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402Y1 -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402Y1
KR200458402Y1 KR2020090011029U KR20090011029U KR200458402Y1 KR 200458402 Y1 KR200458402 Y1 KR 200458402Y1 KR 2020090011029 U KR2020090011029 U KR 2020090011029U KR 20090011029 U KR20090011029 U KR 20090011029U KR 200458402 Y1 KR200458402 Y1 KR 200458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uff
spring
cent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067U (ko
Inventor
노병후
Original Assignee
(주)제스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스폰 filed Critical (주)제스폰
Priority to KR2020090011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40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2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e.g. wind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커버를 결합하면 내부커버가 하강하면서 밸브관의 공간부를 차단하여 화장액의 누출을 방지하고, 상부커버를 분리하면 스프링력에 의해서 내부커버가 상승하면서 밸브관의 공간부가 개방되면서 화장액이 퍼프의 표면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서, 퍼프를 이용하여 얼굴 화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몸체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개방 및 차단시키는 밸브를 몸체의 상단에 설치하여 상부뚜껑의 결합시 차단되고, 상부뚜껑 분리시 개방시켜 액상 화장품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장할 수 있는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보관용기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이 상부뚜껑 분리시에만 개방된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불필요한 배출로 인한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소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화장품, 퍼프, 밸브, 스프링

Description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Puff for a Liquid Cosmetic with a Valv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본 고안은 탄발 스프링을 이용하여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커버를 결합하면 내부커버가 하강하면서 밸브관의 공간부를 차단하여 화장액의 누출을 방지하고, 상부커버를 분리하면 스프링력에 의해서 내부커버가 상승하면서 밸브관의 공간부가 개방되면서 화장액이 퍼프의 표면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서, 퍼프를 이용하여 얼굴 화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화장용 디스펜스는 액상화장품이 수용된 디스펜스 몸체의 상부에 캡을 결합하고, 이 캡의 누름작동에 의해 디스펜스 몸체에 담긴 액상화장품이 캡을 통해서 손이나 별도의 퍼프로 배출하여 손이나 퍼프로 액상화장품을 발라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액상화장용 디스펜스 몸체에 담긴 액상화장품을 손을 이용하여 액상화장품을 바르는 경우 손을 깨끗이 닦아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또한, 퍼프를 이용하여 액상화장품을 바르는 경우에도 미사용시 개폐가 잘 안되어 외부로 액상화장품이 배출되기 때문에 액상화장품이 낭비되는 것은 물론 소지품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몸체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개방 및 차단시키는 밸브를 몸체의 상단에 설치하여 상부뚜껑의 결합시 차단되고, 상부뚜껑 분리시 개방시켜 액상 화장품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장할 수 있는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관용기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이 상부뚜껑 분리시에만 개방된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불필요한 배출로 인한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소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는,
내부에 액상 화장품(210)이 저장되고, 중앙에는 화장품 입출을 위해 연결관(201)이 돌출 형성된 몸체(200)와;
상기 연결관(201)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밸브 하우징(221)과, 상 기 밸브 하우징(221)의 중앙에 돌출 형성하되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밸브핀(222)과, 밸브 하우징과 밸브핀 사이를 연결하는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지지대(221a)와, 상기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화장품을 배출하는 배출공(223)과, 상기 밸브 하우징(221)에 양측면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안내 하우징(224)과, 밸브 하우징(221)의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5)로 이루어진 내부 커버(220);
상기 안내 하우징(224)에 내장된 스프링(230);
상기 내부 커버(220)의 상면에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230)에 접면되어 스프링에 의해서 탄발지지되는 지지판(241)과, 상기 밸브 핀(222)에 대응되는 형상이 유지되게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판(241)의 저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밸브관(243)과, 상기 밸브관(243)에 통하여지도록 지지판(241)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에는 토출공(245)이 형성된 유도관(244)과, 상기 안내 하우징(224)에 삽입되게 지지판(241)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242)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40);
상기 유도관(244)이 끼워지도록 내측 중앙에 유도홈(251)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끼움홈(252)이 형성되며, 일면 중앙에는 화장품(210)이 토출되는 슬릿홈(253)이 형성된 퍼프(250);
상기 끼움홈(252)에 삽입되는 끼움돌기(261)가 상단에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하단에는 가압편(262)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캡(260);
상기 퍼프(250)가 수용되는 수용홈(273)이 형성되고 하부 내측 둘레에는 내부커버(220)의 걸림돌기(225)에 끼워지도록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홈(271)과, 상기 가압편(262)을 가압하도록 걸림홈(271)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돌기(272)로 이루어진 상부커버(270)로 구성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몸체(200)에 삽입된 화장품(210)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200)의 측면에 투시창(202)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밸브관(243)의 외측 둘레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246)이 설치됨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는 밸브를 몸체의 상단에 설치함으로서, 상부뚜껑의 결합시 화장품의 배출이 차단되고, 상부 뚜껑 분리시 화장품 배출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화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는 보관용기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이 상부뚜껑 분리시에만 개방된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불필요한 배출로 인한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소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내부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의 가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가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커버를 탈거하기전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세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상부커버를 탈거중 상태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세로방향 수직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몸체(200)와, 내부 커버(220)와, 스프링(230)과, 지지부재(240)와, 퍼프(250)와, 지지캡(260)과, 상부커버(270)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채택한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에 액상 화장품(210)이 삽입되는 몸체(200)가 마련되고, 그 몸체(200)의 상단부 중앙에는 액상 화장품이 출입되도록 연결관(201)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200)에 충입된 화장품(210)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200)의 측면에 투시창(202)을 설치한다.
