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61Y1 - 개량 가발 - Google Patents

개량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61Y1
KR200458661Y1 KR2020110006039U KR20110006039U KR200458661Y1 KR 200458661 Y1 KR200458661 Y1 KR 200458661Y1 KR 2020110006039 U KR2020110006039 U KR 2020110006039U KR 20110006039 U KR20110006039 U KR 20110006039U KR 200458661 Y1 KR200458661 Y1 KR 200458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contact member
user
head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팔
박웅준
Original Assignee
박웅준
박종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준, 박종팔 filed Critical 박웅준
Priority to KR2020110006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16Fastening thereof by adjusting or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8Bases for wigs made of a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측두부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발의 착용시에 사용자의 귀가 덮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측두부로부터 가발이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상기억합금 또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밀착부재들에 의해 사용자의 측두부에 가발이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어 가발이 자연스럽게 유지되어 심플하고 미려하게 연출하여 가발을 사용할 수 있는 개량 가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람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가로연결띠(11)와 세로연결띠(12)가 서로 교차되어 지지되고 머리카락이 식재되는 베이스(10)와; 사람의 머리 중 측두부(側頭部)(21)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호형으로 요입형성되는 요입부(20)와; 상기 요입부(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측두부(21)에 밀착됨으로써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부재(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가발에 있어서,상기 밀착부재(30)는, 상기 요입부(20)의 일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1밀착부재(31)와; 상기 요입부(20)의 타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2밀착부재(32)와; 상기 제1밀착부재(31)의 일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3밀착부재(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량 가발{improvement wig}
본 고안은 개량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발을 머리에 덮었을 때 사용자의 귀 부분에 위치하는 가발 베이스에 호형의 요입부를 형성하고 요입부의 양측으로 각각 밀착부재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호형의 요입부에 의해 사용자의 귀 부분이 미려하고 심플하게 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밀착부재에 의해 가발이 사용자의 측두부(側頭部)로부터 뜨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량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선천적인 유전으로 성인이 되어 머리카락이 탈모되거나, 신체적인 장애가 발생하여 심한 탈모 증세로 인하여 머리카락이 적거나 없어서 보기 싫을 때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머리의 외형과 그 형태가 비슷한 표피에 실제모발 또는 인공 모발을 직조하여 제작한다.
근자 들어 스트레스의 증가 내지는 환경 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탈모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여 탈모를 방지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각종 탈모방지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탈모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탈모방지 제품은 원칙적으로 탈모를 방지하는데는 그 한계성이 있어 상기 탈모 방지제품의 지속적인 개발여부와는 관계없이 탈모인구는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미 탈모가 상당히 진행된 사람은 탈모로 인한 외모 컴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발을 착용하게 되는데, 지금까지의 가발은 그 형태가 검은색이나 살색의 망사부로 이루어진 가발베이스에 모발을 심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발을 머리에 썼을 때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들뜨게 되어 가발이 부자연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가발은 그 특성상 착용시의 자연스러움과 견고한 부착 또는 밀착성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가발은 이마와 구렛나루 부위에 가발 접착용 접착 테이프와 함께 후두부의 탄성밴드만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기존의 가발은 땀이나 기타 피부 분비물, 또는 다른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가발의 접착 테이프가 떨어지거나 접착력이 약해졌을 때 후두부의 탄성밴드 만으로 가발을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가발이 들뜨거나 움직임에 의해 가발을 착용했다는 표시가 두드러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가발의 경우 사용자의 귀에 위치되는 가발베이스의 측면(1)이 일자형의 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발 착용시에 가발베이스의 일자형 측면(1)에 의해 가발이 사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측두부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가발베이스의 경우에는 조절밴드(2)가 사용자의 귀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절밴드(2)에 머리를 심거나 기계로 식재하기 어려움에 따라 모량이 크게 부족하여 들뜨거나 헤어스타일의 실루엣이 잘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가발의 구렛나루 부분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가발의 구렛나루 부위 안쪽으로 얇고 짧은 금속편을 놓고 그 위에 얇은 합성수지 코팅막을 입혀 금속편을 가발베이스에 고정되게 하고, 합성수지 코팅막에 가발 접착용 접착 테이프를 붙여 가발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금속편의 무게와 접착 테이프로 인해 가발이 사용자의 귀 앞부분에 접착되어 있을 때는 가발이라는 표시가 크게 나지 않았지만, 접착 테이프가 떨어지거나 접착력이 약해졌을 때는 가발의 구렛나루 부위가 금속편의 무게로 인해 덜렁거리거나 움직이는 문제도 있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07-0117193호인 가발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망체를 이용하여 모발을 고정토록 하고, 테두리에는 일정한 크기로 구멍을 천공한 후 일정간격으로 접착테이프를 부착토록 함으로서 머리의 움직임에 의한 형태의 변형을 천공되어진 구멍이 완충토록 하면서 떨어짐을 방지토록 하고, 또한 모발이 망체에 편직되어진 형태로 고정되어짐으로 통기성은 