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872Y1 -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872Y1
KR200457872Y1 KR2020090015550U KR20090015550U KR200457872Y1 KR 200457872 Y1 KR200457872 Y1 KR 200457872Y1 KR 2020090015550 U KR2020090015550 U KR 2020090015550U KR 20090015550 U KR20090015550 U KR 20090015550U KR 200457872 Y1 KR200457872 Y1 KR 200457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bridge
nuts
pier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633U (ko
Inventor
이선호
윤기용
김상섭
박정웅
박종섭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석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석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90015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7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 또는 교대 상에 거더를 가설한 경우, 복수의 조임 너트들이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하부를 협착하여 거더를 교각 또는 교대에 일체로 연결시켜 전도(顚倒)를 방지하며, 교각 또는 교대 상에 거더를 설치한 다음에는 복수의 조임 너트들을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하부로부터 이완시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시 교량의 낙교(洛橋)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면에 매립 설치되는 앵커 너트, 상기 앵커 너트에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무두(無頭) 볼트, 상기 무두 볼트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 너트 및, 상기 무두 볼트에 대한 각각의 조임 너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 거치시 복수의 조임 너트들을 조여서 전도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거더의 설치 완료 후에는 상,하부 너트를 이완시켜 거더의 조임 상태를 해제 시켜둠으로써 지진시 교량 낙교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거더 가설, 거더 전도, 낙교(洛橋), 전도방지장치, 앵커 너트, 무두 볼트

Description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BRIDGE GIRDER FALLING FROM A PIER}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 상에 가설된 거더의 전도(顚倒) 및 낙교(洛橋)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거더 거치시 전도방지용으로 사용하다가, 거더의 설치 완료 후에는 상,하부 너트를 이완시켜 둠으로써 지진시 교량 낙교 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설치시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또는 교대(10)의 상부에 가로 거더(20)를 설치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PSC 콘크리트 거더(22)를 교축 방향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량 설치 과정에서 교각 또는 교대(10)의 상부에 거더(20,22)를 임시로 가설(假設)하고 후속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거더(20,22)가 교각 또는 교대(10) 상에서 전도되어 대형 사고를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교각 또는 교대(10)의 상부에 거더(20,22)를 임시로 가설(假設)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안정적으로 거더(20,22)를 교각 또는 교대(10)에 고정 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거더(20,22)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교각 또는 교대(10)의 상부에 다수의 앵커 철근(30)을 설치하고, PC 강연선(32)을 각각의 거더(20,22)에 걸치도록 둘러서 앵커 철근(30)에 고정시킴으로써 PC 강연선(32)의 장력을 이용하여 거더(20,22)의 전도를 방지하고자 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나름대로 가설된 상태의 거더(20,22) 전도를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다.
한편, 지진(地震)에 대한 안전지대로 알고 있는 우리나라도 요즘 빈번하게 작은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지진 시에는 거더(20,22)가 교각 또는 교대(10)로부터 추락하는 낙교(洛橋)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계 및 시공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교각 또는 교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20,22)가 지진이나 홍수 등의 영향으로 이탈되어 낙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량 낙하 방지장치(50)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낙하 방지장치(50)는 교각 또는 교대(10)에 앵커볼트(52)로서 고정되고 양측단에 낙교 방지용 앵커볼트(60)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베이스판(6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베이스판(62)의 양측단에 고정 설치되며, 마찰에 의한 파괴를 방지함과 아울러 충격을 완화시키는 슬립 고무링(64)이 외주면에 형성된 낙교 방지용 앵커볼트(60)와, 금속 박스거더(70)의 측면에 지진 등에 의하여 유동 가능 하게 장공(7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72)에 충격완화를 위한 고무슬립커버(74)가 내장된 판넬(8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낙교 방지용 앵커볼트(60)와 판넬(80)로서 교각 또는 교대(10)와 금속 박스거더(70)를 체결한 후, 낙교 방지용 앵커볼트(60)가 외부의 요인에 의하여 부식됨과 아울러 충격을 완화시키는 고무덮개(90)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낙하 방지장치(50) 구조는 상대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거더의 설치 완료 후에도 앵커볼트(60)가 항상 체결되어 거더(20,2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 거치시 전도방지용으로 사용하다가, 거더의 설치 완료 후에는 상,하부 너트를 이완시켜 둠으로써 지진시 교량 낙교방지용으로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는,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면에 매립 설치되는 앵커 너트; 상기 앵커 너트에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거더의 하부 플랜지 구멍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무두(無頭) 볼트; 상기 무두 볼트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 너트; 및 상기 무두 볼트에 대한 각각의 조임 너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교각 또는 교대 상에 거더를 