상기 몸체(200)의 상단에는 몸체의 외관과 비슷하게 타원형 형태의 외관을 갖는 내부 커버(220)가 나사결합 또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내부 커버(220)의 중앙에는 연결관(201)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원통구조의 밸브 하우징(221)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221)의 저면 중앙에는 밸브핀(222)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밸브핀(222)은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핀(222)의 둘레에 위치되게 밸브 하우징(221)의 저면에는 배출공(223)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핀(222)은 밸브 하우징(221)의 저면에 결합되는바, 밸브 하우징(221)에 일자 또는 십자형 지지대(221a)가 형성되고, 일자 또는 십자형 지지대(221a) 중앙에 밸브핀(222)이 형성되며 지지대(221a)들 사이에 배출공(2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221)에 인접되게 원통 형상의 안내 하우징(224)이 형성되고, 그 안내 하우징(224)에는 스프링(230)이 내장되며, 내부커버의 외주연에는 상부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2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커버(220)의 상부 외주연에는 스토퍼용 돌기(220a)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캡(260)의 스토퍼용 돌기(260a)와 접면되도록 하여 지지캡(260)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 커버(220)의 상면에는 지지부재(24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바, 상기 지지부재(240)에는 디스크 형상의 지지판(241)이 형성되며, 지지판(241)의 저면 중앙에는 밸브관(243)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밸브관(243)은 상기 밸브 핀(222)에 대응되는 형상이 유지되게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관(243)의 외측 둘레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24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41)의 상면 중앙에는 밸브관(243)에 통하여지도록 유도관(244)이 밸브관에 일체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유도관(244)의 단부에는 토출공(2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41)의 저면에는 안내 하우징(224)에 삽입되는 스프링 가이드(24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41)의 상면에는 퍼프(250)가 설치되고, 퍼프(250)의 내측 중앙에는 유도관(244)을 결합하는 유도홈(251)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액상 화장품(210)이 토출되는 슬릿홈(253)이 형성된다. 또한, 외측 둘레면에는 지지캡과 결합되는 끼움홈(252)이 형성된다.
상기 퍼프(250)의 하측 둘레에는 지지캡(260)이 설치되어 있되, 그 지지캡(260)에는 지지부재(240)가 끼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캡(260)의 상단에는 끼움홈(252)에 삽입되도록 끼움돌기(261)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직각으로 수평 절곡 형성되고, 지지캡(260)의 하단에는 가압편(262)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직각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캡(260)의 내측에 지지부재(240)가 강제 끼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지지캡(260)을 상하로 유동시키면 지지부재(240)가 이에 상응하여 상하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40)가 상하로 유동되면 밸브관(243)이 상하로 유동하면서 밸브관이 밸브핀(222)에 밀착되거나 멀어진다. 이에 따라 밸브관(243)의 내주연에 밸브핀(222)이 밀착되면 화장품의 외부 배출이 차단되고, 밸브관(243)의 내주연으로부터 밸브핀(222)이 멀어지면 화장품의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70)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상부커버(270)에는 퍼프(250)가 수용되는 수용홈(273)이 형성되고, 하부 내측 둘레에는 걸림돌기(225)에 끼워지도록 내향 돌출되게 걸림홈(27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71)의 상단에는 가압편(262)을 가압하는 가압돌기(27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보관할 때에는 퍼프(250)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커버(270)를 결합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부커버(270)에 형성된 가압돌기(272)가 지지캡(260)에 형성된 가압편(262)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압편(262)이 이동되면 지지부재(240)가 함께 이동되고, 이때 스프링(230)은 지지판(241)에 의해서 압축되는 것이고, 밸브관(243)의 내부에는 밸브핀(222)이 긴밀히 삽입되어 밸브관(243)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밸브 하우징(221)에 형성된 배출공(223)은 밸브관(243)의 단부에 의해서 차단된다.
