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468Y1 - 차량용 로드셀 - Google Patents

차량용 로드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468Y1
KR200458468Y1 KR2020090010186U KR20090010186U KR200458468Y1 KR 200458468 Y1 KR200458468 Y1 KR 200458468Y1 KR 2020090010186 U KR2020090010186 U KR 2020090010186U KR 20090010186 U KR20090010186 U KR 20090010186U KR 200458468 Y1 KR200458468 Y1 KR 200458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ensor
vehicle
sensor unit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436U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리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리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리오텍
Priority to KR2020090010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46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4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1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로드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판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방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되며 그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와, 상기 베이스에 탑재된 상태에서 그 상단양측은 상기 센서부의 하단 양측을 지지하고 그 상단중앙부는 상기 센서부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도록 상기 센서부의 하단면과 이격되어 있는 센서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중측정부재; 상기 센서부의 상방에 위치하며 그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센서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센서부 사이에 설치되는 하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되, 상기 센서부의 하단양측과 상기 하중측정부재의 상단양측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드셀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로드셀에 의하면, 제작 및 사용처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설치 후에도 유지 및 보수에 드는 수고가 감소되고, 가해진 하중에 비례하는 정확한 전기신호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로드셀, 센서부, 하중측정부재, 일체

Description

차량용 로드셀{Load cell for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로드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개선되어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로드셀에 대한 것이다.
차량용 로드셀은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scale)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은, 차량이 올라설 수 있는 플랫폼과, 그 플랫폼의 하면의 4곳 내지 6곳의 각각을 지지하며 하중이 가해질때 하중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차량저울용 로드셀과, 상기 차량저울용 로드셀로부터 발생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무게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저울용 로드셀은, 그것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 상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방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되며 그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막대형상의 센서부(120)와, 그 센서부(120)를 지지하면서 상기 센서부(120)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센서지지부(115)와, 상기 센서부(120)의 상방에 위치하며 그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되는 상판(130)과, 상기 상 판(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센서부(120)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판(130)과 상기 센서부(120) 사이에 설치되는 하중볼(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지지부(115)는,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직각삼각형 단면형상의 고정쇠(111)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기 고정쇠(111)와 센서지지부(115)는 서로 용접에 의하여 접합된다.
또한, 상기 막대형상의 센서부(120)의 양단부는, 센서지지부(115)의 상면에, 볼트(125)와 너트홀(126)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때 센서부(120)의 중앙부는 상기 센서지지부(115)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20)의 상면의 중앙부에 상기 하중볼(140)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면, 센서부(120)는 중앙부가 아래로 처지는 탄성변형이 발생한다. 이때, 센서부(120)의 중앙부위에 구멍의 형태로 마련된 수감부(121)에는, 변형을 감지하여 이러한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스트레인게이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같은 종래의 차량저울용 로드셀(101)은, 상기 상판(130)에 차량으로 인한 하중이 가해지면, 이 하중은 상기 하중볼(140)을 통해 상기 센서부(120)의 대략 중앙부위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센서부(120)의 양단부는 상기 베이스(110)에 고정되어 있는 센서지지부(115)에 고정되어 있고, 센서부(120)의 중앙부위는 센서지지부(11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부(120)의 중앙부위는 하중의 크기에 비례하여 아래로 처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은 복수의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전기적신호로 출력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저울용 로드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베이스에 용접이나 볼트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센서지지부에, 볼트와 너트홀를 이용하여 센서부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과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센서부에는 센서지지부와의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볼트구멍은 상기 구멍형태의 수감부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볼트구멍이 수감부와 지나치게 근접하게 되면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어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가져가야 하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센서부의 폭이 커지게 되며 이는 전체적인 로드셀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중량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센서부와 센서지지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볼트는 설치과정에서 체결력이 동일하게 유지되지 못하거나, 또한 사용 중 체결이 느슨해지는 경우에는 센서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비례하지 않는 잘못된 전기신호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의 