가설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들이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하부를 협착하여 거더를 교각 또는 교대에 일체로 연결시켜 전도(顚倒)를 방지하며, 상기 교각 또는 교대 상에 거더를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들이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하부로부터 이완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무두 볼트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시 교량의 낙교(洛橋)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 거치시 전도방지 용으로 사용하다가, 거더의 설치 완료 후에는 상,하부 너트를 이완시켜 거더를 조이지 않는 상태로 이격시켜 둠으로써 지진시 교량 낙교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무두 볼트의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들과,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들 각각에서 상기 무두 볼트의 관통 구멍에 일치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 및, 상기 무두 볼트와 조임 너트의 관통구멍들에 공통적으로 끼워지는 키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거더가 교각 또는 교대 상에 설치된 다음에는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들이 거더의 하부 플랜지 상,하부로부터 이완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키부재가 상기 무두 볼트와 조임 너트의 관통구멍으로 삽입되어 무두 볼트에 대한 각각의 조임 너트의 위치를 고정시켜 이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임 너트들이 거더의 하부 플랜지를 협착시키지 않도록 하고, 지진시 교량의 낙교방지용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 너트의 너트 구멍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가 장착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더는 PSC 콘크리트 거더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PSC 콘크리트 거더의 하단 플랜지 양측면에는 상기 무두 볼트가 삽입가능한 구멍을 각각 형성한 브라켓을 각각 돌출시켜서 상기 무두 볼트와 조임 너트들이 PSC 콘크리트 거더의 양측에서 체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앵커 너트, 무두(無頭) 볼트, 복수의 조임 너트 및 키 부재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 거치시 복수의 조임 너트들을 조여서 전도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더의 설치 완료 후에는 상,하부 너트를 이완시켜 거더의 조임 상태를 해제 시켜둠으로써 지진시 교량 낙교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또는 교대(110)의 상부면에 매립 설치되는 앵커 너트(1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앵커 너트(120)는 각각 "L"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가로 거더, 또는 플레이트 거더, 박스 거더 및 PSC 콘크리트 거더와 같은 일반 거더(115)가 설치되는 교각 또는 교대(110)의 상부에 구멍(112)을 형성한 다음,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 설치한다.
이때, 상기 거더(115)가 PSC 콘크리트 거더(117)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SC 콘크리트 거더(117)의 하단 플랜지(117a) 양측면으로 브라켓(122)을 각각 돌출시키고 구멍(122a)을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무두 볼트(130)가 삽입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앵커 너트(120)에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에 형성된 구멍(119a)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무두(無頭) 볼트(13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무두 볼트(130)는 머리부가 제거된 것으로서, 그 상단부와 하단부의 직경(d1)(d2)이 서로 동일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무두 볼트(130)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무두 볼트(130)에 대한 각각의 조임 너트(150a)(150b)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7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170)은 상기 무두 볼트(13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130a)들과,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 각각에서 상기 무두 볼트(130)의 관통구멍(130a)에 일치하여 형성된 관통구멍(152a)(152b) 및, 상기 무두 볼트(130)와 조임 너트(150a)(150b)의 관통구멍(130a)(152a)(152b)들에 공통적으로 끼워지는 키 부재(17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100)는 먼저 교각 또는 교대(110)의 상부에 구멍(112)을 형성한 다음, 앵커 너트(120)를 각각 매립 설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앵커 너트(120)에는 무두 볼트(130)의 하단을 나사결합시키는데, 만일 앵커 너트(120)의 설치후에 무두 볼트(130)가 즉시 설치되지 않고, 일정 기간 방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 너트(120)의 너트 구멍(120a)에 마개(180)를 장착하여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무두 볼트(130)를 설치한 다음에는,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 중 하부 너트(150b)를 채우고,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에 형성된 구멍(119a)을 무두 볼트(130)에 끼운 다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너트(150a)를 채우고, 상,하부 너트(150a)(150b)를 모두 조인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이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상,하부를 협착하면 거더(115)를 교각 또는 교대(110)에 일체로 연결시켜 전도(顚倒)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설치 과정에서 상기 거더(115)가 PSC 콘크리트 거더(117)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SC 콘크리트 거더(117)의 하단 플랜지(117a) 양측면으로 돌출된 브라켓(122)의 구멍(122a)을 통하여 무두 볼트(130)를 삽입시키고, 상,하부 너트(150a)(150b)를 조여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100)는 이와 같은 설치 과정에서 무두 볼트(130)와 상,하부 조임 너트(150a)(150b)의 장착 순서를 상기와는 다르게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교각 또는 교대(110)의 상부에 구멍(112)을 형성한 다음, 앵커 너트(120)를 각각 매립 설치하고, 무두 볼트(130)를 장착하는 대신에 하부 플랜지(119)에 구멍(119a)이 형성된 거더(115)를 앵커 너트(120)에 맞춰서 교각 또는 교대(110)에 설치한다.
