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18Y1 -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18Y1
KR200457718Y1 KR2020090005770U KR20090005770U KR200457718Y1 KR 200457718 Y1 KR200457718 Y1 KR 200457718Y1 KR 2020090005770 U KR2020090005770 U KR 2020090005770U KR 20090005770 U KR20090005770 U KR 20090005770U KR 200457718 Y1 KR200457718 Y1 KR 200457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utlet
washing water
pressure chamber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58U (ko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조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현 filed Critical 조성현
Priority to KR2020090005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1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D3/04Self-closing flushing valves with piston valve and pressure chamber for retarding the valve-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3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 F16K31/3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 F16K31/38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in which fluid from the circui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fluid motor in which the fluid works directly on both sides of the fluid motor, one side being connected by means of a restricted passage and the motor being actuated by operating a discharge from that side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로상으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을 이동시켜 세정수 관로를 개폐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개폐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더 나아가서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등의 전자적 장치에 의하여 개폐밸브가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기로 세정수를 유입시킴과 아울러 내측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관로를 차단시키며,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관로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고, 출수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3압력배출구가 형성된 세정수 유입관;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입수구와 출구가 형성된 상측부위에 설치되어 압력이 생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실; 상기 압력실의 내부에서 측벽에 기밀하면서도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입수구와 출수구를 개폐하도록 장착되며, 입수구쪽의 위치에는 세정수 유입관과 압력실의 내측을 연결하는 수압구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압력실의 상부에 기밀하게 장착되어 압력실을 폐쇄하고, 압력실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제1압력배출구가 형성되며, 제1압력배출구에는 탄성지지되는 개폐핀이 장착됨과 아울러 외측과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제3압력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압력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제1압력배출구와 제2압력배출구를 외부와 기밀시키도록 덮으며, 개폐핀이 위치한 상부에는 외측과 연결되도록 누름핀이 장착된 외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외부커버의 누름핀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누름핀을 누르는 수동레버; 상기 상부커버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수동레버를 누르는 전자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절수, 샤워기