체결후에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체결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유지 및 보수를 빈번하게 해야 하는데, 이는 전체적인 유지비용의 증가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센서부 및 센서지지부의 양 측면은 평면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측면이 평면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하중이 가해지면 국부적으로응력이 집중되는 일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이 국부적인 응력은 전체적인 강도저하를 유발하여 균열 및 피로파괴등을 일으키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센서지지부는 베이스의 고정쇠에 의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데, 빈번한 하중으로 인하여 센서지지부가 파손되는 경우에 센서지지부와 함께 베이스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 현장에 설치하는 것이 쉽고, 유지 보수에 드는 수고가 적으며, 차량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차량의 무게에 비례하는 정확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차량용 로드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로드셀 내에서 반복적인 하중으로 인하여 국부적인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수명이 길어질 수 있는 차량용 로드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로드셀은,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판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방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되며 그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와,
상기 베이스에 탑재된 상태에서 그 상단양측은 상기 센서부의 하단 양측을 지지하고 그 상단중앙부는 상기 센서부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도록 상기 센서부의 하단면과 이격되어 있는 센서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중측정부재; 상기 센서부의 상방에 위치하며 그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센서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센서부 사이에 설치되는 하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되, 상기 센서부의 하단양측과 상기 하중측정부재의 상단양측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로드셀은, 상기 하중측정부재의 양 측면은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양 측면의 폭은 상단 및 하단보다 가운데 부분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용 로드셀은, 상기 하중측정부재와 상기 베이스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용 로드셀은, 상기 체결수단에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저울용 로드셀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 사용처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설치 후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며, 가해진 하중에 비례하는 정확한 전기신호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로드셀에 의하면 국부적인 응력집중 현상이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로드셀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용 로드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차량용 로드셀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로드셀(1)은, 차량 등의 무게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H빔의 하부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H빔은 사각형의 프레임의 구조를 이루며, 사각형의 프레임의 나머지 3개의 모퉁이 부근에도 각각 차량저울용 로드셀이 같은 방식으로 설치고정된다. 즉, 차량저울용 로드셀이, 사각형을 이루는 H빔의 네 모퉁이에서 설치되어, 그 H빔을 지지한다. 그리고, 사각형의 프레임구조의 H빔의 상부에는, 무게를 계측하기를 원하는 피계측물체가 올라설 수 있는 넓은 판 형상의 플렛폼이 설치되고 그 플렛폼 위에 무게가 측정되어야 하는 차량이 올라서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로드셀은, 베이스(10), 하중측정부재(20), 상판(30), 하중볼(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고정되어 하중측정부재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는 하베이스(11)와 상베이스(12)로 구분된다.
상기 하베이스(11)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판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지면 상에 체결되는 앵커볼트(미도시)들을 이용하여 지면에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베이스(11)는 대략 사각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다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베이스(12)는 상기 하베이스(11)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되 상기 하베이스(11)보다는 작은 규격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베이스(12)는 상기 하베이스(11)에 탑재되어 상기 하중측정부재(20)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베이스(12)에 볼트(52)에 의하여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하베이스(11)와의 체결을 위한 제1너트홀(12a)은 상기 상베이스(12)의 모서리 4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베이스(12)와 하중측정부재(20)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체결수단으로 볼트(51)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베이스(12)에는 상기 볼트(51)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너트홀(1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베이스에 형성된 제2너트홀(12b)은 대략 중앙부분에 4개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중측정부재(20)는 센서부(21)와 센서지지부(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21)는 베이스(10)와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방향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때 탄성변형되며 그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부(21)는 중앙측에 스트레인게이지(미도시) 등의 변위측정을 위한 계측기가 설치될 수 있는 구멍 형태의 한 쌍의 수감부(22)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21)가 하중에 의하여 탄성변형될 때 그 수감부(22)는 전체적으로 일그러진 타원형태로 변형되는데,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수감부(22)의 변 형에 따라 변화되는 그 내벽에 변위를 계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서부(21)의 하단면에는 상측으로 패인 제1홈(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패인 제1홈(23)은 센서부의 중앙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탄성변형이 되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센서지지부(25)는, 상기 베이스(10)에 탑재된 상태에서 그 상단양측이 상기 센서부(21)의 하단 양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지지부(25)는 그 상단중앙부도 상기 센서부(21)의 하단면의 제1홈(23)과 대응되도록 제2홈(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센서부(21)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홈(26)에 