물론 모발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접착테이프에 의해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 도중에 접착테이프가 떨어져 가발이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가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 중 귀가 위치되는 측두부(側頭部)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가발베이스의 측부를 호형으로 형성하여야 하지만, 호형으로 가발베이스의 측부를 형성할 경우 가발과 머리와의 접착성 및 밀착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발의 측부가 들뜨게 되어 부자연스럽게 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가발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발 베이스의 측부에 호형의 요입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귀 부분에 대한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요입부의 양측에 형상기억합금과 같은 밀착부재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가발의 측부가 사용자의 측두부로부터 뜨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발의 자연스럽고 미려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 개량 가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개량 가발은, 사람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가로연결띠와 세로연결띠가 서로 교차되어 지지되고 머리카락이 식재되는 베이스와; 사람의 머리 중 측두부(側頭部)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호형으로 요입형성되는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측두부에 밀착됨으로써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요입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1밀착부재와; 상기 요입부의 타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2밀착부재와; 상기 제1밀착부재의 일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3밀착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측두부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발의 착용시에 사용자의 귀가 덮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측두부로부터 가발이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상기억합금 또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밀착부재들에 의해 사용자의 측두부에 가발이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어 가발이 자연스럽게 유지되어 심플하고 미려하게 연출하여 가발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발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인 개량 가발을 착용하였을 때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인 개량 가발이 측두부에 밀착되는 상태의 개념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개량 가발은, 사람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가로연결띠(11)와 세로연결띠(12)가 서로 교차되어 지지되고 머리카락이 식재되는 베이스(10)와, 사람의 머리 중 측두부(側頭部)(21)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호형으로 요입형성되는 요입부(20)와, 상기 요입부(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측두부(21)에 밀착됨으로써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부재(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머리카락을 식재하기 위해 망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머리의 두피면으로부터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발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머리 중 귀가 위치되는 측두부(21)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10)의 측부에 요입부(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입부(20)에 의해 사용자의 측두부(21)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모양에 맞도록 가발이 착용되어 자연스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밀착부재(30)에 의해 사용자의 측두부(21)에 가발이 밀착되어 밀착성이 크게 향상되기 때문에, 측두부(21) 부분에 가발이 뜨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발의 연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타인으로 하여금 가발이라는 것을 느끼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발을 사용함에 있어서의 부자연스러운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발 착용자로 하여금 타인의 시선이 가발에 집중되거나 또는 가발이라는 것을 식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어 가발 사용을 꺼리게 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30)는, 상기 요입부(20)의 일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1밀착부재(31)와, 상기 요입부(20)의 타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2밀착부재(32)와, 상기 제1밀착부재(31)의 일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제3밀착부재(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측두부(21)에 상기 제1밀착부재(31)와 제2밀착부재(32) 및 제3밀착부재(33)가 강하게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가발을 착용하였을 때 밀착성이 크게 향상되어 가발이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상기 밀착부재(3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밀착부재(30)는 탄성이 있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머리 형상에 따라 밀착부재(30)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져 밀착되기 때문에, 머리 형상에 관계없이 가발이 자연스럽게 연출될 수 있어 가발 사용자들로 하여금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끈 형태의 조절밴드(40)의 위치가 사용자의 귀 부분이 아닌 사용자의 뒷목 부분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가발을 머리에 착용할 때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가 가발의 착용이 완료되면 다시 모아짐으로써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요입부(20)에 구비되는 상기 밀착부재(30) 중, 제1밀착부재(31)의 끝단에는 조절밴드(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따라, 종래 사용자의 귀 부분에 조절밴드가 위치하여 머리를 심거나 기계를 이용하여 머리를 식재할 수 없어 모량이 부족해 귀 부분이 들뜨거나 헤어스타일에 대한 실루엣이 제대로 연출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11 : 가로연결띠
12 : 세로연결띠 20 : 요입부
21 : 측두부 30 : 밀착부재
31 : 제1밀착부재 32 : 제2밀착부재
33 : 제3밀착부재 40 : 조절밴드