그리고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에 마련된 구멍(119a)을 통하여 무두 볼트(130)를 앵커 너트(12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하고, 하부 플랜지(119)의 상,하부에서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을 하부 플랜지(119)의 상,하부에 협착시키면 상기와 동일하게 거더(115)를 교각 또는 교대(110)에 일체로 연결시켜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교각 또는 교대(110) 상에 거더(115)를 설치한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시 교량의 낙교방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이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상,하부로부터 이완되어 일정 간격(h)을 유지하면서 무두 볼트(1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수단(170)의 키 부재(172)를 상기 무두 볼트(130)와 조임 너트(150a)(150b)의 관통구멍(130a)(152a)(152b)으로 삽입시켜서 무두 볼트(130)에 대한 각각의 조임 너트(150a)(150b)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체결수단(170)의 키 부재(172)를 상기 무두 볼트(130)와 조임 너트(150a)(150b)의 관통구멍(130a)(152a)(152b)으로 삽입시켜 고정시키면, 무두 볼트(130)에 대한 조임 너트(150a)(150b)의 회전이 방지되어 장기간에 걸쳐서도 조임 너트(150a)(150b)가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에 협착되지 않아서 교량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거더(115)의 회전과 이동을 제한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앵커 너트(120), 무두(無頭) 볼트(130), 복수의 조임 너 트(150a)(150b) 및 키 부재(172)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교각 또는 교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115) 거치시 전도방지용으로 사용하다가, 거더(115)의 설치 완료 후에는 상,하부 너트(150a)(150b)를 이완시켜 거더(115)를 조이지 않는 상태로 일정 간격(h) 이격시켜 둠으로써 지진시 교량 낙교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는 교량의 건설 작업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가로 거더를 가설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b는 교량의 건설 작업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다수의 PSC 콘크리트 거더를 가설하고, 앵커 철근과 PC 강연선을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교량 낙하 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교각 또는 교대의 상부에 거더를 고정시킨 구조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지진시, 낙교방지 구조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의 앵커 너트에 마개가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를 PSC 콘크리트 거더에 적용시킨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교각 또는 교대 20..... 가로 거더
22...... PSC 콘크리트 거더 30...... 앵커 철근
32...... PC 강연선 50...... 교량 낙하 방지장치
52...... 앵커볼트 60...... 앵커볼트
62...... 고정베이스판 64...... 슬립 고무링
70...... 금속 박스거더 72...... 장공
74...... 고무슬립커버 80...... 판넬
90...... 고무덮개 100.....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110..... 교각 또는 교대 112...... 구멍
115..... 거더 117...... PSC 콘크리트 거더
117a.... 하단 플랜지 119..... 하부 플랜지
119a...... 구멍 120...... 앵커 너트
120a..... 너트 구멍 122...... 브라켓
122a.... 구멍 130...... 무두(無頭) 볼트
130a,152a,152b... 관통구멍 150a,150b... 너트
170...... 체결수단 172..... 키 부재
180...... 마개 d1,d2..... 직경
h...... 간격

Claims (5)

  1. 교각 또는 교대(110)의 상부면에 매립 설치되는 앵커 너트(120);
    상기 앵커 너트(120)에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구멍(119a)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무두(無頭) 볼트(130);
    상기 무두 볼트(130)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상기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 및
    상기 무두 볼트(130)에 대한 각각의 조임 너트(150a)(150b)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70);을 포함하고, 상기 교각 또는 교대(110) 상에 거더(115)를 가설(假設)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이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상,하부를 협착하여 거더(115)를 교각 또는 교대(110)에 일체로 연결시켜 전도(顚倒)를 방지하며, 상기 교각 또는 교대(110) 상에 거더(115)를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이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상,하부로부터 이완되어 일정 간격(h)을 유지하면서 무두 볼트(13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시 교량의 낙교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70)은 상기 무두 볼트(13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130a)들과,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 각각에서 상기 무두 볼 트(130)의 관통구멍(130a)에 일치하여 형성된 관통구멍(152a)(152b) 및, 상기 무두 볼트(130)와 조임 너트(150a)(150b)의 관통구멍(130a)(152a)(152b)들에 공통적으로 끼워지는 키 부재(172)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70)은 상기 거더(115)가 교각 또는 교대(110) 상에 설치된 다음에는 상기 복수의 조임 너트(150a)(150b)들이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 상,하부로부터 이완되어 일정 간격(h)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키 부재(172)가 상기 무두 볼트(130)와 조임 너트(150a)(150b)의 관통구멍(130a)(152a)(152b)으로 삽입되어 무두 볼트(130)에 대한 각각의 조임 너트(150a)(150b)의 위치를 고정시켜 이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임 너트(150a)(150b)들이 거더(115)의 하부 플랜지(119)를 협착시키지 않도록 하고, 지진시 교량의 낙교방지용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너트(120)의 너트 구멍(120a)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180)가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115)는 PSC 콘크리트 거더(117)로 이루어진 것이 고, 상기 PSC 콘크리트 거더(117)의 하단 플랜지(117a) 양측면에는 상기 무두 볼트(130)가 삽입가능한 구멍(122a)을 각각 형성한 브라켓(122)을 각각 돌출시켜서 상기 무두 볼트(130)와 조임 너트(150a)(150b)들이 PSC 콘크리트 거더(117)의 양측에서 체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100).