의하여 상기 센서지지부(25)는 그 상단중앙부가 상기 센서부(21)의 하단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홈(26)이 상기 센서부(21)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21)의 하단양측과 상기 센서지지부(25)의 상단양측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센서부(21) 및 센서지지부(25)의 성형시 동시에 제작될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 및 센서지지부(25)로 구성된 하중측정부재(20)의 양 측면은 전체적으로 원만한 곡면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그 상단의 양측면의 폭보다 상단 및 하단의 가운데 부분의 폭이 더 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중측정부재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곡면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중이 가해져서 변형이 되는 과정에서 국부적인 응력집중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상판(30)은, 상기 센서부(21)의 상방에 위치하며 그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되는 것으로서, 상판(30)의 하면의 중앙부근에는 하중볼캡(32)이 마련되어 있다. 하중볼캡(32)은 후술할 하중볼(40)에 상판(30)을 위치시키기 편리한 형상을 하고 있다. 상판(30)은 그것의 네 모퉁이 각각 형성된 관통공을 이용하여 H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중볼(40)은, 상기 상판(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센서부(21)에 전달하도록 상판(30)과 센서부(2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하중불(40)은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센서부(21)의 상면에 형성된 하중볼 수용홈(24)에 수용된다. 또한, 하중볼(40)이 센서부(21)의 원하는 곳에 위치하고 그리고, 사용 중 그 곳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중볼컵(42)이 센서부(21)의 상측에 설치된다. 하중볼컵(42)은 하중볼컵(42)의 양측면과 센서부(21)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하중볼(40)은 구형을 이루고 있고, 이러한 하중볼(4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하중볼(40)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구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측하고자하는 차량이 프랫홈에 진입 또는 이탈될 때 잠시 측면하중이 작용되어 센서부(21) 하중작용위치가 약간 벗어난다고 하여도, 차량이 프랫폼에 완전히 올라서면 차량의 하중은 센서부(21)의 원하는 위치에 작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저울용 로드셀(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용 로드셀(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올라서는 플랫폼의 하부에 위치하는 H빔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4개의 모퉁이에 각각 상판(30)이 고정되어, 플랫폼을 지지한다. 이때 플랫폼에 차량이 올라서게 되면, 차량의 하중은 4개로 분산되어 각각 차량저울용 로드셀(1)에 작용하게 된다.
차량의 하중이 차량저울용 로드셀(1)의 상판(30)에 작용하게 되면, 그 하중은 상판(3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하중볼캡(32)을 따라 하중볼(40)에 전달된다. 그리고, 하중볼(40)에 전달된 하중은 하중볼컵(42)에 의해 안정되게 가이드되어, 센서부(21)의 하중볼 수용홈(24)의 가장 하부에 작용하게 된다.
센서부(21)의 의도된 위치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센서부(21)는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 내의 수감부도 변형되어 일그러진 타원의 형태로 구성변경이 되는데, 그 내부의 스트레인게이지는 수감부 내벽의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21)의 하부의 양단부가, 볼트나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센서지지부의 상단양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센서부(21)는 다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비례하여 정확히 변형되고,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차량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로드셀(1)은 센서부(21)를 베이스(10) 상에 배치하고 지지하는 구조가 기존의 제품보다 간단하기 때문에, 사용처에 신규로 설치할 때는 물론이고, 사용 중에 필요한 로드셀(1)의 보수유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차량용 로드셀(1)을 설치시에 센서부(21)와 센서지지부(25)를 위치정렬하고 이를 볼트 등에 의하여 조이는 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단순 해지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종래기술에서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볼트등의 조임력이 완전하게 동일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센서부의 변형이 원하는 데로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일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센서부와 센서지지부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볼트의 조임력이 약화되어 점차적으로 계측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염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 연결로 인하여 시간이 지나도 신뢰성이 꾸준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부와 센서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볼트가 삽입될 구멍이 필요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볼트구멍이 생성됨에 의하여 구조적인 취약부분이 생길 수 있어 전체적을 크기를 크게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하중측정부재의 각진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내부에서 국부적인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양 측면을 곡면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국부적인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적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센서지지부가 베이스의 고정쇠에 의하여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데, 빈번한 하중으로 인하여 센서지지부가 파손되는 경우에 센서 지지부와 함께 베이스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어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중측정부재와 베이스를 서로 볼트 등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연결함에 따라 하중측정부재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교체시에 그 하중측정부재만을 교체하면 되어 전체적인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저울용 로드셀(1)는, 하중측정부재가 일체로 제작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센서부(21)와 센서지지부(25)를 별도로 제작한 후에 그 접촉부위를 용접등에 의하여 서로 접합시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외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로드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로드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드셀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차량용 로드셀의 측면도.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차량저울용 로드셀 10 ... 베이스
20 ... 하중측정부재 21 ... 센서부
22 ... 센서지지부 30 ... 상판
40 ... 하중볼

