하는 걸림부 및,
    상기 플립 힌지 바디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축이 관통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함께 상기 제 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 1 홀더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에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상기 제 1 홀더의 외측으로 연장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 1 스토퍼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토퍼가 상기 제 1 홀더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축에는 원형의 회전부 및 비원형의 회전 방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제 1 탄성 부재와, 제 1 홀더 및, 상기 제 1 스토퍼가 결합 되고, 상기 회전 방지부에는 상기 결합 브래킷과, 상기 제 2 스토퍼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에는 복수의 제 1 간섭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토퍼에는 상기 제 1 간섭돌기와 마찰을 일으키는 복수의 제 2 간섭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힌지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힌지 축과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 2 힌지축;
    상기 제 2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립 힌지 바디에 삽입되는 제 2 탄성 부재;
    상기 제 2 힌지 축이 관통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 2 홀더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1.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 2 힌지 축;
    상기 제 2 힌지 축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플립 힌지 바디;
    상기 제 2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립 힌지 바디에 삽입되는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축이 관통하고,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 2 홀더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는 상기 제 2 힌지 축가 관통하는 걸림부 및,
    상기 플립 힌지 바디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홀더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후방으로 최대한 틸팅되었을 때,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3.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립 힌지 바디;
    상기 플립 힌지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립 힌지 바디를 단계적으로 틸팅 및 유지시키기 위한 제 1 어셈블리; 및
    상기 플립 힌지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립 힌지 바디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플립 힌지 바디를 지지하는 제 2 어셈블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셈블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 1 힌지 축;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와 간섭되는 제 2 스토퍼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립 힌지 바디에 삽입되는 제 1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축이 관통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1 스토퍼와 함께 상기 제 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 1 홀더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셈블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
    상기 결합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 1 힌지 축;
    상기 제 2 힌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립 힌지 바디에 삽입되는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2 힌지 축이 관통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 2 홀더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90073989A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9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89A KR101598629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89A KR101598629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35A KR20110016335A (ko) 2011-02-17
KR101598629B1 true KR101598629B1 (ko) 2016-02-29

Family

ID=4377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89A KR101598629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08B1 (ko) * 2011-03-07 2012-06-01 코스텔(주) 휴대용 화상기기
ES2688466T3 (es) * 2013-04-12 2018-11-02 Aauxx Korea Co., Ltd Accesorio para dispositivo móvil
US10627046B1 (en) 2018-09-28 2020-04-21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56Y1 (ko) 2001-02-07 200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패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100463524B1 (ko) 2002-05-29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KR100578428B1 (ko) 2004-09-01 2006-05-10 주식회사 쏠리테크 이동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100815970B1 (ko) 2007-01-18 2008-03-2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적용하중 범용성을 갖는 모니터 월 마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56Y1 (ko) 2001-02-07 200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패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100463524B1 (ko) 2002-05-29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KR100578428B1 (ko) 2004-09-01 2006-05-10 주식회사 쏠리테크 이동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100815970B1 (ko) 2007-01-18 2008-03-2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적용하중 범용성을 갖는 모니터 월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35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525B1 (ko) 틸트힌지
KR10075360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658836B1 (ko) 스탠드 장치
KR20010036448A (ko) 평판 모니터
EP1785661A2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KR20050109109A (ko) 모니터장치
KR101598629B1 (ko) 디스플레이 기기
US6859356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KR200501085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474568B2 (ja) 電子機器および回動可能な表示部のロック装置
KR101573077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736499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0566476B1 (ko) 경사운동장치
JPH0942271A (ja) 摩擦ヒンジをもった電子応用機器
KR20110006678U (ko) 지지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456291B1 (ko) 2개의 회전축선을 구비한 힌지 장치
KR101558592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0330603Y1 (ko) 컴퓨터
KR1013875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31013Y1 (ko) 평판영상표시기기의받침장치
US20180288891A1 (en) Hing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597828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0274562Y1 (ko) 힌지장치
KR101573074B1 (ko)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