Description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Flushing water supply valve for a toilet bowl}
본 고안은 변기에 사용되는 세정수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변후 변기를 세정할 때 적은 힘으로 개폐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에는 물내림을 위하여 버튼이나 레버타입의 밸브조작장치가 구비되는데, 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하는 힘이 부족한 노약자 또는 어린이들의 경우에 버튼이나 레버가 완전하게 눌려지지 않아서 변기의 세정수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 경우 변기내에 충분한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아서 오물이 잔류하므로 약취와 함께 보기에도 매우 불결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관로상으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을 이동시켜 세정수 관로를 개폐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개폐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더 나아가서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등의 전자적 장치에 의하여 개폐밸브가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기로 세정수를 유입시킴과 아울러 내측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관로를 차단시키며,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관로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고, 출수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3압력배출구가 형성된 세정수 유입관;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입수구와 출구가 형성된 상측부위에 설치되어 압력이 생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실;
상기 압력실의 내부에서 측벽에 기밀하면서도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입수구와 출수구를 개폐하도록 장착되며, 입수구쪽의 위치에는 세정수 유입관과 압력실의 내측을 연결하는 수압구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압력실의 상부에 기밀하게 장착되어 압력실을 폐쇄하고, 압력실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제1압력배출구가 형성되며, 제1압력배출구에는 탄성지지되는 개폐핀이 장착됨과 아울러 외측과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제3압력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압력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제1압력배출구와 제2압력배출구를 외부와 기밀시키도록 덮으며, 개폐핀이 위치한 상부에는 외측과 연결되도록 누름핀이 장착된 외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외부커버의 누름핀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누름핀을 누르는 수동레버;
상기 상부커버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수동레버를 누르는 전자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수동레버 또는 전자버튼의 조작에 의한 전자피스톤의 동작으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압력을 압력실 내부로 유도하여 압력실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입수구와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동작으로 세정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폐밸브의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버튼의 조작에 의한 경우 단순히 터치형태로서 개폐밸브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 다.
도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변기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유입관(100)의 관로상에 세정수가 유입되는 부위와 유출되는 부위를 차단하는 격벽(130)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30)을 가운데 두고 양측에는 세정수 유입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입수구(110)와 출수구(120)가 각각 형성된다.
세정부 유입관(100) 입수구(110)와 출수구(120)의 외측으로는 압력실(200)이 설치되며, 그 압력실(200)의 내부로는 압력에 의해 압력실(200) 내부를 상하이동하는 피스톤(210)이 장착되는데, 상기 피스톤(210)의 측부는 압력실(200)의 내측과 패킹(212)에 의해 기밀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피스톤(210)의 하단은 입수구(110)와 출수구(120)를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입수구(110)가 위치하는 부위의 피스톤(210)에는 압력실(200)의 내부와 입수구(110)를 연결하도록 관통된 수압구(211)가 형성되며, 또한, 출수구(120)의 측부로는 관 형태로 되어 세정수 유입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제3압력배출구(235)가 형성된다.
수압구(211)의 하측에는 유입되는 세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망(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압력실(20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30)가 결합되어 압력실(200) 내부를 외부와 폐쇄시키게 되고, 상부커버(230)에는 압력실(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기 위해 관통된 제1압력배출구(2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압력배출구(231)에는 개폐핀(232)이 장착되어 제1압력배출구(231)를 개폐하게 되는데, 이 개페핀(231)은 스프링(234)에 의해 탄성지지됨으로써 원래위 치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또한, 상부커버(230)에는 상부커버(230)의 외측과 제3압력배출구(235)를 연결하는 제2압력배출구(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압력배출구(233)의 상측과 제1압력배출구(231)를 외부로부터 폐쇄시키도록 외부커버(240)가 상부커버(230)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외부커버(240)에는 누름핀(242)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데, 누름핀(242)은 개폐핀(23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누름핀(242)과 개폐핀(232)의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241)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부커버(230)의 상측에는 힌지(251)를 매개로 하여 상하회전이 가능하게 수동레버(250)가 설치되는데, 이때 수동레버(250)는 누름핀(242)을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수동레버(250)의 상측에는 전자피스톤(260)이 설치되는데 상부커버(230)에 고정설치되면서 수동레버(250)를 누를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피스톤(260)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피스톤로드(261)가 상하운동하여 수동레버(250)를 누르게 되며, 이러한 전자피스톤(260)은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초기에는 도1과 같이 세정수 유입관(100)을 통해 유입된 세정수가 압력실(20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며, 사용자가 수동레버(250)를 누르게 되면, 도2에서와 같이 개폐핀(232)이 하향이동하여 제1압력배출구(231)가 개방되며, 이로인해 압력실(200)의 세정수가 외부커버(240)-제2압력배출구(233)-제3압력배출구(235)를 통해 배출된다.
압력실(200)의 압력이 낮아지면, 입수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210)이 압력실(200)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어 출수구(120)가 개방되고, 이로인해 유입되는 세정수가 입수구(110)와 출수구(120)를 통해 변기로 공급된다.
사용자가 수동레버(250)롤 놓게 되면, 패킹(234)과 스프링(234)의 탄성에 의해 수동레버(250)와 개폐핀(232)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제1압력배출구(231)가 폐쇄되며, 입수구(110)를 통해 입수된 세정수가 수압구(211)를 통해 압력실(200)로 유입됨으로써 압력실(200)에는 압력을 가진 세정수가 다시 수용된다.
세정수가 수용되면서 피스톤(210)을 하향 압박하게 되고, 이에따라 피스톤(210)이 하향 이동하여 출수구(120)를 폐쇄함으로써 다시 도1과 같은 초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전자피스톤(260)을 동작시키는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인데, 전자피스톤(260)의 피스톤 로드(261)가 수동레버(250)를 누르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세정수 유입관 110 : 입수구
120 : 출수구 130 : 격벽
200 : 압력실 210 : 피스톤
211 : 수압구 212 : 패킹
220 : 걸름망 230 : 상부커버
231 : 제1압력배출구 232 : 개폐핀
233 : 제2압력배출구 234 : 스프링
235 : 제3압력배출구 240 : 외부커버
241 : 패킹 242 : 누름핀
250 : 수동레버 251 : 힌지
260 : 전자피스톤