Claims (4)

  1.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판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방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탄성변형되며 그 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와,
    상기 베이스에 탑재된 상태에서 그 상단양측은 상기 센서부의 하단 양측을 지지하고 그 상단중앙부는 상기 센서부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도록 상기 센서부의 하단면과 이격되어 있는 센서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중측정부재;
    상기 센서부의 상방에 위치하며 그 상측에 위치하는 차량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센서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센서부 사이에 설치되는 하중볼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되,
    상기 센서부에는 내부에 계측기가 설치될 수 있는 구멍 형태의 수감부가 상기 센서부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한 쌍이 대칭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패여지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지지부의 상단에는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패여지며 상기 제1홈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의 하단양측과 상기 센서지지부의 상단양측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드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측정부재의 양 측면은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양 측면의 폭은 상단 및 하단보다 가운데 부분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드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측정부재와 상기 베이스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드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에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드셀.
KR2020090010186U 2009-08-04 2009-08-04 차량용 로드셀 KR200458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186U KR200458468Y1 (ko) 2009-08-04 2009-08-04 차량용 로드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186U KR200458468Y1 (ko) 2009-08-04 2009-08-04 차량용 로드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36U KR20110001436U (ko) 2011-02-10
KR200458468Y1 true KR200458468Y1 (ko) 2012-02-22

Family

ID=4420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186U KR200458468Y1 (ko) 2009-08-04 2009-08-04 차량용 로드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4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1985B (zh) * 2020-04-27 2021-08-06 浙江力普物流技术有限公司 传感器安装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2225A (ja) * 1988-05-20 1989-11-24 Kyowa Electron Instr Co Ltd 荷重変換器
KR200223258Y1 (ko) * 1998-07-15 2001-05-15 최명규 차량스케일용 로드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2225A (ja) * 1988-05-20 1989-11-24 Kyowa Electron Instr Co Ltd 荷重変換器
KR200223258Y1 (ko) * 1998-07-15 2001-05-15 최명규 차량스케일용 로드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36U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9436B2 (en) Load cell that is symmetrical about a central vertical axis
JP2014088689A (ja) 複合補強地盤の載荷試験方法及び載荷試験装置
US5090493A (en) Load cells and scales therefrom
CN101105428A (zh) 钢筋混凝土实验教学综合加载装置
US20080006450A1 (en) Load Cell Having A Base With A Curved Surface
CA2898118C (en) Improved sensor mounting bracket
CN102998168B (zh) 预应力混凝土梁荷载试验固定装置及测试方法
EP3729018A1 (en) Planar load cell assembly
KR200458468Y1 (ko) 차량용 로드셀
JP2014109438A (ja) 起歪体、ロードセル、及び計量装置
KR20110066655A (ko) 중량 측정장치
KR100481378B1 (ko) 차량저울용 로드셀
CN209296267U (zh) 立筒群仓模型试验平台
KR200318768Y1 (ko) 차량저울용 로드셀
KR200469377Y1 (ko) 구조물의 변형량 측정장치
GB2178179A (en) Vehicle weighing apparatus
CN219301787U (zh) 一种双剪切梁传感器
CN219810561U (zh) 椅背力度检测传感器以及装置
CN220251167U (zh) 一种地磅传感器底座
KR200450259Y1 (ko) 구조물 중량 변형량 측정기
CN205157341U (zh) 一种抗折机检测专用传感器
CN216283882U (zh) 一种方便安装的u型钢结构电子汽车衡
CN217786319U (zh) 一种称重板传感器
JP2001033300A (ja) 荷重測定装置
CN217819278U (zh) 一种针对竖向构件水平向振动测试的传感器布置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