이와 같이 배출공(223)이 차단된 후 상부커버(270)를 놓으면, 그 상부커 버(27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홈(271)은 걸림돌기(225)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부커버(27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부커버(270)가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는 배출공(223)이 차단되어 몸체(200)의 측면을 가압하여도 몸체(200)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210)이 배출되지 않는 것이며, 화장품(210)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커버(27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스프링(230)의 복원력이 지지캡(260)으로 전달되는 것이고, 그 복원력은 상부커버(27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걸림돌기(225)에 끼워진 걸림홈(271)의 결합력이 유지되므로 가방등에 보관할 때 소지품과 접촉이 방지되어 퍼프(250)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퍼프(250)의 표면으로 토출된 화장품이 소지품을 오염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화장품을 사용하자 할 경우에는 퍼프(250)가 노출되도록 상부커버(270)를 분리하면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지지부재(24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스프링 가이드(242)는 안내 하우징(224)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지지부재(240)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부재(240)가 상승되면 밸브관(243)이 함께 상승되어 배출공(223)이 개방되는 것이고, 밸브관(243)과 밸브핀(222)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이때 몸체(200)의 측면을 가압하면 몸체(200)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210)은 배출공(223)을 통하여 몸체(200)에서 배출된 후 밸브핀(222)과 밸브관(243) 사이의 틈새로 이동되는 것이며, 밸브관(243)의 외측 둘레면에 설치된 오링(246)에 의해서 차단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액상 화장품(210)은 유도관(244)을 통하여 이동된 후 그 유도관(244)의 단부에 형성된 토출공(245)으로 토출되는 것이며, 상기 토출공(245)으로 토출된 액상 화장품(210)은 퍼프(250)에 형성된 슬릿홈(253)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퍼프(250)의 표면으로 액상 화장품(210)이 토출된 후 몸체(200)를 잡은 상태에서 퍼프(250)를 얼굴에 문지르면서 화장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손으로 화장품(210)을 묻혀서 화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200)를 잡고 퍼프(250)를 직접 얼굴에 가져가서 문지르게 되므로 화장품이 손실되지 않고 간편하게 화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을 완료한 후 보관할 때에는 퍼프(250)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커버(270)를 결합하는 것이며, 상부커버(270)가 결합되면, 그 상부커버(270)에 의해서 외부공기가 퍼프(25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퍼프(250)의 표면으로 토출된 액상 화장품(210)이 고형화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에는 상부커버(270)에 형성된 가압돌기(272)가 가압편(262)을 가압하게 되므로 지지부재(240)는 스프링(230)을 압축하면서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재(240)가 이동되면, 밸브관(243)이 이동되어 배출공(223)을 차단함과 동시에 밸브관(243)의 내부에 밸브핀(222)이 삽입되므로 몸체(200)에 충입된 액상 화장품(210)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부커버(270)에 형성된 걸림홈(271)은 걸림돌기(22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부커버(27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몸체(200)에 충입된 화장품(210)의 잔량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몸체(200)의 측면에 설치된 투시창(202)을 통하여 관찰하는 것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의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내부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의 가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가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부커버를 탈거하기전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세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상부커버를 탈거중 상태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세로방향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몸체
201 : 연결관
202 : 투시창
210 : 화장품
221 : 밸브 하우징
222 : 밸브핀
223 : 배출공
224 : 안내 하우징
225 : 걸림돌기
220 : 내부 커버
230 : 스프링
240 : 지지부재
241 : 지지판
242 : 스프링 가이드
243 : 밸브관
244 : 유도관
245 : 토출공
246 : 오링
250 : 퍼프
251 : 유도홈
252 : 끼움홈
253 : 슬릿홈
260 : 지지캡
261 : 끼움돌기
262 : 가압편
271 : 걸림홈
272 : 가압돌기
273 : 수용홈

Claims (3)

  1. 내부에 액상 화장품(210)이 저장되고, 중앙에는 화장품 입출을 위해 연결관(201)이 돌출 형성된 몸체(200)와;
    상기 연결관(201)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밸브 하우징(221)과, 상기 밸브 하우징(221)의 중앙에 돌출 형성하되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된 밸브핀(222)과, 밸브 하우징과 밸브핀 사이를 연결하는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지지대(221a)와, 상기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화장품을 배출하는 배출공(223)과, 상기 밸브 하우징(221)에 양측면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안내 하우징(224)과, 밸브 하우징(221)의 외주연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5)로 이루어진 내부 커버(220);