Claims (1)

  1. 변기로 세정수를 유입시킴과 아울러 내측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관로를 차단시키며,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관로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입수구와 출수구가 설치되고, 출수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3압력배출구가 형성된 세정수 유입관;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입수구와 출구가 형성된 상측부위에 설치되어 압력이 생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압력실;
    상기 압력실의 내부에서 측벽에 기밀하면서도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입수구와 출수구를 개폐하도록 장착되며, 입수구쪽의 위치에는 세정수 유입관과 압력실의 내측을 연결하는 수압구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압력실의 상부에 기밀하게 장착되어 압력실을 폐쇄하고, 압력실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제1압력배출구가 형성되며, 제1압력배출구에는 탄성지지되는 개폐핀이 장착됨과 아울러 외측과 상기 세정수 유입관의 제3압력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압력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제1압력배출구와 제2압력배출구를 외부와 기밀시키도록 덮으며, 개폐핀이 위치한 상부에는 외측과 연결되도록 누름핀이 장착된 외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외부커버의 누름핀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누름핀을 누르는 수동레버;
    상기 상부커버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수동레버를 누르는 전자피스톤;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KR2020090005770U 2009-05-13 2009-05-13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KR200457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70U KR200457718Y1 (ko) 2009-05-13 2009-05-13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70U KR200457718Y1 (ko) 2009-05-13 2009-05-13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58U KR20100011358U (ko) 2010-11-23
KR200457718Y1 true KR200457718Y1 (ko) 2012-01-02

Family

ID=4420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70U KR200457718Y1 (ko) 2009-05-13 2009-05-13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1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084A (ja) 2001-10-22 2003-07-18 Inax Corp ダイヤフラム式止水弁
JP2003278214A (ja) 2002-03-26 2003-10-02 Inax Corp フラッシュバルブ
KR100805751B1 (ko) 2005-09-22 2008-02-21 조성현 유체 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084A (ja) 2001-10-22 2003-07-18 Inax Corp ダイヤフラム式止水弁
JP2003278214A (ja) 2002-03-26 2003-10-02 Inax Corp フラッシュバルブ
KR100805751B1 (ko) 2005-09-22 2008-02-21 조성현 유체 개폐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58U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2387A1 (en) Sanitary drain valve design
CN101285317B (zh) 自动红外感应卫厕的冲水装置
JP2009540154A (ja) 水洗トイレ用感知洗浄装置
KR200457718Y1 (ko) 변기의 세정수 개폐밸브
JP200825809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N210104886U (zh) 一种具有溢流功能的去水器
KR101169150B1 (ko) 진공방지기구를 구비한 플러시밸브
KR101245067B1 (ko) 양변기용 물내림 장치
CN110291259B (zh) 水龙头装置
KR100915254B1 (ko) 양변기의 물내림 작동장치
KR200303626Y1 (ko) 냉온 정수기용 배수콕
KR101437088B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수압 물내림 시스템
CN100425896C (zh) 水龙头
JP52866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N110886348A (zh) 一种用于水槽出水和排水控制的集成控制开关
KR100864030B1 (ko)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KR100825412B1 (ko) 절수식급수밸브
CN214171383U (zh) 水龙头切换阀及水龙头
KR101248521B1 (ko) 절수형 밸브 개폐장치
KR100902565B1 (ko) 절수형 플래시밸브
KR200429614Y1 (ko) 소변기용 감지기 전환장치
KR20130116147A (ko) 가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구조
WO2002095147A1 (fr) Soupape de vidange pour reservoir surbaisse
US11110494B2 (en) Vacuum clog toilet removal apparatus
KR100805751B1 (ko) 유체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