Claims (5)

  1. 사람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로연결띠(11)와 세로연결띠(12)가 서로 교차되어 지지되고 머리카락이 식재되는 베이스(10)와; 사람의 머리 중 측두부(側頭部)(21)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호형으로 요입형성되는 요입부(20)와; 상기 요입부(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측두부(21)에 밀착됨으로써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부재(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30)는, 사용자의 측두부(21)에 가발이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측두부(21) 부분에 가발이 뜨는 것을 방지하여 가발의 연출이 자연스럽게 연출되도록, 상기 요입부(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밀착부재(31)와; 상기 요입부(20)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밀착부재(32)와; 상기 제1밀착부재(31)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3밀착부재(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요입부(20)에 구비되는 상기 밀착부재(30) 중, 제1밀착부재(31)의 끝단에는 사용자의 뒷목 부분에 위치하여 가발을 착용할 때 벌어지고 가발 착용 후에 모아져 착용된 가발이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절밴드(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가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6039U 2011-07-01 2011-07-01 개량 가발 KR200458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39U KR200458661Y1 (ko) 2011-07-01 2011-07-01 개량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39U KR200458661Y1 (ko) 2011-07-01 2011-07-01 개량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661Y1 true KR200458661Y1 (ko) 2012-02-14

Family

ID=4584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39U KR200458661Y1 (ko) 2011-07-01 2011-07-01 개량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26B1 (ko) * 2012-07-16 2013-02-13 윤필상 헤어 고정구
KR200466783Y1 (ko) * 2012-11-23 2013-05-07 박웅준 가발 내피
KR101355553B1 (ko) * 2012-06-05 2014-01-24 김영휴 가발 착용자의 두부와 가발 사이에 탈, 부착하여 원하는 골상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가발 보조구 및 그 이용방법
KR101489207B1 (ko) 2013-11-27 2015-02-09 주식회사 씨크릿우먼 두상의 골격형태를 바꾸도록 기능하는 가발 어셈블리 및 그 이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719B1 (ko) * 2005-01-05 2006-07-13 장미희 암환자를 위한 가발
KR20090052450A (ko) * 2007-11-21 2009-05-26 박명원 밀착성을 향상시킨 전두형 가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719B1 (ko) * 2005-01-05 2006-07-13 장미희 암환자를 위한 가발
KR20090052450A (ko) * 2007-11-21 2009-05-26 박명원 밀착성을 향상시킨 전두형 가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53B1 (ko) * 2012-06-05 2014-01-24 김영휴 가발 착용자의 두부와 가발 사이에 탈, 부착하여 원하는 골상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가발 보조구 및 그 이용방법
KR101232626B1 (ko) * 2012-07-16 2013-02-13 윤필상 헤어 고정구
KR200466783Y1 (ko) * 2012-11-23 2013-05-07 박웅준 가발 내피
WO2014081070A1 (ko) * 2012-11-23 2014-05-30 Park Jongpal 가발 내피
KR101489207B1 (ko) 2013-11-27 2015-02-09 주식회사 씨크릿우먼 두상의 골격형태를 바꾸도록 기능하는 가발 어셈블리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8512A1 (en)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58661Y1 (ko) 개량 가발
US20160113342A1 (en) Half head wig
US20130213422A1 (en) Volume-enhanced wig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CN204032471U (zh) 模组化趣味面罩
KR200439264Y1 (ko) 가변식 가발
KR200466783Y1 (ko) 가발 내피
CN108778019B (zh) 假发
KR101128097B1 (ko) 양갈래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앞머리용 부분가발
KR100361376B1 (ko) 가발의 모근판 테두리 가공방법
JP5801937B2 (ja) かつら
KR101378986B1 (ko)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JP5101144B2 (ja)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KR20090052450A (ko) 밀착성을 향상시킨 전두형 가발
JP5828022B1 (ja) 略h形状の伸縮性領域を備えたカツラベース
JP5689555B1 (ja) 前頭周縁に迷彩機能を備えるカツラベース、およびカツラ
JP5426414B2 (ja) かつら
JP3684453B2 (ja) かつら
JP5681257B2 (ja) かつら
CN220403187U (zh) 一种带有卡扣的可粘合帽子
KR200467386Y1 (ko) 헤어밴드
KR101273758B1 (ko) 원단 재질의 쌍거풀 겸용 인조 속눈썹 및 그 제조방법
KR200355051Y1 (ko) 볼륨 업 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