    상기 안내 하우징(224)에 내장된 스프링(230);
    상기 내부 커버(220)의 상면에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230)에 접면되어 스프링에 의해서 탄발지지되는 지지판(241)과, 상기 밸브 핀(222)에 대응되는 형상이 유지되게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판(241)의 저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밸브관(243)과, 상기 밸브관(243)에 통하여지도록 지지판(241)의 상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에는 토출공(245)이 형성된 유도관(244)과, 상기 안내 하우징(224)에 삽입되게 지지판(241)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242)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40);
    상기 유도관(244)이 끼워지도록 내측 중앙에 유도홈(251)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끼움홈(252)이 형성되며, 일면 중앙에는 화장품(210)이 토출되는 슬릿홈(253)이 형성된 퍼프(250);
    상기 끼움홈(252)에 삽입되는 끼움돌기(261)가 상단에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하단에는 가압편(262)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캡(260);
    상기 퍼프(250)가 수용되는 수용홈(273)이 형성되고 하부 내측 둘레에는 내부커버(220)의 걸림돌기(225)에 끼워지도록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홈(271)과, 상기 가압편(262)을 가압하도록 걸림홈(271)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돌기(272)로 이루어진 상부커버(2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에 삽입된 화장품(210)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200)의 측면에 투시창(202)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관(243)의 외측 둘레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24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KR2020090011029U 2009-08-24 2009-08-24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KR200458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29U KR200458402Y1 (ko) 2009-08-24 2009-08-24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29U KR200458402Y1 (ko) 2009-08-24 2009-08-24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67U KR20110002067U (ko) 2011-03-03
KR200458402Y1 true KR200458402Y1 (ko) 2012-02-15

Family

ID=4420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029U KR200458402Y1 (ko) 2009-08-24 2009-08-24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4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314B1 (ko) * 2019-10-02 2020-11-12 (주)미금테크 밀폐력이 증대된 화장품 토출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25B1 (ko) 2007-06-22 2007-09-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 일체형 리퀴드 화장품 용기
KR100789290B1 (ko) 2006-09-28 2007-12-28 변영광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KR20100097573A (ko) * 2009-02-26 2010-09-03 노병후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90B1 (ko) 2006-09-28 2007-12-28 변영광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KR100758625B1 (ko) 2007-06-22 2007-09-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 일체형 리퀴드 화장품 용기
KR20100097573A (ko) * 2009-02-26 2010-09-03 노병후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67U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9723B2 (ja) パウダー吐出容器
KR100502224B1 (ko) 소형 유체 펌프
US7293931B2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KR101798133B1 (ko) 리필 화장품 용기
JP2018510820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20180012622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102601B1 (ko)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KR200471795Y1 (ko) 복수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펌프 용기
KR200458402Y1 (ko) 탄발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개폐구조를 갖는 액상 화장용 퍼프
JP2019510546A (ja) サイドボタンを具備した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JP4753232B2 (ja) 定量塗布容器
TWI613982B (zh) 化妝品容器
KR102004283B1 (ko) 화장용기
US20200329843A1 (en) Refill for liquid makeup case and assembly comprising a case and such a refill
KR20046575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6612839B2 (ja) 化粧容器
KR20120060043A (ko) 디스펜서용 펌프버튼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151002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ES2953319T3 (es) Recipiente de cosméticos que incluye un recipiente interno recargable
KR101934866B1 (ko) 화장용기
KR200472161Y1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보호캡이 구비된 화장용 용기
JP7309254B2 (ja) 化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