KR2020090015550U 2009-12-01 2009-12-01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KR200457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550U KR200457872Y1 (ko) 2009-12-01 2009-12-01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550U KR200457872Y1 (ko) 2009-12-01 2009-12-01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633U KR20110005633U (ko) 2011-06-09
KR200457872Y1 true KR200457872Y1 (ko) 2012-01-12

Family

ID=4584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550U KR200457872Y1 (ko) 2009-12-01 2009-12-01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927B1 (ko) * 2019-05-24 2021-01-08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부반력 제어 및 낙교 방지 강재박스 거더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46Y1 (ko) 2001-06-22 2001-10-3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교량 낙하 방지장치
KR20020047446A (ko) * 2000-12-13 2002-06-22 윤종용 절대값을 갖는 마크를 이용한 무인차량 위치 인식방법
KR20030026597A (ko) * 2001-09-26 2003-04-03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소기 연도구조
KR200326597Y1 (ko) 2003-06-10 2003-09-19 (주) 일신하이텍 거어더의 전도 방지장치
KR20030075361A (ko) * 2002-03-18 2003-09-26 박재만 내진보강용 합성교좌장치
KR20090066561A (ko) * 2007-12-20 2009-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sc 빔의 전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446A (ko) * 2000-12-13 2002-06-22 윤종용 절대값을 갖는 마크를 이용한 무인차량 위치 인식방법
KR200247446Y1 (ko) 2001-06-22 2001-10-3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교량 낙하 방지장치
KR20030026597A (ko) * 2001-09-26 2003-04-03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소기 연도구조
KR20030075361A (ko) * 2002-03-18 2003-09-26 박재만 내진보강용 합성교좌장치
KR200326597Y1 (ko) 2003-06-10 2003-09-19 (주) 일신하이텍 거어더의 전도 방지장치
KR20090066561A (ko) * 2007-12-20 2009-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sc 빔의 전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633U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358B1 (ko) 매립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10200388A1 (en) Anti-Theft Device for Removeable Manhole and Gully Covers
KR20100086151A (ko) 풀림방지턴버클
KR20130092356A (ko) 앵커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57872Y1 (ko) 교량거더 전도 및 낙교방지장치
JP5002517B2 (ja) 定着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安定化構造並びに法面安定化工法
KR20190105489A (ko) 교량용 교좌장치
KR101131079B1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서포트장치
JP2014031670A (ja) ダンパ取付装置
JP7312422B2 (ja) 橋梁の変位制限装置
KR20110003965U (ko) 갱폼 하부 고정용 볼트
KR100844820B1 (ko) 앵커볼트용 보호캡
JP2012202149A (ja) 合成桁の床版ずれ止め構造及び床版ずれ止め方法
KR101636672B1 (ko) 이중구조를 구비하는 안전휀스
KR200284897Y1 (ko) 선박용 가설난간기둥
KR100457369B1 (ko) 교량 교각구조물의 안전진단시설
KR20210115124A (ko) 콘크리트 매설 전도방지용 인서트 앵커너트
KR101126770B1 (ko) 갱폼 인양용 안전 고리
KR200258889Y1 (ko) 수중 교각구조물 보호용 충격흡수시설
KR101974051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20100001450U (ko) 기둥거푸집용 지지바 고정구
KR200434966Y1 (ko) 지주 가림판 커버
KR100964916B1 (ko) 배관용 부식방지 볼트캡
KR100605272B1 (ko) 강선체결구를 구비한 안전난간
KR200354124Y1 (ko) 구조물 고정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